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617B1 -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617B1
KR102329617B1 KR1020200024988A KR20200024988A KR102329617B1 KR 102329617 B1 KR102329617 B1 KR 102329617B1 KR 1020200024988 A KR1020200024988 A KR 1020200024988A KR 20200024988 A KR20200024988 A KR 20200024988A KR 102329617 B1 KR102329617 B1 KR 10232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expanded
tube
bronchus
intub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863A (ko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6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having a collapsible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66Shape memor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기관지로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기관지삽관튜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공급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커넥터부를 통해 산소를 유입받는 튜브 형태의 바디부; 바디부의 타측단에 위치하고, 기관지에 밀착되는 튜브 형태의 확장부; 및 확장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확장부가 기관지에 밀착되도록 형태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는 확장체;를 포함하므로 기관지에 가해지는 압력이 경감되며, 데드공간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Expandable Endotracheal Tube}
본 발명은 환자의 기관지로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기관지삽관튜브에 관한 것이다.
기관지삽관튜브는 환자에게 기도폐쇄나 호흡부전이 있는 경우, 수술 또는 시술 전 호흡부전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또는 환자에게 기도를 확보하여 주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기관지삽관튜브(90)는 유연성이 있는 관형 튜브로 기관지 내로 삽입되며,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풍선(92)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림으로써 기도와 튜브(91)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이러한 기관지삽관튜브(90)의 삽입시술방식은 일견 간단하고, 안전해 보이지만, 풍선(92)을 이용하여 튜브(91)와 기도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는 경우 기도와 튜브(91) 사이에 데드공간(dead space)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데드공간 내에 분비물이나 이물질 등이 축적되기 쉬우며, 데드공간에 축적된 분비물이나 이물질은 또 다른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삽관되는 기관지삽관튜브(90)의 기도 측 부분의 직경이 항상 기도의 크기 (즉, 기도 내경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가래와 같은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흡인 카테타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도 하지만, 풍선(92)과 기도 사이에 형성된 데드공간이 있으므로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분비물 또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하여 흡인 카테타를 수차례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도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풍선(92)이 팽창하여 튜브와 기관지 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될 때 팽창된 풍선의 압력으로 인하여 기관지가 손상될 가능성 또한 있었다. 즉, 풍선(92)이 팽창될 때 외형이 유선형 내지 타원형으로 팽창되다보니 기관지에 밀착될 때 국부적으로 압력이 집중됨에 따라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튜브의 기도측 끝부분의 직경이 작으므로 튜브가 폐색되는 현상도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데드공간이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풍선의 압력으로 인한 기관지의 손상발생 가능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08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관지 내에 삽관되어도 데드공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관지삽관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는, 산소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산소공급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단이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산소를 유입받는 튜브 형태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단에 위치하고, 기관지 내에서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는 튜브 형태의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도록 형태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는 확장체;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체는, 튜브 형태의 외형을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확장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를 축소시켜줄 수 있는 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폴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가 축소되는 형태는,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의 지름이 축소되는 형태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춘 튜브의 형태이고, 내경이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크되, 확장된 상기 확장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폴딩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폴딩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확장부가 상기 폴딩부 밖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확장체의 형태복원력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체는, 외측 둘레가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내접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내측에 끼워진 형태로 삽입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체는, 코일, 스텐트 또는 형태복원력이 있는 금속소재로 직조된 망(net)으로 튜브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체는, 상기 확장부에 매립된 형태로 내재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체는, 코일, 스텐트 또는 형태복원력이 있는 금속소재로 직조된 망(net)으로 튜브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는, 확장부가 확장되어 기관지에 밀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기관지에 가해지는 압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기관지와 튜브 사이에 사강(dead space)이 발생될 가능성 또한 감축된다. 아울러,삽관시술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확장부가 확장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확장부 및 확장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확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체와 확장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체와 확장부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부가 축소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부가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10)는 커넥터부(100), 바디부(200), 확장부(300) 및 확장체(500)를 포함하며, 여기에 폴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00)는 외부의 산소공급기기 측으로부터 산소를 주입받기 위하여 산소공급기와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00)는 기관지삽관튜브(10)의 바디부(200)의 일측단에 결합되며, 튜브의 형태를 갖춘 바디부(200)와 연통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산소공급기로부터 이동되어오는 산소가 커넥터부(100)으로 진입된 후 바디부(200)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이동되며 확장부(300)를 지나 기관지로 공급된다.
바디부(200)는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커넥터부(10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단이 커넥터부(100)와 연결되고, 커넥터부(100)로 주입되는 산소를 커넥터부(100)를 통해 유입받는다.
