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05B1 -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05B1
KR102329905B1 KR1020150071951A KR20150071951A KR102329905B1 KR 102329905 B1 KR102329905 B1 KR 102329905B1 KR 1020150071951 A KR1020150071951 A KR 1020150071951A KR 20150071951 A KR20150071951 A KR 20150071951A KR 102329905 B1 KR102329905 B1 KR 10232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eformation preventing
integrated connector
movable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188A (ko
Inventor
박상윤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는 접촉부, 가동부, 연결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택트, 상기 컨택트의 상기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변형 방지부, 및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변형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orthogonal)하는 제2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이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Contact integrated connector}
본 발명은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택트는 복수 개의 전기, 전자, IT 부품 등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거나 신호 전달의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신기기의 안테나 연결 단자, 배터리 충전 장치의 충전 단자, 오디오 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접점 단자 등에 주로 사용된다.
컨택트의 종류는 핀 타입과,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한 판 스프링 타입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판 스프링 타입의 컨택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판 스프링 타입의 컨택트가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5064호에는 충격완화를 위한 스프링형 배터리 컨택트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컨택트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 방지부를 구비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컨택트 가동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컨택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컨택트의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장부와 고정부 구조를 포함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컨택트와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공정 단계를 줄이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이드 컨택에 포함된 컨택트의 탄성 영역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하여, 외부 접촉에 따른 컨택트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접촉부, 가동부, 연결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택트, 상기 컨택트의 상기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변형 방지부, 및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변형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orthogonal)하는 제2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이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삼각형(triangular)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변형 방지부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제1 변형 방지부는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와 상기 제2 변형 방지부의 측부에 배치된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 사이에, 상기 접촉부의 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스타퍼(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컨택트의 탄성 반발력을 증가시켜 외부 부품과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를 보호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컨택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형태를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가 기판 상에 실장되는 경우에 안정적인 실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에서 컨택트와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공정 단계를 줄이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택트가 가동 시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컨택트가 가동되기 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컨택트가 가동된 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택트가 가동 시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는, 컨택트(100), 제1 변형 방지부(201), 제2 변형 방지부(202), 실장부(203), 제1 측벽(204), 제2 측벽(205), 제1 고정부(211), 제2 고정부(212), 제1 스타퍼(221), 제2 스타퍼(222)를 포함한다.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는 컨택트(100), 제1 변형 방지부(201), 제2 변형 방지부(202), 실장부(203), 제1 측벽(204), 제2 측벽(205), 제1 고정부(211), 제2 고정부(212), 제1 스타퍼(221), 제2 스타퍼(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굽힙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스 공정에 의해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가 타발된 후, 디자인 규격에 맞추어 각각의 부분을 굽힙 가공하여 도 1에서의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 형상을 완성할 수 있다.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는 제1 변형 방지부(201)와 제2 변형 방지부(202)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변형 방지부(201)와 제2 변형 방지부(202)의 측부에 제1 측벽(204)과 제2 측벽(205)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변형 방지부(20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측벽(204)과 제2 측벽(205)을 각각 제2 방향(D2)으로 굽힙 가공하여 측벽 형태를 완성한다. 그리고, 제2 측벽(205)에 연결된 제2 변형 방지부(202)를 굽힙 가공하여, 제2 변형 방지부(202)가 제1 변형 방지부(201)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제2 변형 방지부(202)와 제1 측벽(204)이 닿도록 하여, 컨택트(100)를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200) 형태를 완성한다. 여기에서, 하우징(200)은 제1 변형 방지부(201), 제2 변형 방지부(202), 제1 측벽(204) 및 제2 측벽(205)을 포함하여, 내부의 컨택트(100)를 보호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컨택트(100)는 베이스부(101), 연결부(102), 가동부(103), 접촉부(104)를 포함한다.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연장된다. 