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217B1 -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217B1
KR102328217B1 KR1020150148541A KR20150148541A KR102328217B1 KR 102328217 B1 KR102328217 B1 KR 102328217B1 KR 1020150148541 A KR1020150148541 A KR 1020150148541A KR 20150148541 A KR20150148541 A KR 20150148541A KR 102328217 B1 KR102328217 B1 KR 10232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fixing member
coaxial
back nu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890A (ko
Inventor
정인하
김중관
이태훈
조용찬
주형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2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신규 사양인 다이나믹 PIMD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도금 재질과 두께를 변경하여 다이나믹 PIMD (Dynamic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IM(Intermodulation)은 복수 개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비선형 시스템 혹은 회로를 통과할 때 출력단에 입력에 없던 신호가 혼변조되는 것을 의미하고,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는 그러한 혼변조 성분에 의한 왜곡(distortion)을 의미한다.
아날로그 시스템과 달리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은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하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채널 대역폭을 복수 개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IMD는 주로 디지털 시스템에서 주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주로 수동소자에서도 발생한다. 즉, 수동소자 역시 완벽한 선형동작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비선형적 동작으로 인해 IMD가 발생하며, 수동소자에서 발생되는 IMD를 PIMD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라고 한다.
최근 이동통신의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지고 멀티 캐리어(multi-carriers)를 사용하고 CA(Carrier Aggregation)등의 주파수 묶음 기술 등이 사용되면서 멀티 캐리어에 의한 PIMD의 요구사양이 강화되고 있다.
PIMD는 안테나, 필터, RF 신호용 동축 케이블, RF 동축 커넥터 등 이동통신의 수동소자에서 중요한 전기적 특성이다. PIMD가 높으면 채널 내 또는 인접체널에 간섭(Interference)으로 작용하여 통신장비의 신호전력 / 잡음전력으로 정의되는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 신호대 잡음비)을 낮추어,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상승시키고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저하시킨다.
PIMD는 수동소자에서 금속도체의 기계구조적 비완전 접촉, 유전체의 오염 등 이외에도 강자성체, 금속 또는 도금 표면의 산화, 도금 표면의 스크레치 등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IMD는 수동소자가 갖는 비선형성에 근본원인이 있다. 이러한 비선형성에는 크게 접촉비선형성과 물질비선형성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금속 산화막에 의한 터널링 효과, 미소균열의 미소방전(Micro-discharge)등이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니켈과 같은 금속 물질의 강자성(Ferromagnetism), 이력현상(Hystersis) 효과 등이 있다.
다이나믹(Dynamic) PIMD는 상기 원인들 중에 케이블이 외부운동에너지에 의하여 커넥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계구조적 비완전접촉에 기인하는 영향이 크다. 이는 IEC-62037-2(2012)에서 정의되어 있는 로테이션 테스트(Rotation Test) 방식을 따를 경우 케이블의 회전시(rotating) 케이블의 내/외부도체와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마찰이 발생하며 비완전 접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넥터와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다이나믹(Dynamic) PIMD를 개선할 수 있는 기계구조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이나믹 PIMD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원인인 기계적 비완전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용접 또는 솔더링(Soldering)을 해주면 된다. 하지만 많은 통신사업자나 공사업자는 자재 관리 등의 이유로 팩토리 터미네이트 방식(Factory-terminated type)보다 필드 터미네이트 방식(Field terminated type)을 선호하기 때문에 솔더링을 하지 않는 수작업 조립형 커넥터의 케이블 회전시에도 케이블과 커넥터의 완전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의 구조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신규 사양인 다이나믹 PIMD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팅핀 형태의 내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가 삽입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내측에 수용하는 외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의 일단 외측에 대응 커넥터와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커플링 너트와; 상기 외부도체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플링 너트와 대향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는 백 너트; 를 구비하며,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백 너트와 결합하는 일단에서 상기 백 너트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 너트가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됨에 따라 테이퍼진 상기 일단의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그 내주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진 일단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이퍼진 일단의 내경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상기 백 너트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진 일단의 내경은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지 전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될 때까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이퍼진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는, 커넥팅핀 형태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가 삽입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를 내측에 수용하는 외부도체; 상기 외부도체의 일단 외측에 대응 커넥터와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커플링 너트; 상기 외부도체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플링 너트와 대향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는 백 너트;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커넥팅 너트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 너트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테이퍼진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경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상기 백 너트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가 상기 연장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백 너트는 그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일단의 내경은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지 전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될 때까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슬롯의 간격이 감소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커넥터에 의한 동축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외부 운동에너지에 의한 동축 케이블의 회전시 발생하는 다이나믹 PIMD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가 적용된 동축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의 다단 탈피 사시도 및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백 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가 적용된 RF 신호 전달용 동축 점퍼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축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의 다단 탈피 사시도 및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축 점퍼 케이블은 이동통신 기지국내 전송장비와 안테나 사이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선로로서 광 대역에 걸쳐 안정된 특성으로 고품질의 전송 매체이며 신호 전송용 급전선과 신호 방사용 누설 동축케이블로 분류된다.
