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606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606B1
KR102329606B1 KR1020197027462A KR20197027462A KR102329606B1 KR 102329606 B1 KR102329606 B1 KR 102329606B1 KR 1020197027462 A KR1020197027462 A KR 1020197027462A KR 20197027462 A KR20197027462 A KR 20197027462A KR 102329606 B1 KR102329606 B1 KR 102329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radiopaque component
single radiopaque
stent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174A (ko
Inventor
추보 후앙
지롱 리
빈 시아
웨이 리우
하오 티안
치이 루오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메디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메디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메디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circ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8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elliptical or 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Figure-8-shaped, e.g. hourglass-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스텐트 본체(2)와 스텐트 본체(2)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를 포함하는 스텐트가 개시된다. 스텐트 본체(2)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한 부분은 스텐트 본체(2)의 리셉터클(3)에서 수용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다른 부분은 스텐트 본체(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돌출부(11)의 면적은 내장부(10)의 면적보다 크고, 돌출부(11)의 존재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가 방사선 이미지에서 보다 넓고 두껍게 보이도록 허용하고, 수술 중 스텐트의 방사선불투과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텐트
본 발명은 의학 장치 분야, 특히 스텐트(stent)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스텐트, 약물 코팅 및 확장 가능한 벌룬 운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생체흡수성 스텐트(bioabsorbable stent)는 원발성 관상 동맥 박리(primary coronary artery dissection)에 의해 기인하는 허혈성 심장 질환(ischemic heart disease)을 치료하고 관상 동맥 직경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폴리머 스텐트는 많은 치료상의 응용에서, 그 의도된 기능이 완수되기까지 제한된 기간 동안만 체내에 머물도록 예상된다는 점에서 금속 스텐트와 다르다. 그러나, 준비된 재료에 의해 제한되어, 폴리머 스텐트는 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방사선불투과성(radiopacity)에 있어 열등하다. 따라서, 스텐트가 이용되는 절차 중에 의사가 폴리머 스텐트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스텐트가 방사선 사진촬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스텐트가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를 가질 필요가 있다.
현재, 보통 원통형 또는 구형을 상정하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는 통상 스텐트의 양 단부 상의 스트럿(strut)에 배치된다. 예컨대, 중국 디자인 특허 CN302301122S는 스트럿에 포함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마커가 있는 설계를 개시한다. 그러나,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를 수용하기 위한 스텐트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하여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는 제한된 직경 및 두께로 제조되며 수축된 형태의 스텐트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스텐트의 증가된 방사선불투과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WO2008137821A1은 스트럿의 중앙선을 따라 이격되는, 스트럿에 포함된 두 개의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를 가지는 설계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를 지니도록 적절한 길이의 스트럿을 요구하며, 이는 일부 스텐트 특성에서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의 충분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성능 모두를 보장하는 해결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의 요구가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스텐트의 불충분한 방사선불투과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텐트 본체와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원위 단부(distal end)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하고,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receptacle)에서 수용되는 내장부(embedded part) 및 스텐트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rotruding part)를 가지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의 면적은 내장부의 면적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돌출부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표면은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축에 대하여 90도 초과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의 주변 부분은 돌출부의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상부 표면은 볼록한 표면 또는 오목한 표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내장부는 리셉터클과 접촉하는 측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측면 표면은 축에 평행하고, 여기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에서 수용되기 전, 하부 표면은 측면 표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방향 지어진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300 μm이상 500 μ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리셉터클은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서 스트럿에 정의될 수 있고, 여기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스트럿의 길이 이상의 최대 외부 직경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된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스텐트 본체의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에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돌출부는 20 μm 내지 6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돌출부는 스텐트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텐트 본체와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다른 스텐트를 제공하고,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스트럿 중 하나에 감기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스트럿은 환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환형 구조에 감기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환형 구조는 다각형, 원형, "8"자 형, 타원형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텐트에서, 금속 와이어는 20 μm 내지 60 μ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스텐트 본체와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 수용되는 내장부와 스텐트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의 면적은 내장부의 면적보다 커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방사선 이미지에서 보다 넓고 두껍게 나타나는 것을 허용하고 수술 중 스텐트의 방사선불투과성을 향상시킨다.
