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296B1 -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296B1
KR102329296B1 KR1020200018663A KR20200018663A KR102329296B1 KR 102329296 B1 KR102329296 B1 KR 102329296B1 KR 1020200018663 A KR1020200018663 A KR 1020200018663A KR 20200018663 A KR20200018663 A KR 20200018663A KR 102329296 B1 KR102329296 B1 KR 10232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hole
grating
blocking
garbag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227A (ko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20001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터 타측까지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공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장공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장공으로 쓰레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긴 판 형상의 제1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체에 다수의 장공을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완제품인 그레이팅을 제작함으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제품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을 일부 폐쇄하여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차단판을 통해 장공으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크기를 차단판을 통해 자연스럽게 축소함으로 장공에 자전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내입되어 걸리는 문제점을 대폭 완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Garbage Blocking Grating}
본 발명은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다수의 장공을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완제품인 그레이팅을 제작함으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제품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을 일부 폐쇄하여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차단판을 통해 장공으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기타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된 배수로의 뚜껑으로 사용되는 그레이팅(Grating)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골격 프레임의 내부를 직사각형의 격자 구조로 채워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폭이 넓어 그 위를 통과하는 물체 중 작은 바퀴 등이 격자 사이에 끼이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로 낙엽과 이물질 등과 같은 쓰레기가 내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배수구에 설치시 그레이팅과 배수구 사이에 자연스럽게 틈새가 형성되는데, 그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배수구를 통해 하수로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에 다수의 장공을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완제품인 그레이팅을 제작함으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제품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을 일부 폐쇄하여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차단판을 통해 장공으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크기를 차단판을 통해 자연스럽게 축소함으로 장공에 자전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내입되어 걸리는 문제점을 대폭 완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은 내부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터 타측까지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장공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장공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장공으로 쓰레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긴 판 형상의 제1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차단판을 대신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공의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제2차단판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공에 형성되는 상기 제2차단판은 인접하는 다른 장공에 형성되는 제2차단판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에 의하면, 본체에 다수의 장공을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완제품인 그레이팅을 제작함으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제품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을 일부 폐쇄하여 장공의 크기를 축소하는 차단판을 통해 장공으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체에 형성되는 장공의 크기를 차단판을 통해 자연스럽게 축소함으로 장공에 자전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내입되어 걸리는 문제점을 대폭 완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시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100)은 본체(10)와, 제1차단판(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형성되는 장공(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다수의 장공(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의 격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그레이팅에 대비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므로 그레이팅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100)의 본체(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0)은 상기 장공(11)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장공(11)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장공(11)으로 쓰레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0)을 통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11)의 크기(폭)를 축소함으로 상기 장공(11)으로 주변의 낙엽, 이물질,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장공(11)으로 유모차의 바퀴나 신발의 뒷굽 등과 같은 다소 작은 사물이 빠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0)을 대신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공(11)의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축소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제2차단판(30)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공(1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차단판(30)은 인접하는 다른 장공(11)에 형성되는 제2차단판(30)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차단판(30)은 상기 제1차단판(10)과 같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11)의 크기(폭)를 축소하여 상기 장공(11)으로 쓰레기가 유입되거나 자전거나 유모차 등의 바퀴가 빠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차단판(30)이 다른 제2차단판(30)과 지그재그 구조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장공(1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차단판(30) 사이의 틈새 공간으로 지나가는 바퀴가 자연스럽게 인접하는 다른 상기 장공(1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차단판(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제2차단판(30) 사이로 바퀴가 걸릴 수 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차단판(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인해 물이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더 확보되므로 상기 제1차단판(20)에 대비하여 상기 장공(11)을 통한 더욱 원활한 배수가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차단판(20,30)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2차단판(20,30)의 경사로 인해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1,2차단판(20,30)을 타고 상기 장공(11) 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본 발명의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100)을 통한 매우 원활한 배수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차단판(20,30)의 경사가 너무 급하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11)에 보행자가 쉽게 걸릴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1,2차단판(20,30)의 경사를 적합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폐쇄판(4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배수구(1)에 설치시 상기 폐쇄판(40)이 배수구(1)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폐쇄하여 상기 본체(10)와 배수구(1)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그레이팅이 배수구(1)에 설치되면 그레이팅과 배수구(1) 사이에 자연적으로 틈새가 형성되며, 이러한 틈새는 외부의 이물질(쓰레기 등)이 배수구(1)로 유입되는 원인이 되므로 통상 틈새로 흙을 충진하여 폐쇄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틈새로 충진된 흙이 빗물 등에 의해 점차 유실되어 결국 틈새가 노출되면서 외부의 이물질이 틈새로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판(40)을 통해 상기 본체(10)와 배수구(1)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폐쇄함으로 상기 본체(10)와 배수구(1)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봉쇄하여 그레이팅의 사용안전성을 대폭 강화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100)은 본체(10)에 다수의 장공(11)을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완제품인 그레이팅을 제작함으로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절감되어 제품의 대량 생산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장공(11)을 일부 폐쇄하여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축소하는 상기 제1,2차단판(20,30)을 통해 상기 장공(11)으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상기 제1,2차단판(20,30)을 통해 자연스럽게 축소함으로 상기 장공(11)에 자전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내입되어 걸리는 문제점을 대폭 완화하여 그레이팅의 사용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배수구
10. 본체 11. 장공
20. 제1차단판 30. 제2차단판
40. 폐쇄판
100.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Claims (4)