도 1에 도시된 동축 점퍼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과 동축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동축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의 다단 탈피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100)은 내부도체(110), 상기 내부도체(110)를 감싸는 절연체(130), 상기 절연체(130)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도체(150) 및, 상기 외부도체(150) 외측을 감싸는 자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체(110)는 예를 들면 동(Copper) 또는 동복 알루미늄(CCA)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동복 알루미늄(COPPER CLAD ALUMINUM)은 도체의 경량화 요구 및 비용 절감의 요구에 의하여 개발된 도체로서, 알루미늄의 가벼운 무게 및 가격 그리고 구리의 전도성 및 인장특성 등의 장점을 골고루 가지며, 순수 구리에 비해 직경이 크게 증가되지 않으므로, 최근 RF 및 CATV 등의 고주파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도체(110) 및 파워 케이블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동복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도체(110)는 절연체(130)에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절연체(13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도체(110)과 외부도체(150) 사이에 발포 공정에 의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0) 외측에는 외부도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는 구리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는 주름관(corrutgation)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 구조에 의하여 유연성 및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의 외측은 자켓(170)으로 피복될 수 있다. 상기 자켓(170)은 예를 들면 난연 폴리에틸렌(FRPE, Fire Retardent Polyethylene) 또는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100)은 도 2(b)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와 연결되어 동축 케이블(1)을 구성한다.
도 2(b)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는 크게 내부도체(210), 절연체(220), 외부도체(230), 커플링 너트(240), 고정부재(250), 및 백 너트(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내부도체(210)는 수형 커넥터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도체(110)와 접속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외부도체(230)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150)과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내부도체(210)는 수형 커넥터핀 형태로 구성되어, 동축 케이블용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210)와 접속되고,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동축 케이블용 외부도체(230)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230)와 접속된다.
상기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의 내부도체(210)은 수형 커넥팅핀 형태로 구성되어, 대응 커넥터(미도시)의 암형 내부도체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200)의 외부도체(230) 역시 대응 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220)는 상기 내부도체(210)와 상기 외부도체(230)를 절연시키며 상기 내부도체(210)를 상기 외부도체(230) 내측에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생략될 수 없다.
상기 외부도체(230)는 그 일단에서 커플링 너트(240)와 결합하며 그 타탄에서 백 너트(26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너트(240)는 외부도체(230)의 일단에 체결되어 다른 대응 커넥터의 외부도체와 체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250)는 그 일단이 외부도체(230)의 타단에서 외부도체(230)와 체결되고, 그 타단이 백 너트(260)와 체결되면서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재(250)는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됨에 따라 백 너트(260)와 결합하는 단부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면서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부재(250)는 백 너트(260)와 결합하는 단부에서 백 너트(260)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진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고정부재(2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백 너트(260)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백 너트(260)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고정부재(250)의 외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50)의 테이퍼진 단부는 상기 슬롯들에 의해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의 테이퍼진 단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진 단부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면서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재(250)는 상기 테이퍼진 단부의 내부 직경이 동축 케이블(10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백 너트(260)에 의해 압축되면서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250)의 상기 테이퍼진 단부의 내부 직경은 백 너트(260)와 고정부재(250)가 체결되지 전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백 너트(260)가 체결되지 전에는 고정부재(250)의 상기 테이퍼진 단부의 내부 직경을 통해 동축 케이블(100)이 관통할 수 있다. 그러나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면서 백 너트(260)에 의해 고정부재(250)의 상기 테이퍼진 단부의 내부 직경은 동축 케이블(10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될 때까지 감소되어 동축 케이블(100)이 고정부재(250)에 의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250)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251), 테이퍼부(252), 및 관통공(2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51)는 고정부재(250)의 일단에서 외부도체(230)와 체결될 수 있다. 몸체부(251)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가 외부도체(23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몸체부(251)의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외부도체(230)의 내주면에 몸체부(25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몸체부(251)의 나사산과 외부도체(230)의 나사산이 치합되어 몸체부(251)와 외부도체(230)가 체결될 수 있다.