추가적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에서 수용되기 전, 돌출부의 하부 표면은 내장부의 측면 표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방향 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에 결합된 후 하부 표면은 스텐트 본체에 대하여 단단하게 가압되어, 돌출부의 왜곡 또는 변형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금속 와이어로 제조될 수 있어, 스텐트의 팽창으로부터 발생하는 응력(stress) 하에서 이들 간의 분리 없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스텐트로의 단단한 부착을 허용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다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추가적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추가적인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다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다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추가적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14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 각각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의 방사선불투과성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1-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 10-내장부; 100-측면 표면; 11-돌출부; 110-상부 표면; 111-하부 표면; 2-스텐트 본체; 3-리셉터클; 4-환형 구조; 5-금속 와이어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스텐트는 첨부하는 도면과 결합하여 읽혀질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단지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리함과 명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매우 단순화된 형태로 제공되며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제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 본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본체(2)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된다.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서 스트럿(들)은 각각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3)을 정의한다. 리셉터클(3)은 스트럿이 연장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3)에서 스텐트 본체(2)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가된 스텐트 방사선불투과성이 달성되기 위해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구조적으로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부분적으로 수용되고(이 부분은 이하에서 "내장부"로 지칭됨), 스텐트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이하에서 "돌출부"로 지칭됨) 설계된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의 면적은 내장부의 면적보다 크고, 여기에서 면적은 스텐트 본체(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투영 면적을 나타내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방사선불투과성 면적 및 두께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는 스텐트 절차 중에 방사선불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어떠한 추가적인 방사선불투과성 마커 또는 보다 긴 스트럿을 이용하지 않고 달성했기 때문에, 스텐트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몇몇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서 수용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예시가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다. 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는 예시된 경우에서 유사한 T자형의 길이 방향 단면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예시에서, 길이 방향 단면에 관해서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내장부(10)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돌출부(11)는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돌출부(11)의 가로 방향 및 길이 방향 단면이 예시로서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원형 가로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대안적으로 육각형 가로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1)의 가능한 가로 방향 단면은 이러한 원형 및 육각형에 제한되지 않는데, 이는 돌출부(11)의 면적이 내장부(10)의 면적보다 큰 이상, 단면이 도 4b에 도시된 불규칙한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또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는 금 또는 백금(platinum)과 같은 고밀도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길이 방향 단면은 대안적으로 T자형에 제한되지 않고 뿔 형상(ram's-horn-shaped)일 수 있다.
도 1a, 도 2a, 도 3a 및 도 4a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내장부(10)는 리셉터클(3)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반면, 돌출부(11)는 리셉터클(3)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1)는 스텐트 본체(2)의 반경 방향에서 스텐트 본체(2)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11)는 선형 길이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리셉터클(3) 주위 스텐트 본체(2)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스텐트 본체(2)의 덮어진 부분을 넓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텐트의 압축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는 스텐트가 이용되는 절차 중에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결합성(fitness)을 보장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가 20 μm 내지 60 μm 범위의 두께(d1)를 가질 수 있고, 내장부(10)는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 이하인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에 수직인 방향에서, 돌출부(11)는 200 μm 내지 600 μm 범위의 길이(l1)를 연장할 수 있다.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에 수직인 방향에서, 내장부(10)는 200 μm 내지 500 μm 범위의 길이(l2)를 연장할 수 있다. 도 2a의 경우에서, 돌출부(11)의 두께(d1)는 스텐트 본체(2) 외부의 돌출부(11)의 최대 두께를 가리키도록 의도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추가적인 스텐트를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실시예는 두 개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가 스텐트의 각각의 리셉터클(3)에서 수용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이러한 설계로서, 방사선불투과성 재료의 증가된 두께가 스텐트의 동일한 위치(들)에서 달성될 수 있고, 상당히 향상된 방사선불투과성으로 이어진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리셉터클(3)의 개수는 하나이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개수는 둘이다. 두 개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내장부(10)는 각각 리셉터클(3)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내장부(10)는 연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스텐트 본체(2)의 반경 방향에서, 하나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두 개의 돌출부(11) 중 하나는 스텐트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두 개의 돌출부(11) 중 다른 하나는 스텐트 본체(2)의 외부에 위치된다. 