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076B1 -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076B1
KR102330076B1 KR1020140157973A KR20140157973A KR102330076B1 KR 102330076 B1 KR102330076 B1 KR 102330076B1 KR 1020140157973 A KR1020140157973 A KR 1020140157973A KR 20140157973 A KR20140157973 A KR 20140157973A KR 102330076 B1 KR102330076 B1 KR 102330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extraction
temperature stres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137A (ko
Inventor
박소현
서유미
김성우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0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온 또는 저온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세포 사멸을 최소화하여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Temperature Stress Comprising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온 또는 저온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세포 사멸을 최소화하여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피부 안쪽의 다양한 기관을 보호하고 있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관들 중 가장 큰 기관으로서,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 성분의 피부 밖으로의 유출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는 생리적 요인, 영양학적 요인, 외부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생화학적 요인, 생활요인, 내과적 요인 등에 의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피부 속에 있는 기질단백질분해효소 등과 같은 다양한 효소들이 영향을 받아 피부 붉어짐, 피부 건조함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피부 세포 손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로 찜질방이나 사우나 등을 많이 이용하게 되면서 고온에 피부를 노출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또한 겨울철 기온 하강에 따른 갑작스런 온도 저하 및 저온 상태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 환경 요소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동절기에는 피부의 감각이 떨어져 동상이나 야외 활동을 하거나 외출하고 돌아오면 저온에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온 또는 저온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 하면서도 온도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다각적으로 노력한 결과, 홍경천 추출물의 경우 고온 뿐만 아니라 저온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세포 사멸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온 또는 저온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세포 사멸을 최소화하여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또는 저온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 화장료로서의 높은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홍경천 추출물을 전처리한 섬유아세포에 저온 스트레스를 준 후 세포수를 비교한 그래프.
도 2는 홍경천 추출물을 전처리한 섬유아세포에 고온 스트레스를 준 후 세포수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서 온도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홍경천은 참돌꽃(학명: 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이라 하는데, 해발 2000 내지 5000 m 정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홍경천은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 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산 경천 또는 고산 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홍경천의 주요한 성분은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 타이로솔(tyrosol), 및 배당체를 비롯하여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플라본류 화합물, 아미노산, 무기원소, 미량의 정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홍경천의 근경, 근부, 및 전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홍경천 추출물은 홍경천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또는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및 추출액 중에 함유되고 있는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냉침, 환류 냉각추출,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추출,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글리세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겐화탄화수소,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 알카노에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원료 중량의 10 내지 30 배 부피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배이다.
추출온도는 당업자가 추출 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 내지 100 ℃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 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약 1 시간 내지 수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최소한의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을 조성 성분으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로는 물론이고, 물 또는 통상의 유기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액체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성분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시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함유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우더, 비누, 팩마스크,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왁스, 파라핀, 트라칸트, 동물성유,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 벤토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카, 산화아연 또는 탈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실리카, 탈크, 알루미늄 히드록시기, 락토스, 칼슘 실리케이트,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이세티오네이트,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근부 200 g을 마쇄기로 갈아 분말화 한 후, 물 1.5 ℓ를 가하여 100 ℃에서 3 시간 추출한 다음, 회전 감압 농축기(EYELA Digital water bath SB-1000, Japan)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하였다.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100 ㎖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 ℃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45 um 막여과를 실시하여 홍경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저온 스트레스에 따른 섬유 아세포 증식능 측정
1-1.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의 배양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는 Gibco사(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DMEM 배지(Gibco사) 중에서 37 ℃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부착된 세포들이 80% 합류(confluence) 때까지 유지하고 80 % 합류시기에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합류 때까지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상기 계대 배양은 배양액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하고 0.25 % 트립신-EDTA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한 후, 세포 수를 측정하고, 배양액에서 다시 3 배로 계대 배양하였다.
1-2. 저온 스트레스에 따른 세포 증식능(proliferation) 측정
60mm 배양접시(dish)에 10%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5 X 105 를 접종하여,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킨 다음, 24시간 동안 혈청을 제거 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후, 음성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 홍경천 추출물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음성대조군은 저온 처리하지 않은 군이며, 양성대조군은 저온 처리군이다. 홍경천 추출물 처리군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농도별로 용해시켜 10㎕을 처리하였다(처리농도 0.05 중량%~1 중량%).
상기 처리 후, 5% CO2 및 37 ℃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한 다음, 저온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4 ℃에서 19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200 ㎕를 가하여 포마잔 결정체 (formazan crystal)를 용해 시킨 후 마이크로평판 판독기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저온 스트레스에 따른 섬유 아세포의 세포 사멸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홍경천 추출물이 처리된 조건에서 세포증식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고온 스트레스에 따른 섬유 아세포 증식능 측정
2-1. 고온 스트레스에 따른 세포 증식능(proliferation) 측정
60mm 배양접시(dish)에 10%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5 X 105 를 접종하여, 5% CO2 및 37 ℃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킨 다음, 24시간 동안 혈청을 제거 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후, 음성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 홍경천 추출물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음성대조군은 고온 처리하지 않은 군이며, 양성대조군은 고온 처리군이다. 홍경천 추출물 처리군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농도별로 용해시켜 10㎕을 처리하였다(처리농도 0.05 중량%~1 중량%).
상기 처리 후, 5% CO2 및 37 ℃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한 다음, 고온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48 ℃에서 4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200 ㎕를 가하여 포마잔 결정체 (formazan crystal)를 용해 시킨 후 마이크로평판 판독기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온 스트레스에 따른 섬유 아세포의 세포 사멸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홍경천 추출물이 처리된 조건에서 세포증식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
하기의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베타인 1.0
알란토인 0.1
EDTA-2Na 0.02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에탄올 5.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로션)
하기의 표 2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코올 1.0
쉐어버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사이클로메치콘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보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2.0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 에센스
하기의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2.0
글리세린 6.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EDTA-2Na 0.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0.6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8
카르복 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세라마이드 0.2
옥틸도데칸올 3.0
스쿠알란 3.0
폴리소르베이트 60 0.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팩
하기의 표 5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베타인 2.0
알란토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Claims (8)

  1.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상, 농축된 고상 및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환류 냉각추출,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임계추출 방법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우더, 비누, 팩마스크,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피부 저온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57973A 2014-11-13 2014-11-13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0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73A KR102330076B1 (ko) 2014-11-13 2014-11-13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73A KR102330076B1 (ko) 2014-11-13 2014-11-13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137A KR20160057137A (ko) 2016-05-23
KR102330076B1 true KR102330076B1 (ko) 2021-11-22

Family

ID=5610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973A KR102330076B1 (ko) 2014-11-13 2014-11-13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6134B (zh) * 2017-03-23 2019-07-23 合肥通用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介质超临界低温热工性能测试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60024B2 (en) * 2004-06-30 2009-03-26 E-L Management Corp.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Rhodiola rose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gerontology, Vol.10, pp.27-42 (2008.06.07.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137A (ko)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08015A (ja) 伸展刺激介在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180040859A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307A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07081190A1 (en) Novel use of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KR20130134480A (ko) 효소 처리 토레야 속 추출물
KR102330076B1 (ko)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5228B1 (ko)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327A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1289A (ko) 아이소리퀴리티게닌 함량이 증가된 감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59615A (ko)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201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7414B1 (ko) 천연 혼합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