테이퍼부(252)는 몸체부(251)의 타단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백 너트(260)와 체결될 수 있다. 테이퍼부(252)는 백 너트(260)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252)는 테이퍼부(252)에 백 너트(260)가 체결됨에 따라 테이퍼부(252)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여 동축 케이블(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테이퍼부(252)는 일 실시예로서 연장부(252a), 돌출부(252b), 및 슬롯(252c)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52a)는 몸체부(251)의 타단에서 커넥팅 너트(240)와 반대 방향, 즉 백 너트(26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백 너트(260)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의 내부 직경은 몸체부(251)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타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돌출부(252b)는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에서 고정부재(2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2b)는 연장부(252a)의 표면에서 외곽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바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는 경우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직접 접하게 되며,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부(252b)는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눌리게 되어 연장부(252a)의 일단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롯(252c)은 몸체부(251)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타단에서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252c)은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으로 개방된 개구일 수 있다. 즉 슬롯(252c)은 동축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252c)은 테이퍼부(252)에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슬롯(252c)들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252a)는 슬롯(252c)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252a)들의 일단은 슬롯(252c)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슬롯(252c)의 형상은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기 전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50)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된 이후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252a)들의 일단이 서로 접하게 되어 슬롯(252c)의 형상은 백 너트(260)를 향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롯(252c)의 형상은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252a)들의 일단이 서로 접하지 않지만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252a)들의 일단의 간격이 감소한 사다리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고정부재가 압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고정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고정부재(250)가 백 너트(260)에 의해 압축되기 전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52a)들이 슬롯(252c)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직경(x1)은 동축 케이블(100)의 직경보다 클 수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기 전에는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직경(x1)이 동축 케이블(100)의 직경보다 크도록 슬롯(252c)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250)의 관통공(253)을 통해 동축 케이블(1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의해 돌출부(252b)가 동축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눌리게 되어 슬롯(252c)의 형상이 사각형에서 백 너트(260)을 향하는 변의 길이가 짧은 마름모꼴 또는 삼각형으로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백 너트(260)를 향하는 연장부(252a)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직경(x2)이 백 너트(260) 체결 전의 내부 직경(x1) 보다 작아지고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직경 보다 같거나 자게 되어 동축 케이블(100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있는 경우에도 동축 커넥터와 케이블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다이나믹 PIMD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백 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의 백 너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백 너트(260)는 테이퍼진 연장부(252a)에 대응하여 그 내주면(261)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백 너트(260)의 내주면(261)은 고정부재(250)에 인접한 일측에서 고정부재(250)에서 멀어지는 타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백 너트(260)에서 고정부재(250)에 인접한 일측에서의 내부 직경(d1)은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서의 내부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의 테이퍼부(252)에 체결되는 경우 고정부재(250)의 돌출부(252b)가 백 너트(260)의 내주면(261)에 접하게 되며,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를 향해 더 이동하면서 체결함에 따라 고정부재(250)의 돌출부(252b)는 백 너트(260)의 내주면(261)에 의해 눌리게 되어 연장부(252a)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직경이 감소하게 되고,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완전히 체결된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252a)들의 일단이 서로 접하게 되고, 연장부(252a)들의 일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직경(x2)이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되어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부(252b)와 동축 케이블(100) 사이에는 고정링(27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252b)가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돌출부(252b)에 가해지는 압력은 고정링(270)에 전달되고, 고정링(270)이 동축 케이블(100)를 가압하여 동축 케이블(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고정부재(250)가 외부도체(230)에 체결되고 백 너트(260)에 의해 압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어 고정부재(250)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50)는 외부도체(230)의 일단에 체결되며 그 관통공(253) 내에는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백 너트(260)는 외부도체(230) 후단에서 나사산에 의해 외부도체(230)와 치합되어 외부도체(230)와 체결될 수 있다. 백 너트(260)는 동축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며 고정부재(250)의 테이퍼부(252)와 체결된다. 백 너트(260)가 테이퍼부(252)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여 동축 케이블(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되는 경우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직접 접하게 되며, 백 너트(260)가 고정부재(250)에 체결됨에 따라 돌출부(252b)는 백 너트(260)의 내주면에 눌리게 되어 연장부(252a)의 일단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변형의 고정부재(250)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과 동축 커넥터(200) 사이의 고정력이 증가되므로 동축 케이블(100)의 다이나믹 PIMD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동축 케이블
200 : 동축 커넥터
210 : 내부도체
220 : 절연체
230 : 외부도체
240 : 커플링 너트
250 : 고정부재
260 : 백 너트

Claims (14)

  1.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팅핀 형태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가 삽입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를 내측에 수용하는 외부도체;
    상기 외부도체의 일단 외측에 대응 커넥터와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커플링 너트;