두 개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는 단일의 방사선불투과성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돌출부(11)의 형상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됨에 따라 여기에서 생략된다.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각각의 돌출부(11)가 20 μm 내지 60 μ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내장부(10)의 총 두께는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 이하일 수 있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 각각에 대해서,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부(11)는 200 μm 내지 600 μm 범위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반면, 내장부(10)는 200 μm 내지 500 μm 범위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추가적인 스텐트를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스텐트의 각각의 리셉터클(3)에서 수용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돌출부(11)가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증가된 방사선불투과성을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 및 스텐트 본체(2) 사이의 보장된 확실한 연결과 함께 달성시키기 위해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스텐트 본체의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에지 부분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역 U자형 길이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에지 부분은 리셉터클(3) 주위 스텐트 본체(2)의 일부에 인접한다. 대안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는 폐쇄된 원형 길이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11)는 리셉터클(3) 주위 스텐트 본체(2)의 일부를 완전히 랩핑할 수 있다. 돌출부(11)의 가로 방향 단면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됨에 따라 여기에서 생략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구조가 리셉터클(3)에서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방사선불투과성 재료의 전체 길이가 보다 커지게 되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 및 스텐트 본체(2) 사이의 보다 강한 연결을 보장하면서 향상된 방사선불투과성을 가져온다.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돌출부(11)가 20 μm 내지 60 μ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내장부(10)는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부(11)는 200 μm 내지 600 μm 범위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스텐트 본체(2)의 벽 두께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장부(10)는 200 μm 내지 500 μm 범위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에서 각각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보다 두꺼운 주변 부분(즉, 중앙에서 더 얇고 주변에서 더 두꺼움)을 가진다. 각각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돌출부(11)는 상부 표면(110) 및 하부 표면(111)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표면(110)은 90도 초과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축을 교차할 수 있다. 상부 표면(110)은 볼록형 또는 오목형 중 하나일 수 있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1)의 내장부(10)는 리셉터클의 내부 벽과 접촉하는 측면 표면(100)을 가질 수 있다. 측면 표면(100)은 축에 평행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300 μm과 500 μm 사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μm과 460 μm 사이에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는 몇몇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테스트 사이클의 방사선불투과성 결과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이미지는 시네마 모드 15 fps(frames per second)에서 획득되었으며, 그 안의 흑색 점은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375 μm의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있는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는 종래의 방사선불투과성 마커 쌍(도면에서 "유사한 제품"으로 표시됨)보다 우수한 방사선불투과성을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르는 410 μm의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있는 방사선불투과성 마커는 375 μm인 것보다 훨씬 우수한 방사선불투과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구조적으로 돌출부와 스텐트 본체 사이의 접착을 강화시켜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사용 중에 돌출부의 왜곡 또는 변형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에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배치 이전에, 돌출부의 하부 표면(111)과 내장부(10)의 측면 표면(100) 사이의 각도(θ)는 90도 미만으로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보다 두꺼운 주변 부분을 가지는 전술한 형상(즉, 중앙에서 더 얇고 주변에서 더 두꺼움)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로 가압되는 경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로 결합되기 전의 형상과 비교하여, 상부 표면(110)과 그 축 사이의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하부 표면(111)과 측면 표면(100) 사이의 각도(θ)의 증가를 가져오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 표면(111)은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밀접하게 인접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의 왜곡 또는 변형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돌출부는 중앙에서 더 얇고 주변에서 더 두꺼우므로, 돌출부의 에지는 스텐트 본체의 재료로 약간 가압될 것이다. 이는 추가적으로 돌출부의 왜곡 또는 변형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 방사선불투과성 마커 쌍과 비교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사용은 또한 사용되는 백금 재료를 줄일 수 있어서 스텐트가 더 낮은 단가로 판매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5
도 12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스텐트는 스텐트 본체와 스텐트 본체의 근위 및/또는 원위 단부에 배치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들) 각각은 스트럿 중 하나에 감기는 금속 와이어(5)로 구성되고, 스트럿의 길이(dL) 이상의 최대 외부 직경(dM)을 가지는 돌출부를 가진다. 금속 와이어(5)는 금 와이어 또는 백금 와이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럿은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로서 작용하는 금속 와이어(5)가 감기는 환형 구조(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와이어는 예컨대, 사다리꼴형, 아크형, 사각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인, 환형 구조(4)의 형상과 일치하는 일반적인 형상을 가진다.
