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78B1 -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78B1
KR102241578B1 KR1020190036885A KR20190036885A KR102241578B1 KR 102241578 B1 KR102241578 B1 KR 102241578B1 KR 1020190036885 A KR1020190036885 A KR 1020190036885A KR 20190036885 A KR20190036885 A KR 20190036885A KR 102241578 B1 KR102241578 B1 KR 102241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art
connection terminal
rear end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701A (ko
Inventor
이주형
고영목
최재일
최영식
Original Assignee
협진커넥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진커넥터(주) filed Critical 협진커넥터(주)
Priority to KR102019003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기판에 솔더링되는 하부 받침과 하부 받침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후단 측벽과 후단 측벽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상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를 몸체부의 내외측으로 가동시키는 가동부 및 가동부에서 후단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이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며, 접점부에는 피 대상물의 접속시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몸체부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점부의 외측에는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가이드와 상부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B기판에 사이드 컨택되는 접속단자의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경사지게 가동되는 경우에 상하부 가이드에 의해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접속단자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for side contact}
본 발명은,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B기판에 사이드 컨택되는 접속단자의 접점부가 경사지게 가동되는 경우에 접속단자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는, 둘 이상의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신호 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신 기기의 안테나 연결 단자,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 단자 및 오디오 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접점 단자 등에 적용하는 부품이다.
최근에는 전자 부품들 간에 전기 접속 내지는 신호 전달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위하여 접속단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종류의 접속단자들에 대한 개발과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접속단자의 종류로는 핀 타입과, 금속판을 절곡하여 탄성부를 형성한 판 스프링 타입으로 크게 분류되며, 본 발명은 이중에서 판 스프링 타입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판 스프링 타입의 접속단자는, 일반적으로 C-클립 형태로 기판에 솔더링되는 몸체부와, 안테나 등과 같은 외부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외부단자의 접속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점부에 탄성을 부여해주는 가동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PCB기판에 피 대상물이 사이드 컨택하는 종래의 접속단자는, 피 대상물이 접속단자의 접점부에 수평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접점부가 몸체부 내측으로 정상 안착되는 정상 가동이 이루어지지만, 피 대상물이 접속단자의 접점부에 경사진 방향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접점부가 몸체부의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접점부와 가동부의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점부가 몸체부의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접점부가 몸체부의 내측에 비정상 안착되어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885호(2018년 01월 31일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5363호(2018년 01월 16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PCB기판에 사이드 컨택되는 접속단자의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경사지게 가동되는 경우에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접속단자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PCB기판에 솔더링되는 하부 받침과 상기 하부 받침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후단 측벽과 상기 후단 측벽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상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기 접점부를 몸체부의 내외측으로 가동시키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서 상기 후단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이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에는 피 대상물의 접속시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몸체부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점부의 외측에는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가이드와 상부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부는 전체적으로 'V'자 형의 형상이며, 피 대상물이 접속하는 접점부의 접속 영역에는 라운드지게 볼록한 엠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가동부와 접점부 간에 연결되는 벤딩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을 향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받침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비드(bea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는, 상기 접점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자유단 형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의 일측과 상기 하부 받침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동부의 타측과 상기 상부 상판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CB기판에 솔더링되는 하부 받침과 상기 하부 받침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후단 측벽과 상기 후단 측벽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상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기 접점부를 몸체부의 내외측으로 가동시키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서 상기 후단 측벽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이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에는 피 대상물의 접속시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몸체부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외측에는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가이드와 상부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부는 전체적으로 돔(dom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받침을 향해 돌출된 엠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는, 상기 가동부의 타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상판을 향해 돌출된 엠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CB기판에 사이드 컨택되는 접속단자의 접점부가 피 대상물에 의해 경사지게 가동되는 경우에 상하부 가이드에 의해 접점부의 상하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접속단자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 대상물이 접촉하는 접점부의 접속 영역을 라운딩 형성하여 접점부에 경사지게 접속하는 피 대상물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는, 몸체부(100), 가동부(200) 및 접점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는, 몸체부(100)와 접점부(300) 및 몸체부(100)와 접점부(300)를 연결하는 가동부(200)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하부 받침(110)과 후단 측벽(120)과 상부 상판(13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받침(110)은,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PCB기판(P)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하면이 PCB기판(P)에 솔더링된다. 이때, 하부 받침(100)은 PCB기판(P) 상에 고정되면서 접속단자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단 측벽(120)은, 하부 받침(110)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단 측벽(120)은 몸체부(100)의 전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접속되면서 접점부(3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갈 때, 몸체부(100)의 후단을 향해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상판(130)은, 후단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동부(200)는, 몸체부(100)에 연결되며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300)를 몸체부(100)의 내외측, 즉 몸체부(100)의 전후단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가동부(20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피 대상물(S)과 접점부(300) 간의 접속시 탄력적으로 유동된다.
