KR101660716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716B1
KR101660716B1 KR1020090047443A KR20090047443A KR101660716B1 KR 101660716 B1 KR101660716 B1 KR 101660716B1 KR 1020090047443 A KR1020090047443 A KR 1020090047443A KR 20090047443 A KR20090047443 A KR 20090047443A KR 101660716 B1 KR101660716 B1 KR 10166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humidifying
unit
humidif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815A (ko
Inventor
양태만
김정훈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716B1/ko
Priority to PCT/KR2010/003326 priority patent/WO2010137869A2/ko
Priority to US13/322,991 priority patent/US20120071078A1/en
Priority to EP10780780A priority patent/EP2436998A2/en
Publication of KR2010012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a water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된 가습유닛을 구비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 가습, 소자, 내구성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NG DEVICE}
본 발명은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된 가습유닛을 구비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된 가습유닛을 구비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환기기능이 없는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며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한다. 공기조화장치에 필터 등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으나, 실내의 오염도는 서서히 증가하게 되고, 필터 등에 의한 공기청정기능은 한계가 있으므로, 실내공기의 환기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며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도 별도의 환기장치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난방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환기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흡입되는 흡입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기 사이에 열 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를 환기장치에 구비하여, 환기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에 가습기능을 제공하는 가습유닛을 구비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유닛은 물을 특정방향에서 흡수하는 가습부재를 구비하고, 실외에서 흡입된 흡입공기를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가습부재 사이로 투과시켜 물입자가 흡입공기와 함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종래의 가습유닛은 가습부재의 일단이 급수통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아래 방향으로 흘려 보내며 흡입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습부재에 물이 일방향으로만 흘러내리는 방식을 사용하면, 가습과정에서 낭비되는 물의 양이 많아진다.
즉, 실제로 기화되어 흡입공기와 함께 실내로 공급되는 물입자의 양은 기화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물의 양보다 훨씬 많다.
그리고, 가습부재에 흡수되어 가습부재를 타고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 가습부재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축적되어 그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소개된 가습유닛에 포함된 가습부재들은 물을 흡수하는 방향과 물이 흘러내려가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
즉, 가습부재의 상단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고, 절곡부의 끝단이 급수통 내부로 연장되어 물을 흡수하고 중력방향으로 물을 흘려 보내며 가습과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가습부재의 절곡부의 절곡된 형상은 물이 흡수되는 방향 과 물이 흘러내리는 방향을 변화시켜, 물의 흡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절곡부에서 이물질(스케일 등)이 축적되어 가습부재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된 가습유닛을 구비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 경우, 배출되는 배출공기와 흡입되는 흡입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환기유닛 및, 상기 환기유닛에 의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 상기 급수통에서 공급된 물이 상부로 공급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주름진 절곡판재 및 상기 절곡판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평면판재를 포함하는 가습부재이 구비된 가습유닛을 포함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급수통은 상기 가습부재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통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로 흡수되지 못하고 상기 가습부재 외부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재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집하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 및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펌핌된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안내하는 회수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은 상기 가습부재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통은 링형태의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개방된 개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습부재 및 상기 급수통은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부재가 공기의 투과방향과 물공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홈 근방에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을 둘러싸는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통은 그 하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복수 개의 급수홀이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통은 그 하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슬릿이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통에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에 급수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수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급수통 수위가 미리 결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차단되고, 급수통 수위가 미리 결정된 수위보다 낮아지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유닛 측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하여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키는 냉난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난방 유닛은 복수 개의 핀과 핀을 관통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냉난방 코일과 팽창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실내 공기를 