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81B1 -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81B1
KR102328481B1 KR1020210043994A KR20210043994A KR102328481B1 KR 102328481 B1 KR102328481 B1 KR 102328481B1 KR 1020210043994 A KR1020210043994 A KR 1020210043994A KR 20210043994 A KR20210043994 A KR 20210043994A KR 102328481 B1 KR102328481 B1 KR 10232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eels
present
acti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신자
Original Assignee
부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신자 filed Critical 부신자
Priority to KR102021004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Effective microorganisms) 발효액 및 천일염을 포함하는 장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장어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EM 발효액 및 천일염 등의 천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합성 항생제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첨가제를 급여하여 양식된 장어는 뛰어난 맛과 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Cultivating method of eels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a) EM(Effective microorganisms) 활성액을 준비하는 단계;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장어 양식장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의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민물장어는 불포화지방산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과 원기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미네랄, 철분 등의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여 스테미너 식품으로 국내외에서 그 수요가 꾸준하다. 참장어과(Family Anguillidae)에 속하는 뱀장어는 담수역에서 성장하고 산란을 위해 대양의 각 산란장으로 이동하는 강하성 어류이다. 뱀장어는 국내 내수면 양식 어종 가운데 가장 많은 양식을 하고 있는 어종이나, 현재 국내 양식어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해산 양식어에 치중되어 있으며, 내수면 양식 어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전무한 편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70% 정도가 세균성 질병이라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국내 양식 뱀장어의 세균성 질병 발생 실태 조사, 2005).
아울러, 다른 생산 산업과 마찬가지로 양식업의 경우에도 생산 증가와 더불어 배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가중되고 있고, 양식어류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육조 내 어류 활동에 따른 대사 배설물, 미섭취한 먹이 축적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양식장 사육에 있어서 잦은 사육수 교환으로 수십톤의 사육수 필요량 및 경제적 손실도 적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오염 부하량을 감소시키는 대책이 필요하지만, 영세한 소규모 양식장에서는 처리에 따른 비용이나 적절한 처리공법 설정이 문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EM(Effective microorganisms)은 영어의 뜻 그대로 유용한 미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lin. Exp. Immunol. 116: 283-290, 1999). 일본에서 EM을 토양 개량, 유기 농업에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액상 미생물을 최근 농업, 환경 및 축산업 등에 적용한 결과 다양한 효능이 입증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유용 미생물이 회사나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제조하여 판매 및 보급되고 있으며, 대부분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어의 양식 방법에 있어서 유용 미생물이 장어의 사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EM 및 천연물을 활용하여 장어 양식어장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예의 노력한 결과,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 효과를 통해 양식 장어의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양식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EM(Effective microorganisms) 활성액을 준비하는 단계;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장어 양식장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의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a) EM(Effective microorganisms) 활성액을 준비하는 단계;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장어 양식장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의 양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어는 양식이 가능한 민물 장어를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무태장어(Anguilla marmorata), 아메리카뱀장어(Anguilla rostrata) 또는 앵귈라 비콜라(Anguilla bicolo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어 양식 방법은 (a) EM(Effective microorganisms) 활성액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EM(Effective microorganisms)은 유용 미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을 포함한다. 농업과 임업 등에서는 EM 발효에 의한 유기 비료와 유기 퇴비의 사용으로 고품질 다수확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농약의 대체로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개량으로 연작이 가능하고 잡초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6: 365-373, 2011).
본 발명의 EM 활성액은 시중에 판매 또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EM 활성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포함된 미생물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상태라면 상기 EM 활성액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EM 활성액은 광합성 세균 및 효모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로도박터 스패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애(Aspergillus oryzae) 균주를 혼합한 혼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및 로도박터 스패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균주가 1 내지 5 x 1010 CFU/ml,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애(Aspergillus oryzae) 균주가 1 내지 5 x 104 CFU/ml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어 양식 방법은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추(Allium tuberosum)는 수선화과 부추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서, 그 잎을 식용으로 한다. 부추의 잎 100g에는 칼슘, 칼륨, 비타민, 플라보노이드류 등이 다량 함유되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예로부터 동의보감 등에 양기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 식재료로 유명하다.
본 발명에서 부추 분말은 부추를 직접 채취하여 사용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생부추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b) 혼합 단계는 EM 활성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부추 분말을 5 내지 1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EM 활성액 100 중량부에 부추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는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 혼합액의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EM 활성액 단독에 비하여 어류 질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한 바,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및 2).