베이스부(101)는 제2 측벽(205)에 연결되어, 굽힙 가공에 의해 제2 변형 방지부(20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10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에 연결되고, 제2 방향(D2)으로 굽은 형상이다. 즉,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와 가동부(103) 사이에 연결되는데, 가동부(103)를 포함하는 컨택트(100)가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부(102)가 제1 변형 방지부(201)를 향하여 굽은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와 가동부(103)를 연결하면서, 컨택트(100) 가동 후에 원 상태 회복 시에 탄성을 갖고 반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102)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접촉부(104)를 약 0.45mm 가동 시에, 접압력은 약 130gf를 갖게되어 접촉 신뢰성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102)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최대 응력은 약 1220N/mm3이다. 만약에, 연결부(102)가 U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예상되는 최대 응력은 1720N/mm--3이며, 이 경우에 연결부(102)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서 컨택트(100)를 지속적으로 가동시키는 경우 연결부(102)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즉, 연결부(102)가 U자 형상이 아니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접촉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컨택트(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연결부(102)가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컨택트(100) 가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 반발력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부(102)가 U자 형상이 아니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컨택트(100)의 전체적인 사이즈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102)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지만, 직교 방향에 대해 약 0~10° 기울어진 방향으로 굽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가동부(103)는 연결부(102)에 연결되고,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이다. 가동부(103)는 제1 변형 방지부(2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동부(103)는 컨택트(100) 가동 후에 회복 시에,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컨택트(100)의 접촉부(104)에 가압 시에, 가동부(103)는 제1 변형 방지부(201)에 접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변형 방지부(201)에 의해, 가동부(103)를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가동부(103) 형상이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104)는 가동부(103)에 연결되고, 컨택트(100) 가동을 위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접촉부(104)는 삼각형(triangular)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접촉부(104)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변형 방지부(201)와 제2 변형 방지부(20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04)에 대해 외부 부품이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104)에 가압되어, 컨택트(100)가 전체적으로 하우징(20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컨택트(100)는 가동부(103)와 연결부(102)에 의해 탄성 반발력이 발생하며, 외부 부품과 컨택트(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택트(100)의 접촉부(104)에 가압 시에, 접촉부(104)는 제2 변형 방지부(202)에 접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접촉부(104)에 가압 시에, 접촉부(104)의 상부가 제2 변형 방지부(202)에 접근할 수 있다. 제2 변형 방지부(202)에 의해, 접촉부(104)를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접촉부(104)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의 예시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a는 2.05mm, b는 2.75mm, c는 1.36m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부(211)는 제1 측벽(204)의 일부를 타발 후 굽힙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1)는 기판(10)의 고정홈(h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1)는 기판(10) 상에 실장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고정부(211)는 제1 측벽(20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벽(204)의 일부를 타발하여 굽힙 가공함으로써 제1 고정부(211)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고정부(211)는 제1 측벽(204)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측벽(205)은 제1 측벽(204)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고정부(212)는 제2 측벽(205)의 일부를 타발 후 굽힙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12)는 기판(10)의 고정홈(h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12)는 제1 고정부(211)와 마찬가지로, 기판(10) 상에 실장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2 고정부(212)는 제2 측벽(20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장부(203)는 베이스부(10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기판(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 때, 실장부(203)는 제1 변형 방지부(101)와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장부(203)는 제1 변형 방지부(101)에 대해 단차가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에 형성된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에 더하여, 제1 변형 방지부(101)에 대해 계단 형태로 형성된 실장부(203)에 의해 기판(10) 상에 실장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의 실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의 예시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d는 2.3mm, e는 1.0mm, f는 1.1m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는 제1 변형 방지부(201)와 제2 변형 방지부(202) 사이에, 접촉부(104)의 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스타퍼(221)와 제2 스타퍼(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타퍼(221)는 제1 측벽(204)으로부터 연장되어 굽힙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타퍼(222)는 제2 측벽(205)으로부터 연장되어 굽힙 가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타퍼(221)와 제2 스타퍼(222)는 접촉부(104)가 측부에서 받는 충격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04)의 일부에 확장부(104-1)가 형성되어, 확장부(104-1)가 제1 스타퍼(221)와 제2 스타퍼(222) 구조에 걸려 접촉부(104)가 외부로 돌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컨택트가 가동되기 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컨택트가 가동된 후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컨택트(100)의 가동 형태에 관해 나타나 있다. 