    상기 외부도체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플링 너트와 대향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는 백 너트;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백 너트와 결합하는 일단에서 상기 백 너트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백 너트가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됨에 따라 테이퍼진 상기 일단의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그 내주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진 일단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이퍼진 일단의 내경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상기 백 너트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진 일단의 내경은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지 전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될 때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테이퍼진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7.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팅핀 형태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가 삽입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를 내측에 수용하는 외부도체;
    상기 외부도체의 일단 외측에 대응 커넥터와 체결을 위하여 구비되는 커플링 너트;
    상기 외부도체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플링 너트와 대향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에 결합하는 백 너트;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체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커넥팅 너트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 너트를 향하여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테이퍼진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내경이 감소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내경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상기 백 너트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가 상기 연장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백 너트는 그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일단의 내경은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지 전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백 너트와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될 때까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 너트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슬롯의 간격이 감소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내부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KR1020150148541A 2015-10-26 2015-10-26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KR10232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41A KR102328217B1 (ko) 2015-10-26 2015-10-26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41A KR102328217B1 (ko) 2015-10-26 2015-10-26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90A KR20170047890A (ko) 2017-05-08
KR102328217B1 true KR102328217B1 (ko) 2021-11-17

Family

ID=6016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41A KR102328217B1 (ko) 2015-10-26 2015-10-26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85B1 (ko) 2018-03-14 2018-08-14 주식회사유비씨에스 동축커넥터가 설치된 알루미늄 동축케이블 제조방법
KR20190108460A (ko) 2018-08-06 2019-09-24 주식회사유비씨에스 동축커넥터가 설치된 알루미늄 동축케이블 제조방법
KR102140867B1 (ko) * 2018-08-31 2020-09-14 주식회사 센서뷰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KR102285497B1 (ko) * 2020-05-14 2021-08-03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동축 고주파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기기
KR102445253B1 (ko) * 2021-01-12 2022-09-20 김용식 푸시락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524334B1 (ko) * 2021-05-20 2023-04-24 김상훈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CN115441218A (zh) * 2021-06-03 2022-12-0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将同轴电缆连接至印刷电路板的连接器和方法
WO2023282372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동축 고주파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기기
KR102598635B1 (ko) * 2021-07-30 2023-11-0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60B1 (ko) * 2011-08-24 2013-02-19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KR101457499B1 (ko) * 2013-08-13 2014-11-04 주식회사 엠피디 케이블 유동방지를 통해 전기적 연결이 향상된 동축케이블과 동축컨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122U (ko) * 1989-10-16 1991-06-11
KR0120464Y1 (ko) * 1995-01-28 1998-07-15 방청정 동축 케이블 컨넥터용 케이블 외심 고정 클램프
KR101166086B1 (ko) * 2009-01-13 2012-07-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60B1 (ko) * 2011-08-24 2013-02-19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KR101457499B1 (ko) * 2013-08-13 2014-11-04 주식회사 엠피디 케이블 유동방지를 통해 전기적 연결이 향상된 동축케이블과 동축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90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217B1 (ko)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US9214771B2 (en) Connector for a cable
US9716345B2 (en) Radio frequency (RF) shield for microcoaxial (MCX) cable connectors
US9912029B2 (en) Waveguide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waveguides separated by a shield
US20160372235A1 (en) High-speed transmission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134004B (zh) 一种具有内部导体衔接器的连接器
EP3471217B1 (en) Circular bundling, waterproof and fast-insertion type radio frequency connector
WO2017101752A1 (zh) 劈裂天线的馈电网络和劈裂天线
CN205564941U (zh) 高频信号传输线路及电子设备
US10873166B2 (en) Low PIM passive connection system for cellular networks
TW201216568A (en) Connector
KR101097281B1 (ko) 고출력 알에프 푸쉬 커넥터
US10727633B2 (en) Apparatuses for maintaining electrical grounding at threaded interface ports
WO2013089912A1 (en) Preconnectorized coaxial cable connector apparatus
KR102299293B1 (ko) 동축 커넥터
EP3297092B1 (en) Cable and high-frequency device using same
JP3204119U (ja) ケーブルテレビ同軸ビデオネットワーク伝送器及びその挿入接続ソケット
JP3202420U (ja) ケーブルテレビ同軸ビデオネットワーク伝送器及びその挿入接続ソケット
CN105144470A (zh) 连接器装置和无线传输系统
US20230057120A1 (en) Wireless radio units that include antenna systems having coaxial feed cables that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an rf ground plane
KR20170044880A (ko)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US20050077981A1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port with isolation function
KR102276390B1 (ko) 동축 커넥터
CN113381245B (zh) 用于将线缆与电构件连接的插接连接装置
KR20200025870A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