이러한 바디부(200)는 튜브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관지 내로 삽관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200)의 타측단에는 확장부(300) 및 확장체(500)가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여 확장부(300)에 대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확장부 및 확장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면, 확장부(300)는 바디부(2000의 타측단에 위치하고 있다.
확장부(300)는 기관지 내에서 기관지 내벽에 밀착되도록 확장체(500)의 형태복원력에 의해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직경이 확장되면서 기관지 내벽에 밀착된다.
확장체(500)는 튜브 형태의 외형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확장체(500)는 축소된 상태에서 형태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확장이 이루어진다.
확장체(5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태복원력이 있는 것으로서, 스텐트, 코일 또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직조된 망으로서 튜브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폴딩부(4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바디부(200)의 외측에서 바디부(200)을 둘러싸고 있으며,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장부(300)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확장부(300) 또는 확장체(500)를 축소시켜준다.
폴딩부(400)에 의해 확장부(300) 또는 확장체(500)가 축소되는 형태는, 확장부(300) 또는 확장체(500)의 지름이 축소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딩부(400)는 바디부(2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춘 튜브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딩부(400)의 내경이 바디부(200)의 외경보다 크되, 확장된 확장부(30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딩부(400)의 일측단이 바디부(200)의 일측단으로 이동되면,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4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확장부(300)가 폴딩부(400)의 밖으로 노출되면서 확장체(500)의 형태복원력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기관지에 밀착된다.
그리고, 폴딩부(400)의 타측단이 확장부(300)로 이동되면, 직경이 확장된 상태인 확장부(300)가 축소되면서 도 2 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딩부(4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확장부(300)가 기관지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된다.
확장부(300)는 바디부(200)의 타측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므로, 폴딩부(400)의 타측단이 확장부(300)로 이동되면 확장부(300) 및 확장체(500)가 축소되면서 폴딩부(400)으로 진입되어 수용된다.
이와 같이, 폴딩부(400)를 일측단으로 이동시켜주면 확장부(300)가 확장되고, 반대로 폴딩부(400)를 확장부(300) 측으로 이동시켜주면 확장부(300)가 축소되므로 기관지삽관시술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음과 같이 확장부(300) 부분이 변형 내지 응용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며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의 확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체와 확장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장부(300)에는 앞서 설명한 형태와 달리 내측에 확장체(500)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확장체정착홈(30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확장체정착홈(305)의 일측과 타측에는 단차진 부분(301, 303)이 있다. 즉, 일측에 단차진 부분(303)과 타측에 단차진 부분(301) 즉, 홀딩턱(301)이 마련되어 있다.
확장체(500)가 확장체정착홈(305)으로 삽입되어 정착되면, 확장체정착홈(305)에서 양 단의 단차진 부분(301, 303) 즉, 일측에 단차진 부분(303)과 타측에 단차진 부분인 홀딩턱(301)이 있으므로 확장체정착홈(305)에 삽입된 상태로 정착된다.
따라서 확장체(500)는 외측 둘레가 확장부(300)의 내주면에 내접하게 되면서 확장부(300)에서의 위치가 고정되며, 양 단의 단차진 부분(301, 303)이 확장체(500)을 홀딩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확장체정착홈(305)에서 확장체(500)가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확장체(500)는 외측 둘레가 확장부(300)의 내주면에 내접하도록 확장부(300)의 내측에 끼워진 형태로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체(5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태복원력이 있는 것으로서, 스텐트, 코일 또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직조된 망으로서 튜브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폴딩부(400)에 의해 축소된 상태에서 폴딩부(40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체(500)가 확장되면서 확장부(300)도 확장되어 기관지에 밀착된다.
도 8과 같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확장된 상태에서 폴딩부(4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축소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40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기관지삽관튜브(10)를 기관지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확장부(300)와 확장체(500)가 도 9와 도 10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또 다른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며 도 9와 도 10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에서 확장체와 확장부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장체(500)는 확장부(300)에 매립된 형태로 내재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에서는 앞서 참조한 도면과는 다소 다르게 확장체(500)로서 코일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것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도 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확장부(300)에는 확장체(500)가 내재되는 형태로 매립되어 있다. 여기서 확장체(5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태복원력이 있는 것으로서, 스텐트, 코일 또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직조된 망으로서 튜브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도 10에서는 확장체(500)로서 코일이 확장부(300)에 매립되어 내재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폴딩부(400)에 의해 축소된 상태에서 폴딩부(40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체(500)가 확장되면서 확장부(300)도 함께 확장되어 기관지에 밀착된다.