본 발명의 장어 양식 방법은 (c) 상기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장어 양식장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액은 장어 양식수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를 공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장어 양식수에 대하여 0.2 중량부를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액은 장어 양식수에 비하여 3 중량부 이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는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 혼합액을 장어 양식수에 대하여 5 중량부 공급한 결과, 초기 폐사율은 낮으나, 사육 기간이 지날수록 폐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바, 혼합액이 과다하게 공급되면 장어의 성장에 오히려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장어 양식 방법은 어류 질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항균 활성은 유해 미생물의 억제 또는 제거 활성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어류의 세균성 질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는 에드와드균 감염증 및 에로모나스균 감염증의 주된 원인균인 Edwardsiellosis tarda 균주 및 Aeromoniasis hydrophila 균주에 대하여 모두 현저한 균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바 (실험예 1), 본 발명의 양식 방법은 미생물 및 천연물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양식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는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 혼합액을 첨가한 양식수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총 질소(T-N) 농도가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한 바 (실험예 2), 본 발명의 양식 방법은 양어장 수질개선에 효과적이며, 그에 따라 양식 장어의 질병 예방 또는 폐사율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어 양식방법은 미생물 및 천연물을 활용하여 장어 양식수에 대한 우수한 항균 및 수질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바, 양식 장어의 질병 예방 또는 폐사율 감소를 통해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어 양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양식수 첨가액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EM 활성액의 주요 미생물은, 광합성 세균인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및 로도박터 스패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1.8x1010 CFU/ml, 효모균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애(Aspergillus oryzae) 2.8x104 CFU/ml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추 분말은, 세척 부추의 수분을 제거하고 80℃의 열풍건조기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EM 활성액 100 중량부에 부추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장어 양식수에 첨가할 혼합액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양식수 첨가액(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의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 활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양식수 첨가액을 실시예 조성물로 하고, 부추 분말이 포함되지 않는 EM 활성액을 비교예 1의 조성물, 실제 양식조에 투입되기 전의 양식수를 비교예 2 조성물로 하여 실험예 1 및 2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양식수 첨가액의 항균 활성
본 발명 양식수 첨가액의 항균 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은 멸균된 paper disc (diameter 6mm)에 20μL 씩 흡수시킨 후 무균상에서 건조하였다. 항균 활성을 확인하는 균주로써 양식 장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에드와드균 감염증 및 에로모나스균 감염증의 주된 원인균인 Edwardsiellosis tarda 균주 및 Aeromoniasis hydrophila 균주를 MH 배지에서 37℃, 16-18 시간 동안 배양하고, 그 생균수를 2Х106 cfu/mL로 조정한 배양액을 0.5% agar가 첨가된 MHB 배지와 혼합시킨 후 1.5% 평판배지에 중층하였다. 중층한 배양액이 응고되면 실시예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흡수한 paper disc를 표면에 밀착시켜 각각 최적 생육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Clear zone (mm) E. tarda A. hydrophila
실시예 37 31
비교예 1 29 24
비교예 2 5 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조성물은 Edwardsiellosis tarda 균주 및 Aeromoniasis hydrophila 균주에 대하여 모두 현저한 균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EM 활성액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조성물에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양식수 첨가액의 항균 활성이 뛰어난 바, EM 활성액이 부추 분말과 혼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유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이 혼합된 양식수 첨가액은 에드와드균 감염증 및 에로모나스균 감염증의 원인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바, 장어 양식수에 첨가되어 양식 장어의 세균성 질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예 2. 양식수 첨가액의 수질 정화 효능
본 발명 양식수 첨가액의 수질 정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존 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총 질소(total nitrogen, T-N)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제 장어가 사육되고 있는 환수 시기의 양식수를 채취하여, 양식수 1L 당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5ml씩 첨가하고, 7일 후의 용존 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총 질소(T-N)의 농도를 수질 분석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DO (ppm) COD (ppm) T-N (ppm)
무첨가 6.1 89.6 118.1
실시예 6.3 49.8 62.8
비교예 1 6.3 52.6 79.1
비교예 2 6.1 88.8 112.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존 산소(DO) 농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총 질소의 농도는 실시예 조성물을 공급한 경우에 무첨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 혼합액을 첨가한 양식수는 수질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장어의 양식 결과
실험예 3-1. 장어의 사육 방법
본 발명의 양식 방법이 장어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i) 실시예 조성물(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전체 장어 양식수에 대하여 0.2 중량부 공급하여 사육한 실험군, ii) 실시예 조성물을 5 중량부 공급하여 사육한 비교군 1, 및 iii) 실시예 조성물을 공급하지 않고 양식수만으로 사육한 비교군 2로 나누어 장어를 양식하였다. 각 실험군 및 비교군에게 기본적으로 급여되는 사료의 종류, 장어 양식장의 크기, 수온, 산소량, 직사광선 차광 및 사육 마릿수 등의 제반 조건은 실험군과 비교군을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시험 장어는 여과조와 포말 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는 순환여과식 사육 시설을 이용하여 60일 동안 양식하였다.