여기서, 가동부(200)는, 후단 측벽(120)의 끝단에서 부터 다(多) 방향 벤딩되면서 후단 측벽(12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동부(200)의 다(多) 방향으로의 벤딩 구조로 인해 응력이 각각의 벤딩부위로 분산됨으로써, 접속단자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접속단자의 내구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접속단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200)의 끝단에서 후단 측벽(120)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부분이 후단 측벽(120)에 접촉되게 지지되는 연장부(2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0)는, 가동부(200)가 피 대상물(S)과 접속되어 측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에 2차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동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100)는, 가동부(20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접점부(3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하부 받침(110)에서 상부 상판(130)으로 연장되는 측면 커버(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커버(140)의 하면은, 하부 받침(110)과 마찬가지로 PCB기판(P)에 실장되며, 측면 커버(140)는 외력에 대해 가동부(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측면 커버(140)는 가동부(200)의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특히 상부 상판(130)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몸체부(100)의 강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가동부(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점부(300)는, 가동부(200)에서 후단 측벽(1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몸체부(100)의 전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P)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S)과 접속한다.
여기서, 접점부(300)는 전체적으로 'V'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 대상물(S)이 접속하는 접점부(300)의 접속 영역(310)에는 라운드지게 볼록한 엠보(311)가 더 형성되어 피 대상물(S)의 경사 접속시, 피 대상물(S)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수평방향으로 접속하지 않고,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면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점부(300)가 피 대상물(S)이 인가하는 힘에 의해 몸체부(100)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게 되면서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는 비정상 가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점부(300)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정상 가동될 수 있도록 접점부(300)의 외측에는 하부 가이드(400)와 상부 가이드(50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가이드(400)는, 가동부(200)와 접점부(300) 간에 연결되는 벤딩부위에 형성되는데, 하부 받침(110)에 비접촉된 상태로 하부 받침(110)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400)로 인해 접점부(300)가 하부 받침(110) 방향으로 밀리더라도 하부 받침(110)에 하부 가이드(400)가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접점부(300)의 밀림이 억제되어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가동부(200)의 정상 가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가동부(200)의 일측과 하부 받침(110) 사이의 간격은, 가동부(200)의 타측과 상부 상판(130)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받침(110)에서 하부 가이드(400)와 마주보는 상면 중앙에는 몸체부(100)의 전후단 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하부 가이드(400)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비드(bead)(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PCB기판(P) 상에 하부 받침(110)의 솔더링시, 납 타오름의 발생으로 인해 하부 받침(110)의 상면에 납이 차오르게 되어 하부 받침(110)과 가동부(200) 간의 간극이 좁아져 가동부(200)를 간섭하여 가동부(200)가 정상 가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하부 받침(110)과 가동부(200) 간에 충분한 간극을 형성하면, 하부 받침(110)과 가동부(200) 간의 간극이 지나치게 벌어져 피 대상물(S)의 경사 접속시 가동부(200)가 한쪽으로 치우쳐지면서 가동부(200)의 과도한 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비드(111)를 하부 받침(110)의 상면에 형성시킴으로써 납 타오름이 발생하더라도 하부 받침(110)과 가동부(200) 간의 간극이 지나치게 좁아지거나 지나치게 벌어지지 않게 하여 가동부(200)가 정상 가동될 수 있게 일정한 간극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500)는, 접점부(300)의 끝단에서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자유단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500)가 상부 상판(130)과 가동부(2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접점부(300)가 상부 상판(130) 방향으로 밀리더라도 상부 상판(130)에 상부 가이드(500)가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접점부(300)의 밀림이 억제되어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가동부(200)의 정상 가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부 가이드(500)의 형태가 하부 가이드(400)의 벤딩구조와 달리 끝단이 단절된 자유단 형태로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은, 도 4에서와 같이, 피 대상물(S)의 접점부(300) 접속시 하부 가이드(400) 벤딩부위의 비틀림(회전)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상부 가이드(500)가 상부 상판(130) 또는 가동부(200)에 간섭되어 접점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하부 가이드(400)의 벤딩부위가 정방향으로 비틀림(회전) 변위되면, 상부 가이드(500)의 외측이 상부 상판(130)에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하부 가이드(400) 벤딩부위의 정방형 비틀림(회전)이 억제된다.