컨택트(100)는 가동 전 접촉부(104)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존재한다. 그리고, 외부 부품이 접촉부(104)에 접촉하면서, 접촉부(104)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접촉부(104)가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동작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n1은 -0.1mm이고, n2는 0.5mm이고, n3는 0.7mm이고, n4는 1.35mm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는 컨택트(100)의 접촉부(104)가 0.45mm 삽입되도록 가동된 형태에 관해 도시되어 있다. 접촉부(104)에서 가장 외부로 돌출된 지점이 가동 전에는 기판(10)의 상면에 대해 -0.1mm만큼의 차이가 있었으나, 가동 이후 접촉부(104)에서 가장 외부로 돌출된 지점은 기판(10)의 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04)에 가압하여 컨택트(100)가 가동된 경우에, 가동부(103)와 연결부(102)가 탄성력을 갖도록 압축되고, 연결부(102)는 가동부(103)에 비하여 반발력이 커서 컨택트(100)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 이후, 컨택트(100)가 원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에도, 연결부(102)는 가동부(103)에 비하여 큰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1)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스타퍼(221)와 제2 스타퍼(222)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방지부(201)와 실장부(203)의 배치는 기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컨택트 101: 베이스부
102: 연결부 103: 가동부
104: 접촉부 201: 제1 변형 방지부
202: 제2 변형 방지부 203: 실장부
204: 제1 측벽 205: 제2 측벽
211: 제1 고정부 212: 제2 고정부
221: 제1 스타퍼 222: 제2 스타퍼

Claims (9)

  1. 접촉부, 가동부, 연결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컨택트;
    상기 컨택트의 상기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변형 방지부;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변형 방지부;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와 연결되는 측벽; 및
    상기 베이스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orthogonal)하는 제2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이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장부는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제1 변형 방지부는 계단 형태로 배치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외부로 돌출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삼각형(triangular) 형상인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변형 방지부에 접근하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변형 방지부에 접근하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된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변형 방지부 사이에, 상기 접촉부의 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스타퍼(stopper)를 더 포함하는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KR1020150071951A 2015-05-22 2015-05-22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KR10232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51A KR102329905B1 (ko) 2015-05-22 2015-05-22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951A KR102329905B1 (ko) 2015-05-22 2015-05-22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88A KR20160137188A (ko) 2016-11-30
KR102329905B1 true KR102329905B1 (ko) 2021-11-23

Family

ID=577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951A KR102329905B1 (ko) 2015-05-22 2015-05-22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919605Y (zh) * 2006-04-24 2007-07-0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连接器
JP2014072317A (ja) 2012-09-28 2014-04-21 Kitagawa Ind Co Ltd 接触部材
JP2015026502A (ja) 2013-07-25 2015-02-05 富士通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ユニット
CN204230473U (zh) 2014-11-05 2015-03-25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正压式弹片连接器
JP2015079709A (ja) * 2013-10-18 2015-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919605Y (zh) * 2006-04-24 2007-07-04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池连接器
JP2014072317A (ja) 2012-09-28 2014-04-21 Kitagawa Ind Co Ltd 接触部材
JP2015026502A (ja) 2013-07-25 2015-02-05 富士通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ユニット
JP2015079709A (ja) * 2013-10-18 2015-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4230473U (zh) 2014-11-05 2015-03-25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正压式弹片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88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975B2 (en) Movable connector
JP381691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963844B1 (ko) 전기 커넥터
JP2011216439A (ja) カードコネクタ用弾性コンタクト片及びそれを備えるカードコネクタ
US9761980B2 (en) Battery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014630B1 (en) Card connector
KR102329905B1 (ko) 컨택트 일체형 커넥터
KR20150096986A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KR200462952Y1 (ko) 접속단자
US20140055966A1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udio video jack
US7544098B2 (en) Connector having a stopper mechanism defining a movable range of a housing receiving a connection object
CN104953339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9343857B2 (en) Jack
JP61286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7164947B2 (ja) 可動コネクタ
KR20130125807A (ko) 두 개의 스프링 구역을 갖는 직결식 플러그 소자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200471051Y1 (ko) 무선단말기용 심카드 소켓
KR20180114416A (ko) 클립 커넥터
KR102241578B1 (ko)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JP5626106B2 (ja) 電子装置の筐体構造
US862833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KR20160087739A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US9660367B2 (en) Smart card seat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