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082B1 -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082B1
KR102328082B1 KR1020190116623A KR20190116623A KR102328082B1 KR 102328082 B1 KR102328082 B1 KR 102328082B1 KR 1020190116623 A KR1020190116623 A KR 1020190116623A KR 20190116623 A KR20190116623 A KR 20190116623A KR 102328082 B1 KR102328082 B1 KR 10232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surgical incision
tension
fix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825A (ko
Inventor
신동군
권준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빌드
Priority to KR102019011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0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수술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점착 필름과,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제2 점착 필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을 상기 수술 절개부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SEALING APPARATUS FOR AN INCION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에 의한 절개부위,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열상부위, 피부가 칼에 의해 베어지거나 찔려서 생긴 창상부위 등과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는 벌어진 경계부분을 통한 과출혈 방지, 벌어진 경계부분의 세균감염방지 등을 위하여 봉합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봉합사를 이용하거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한다.
이처럼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의 벌어진 경계부분, 즉 봉합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상기한 봉합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봉합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두 경우 모두 치료 후 봉합부분에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648호에는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수술 절개부를 봉합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 기술은 수술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양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 상에 설치된 다수의 봉합띠(3)를 잠금장치(4)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봉합 장치는 각각의 봉합띠(3)에 대하여 균일한 힘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 수술 절개부(5)를 균일하게 봉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합띠(3)를 잠금장치(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어느 한 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를 환부에 밀착시킨 후 봉합띠(3)를 당김으로써 양측 환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분배되지 못하므로 수술 절개부(5) 양쪽의 피부가 균일한 봉합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봉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봉합띠(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가 곡선 형태인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648호(2015.10.26)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5757호(2015.09.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술 절개부를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할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고, 절개부위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수술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수술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점착 필름과,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제2 점착 필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을 상기 수술 절개부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장 모듈은,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어느 한 쪽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 타측의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상기 수술 절개부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되는 인장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 시트는,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어느 한 쪽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 쪽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인장 밴드와, 상기 인장 밴드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고, 사용시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인장시킨 후, 상기 고정부 또는 피부에 부착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 밴드는,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 사이에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대칭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 밴드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부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 밴드가 관통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복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리에는 각각 복수 개의 인장 밴드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은 인접한 제1 점착 필름과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인장 시트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인장 시트의 타측 점착 필름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접착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의 접합부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되는 절취부와, 연속 연결되어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제1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또는 제2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고정 브래킷이 설치된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인장 시트 및 고정 브래킷이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접착 고정되고, 상기 인장 시트의 타측 점착 필름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접착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의 타측 점착 필름 상면에는 인장 시트가 접착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의 접합부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되는 절취부와, 연속 연결되어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제1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또는 제2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장치는, 수술 절개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인장 밴드에 동시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환부 봉합면이 선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부 단부를 상방으로 인장시킴으로써 수술 절개부 양쪽 피부에 동일한 외력이 전달되어 흉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이어진 복수 개의 봉합 유닛 사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환부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곡률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각각의 봉합 유닛이 모듈화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적절히 이격시켜 사용함으로써 절개부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봉합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봉합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의 힘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부 봉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봉합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 유닛(100)은 수술 절개부(S)의 양쪽 피부(A, B)에 고정되는 점착 필름(10, 20)과, 상기 점착 필름(10, 20)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 모듈(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10, 20)은 수술 절개부(S)의 일측 피부(A)에 고정되는 제1 점착 필름(10)과, 상기 수술 절개부(S)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10)의 타측 피부(B)에 고정되는 제2 점착 필름(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 필름(10, 20)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10, 20)은 3차원 곡면을 가지는 피부(A, B)에 들뜸이 없이 부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쉽게 변형되는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필름(10, 