이와 반대로, 하부 가이드(400)의 벤딩부위가 역방향으로 비틀림(회전) 변위되면, 상부 가이드(500)의 내측이 가동부(200)에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하부 가이드(400) 벤딩부위의 역방형 비틀림(회전)이 억제되어 접점부(300)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는, 몸체부(100), 가동부(200) 및 접점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접속단자는, 몸체부(100)와 접점부(300) 및 몸체부(100)와 접점부(300)를 연결하는 가동부(200)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하부 받침(110)과 후단 측벽(120)과 상부 상판(13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받침(110)은,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PCB기판(P)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하면이 PCB기판(P)에 솔더링된다. 이때, 하부 받침(100)은 PCB기판 상에 고정되면서 접속단자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단 측벽(120)은, 하부 받침(110)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단 측벽(120)은 몸체부(100)의 전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접속되면서 접점부(3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갈 때, 몸체부(100)의 후단을 향해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상판(130)은, 후단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동부(200)는, 몸체부(100)에 연결되며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300)를 몸체부(100)의 내외측, 즉 몸체부(100)의 전후단 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가동부(20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피 대상물(S)과 접점부(300) 간의 접속시 탄력적으로 유동된다.
여기서, 가동부(200)는, 후단 측벽(120)의 끝단에서 부터 다(多) 방향 벤딩되면서 후단 측벽(12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동부(200)의 다(多) 방향으로의 벤딩 구조로 인해 응력이 각각의 벤딩부위로 분산됨으로써, 접속단자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접속단자의 내구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접속단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200)의 끝단에서 후단 측벽(120)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부분이 후단 측벽(120)에 접촉되게 지지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가동부(200)가 피 대상물(S)과 접속되어 측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에 2차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동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몸체부(100)는, 가동부(20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접점부(3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하부 받침(110)에서 상부 상판(130)으로 연장되는 측면 커버(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커버(140)의 하면은, 하부 받침(110)과 마찬가지로 PCB기판(P)에 실장되며, 측면 커버(140)는 외력에 대해 가동부(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측면 커버(140)는 가동부(200)의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특히 상부 상판(130)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몸체부(100)의 강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가동부(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점부(300)는, 가동부(200)에서 연장되며, 몸체부(100)의 전단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P)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S)과 접속한다.
여기서, 접점부(300)는 돔(dome)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 대상물(S)의 경사 접속시, 피 대상물(S)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수평방향으로 접속하지 않고, 접점부(300)에 피 대상물(S)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면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점부(300)가 피 대상물(S)이 인가하는 힘에 의해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면서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는 비정상 가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점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정상 가동될 수 있도록 가동부(200)의 외측에는 하부 가이드(400)와 상부 가이드(50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가이드(400)는, 가동부(200)의 일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410)과, 가이드판(410) 전체가 하부 받침(110)에 면접되지 않게 하부 받침(11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이드판(41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부 받침(110)을 향해 돌출된 엠보(420)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400)로 인해 접점부(300)가 하부 받침(110) 방향으로 밀리더라도 하부 받침(110)에 엠보(420)가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접점부(300)의 밀림이 억제되어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몸체부(30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가동부(200)의 정상 가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500)는, 가동부(200)의 타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510)과, 가이드판(510) 전체가 상부 상판(130)에 면접되지 않게 상부 상판(13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이드판(51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부 상판(130)을 향해 돌출된 엠보(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500)로 인해 접점부(300)가 상부 상판(130) 방향으로 밀리더라도 상부 상판(130)에 엠보(520)가 접촉되면서 가로막혀 접점부(300)의 밀림이 억제되어 접점부(300)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가동부(200)의 정상 가동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하부 받침
111: 비드 120: 후단 측벽
130: 상부 상판 200: 가동부
300: 접점부 310: 접속 영역
311, 420, 520: 엠보 400: 하부 가이드
410, 510: 가이드판 500: 상부 가이드

Claims (10)

  1. PCB기판에 솔더링되는 하부 받침(110)과 상기 하부 받침(110)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후단 측벽(120)과 상기 후단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상판(130)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되며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기 접점부(300)를 몸체부(100)의 내외측으로 가동시키는 가동부(200); 및