실험예 3-2. 양식 장어의 폐사율
상기 방법으로 양식된 실험군 및 비교군의 양식 장어를 대상으로 사육 30일 및 60일 째의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30일 15% 16% 18%
60일 10% 18% 2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식수 첨가액을 0.2 중량부 공급한 실험군 장어의 경우, 첨가액을 공급하지 않은 비교군 2 장어에 비하여 그 폐사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비교군 2의 장어는 양식 기간이 지날수록 폐사율이 증가하였으나, 실험군 장어는 폐사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식수 첨가액을 5 중량부 공급한 비교군 1의 경우, 양식 초기의 폐사율은 실험군과 유사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폐사율이 증가한 바,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 혼합액이 과다하게 공급되면 장어의 성장에 오히려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양식 방법은 장어 양식수에 대한 항균 및 수질 정화 효능을 나타내는 바, 양식 장어의 질병발생 빈도를 낮추고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a) EM(Effective microorganisms) 활성액을 준비하는 단계;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을 장어 양식장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의 양식 방법으로서,
    상기 (a) EM 활성액은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로도박터 스패로이데스(Rhodobacter sphaeroides)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애(Aspergillus oryzae) 균주를 혼합한 혼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b) 혼합 단계는 EM 활성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부추 분말을 5 내지 1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c) 단계의 EM 활성액 및 부추 분말의 혼합액은 장어 양식수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를 공급하는 것인, 장어의 양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 방법은 어류 질병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수질 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의 양식 방법.
KR1020210043994A 2021-04-05 2021-04-05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KR10232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94A KR102328481B1 (ko) 2021-04-05 2021-04-05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94A KR102328481B1 (ko) 2021-04-05 2021-04-05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481B1 true KR102328481B1 (ko) 2021-11-18

Family

ID=7871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94A KR102328481B1 (ko) 2021-04-05 2021-04-05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928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미꾸라지 양식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2192A (ko) * 2016-12-21 2018-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용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산양식용 바이오플락 수질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703954B2 (ja) * 2015-01-23 2020-06-03 株式会社新日本科学 マイクロカプセル化された水産養殖用飼料
KR102118634B1 (ko) * 2018-12-14 2020-06-04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저 pH 조건에서 수산생물 양식 및 식물 재배 방법
KR102124574B1 (ko) * 2019-01-29 2020-06-18 박찬원 병충해 예방, 축사 및 양식장의 악취 제거와 살균 효과를 가진 천연 복합 조성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3954B2 (ja) * 2015-01-23 2020-06-03 株式会社新日本科学 マイクロカプセル化された水産養殖用飼料
KR20170067928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미꾸라지 양식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2192A (ko) * 2016-12-21 2018-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유용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산양식용 바이오플락 수질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18634B1 (ko) * 2018-12-14 2020-06-04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저 pH 조건에서 수산생물 양식 및 식물 재배 방법
KR102124574B1 (ko) * 2019-01-29 2020-06-18 박찬원 병충해 예방, 축사 및 양식장의 악취 제거와 살균 효과를 가진 천연 복합 조성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9B1 (ko) 유용 미생물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악취 및 중금속 제거용 조성물
JP5690401B2 (ja) 有機質発酵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18944B (zh) 一种超敏蛋白复合酶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365728B1 (ko) 친환경 유기 액체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2417415A (zh) 一种用中药渣生产的抗病虫害高效肥料及生产方法
KR102222811B1 (ko)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102B1 (ko) 로도박터 캡슐레이터스 sw003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
KR101670651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및 중금속 함량이 감소된 가축 분뇨 발효 액비의 제조방법
KR20100035545A (ko) 어류를 이용한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14220B1 (ko) 쌀겨 또는 들깨 껍질, 유산균 및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 비료 및 이의 제조공법
KR101480396B1 (ko) 식물성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용 영양첨가제,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KR101240868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김활성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813B1 (ko) 면역력 증강 천연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224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농작물용 천연 영양제 조성물
KR102328481B1 (ko)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69388A (ko) 대추를 이용한 가축용 고체발효 생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6742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가축 급이용 조성물
KR102021552B1 (ko) 장어 액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두콩 재배방법
KR101548483B1 (ko) 불용성인산 분해효소생성능과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sw002[수탁번호:KACC92034P]
KR101687890B1 (ko) 느타리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1600004B1 (ko) 도축 혈액을 이용한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KR101887604B1 (ko) 식품 첨가물을 이용한 동식물 성장 영양제 제조방법
CN113519705A (zh) 一种青贮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389870B1 (ko) 사료 첨가제용 귤 및 마늘 혼합 발효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