  1. 내부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형성되는 장공(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본체(10); 및
    상기 장공(11)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장공(11)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장공(11)으로 쓰레기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긴 판 형상의 제1차단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차단판(20)을 대신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공(11)의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공(11)의 크기를 축소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제2차단판(30)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공(11)에 형성되는 상기 제2차단판(30)은 인접하는 다른 장공(11)에 형성되는 제2차단판(30)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18663A 2020-02-15 2020-02-15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KR10232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663A KR102329296B1 (ko) 2020-02-15 2020-02-15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663A KR102329296B1 (ko) 2020-02-15 2020-02-15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27A KR20210104227A (ko) 2021-08-25
KR102329296B1 true KR102329296B1 (ko) 2021-11-19

Family

ID=7749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663A KR102329296B1 (ko) 2020-02-15 2020-02-15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944B2 (ja) * 1994-07-14 2004-01-06 三甲株式会社 合成樹脂製側溝用蓋
KR100431674B1 (ko) * 2001-04-10 2004-05-17 미강건철주식회사 확장된 보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20150051607A (ko) * 2013-11-05 2015-05-13 우창억 에코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27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66057A (ja) 舗装道路用側溝
US2119923A (en) Cover and mounting for vents and the like
KR102329296B1 (ko) 쓰레기 유입 차단 그레이팅
US7556450B2 (en) Water collecting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89088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101271603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구조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JP5401665B2 (ja) 排水用構造物の水抜孔
JP3931971B2 (ja) 雨水枡蓋
KR101814101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 고 하중 지지용 그레이팅
KR20160073883A (ko) 무소음 과속방지 중하중 그레이팅
KR200477654Y1 (ko) 그레이팅
KR100597032B1 (ko) 안전방지턱 기능이 구비된 도로횡단 측구용 덮개
KR20130080353A (ko) 스틸 그레이팅
JP2017133336A (ja) 側溝用ブロック
GB2489797A (en) A Gully Grating and a Method of Providing a Drainage Point
JP2004124690A (ja)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JP2007107232A (ja) 側溝ブロック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JP5713566B2 (ja) 側溝および隣接する道路の再形成工法
KR101780255B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0333116Y1 (ko) 그레이팅 치합 세목 걸름망 틀
JP6083758B2 (ja) 開口部蓋のスリップ防止構造
JP5322304B2 (ja) 小動物侵入防止機能付き縦排水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