환기함과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건조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가습유닛을 구성하는 가습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가습유닛을 구성하는 가습부재의 물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의하면, 가습유닛을 구성하는 가습부재의 면적과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환기장치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상기 환기장치(1000)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환기하는 환기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추가적으로 환기유닛에서 흡입된 흡입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냉난방유닛과 상기 환기유닛에서 흡입된 흡입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유닛과 상기 가습유닛은 상기 환기유닛과 함께 실내로 공급되는 흡입공기의 쾌적도를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를 이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환기유닛과 함께 전술한 냉난방유닛 및 가습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환기장치의 환기기능을 담당하는 환기유닛은 적어도 1개의 송풍팬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장치의 환기유닛(100)은 흡기팬(130)과 배기팬(120)을 구비한다. 상기 흡기팬(130)과 배기팬(120)은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실내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흡기팬(130)과 배기팬(120)은 각각 상기 환기유닛(110)의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30)은 상기 환기유닛(110)의 실내방향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팬(120)은 상기 환기유닛(110)의 실외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30)과 배기팬(120) 사이에 흡입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를 상호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10)는 흡입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막을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공조부하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냉방과정에서 환기과정이 수행되면, 실내의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고, 뜨거운 실외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조화장치 등의 냉방부하(공조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10)에서 흡입되는 흡입공기와 배출되는 배출공기가 서로 열교환하여, 냉방부하 또는 난방부하를 줄이고, 사용자가 느끼는 온도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기팬(130)과 배기팬(120)은 크로스 플로우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10)는 상기 흡기팬(130)과 배기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30)은 상기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실외공기(흡입공기)를 후술하는 냉난방유닛(200) 측으로 송풍하고, 상기 배기팬(120)은 상기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실내공기(배출공기)를 실외로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흡기팬(130)에서 흡입된 흡입공기는 냉난방유닛(200) 측으로 송풍될 수 있다. 상기 냉난방유닛(200)은 냉매가 증발 또는 응축되어 투과되는 흡입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난방코일(210)과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냉난방코일에 공급되는 냉매는 환기장치와 별도로 구비된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에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환기장치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환기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냉난방 효율의 증가를 위하여 실외에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냉난방유닛(200)을 구성하는 냉난방코일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200) 후방에 가습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닛(300)은 물을 흡수하여 흘러내리며, 공기를 투과시켜 투과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환기장치는 실내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와 실내공기가 도출되는 토출구(미도시)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게 된다.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환기장치를 거쳐 배기하는 과정은 상기 환기장치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배기덕트(430,440)에 의하며,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환기장치를 거쳐 흡기하는 과정은 상기 환기장치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흡기덕트(410,420)에 의한다.
상기 제1흡기덕트(410)을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OA)는 상기 흡입유닛(100)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뒤, 상기 냉난방유닛(200)을 구성하는 냉난방코일(210)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가습유닛(300)에서 가습되어 실내로 공급(SA)된다.
상기 가습유닛(300)은 특히 동절기 상기 냉난방유닛(200)에서 가열된 흡입공기가 투과되면서 온도는 하강하고 습도는 상승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난방유닛(20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가습유닛에서 가습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가습유닛(300)는 난방모드에서 건조하고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높이는데 더 큰 의미를 갖는다.
반면, 실내에서 흡입되는 실내공기(RA)는 상기 가습유닛(300) 또는 상기 냉 난방유닛(200)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여 상기 환기유닛(100)의 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뒤 실외로 배출(EA)된다.
도 3은 상기 환기장치의 환기유닛(100)의 열교환기(110)과 냉난방유닛(200)의 냉난방코일(210)을 도시한다. 도 3(a)는 환기유닛(100)의 열교환기(110)를 도시하며, 도 3(b)는 냉난방유닛(200)의 냉난방코일(210)을 도시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10)는, 평판형의 평면판재(113)와, 물결형상의 절곡판재(114)가 교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판재(11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기 절곡판재(114)는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10)는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10)는 평면판재(113) 및 절곡판재(114)의 적층에 의하여 제1유로(115)와 제2유로(1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115)와 제2유로(116)는 서로 직교하는 유로이다.
상기 열교환기(110)를 구성하는 평면판재(113)의 표면 또는 절곡판재(114)의 표면에는 수증기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흡착재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이온교환수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10)를 구성하는 평면판재(113)의 표면 또는 절곡판재(114)는 그 표면에 흡착재가 도포되고 박막 필름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유로(115)와 제2유로(116)를 각각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과 함께 수분교환도 가능하게 된다.