환형 구조(4)는 다각형, 원형, "8"자형, 타원형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금속 와이어는 20 μm 내지 60 μ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와이어를 감는 것은 스텐트의 팽창으로부터 발생하는 응력 하에서 분리됨이 없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스텐트에 단단히 접착되도록 허용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추가적인 스텐트를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는 각각의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스트럿의 길이(dL) 이상인 돌출부의 최대 외부 직경(dM)을 가지도록 설계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5와 상이하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스트럿에 코팅되는, 금 또는 백금과 같은 고밀도 금속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일반적으로 스트럿을 넘어서 돌출되는 두 개의 단부(즉, 돌출부) 및 돌출부와 통합되거나 연결되는 리셉터클에서 수용된 중앙 부분(즉, 내장부)를 가지는 구조이다. 내장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가로 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러한 실시예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증가된 길이를 허용하여 조작자에 의해 보다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양호한 방사선불투과성 및 결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돌출부는 20 μm 내지 60 μm 범위의 두께와 스트럿의 폭에 가까운 폭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내장부는 스텐트 본체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점진적인 방식으로 설명되며, 각각의 실시예의 설명은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유의한다. 실시예들 사이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스텐트 본체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들) 각각은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에 수용되는 내장부 및 스텐트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진다.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들)의 돌출부의 면적은 내장부의 면적보다 크고, 따라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방사선 이미지에서 보다 넓고 두껍게 보이도록 허용하고, 수술 중 스텐트의 방사선불투과성을 향상시킨다.
추가적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에서 수용되기 전, 돌출부의 하부 표면은 내장부의 측면 표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에서 방향 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리셉터클로 결합된 후, 하부 표면은 스텐트 본체에 단단히 가압될 수 있고, 돌출부의 왜곡 또는 변형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감긴 금속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스텐트의 팽창으로부터 발생하는 응력 하에서 분리됨이 없이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스텐트에 단단히 접착되도록 허용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떤 의미에서든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교시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5)

  1. 스텐트로서,
    스텐트 본체와 상기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원위 단부(distal end)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 본체는 링(ring)과 스트럿(strut)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상기 스텐트 본체의 리셉터클(receptacle)에서 수용되는 내장부(embedded part) 및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rotruding part)를 가지며,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의 면적은 상기 내장부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내장부는 상기 리셉터클과 접촉하는 측면 표면(side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표면은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축에 평행하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가 상기 리셉터클에서 수용되기 전,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측면 표면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로 방향 지어지거나,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는 주변 부분(peripheral portion)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축에 대하여 90도 초과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인,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의 주변 부분은 상기 돌출부의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것인, 스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은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것인, 스텐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는 300 μm 이상 500 μ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서 스트럿에 정의되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트럿의 길이 이상의 최대 외부 직경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된 주변 부분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20 μm 내지 60 μ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인,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텐트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스텐트.
  12. 스텐트로서,
    스텐트 본체와 상기 스텐트 본체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중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 본체는 링과 스트럿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상기 스트럿 중 하나에 감기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럿은 환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단일 방사선불투과성 컴포넌트는 상기 환형 구조에 감기는 상기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인, 스텐트.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구조는 다각형, 원형, "8"자형, 타원형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는 20 μm 내지 60 μ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스텐트.