도 10과 같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확장된 상태에서 폴딩부(4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체(500)와 확장부(300)가 축소되면서 폴딩부(40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기관지삽관튜브를 기관지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 풍선을 구비한 기관지삽관튜브는 기관지의 국소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기관지의 국소 부위에 부담이 집중되고, 누관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관지삽관튜브는 확장부가 확장되어 기관지에 밀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기관지에 가해지는 압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기관지와 튜브 사이에 데드공간 즉, 사강(dead space)이 발생될 가능성 또한 감축된다.
그리고 한 번의 동작으로 폴딩부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면 확장부가 확장되거나 축소되므로 삽관시술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확장부의 내경도 함께 확장되고 종래의 기관지삽관튜브에 비해 내경이 좁은 튜브의 구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되므로 공기 소통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기관지삽관튜브
100 : 커넥터부 200 : 바디부
300 : 확장부 400 : 폴딩부
500 : 확장체

Claims (10)

  1. 산소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산소공급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부;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일측단이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산소를 유입받는 튜브 형태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단에 위치하고, 기관지 내에서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는 튜브 형태의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확장부가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도록 형태복원력에 의해 확장되는 확장체;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확장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를 축소시켜줄 수 있는 폴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폴딩부의 일측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폴딩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확장부가 상기 폴딩부 밖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확장체의 형태복원력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기관지에 밀착되고,
    상기 폴딩부의 타측단이 상기 확장부로 이동되면, 직경이 확장된 상태인 상기 확장부가 축소되면서 상기 폴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기관지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체는,
    튜브 형태의 외형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에 의해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가 축소되는 형태는,
    상기 확장부 또는 상기 확장체의 지름이 축소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춘 튜브의 형태이고,
    내경이 상기 바디부의 외경보다 크되, 확장된 상기 확장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체는,
    외측 둘레가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내접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내측에 끼워진 형태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체는,
    코일, 스텐트 또는 형태복원력이 있는 금속소재로 직조된 망(net)으로 튜브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체는,
    상기 확장부에 매립된 형태로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체는,
    코일, 스텐트 또는 형태복원력이 있는 금속소재로 직조된 망(net)으로 튜브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삽관튜브.
KR1020200024988A 2020-02-28 2020-02-28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KR10232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88A KR102329617B1 (ko) 2020-02-28 2020-02-28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88A KR102329617B1 (ko) 2020-02-28 2020-02-28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63A KR20210109863A (ko) 2021-09-07
KR102329617B1 true KR102329617B1 (ko) 2021-11-19

Family

ID=7779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988A KR102329617B1 (ko) 2020-02-28 2020-02-28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630A (ja) 2005-01-28 2006-08-10 Makoto Sato 閉塞型睡眠時無呼吸症候群解消器
JP2010131051A (ja) 2008-12-02 2010-06-17 Daiken Iki Kk 気道確保装置
JP2018528808A (ja) 2015-08-26 2018-10-04 メドトロニック・ゾーメ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洞および鼻のス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009Y2 (ja) * 1991-12-27 1998-04-08 泉工医科工業株式会社 気管の内径確保用器具
KR102040815B1 (ko) 2018-02-08 2019-11-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기관 삽관용 튜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630A (ja) 2005-01-28 2006-08-10 Makoto Sato 閉塞型睡眠時無呼吸症候群解消器
JP2010131051A (ja) 2008-12-02 2010-06-17 Daiken Iki Kk 気道確保装置
JP2018528808A (ja) 2015-08-26 2018-10-04 メドトロニック・ゾーメ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洞および鼻のス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63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2245B1 (en) Delivery system
CA2360551C (en) Bifurcation stent delivery system
JP5504173B2 (ja) 血管分岐部の処置のための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US6991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stent into a body lumen
JP4694456B2 (ja) 制御されたステント搬送を行うためのカテーテル
US20080208307A1 (en) Treatment of Vascular Bifurcations
US8951279B2 (en) Balloon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US20020120321A1 (en) Stent retention mechanism
EP0960631B1 (en) Dilation catheter structure
JP2004000791A (ja) 二股ステントとその作製方法
US20080115789A1 (en) Variable size endotracheal tube
JP2009508622A (ja) 分岐バルーン及びステント
WO2008004069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bifurcated stent
JP5177707B2 (ja) 気道用風船カテーテル
US20070173924A1 (en) Axially-elongating stent and method of deployment
KR20210013221A (ko)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KR102329617B1 (ko) 확장 가능한 기관지삽관튜브
CN104368080A (zh) 一种医用操作鞘及其使用方法
EP3395270A1 (e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US20180360630A1 (en) Cannula cut stent with closed end cell geometry
US20170202568A1 (en) Medical balloon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ES2529575T3 (es) Conjunto de bombeo de balón intraaórtico
CN211798183U (zh) 直径可调式扩张球囊导管
US9572961B2 (en) Medical balloon for a catheter
CN111821078A (zh) 一种球囊导管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