즉, 실내에서 공급된 배출공기(RA)가 상기 제1유로(115)로 유동하고, 실외에서 흡입된 흡입공기(OA)가 제2유로(116)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유로(115)에서 흡착제에 의하여 수분이 흡착되어 제2유로(116)의 흡입공기(OA)로 수분을 공급하여, 흡입공기(OA)의 습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유닛(300)이 환기장치에 구비되는 경우, 가습유닛(300)에 의한 가습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가습유닛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흡입공기(OA)와 배출공기(RA)의 습도차를 일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3(b)는 상기 냉난방유닛(200)를 구성하는 냉난방코일(210)의 사시도이다. 상기 냉난방코일(210)은 크로스핀 식의 Fin-Tube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난방코일(210)은 장방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의 다수 핀(213)과, 이 핀(213)을 관통하는 냉매관(2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냉난방코일(210)에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팽창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는 전자팽창밸브(Electric expansion valve, EEV) 등일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거나, 냉난방코일(21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를 냉방하는 경우, 상기 냉난방코일(210)은 증발기로 작동되며, 실내를 난방하는 경우 상기 냉난방코일(210)은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 단독으로 충분한 냉난방 기능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조화장치와 연동되어 운전될 수 있으며, 환기장치 내부에 압축기 등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에서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부재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직육면체 형상 가습부재(310)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일부분(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가습부재는 물을 흡수하고, 물을 흡수한 가습부재 사이로 흡입공기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가습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습부재(310)은 여러 장의 흡습재(315a, 315b)가 나란히 포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습재(315a, 315b)는 부직포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흡습재(315a, 315b)에 흡수되는 물은 물이 그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거나 흡습재(315a, 315b) 내부로 흡수되며,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가습부재(310)는 지속적으로 물을 흡수하여 흘려 보냄과 동시에 흡습재(315a, 315b)로 공기를 투과시켜 흡입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상기 가습부재(310)는 도 4(b)에 도시된 가습부재와 달리 흡습재(315)가 평면 흡습재(315a)와 절곡 흡습재(315b)가 교대로 구비된다. 상기 평면 흡습재(315a)와 절곡 흡습재(315b)는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갖으며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흡수된 물이 그 표면을 타고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곡 흡습재(315b)는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결국 가습부재의 높이를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물의 증발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곡 흡습재(315b)는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물의 유로를 절곡시키는 것이므로,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물이 가습부재(310)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켜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평면 흡습재(315a) 사이의 거리는 5mm 내외이며, 절곡 흡습재(315b)의 절곡부분의 거리는 9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부재(310)은 가습부재 상부에 구비된 급수통(320)에서 물을 흡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급수통(320)은 그 하부에 급수홀(미도시) 또는 급수슬릿(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부재(31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급수홀은 상기 급수통(320) 하면에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슬릿이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홀 및 급수슬릿의 면적과 상기 급수통(3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시간당 상기 급수통(320)에서 상기 가습부재(31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는 변수이므로, 급수통(320) 내부의 수위와 상기 급수홀 및 급수슬릿의 면적을 조절하여 시간당 물공급량 또는 물소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20)이 상부로 밀폐된 구조가 아니라면,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센서(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플로트 스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통(32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360)에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급수밸브(3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62)는 급수통의 물이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환기장치는 작동되지만 가습기능만 정지되는 경우 또는 환기장치 전체가 작동중단되는 경우에 물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닛(300)은 제2급수통(330) 하부에 드레인팬(drain pan, 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62) 등이 오작동하여 물공급이 제어될 수 없는 경우, 넘치는 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340)에 수집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배관(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배관(370)은 하수도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드레인팬 자체를 착탈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통(320) 하부에 형성된 슬릿(미도시) 또는 급수홀(미도시)의 면적에 의하여 물소비량 등이 조절될 수 있다. 급수량 조절은 상기 급수밸브(362)의 개도 조절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가습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 흡습재(315a)와 절곡 흡습재(315b)가 교대로 구비되어, 그 표면을 타고 흐르는 물의 유로를 연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결국 가습부재의 높이를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습부재(310)에 가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습부재의 코러게이션(Corrugation) 형상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팬(340)을 통해 배수배관(360)으로 배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부재(310)의 형상이 직육면체로 제공되므로, 공급되는 물에 포 함된 스케일(Scale) 누적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케일(Scale) 누적현상을 최소화하면, 가습부재(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여도 상기 가습부재(310)는 정기적으로 그 교체가 필요한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부재(310) 및 상기 급수통(320)은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타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부재가 공기의 투과방향과 물공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가습부재(310)는 장착부재(370)에 장착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서비스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상기 가습부재(310) 상부에 결합된 장착부재(370)에 가이드 레일(374)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통(320)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374)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24)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하여 상기 가습부재(320)는 흡입공기의 투과방향(좌측에서 우측)과 물공급방향(상부에서 하부)과 수직한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되어 교체 또는 수리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습부재(310)의 사시도이다. 