KR1020197027462A 2017-02-21 2018-02-12 스텐트 KR102329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939189 2017-02-21
CN201710093918.9A CN108464879B (zh) 2017-02-21 2017-02-21 支架
PCT/CN2018/076427 WO2018153300A1 (zh) 2017-02-21 2018-02-12 支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74A KR20190112174A (ko) 2019-10-02
KR102329606B1 true KR102329606B1 (ko) 2021-11-22

Family

ID=6325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462A KR102329606B1 (ko) 2017-02-21 2018-02-12 스텐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13413B2 (ko)
EP (2) EP3586801A4 (ko)
JP (1) JP6912590B2 (ko)
KR (1) KR102329606B1 (ko)
CN (1) CN108464879B (ko)
BR (1) BR112019017283A2 (ko)
WO (1) WO201815330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8851A (ja) 2007-04-19 2014-07-31 Biosensors Internatl Group Ltd 分岐部ステント、および身体の管腔内に配置する方法
CN203841857U (zh) * 2014-04-14 2014-09-24 上海微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完全可降解支架
US20150018934A1 (en) 2013-07-09 2015-01-1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Polymeric stent with structural radiopaque marker
US20160361182A1 (en) 2015-06-12 2016-12-1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caffolds having a radiopaque marker and methods for attaching a marker to a scaffol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871B1 (en) * 1996-03-13 2002-01-01 Medtronic, Inc. Radiopaque stent markers
DE10064596A1 (de) * 2000-12-18 2002-06-20 Biotronik Mess & Therapieg Verfahren zum Anbringen eines Markerelements an einem Implantat sowie mit einem Markerelement versehenes Implantat
US7001422B2 (en) * 2002-09-23 2006-02-21 Cordis Neurovascular, Inc Expandable stent and delivery system
US8002817B2 (en) 2007-05-04 2011-08-23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s with high radial strength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EP2231228A4 (en) 2007-12-17 2015-08-12 New World Pharmaceuticals Llc INTRADERMAL INTEGRATED ADMINISTRATION, DIAGNOSTIC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2686189B (zh) * 2009-12-28 2015-06-03 泰尔茂株式会社 支架输送系统
CN202027751U (zh) * 2010-05-10 2011-11-09 谢建 一种能使聚合物支架在x射线下清晰可见的显影标记
AU2010210022B1 (en) * 2010-08-05 2011-09-08 Cook Incorporated Stent graft having a marker and a reinforcing and marker ring
CN102451051B (zh) * 2010-11-03 2015-04-08 上海市第六人民医院 一种自膨胀节段覆膜非均称网隙支架
CN202184823U (zh) * 2011-05-20 2012-04-11 浙江康正医疗器械有限公司 微孔冠脉可吸收支架
CN102429750B (zh) * 2011-08-15 2015-05-20 上海微创医疗器械(集团)有限公司 改进显影性能的血管支架及增强血管支架显影性能的方法
DE102011115238B4 (de) * 2011-09-28 2019-10-02 Admedes Schuessler Gmbh Körperimplantat mit verbesserter Röntgensichtbarkeit, Kombination aus einem Katheter, einem Führungsdraht und einem Körperimplantat und Verfahren zum Erhöhen der Röntgensichtbarkeit eines Körperimplantats
CN106132356B (zh) * 2014-01-29 2018-06-12 同心医疗公司 血管及体内导管治疗装置和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8851A (ja) 2007-04-19 2014-07-31 Biosensors Internatl Group Ltd 分岐部ステント、および身体の管腔内に配置する方法
US20150018934A1 (en) 2013-07-09 2015-01-1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Polymeric stent with structural radiopaque marker
CN203841857U (zh) * 2014-04-14 2014-09-24 上海微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完全可降解支架
US20160361182A1 (en) 2015-06-12 2016-12-1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caffolds having a radiopaque marker and methods for attaching a marker to a scaf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13413B2 (en) 2022-01-04
US20200060850A1 (en) 2020-02-27
EP4176848A1 (en) 2023-05-10
JP2020508135A (ja) 2020-03-19
EP3586801A4 (en) 2020-07-22
JP6912590B2 (ja) 2021-08-04
WO2018153300A1 (zh) 2018-08-30
EP3586801A1 (en) 2020-01-01
CN108464879A (zh) 2018-08-31
KR20190112174A (ko) 2019-10-02
CN108464879B (zh) 2020-04-10
BR112019017283A2 (pt)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73669B2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US20240065696A1 (en) Flanged occlusion devices and methods
US6402777B1 (en) Radiopaque stent markers
US7611531B2 (en) Stent
KR102211989B1 (ko) 스텐트 및 카테터 스텐트 시스템
ES2713633T3 (es) Dispositivos y métodos para eliminación de bloqueos severos de vasos sanguíneos
JP4166989B2 (ja) 人工関節ステム及び人工股関節ステム
WO1997033534A1 (en) Radiopaque stent markers
WO2017005107A1 (zh) 血管支架
KR102329606B1 (ko) 스텐트
US20190021711A1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US11540836B2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for improving sealing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40074762A1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US20210378845A1 (en) Stent
US11344312B2 (en) Left atrial appendage occluder with advanced connection man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113608A1 (en) Intramedullary rod for bone fixation
JP3663192B2 (ja) ステント
US20240041468A1 (en) Occluding device
US11806225B2 (en) Covered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