20)은 절개부(S)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A, B)에 각각 부착되는 구성이므로, 점착 필름(10, 20)이 부착되더라도 절개부(S) 주변 피부(A, B)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 모듈(30, 40)은 상기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점착 필름(10) 및 제2 점착 필름(20)을 수술 절개부(S) 쪽으로 각각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 모듈(30, 40)은 고정 브래킷(40)과 인장 시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40)은 제1 점착 필름(10) 또는 제2 점착 필름(20)의 어느 한 쪽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인장 시트(30)는 고정 브래킷(40)의 반대편에 고정 브래킷(40)이 부착되지 아니한 제1 점착 필름(10) 또는 제2 점착 필름(20)의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시트(30)는 상기 고정 브래킷(40)과 연결되어 고정 브래킷(40)을 수술 절개부(S) 쪽으로 인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점착 필름(10) 및 제2 점착 필름(20)의 상면에는 상기 인장 모듈(30,40)을 초음파 또는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접착 가능하도록 폴리우레탄(PU)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 시트(30)는 고정부(31)와, 인장 밴드(33)와, 정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1), 인장 밴드(33) 및 정착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재질로는 신축성과 인장력,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우레탄(PU) 재질의 필름시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31)는 제1 점착 필름(10) 또는 제2 점착 필름(20)의 어느 한 쪽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 밴드(33)는 고정부(31)로부터 수술 절개부(S) 쪽으로 연장되어 고정 브래킷(40)을 관통한 후 상기 정착부(32)에 연결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부(32)는 인장 밴드(33)와 연결되어 고정부(31)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고, 사용시 고정부(31)에서 분리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40)을 인장시킨 후, 상기 고정부(31) 또는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장 밴드(33)는 상기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20) 사이를 가로질러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대칭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밴드(33)는 특히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1) 및 정착부(32)의 크기는 상기 제1 점착 필름(10) 또는 제2 점착 필름(20)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착부(32)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상처 보호 및 감염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40)은 상기 제1 점착 필름(10) 또는 제2 점착 필름(2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지지부(41)와, 상기 지지부(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 밴드(33)가 관통되는 고리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40)은 상기 인장 시트(30)와 결합되어 인장력을 점착 필름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아니하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성형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42)는 복수 개의 고리(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리(43)에는 각각 복수 개의 인장 밴드(33)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각각의 고정 브래킷(40)에 2 개의 고리(43)가 형성되고, 각각의 고리(43)에는 각각 2 개의 인장 밴드(33)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은 특히 상기 고리부(42)가 지지부(41)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 브래킷(40)의 지지부(41)가 점착 필름 상면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소정 각도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고리부(42)가 형성된다. 고리부(42)의 기능과 효과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의 힘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은 사용하기 전에 제1 점착 필름(10)과 인장 시트(30), 제2 점착 필름(20)과 고정 브래킷(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20)이 커버 필름(미도시)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관된다.
먼저,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20)을 커버 필름에서 떼어낸 후, 제1 점착 필름(10)을 수술 절개부(S)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켜 한 쪽 피부(A)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2 점착 필름(20)을 수술 절개부(S)의 다른 쪽 피부(B)에 소정 거리 이격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인장 시트(30)의 인장 밴드(33)는 고정 브래킷(40)의 고리부(42)에 연결된 상태이며, 정착부(32)는 고정부(31) 상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정착부(32)를 고정부(31)에서 떼어낸 후 수술 절개부(S)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고정 브래킷(40)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20)이 수술 절개부(S) 쪽으로 이동하여, 수술 절개부(S)의 양쪽 피부(A, B)가 절개부(S) 쪽으로 수축되어 절개부(S)를 봉합하게 된다. 상기 정착부(32)는 이어서 점착 필름 또는 피부에 접착 고정되어 제1 점착 필름(10)과 제2 점착 필름(20)에 지속적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절개부(S)의 양쪽 피부(A, B)에 균일한 인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절개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어느 한 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를 환부에 밀착시킨 후 봉합띠(3)를 당김으로써 양측 환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분배되지 못하므로 수술 절개부(5) 양쪽의 피부가 균일한 봉합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정착부(32)를 인장하는 경우 예시된 구현예에서와 같이 정착부(32)에 연결된 4 개의 인장 밴드(33)가 동시에 균일한 방향으로 인장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절개부(S)를 따라 외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절개부가 매끈하게 선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봉합 띠(3)를 각각 인장함으로써 절개부를 따라 외력이 불균일하게 전달되어 봉합선이 삐뚤삐뚤하게 형성되는 관계로 절개부에 흉터가 보기 싫게 남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밴드(33)가 연결되는 고리부(42)가 피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각도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밴드(33)는 화살표 ① 방향으로 인장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고정 브래킷(40)은 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2 점착 필름(20)에 전달하며, 이에 의하여 제2 점착 필름(20)이 부착된 피부(B)는 θ1의 각도로 우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점착 필름(10)에는 화살표 ③의 방향으로 인장력이 전달되며, 이에 의하여 제1 점착 필름(10)이 부착된 피부(A)는 θ2의 각도로 좌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절개부(S) 양 쪽 피부(A, B)가 소정 각도 상방으로 올라오면서 절개부(S)를 중심으로 좌우측에서 모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수술 절개부(S)를 봉합하기 위하여 절개부(S)의 양 쪽 피부를 수평 방향에서 각각 인장하는 경우 양 쪽 피부가 과도하게 인장되어 봉합 부위에 흉터가 남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들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점착 필름(10)과 제1 점착 필름(10) 및 제2 점착 필름(20)과 제2 점착 필름(20)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10) 상면에는 인장 시트(30)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2 점착 필름(20)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40)이 접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10)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40)이 접착 고정되고,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2 점착 필름(20) 상면에는 인장 시트(30)가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즉, 본 구현예에 따르면, 인장 시트(30)와 인장 시트(30), 및 고정 브래킷(40)과 고정 브래킷(40)이 서로 연속하여 배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봉합 유닛(100)들의 접합부(50), 즉 제1 점착 필름(10)과 제1 점착 필름(10) 및 제2 점착 필름(20)과 제2 점착 필름(20)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되어 봉합 유닛(100)들 사이를 절취할 수 있는 절취부(52)와, 필름이 연속 연결되어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연결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는, 제1 점착 필름(10) 사이의 접합부 또는 제2 점착 필름(30)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 즉 수술 절개부(S)에서 먼 쪽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브래킷(40)이 