상기 가습부재(310)은 그 상부에 장착부재(370)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37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통(320) 하부에 형성된 급수 홀 또는 급수 슬릿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개구부(376)을 통해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급수통(320)이 상기 가습유닛(310) 상부에 얹혀지는 구조를 갖으므로, 상기 급수통(320)에서 공급되는 물은 그 급수 슬릿 또는 급수 홀의 면적을 조절하여도,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주변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상기 급수통과 상기 장착부재 사이에 실링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홈 근방에 실링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374) 또는 가이드 홈(324)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실링부재(50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링부재(500)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370)의 개구부(376)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506)을 갖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급수통(320)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310)에서 흡습되지 못하고 유출되는 물의 양을 어느 정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실링부재(500)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일정량의 물은 상기 가급부재에 흡수되지 못하고 드레인팬(340)으로 낙하하여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뒤 증발되지 못하고 그 하부로 떨어지는 물은 상기 드레인팬(340)을 통해 배수된다.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뒤 증발되지 못하고 그 하부로 떨어지는 물은 상기 가습부재(310) 내부에서 흡습재(315a, 315b) 사이를 이동하며 그 내부에 잔류되는 물찌꺼기(스케일 등)에 의하여 오염된 물이므로 배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된 물을 다시 상기 가습부재(310)를 통해 흡수시켜 가습에 사용하면, 가습부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통(320)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가습부재(310)의 외부로 떨어지는 물은 오염되지 않은 물이므로 사용되지 못하고 배수되는 것은 물소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가습유닛은 상기 가습부재(310) 하부 둘레에 집수통(39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수통(390)은 상기 급수통(320)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가습부재(310)의 외부로 떨어지는 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급수통(320)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가습부재(310)의 외부로 떨어지는 물은 오염도가 낮으므로 이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통(390)에 수집된 물은 다시 급수통(320)으로 회수되어, 가습부재(3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집수통(390)에 수집된 물은 상기 집수통(390)과 상기 급수통(320)을 연결하는 회수파이프(460)에 의하여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파이프(460)에는 급수펌프(462)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통(390)에 수집된 물을 상기 급수통(320)으로 펌핑한다.
상기 집수통(390)과 그 회수구조에 의하여 가습기능을 구현하는데 낭비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집수통(390)과 상기 드레인팬(340)의 사시도이다. 상기 집수통(390)은 사각 링형태의 수용공간(392)을 구비하여 하나의 회수파이프에 의하여 수집된 물이 상기 급수통(320)으로 회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그 가습부재의 개방부(394)는 상기 가습부재(310)의 하면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뒤 증발되지 못하고 드레인팬(340)으로 낙하하는 물과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낙하하는 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된 뒤 증발되지 못하고 드레인팬(340)으로 낙하하는 물은 상기 개방부(394)를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팬(340)으로 배수되며, 상기 가습부재(310)에 흡수되지 못하고 낙하하는 물은 상기 집수통(390)의 수용공간(392)에 수집된 후 상기 급수통(320)으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환기장치의 환기유닛의 열교환기과 냉난방유닛
의 냉난방코일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부재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습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실링부재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가습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집수통과 상기 드레인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환기유닛 110 : 열교환기
200 : 냉난방 유닛 210 : 냉난방코일
300 : 가습유닛 310 : 가습부재
370 : 장착부재 390 : 집수통
460 : 회수파이프 500 : 실링부재

Claims (12)

  1. 실내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와 실외에서 흡입되는 흡입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환기유닛;
    상기 환기유닛에 의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 상기 급수통에서 공급된 물이 상부로 공급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주름진 절곡판재 및 상기 절곡판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평면판재를 포함하는 가습부재가 구비된 가습유닛;
    상기 급수통에서 공급되는 물 중 상기 가습부재로 흡수되지 못하고 상기 가습부재 외부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재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집하는 집수통; 및,
    상기 집수통에 수집된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 및 상기 급수펌프에 의해 펌핌된 물을 상기 급수통으로 안내하는 회수파이프; 및
    상기 집수통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부재에 흡수된 뒤 증발하지 못하고 상기 가습부재의 하부로 떨어지는 물을 수용하는 드레인 팬;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통은 상기 가습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집수통은 상기 가습부재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통은 링형태의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개방된 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드레인팬에는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배관이 구비되고,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장착부재가 상기 가습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통에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가습부재가 공기의 투과방향 및 물공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홈 근방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통 하부에 형성된 급수 홀 또는 급수 슬릿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습부재에 흡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을 둘러싸는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은 그 