    상기 가동부(200)에서 상기 후단 측벽(1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이 접속되는 접점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300)에는 피 대상물의 접속시 접점부(300)가 피 대상물에 의해 몸체부(100)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점부(300)의 외측에는 접점부(300)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가이드(400)와 상부 가이드(50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400)는 상기 가동부(200)와 접점부(300) 간에 연결되는 벤딩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110)을 향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300)는 전체적으로 'V'자 형의 형상이며, 피 대상물이 접속하는 접점부(300)의 접속 영역(310)에는 라운드지게 볼록한 엠보(3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110)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400)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400)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비드(bead)(1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500)는,
    상기 접점부(300)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자유단 형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200)의 일측과 상기 하부 받침(1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동부(200)의 타측과 상기 상부 상판(130)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7. PCB기판에 솔더링되는 하부 받침(110)과 상기 하부 받침(110)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된 후단 측벽(120)과 상기 후단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전단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 상판(130)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되며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벤딩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기 접점부(300)를 몸체부(100)의 내외측으로 가동시키는 가동부(200); 및
    상기 가동부(200)에서 상기 후단 측벽(1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PCB기판의 측면에서 피 대상물이 접속되는 접점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300)에는 피 대상물의 접속시 접점부(300)가 피 대상물에 의해 몸체부(100)의 상하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200)의 외측에는 접점부(300)의 상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가이드(400)와 상부 가이드(50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400)는 상기 가동부(200)의 일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410)과, 상기 가이드판(41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받침(110)을 향해 돌출된 엠보(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300)는 전체적으로 돔(dom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500)는,
    상기 가동부(200)의 타측에서 연장된 가이드판(510)과, 상기 가이드판(51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상판(130)을 향해 돌출된 엠보(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1020190036885A 2019-03-29 2019-03-29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10224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85A KR102241578B1 (ko) 2019-03-29 2019-03-29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885A KR102241578B1 (ko) 2019-03-29 2019-03-29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01A KR20200114701A (ko) 2020-10-07
KR102241578B1 true KR102241578B1 (ko) 2021-04-19

Family

ID=7288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885A KR102241578B1 (ko) 2019-03-29 2019-03-29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215B1 (ko) * 2011-08-09 2011-11-30 강태석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KR101500719B1 (ko) * 2014-08-26 2015-03-10 오-토스프라이스 주식회사 측면 실장형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CN105762537B (zh) * 2016-04-08 2019-06-0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弹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928B1 (ko) 2016-07-06 2023-07-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점 커넥터
KR102575971B1 (ko) 2016-07-22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215B1 (ko) * 2011-08-09 2011-11-30 강태석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KR101500719B1 (ko) * 2014-08-26 2015-03-10 오-토스프라이스 주식회사 측면 실장형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CN105762537B (zh) * 2016-04-08 2019-06-0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弹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0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3059A (en) Structure of a terminal
US7131875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6227869B1 (en) Terminal for an LGA socket
KR101088215B1 (ko)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JP5594919B1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US20080233810A1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US7033226B1 (en) Audio receptacle connector
JP6463410B2 (ja) 可動コネクタ
US740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CN107800830B (zh) 弹片、电路板组件、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装配方法
US7484985B2 (en) Socket connector terminals
KR101222242B1 (ko) 컨텍터
KR101045484B1 (ko) 컨텍터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102241578B1 (ko) 측면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US20090298348A1 (en) Contact terminal with contact engaging portion supported by reinforced spring arm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1621705B1 (ko)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20150096986A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20150076996A (ko) 다방면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US6364717B1 (en) Audio jack with a controlled normal force for retaining a mating plug
KR102678563B1 (ko) 배터리 컨텍터
TWM593129U (zh) 具有止高基座及側突懸臂的表面安裝減偏彈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