하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복수 개의 급수홀이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은 그 하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슬릿이 가습부재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에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에 급수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수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급수통 수위가 미리 결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차단되고, 급수통 수위가 미리 결정된 수위보다 낮아지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닛 측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하여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키는 냉난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유닛은 복수 개의 핀과 핀을 관통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냉난방 코일과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90047443A 2009-05-29 2009-05-29 환기장치 KR10166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43A KR101660716B1 (ko) 2009-05-29 2009-05-29 환기장치
PCT/KR2010/003326 WO2010137869A2 (ko) 2009-05-29 2010-05-26 가습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
US13/322,991 US20120071078A1 (en) 2009-05-29 2010-05-26 Humidifying unit and ventil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EP10780780A EP2436998A2 (en) 2009-05-29 2010-05-26 Humidifying unit and ventil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443A KR101660716B1 (ko) 2009-05-29 2009-05-29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815A KR20100128815A (ko) 2010-12-08
KR101660716B1 true KR101660716B1 (ko) 2016-09-28

Family

ID=4322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443A KR101660716B1 (ko) 2009-05-29 2009-05-29 환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71078A1 (ko)
EP (1) EP2436998A2 (ko)
KR (1) KR101660716B1 (ko)
WO (1) WO201013786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080B1 (ko) * 2020-01-20 2020-07-03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154B2 (ja) * 2012-02-10 2014-0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CN104315643B (zh) * 2014-07-03 2018-01-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加湿装置和空气处理系统
CN104329733B (zh) * 2014-07-03 2017-11-0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净化装置和空气处理系统
CN104315644B (zh) * 2014-09-18 2017-06-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加湿装置和空气处理系统
US10168061B2 (en) * 2014-11-11 2019-01-01 Emerson Network Power S.R.L. Conditioning system of the free cooling type for environments, method of operation of a said cond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CN104501342A (zh) * 2014-12-17 2015-04-08 邯郸学院 一种节能加湿器
CN105180328B (zh) * 2015-10-12 2018-08-10 李铁超 一种导流型加湿器
CN105202676B (zh) * 2015-10-12 2018-08-10 李铁超 一种雨滴型加湿器
ITUB20160149A1 (it) * 2016-01-18 2017-07-18 Emerson Network Power Srl Struttura di macchina di condizionamento di tipo a freecooling, particolarmente per il condizionamento di centri di calcolo
KR20180038155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405176B (zh) * 2018-11-02 2021-05-1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KR102330606B1 (ko) * 2021-01-22 2021-11-24 주식회사 파세코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07A (ja) 2004-01-15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5371A (en) * 1963-06-04 1966-08-09 Carrier Corp 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US3716043A (en) * 1971-04-19 1973-02-13 Eaton Corp Furnace humidifier
US4274581A (en) * 1973-12-06 1981-06-23 Raytheon Company Package heat exchanger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JPS5843339A (ja) * 1981-09-09 1983-03-14 Nippon Soken Inc 加湿器
US4687604A (en) * 1985-09-17 1987-08-18 Goettl Adam D Floor pan for evaporative coolers
JPH10288357A (ja) * 1997-04-14 1998-10-27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換気装置
JPH11270883A (ja) * 1998-03-20 1999-10-05 Mikuni Adec Corp 自然蒸発式加湿器
JP3039520B2 (ja) * 1998-06-12 2000-05-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及び加湿機能を備えた換気装置
WO2007058418A2 (en) * 2005-11-21 2007-05-2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70164461A1 (en) * 2006-01-13 2007-07-19 Nein-Jung Wang Breathable liquid-volatiliz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07A (ja) 2004-01-15 200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080B1 (ko) * 2020-01-20 2020-07-03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1078A1 (en) 2012-03-22
WO2010137869A2 (ko) 2010-12-02
EP2436998A2 (en) 2012-04-04
KR20100128815A (ko) 2010-12-08
WO2010137869A3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716B1 (ko) 환기장치
KR101596831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9215156A (ja) ミニ分割液体デシカント空調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JP2016512321A (ja) 液体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後付け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256284A (ja) 空気調和装置
JP6166667B2 (ja)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209335B1 (ko) 냉온풍기
JPH08121823A (ja) 空気調和装置の排水構造
KR20110004565A (ko) 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한 가습유닛
KR20010098148A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JP4251004B2 (ja) 調湿装置
CN210197589U (zh) 一种新风除湿机风道系统
KR100260036B1 (ko) 일체형 항온항습장치
KR100755831B1 (ko) 환기장치
KR102009283B1 (ko) 간접증발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감 공기조화기
CN208983495U (zh) 一种用于净化手术室的分体板式热回收型除湿机
KR20100128811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1037871B1 (ko) 냉각/제습열 회수기술을 이용한 공조기
WO2021039149A1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6145092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7194882B2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5049047A (ja) 調湿装置
CN209459143U (zh) 一种能够增加翅片在空气中热交换的湿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