설치된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부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절취부(52)를 절취하여 수술 부위를 봉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와 같은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어진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들의 절취부(52)을 적절하게 절취하여 환부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곡률 형태로 곡선 형태의 절개부(S)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부위와 같이 피부의 신축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있어서,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는 인장 시트(30)의 정착부(32) 사이의 간격을 멀리 하여 피부에 고정함으로써 피부 신축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봉합 유닛(100)들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결부(51)를 고정 브래킷(40)이 설치된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정착부(32)가 서로 겹치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인장할 수 있으며, 정착부(32)를 넓은 영역에 걸쳐 피부에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절개부(S)의 봉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10) 상면에는 인장 시트(30) 및 고정 브래킷(40)이 교번하여 접착 고정되고, 연속하여 배열된 제2 점착 필름(20)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40) 및 인장 시트(30)가 교번하여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구현예에 따르면 도 8의 구현예와는 달리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들이 고정 브래킷(40)과 인장 시트(30)가 서로 교차 배치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 경우 역시 제1 점착 필름(10)과 제1 점착 필름(10) 및 제2 점착 필름(20)과 제2 점착 필름(20)의 접합부(50)에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되어 봉합 유닛(100)들 사이를 절취할 수 있는 절취부(52)와, 필름이 연속 연결되어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연결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는, 제1 점착 필름(10) 사이의 접합부 또는 제2 점착 필름(30)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을 수술 절개부(S)의 양 쪽 방향에서 적절히 절취하여 수술 절개부(S)의 양 쪽 방향에서 인장하여 사용함으로써 S 자 형과 같이 복잡한 수술 절개 부위에도 안정적으로 점착 필름을 고정시키고 절개 부위의 봉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을 각각 절취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여러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개부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배열되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는 수술 절개부를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술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고, 절개부위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술 절개부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점착 필름 20 : 제2 점착 필름
30 : 인장 시트 31 : 고정부
32 : 정착부 33 : 인장 밴드
40 : 고정 브래킷 41 : 지지부
42 : 고리부 43 : 고리
50 : 접합부 51 : 연결부
52 : 절취부
100 : 수술 절개부 봉합 유닛
1000 :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S : 수술 절개부
A, B : 피부

Claims (9)

  1. 수술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수술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점착 필름과,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상기 제2 점착 필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을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인장 모듈을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장 모듈은,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어느 한 쪽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 타측의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되는 인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 시트는,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어느 한 쪽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수술 절개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 쪽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인장 밴드와,
    상기 인장 밴드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고, 사용시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을 인장시킨 후, 상기 고정부 또는 피부에 부착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 밴드가 관통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지지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 점착 필름 및 제1 점착필름에 부착된 피부가 인장밴드의 인장력에 의해 수술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올라오면서 모여 봉합되고:
    상기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은,
    인접한 제1 점착 필름과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인장 시트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인장 시트의 타측 점착 필름 상면에는 고정 브래킷이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제1 점착 필름 및 제2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의 접합부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되는 절취부와;
    연속 연결되어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제1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또는 제2 점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 외측 단부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밴드는,
    상기 제1 점착 필름과 제2 점착 필름 사이에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대칭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밴드는 탄성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시트 형상으로 상기 제1 점착 필름 또는 제2 점착 필름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복수 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리에는, 각각 복수 개의 인장 밴드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16623A 2019-09-23 2019-09-23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32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23A KR102328082B1 (ko) 2019-09-23 2019-09-23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23A KR102328082B1 (ko) 2019-09-23 2019-09-23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25A KR20210034825A (ko) 2021-03-31
KR102328082B1 true KR102328082B1 (ko) 2021-11-17

Family

ID=7523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23A KR102328082B1 (ko) 2019-09-23 2019-09-23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811A1 (en) * 2022-05-14 2023-11-23 Suturegard Medical Inc. Coupleable wound closure mechanis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5744A1 (en) * 2012-06-26 2013-12-26 Leslie P. Weiser Wound closure device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101768878B1 (ko) * 2015-01-09 2017-08-18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757A (ko) 2014-03-10 2015-09-18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피부 봉합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5744A1 (en) * 2012-06-26 2013-12-26 Leslie P. Weiser Wound closure device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68878B1 (ko) * 2015-01-09 2017-08-18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25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wounds without sutures
US4114624A (en) Skin closure means
US741416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FI94831C (fi) Laite haavan sulkemiseksi ja menetelmä tämän laitteen asentamiseksi
US783871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8777986B2 (en) Incision guide and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20050021081A1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20150313593A1 (en)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MX2011005709A (es) Sistema y metodo para el cierre mecanico de heridas.
US7354446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KR101564648B1 (ko) 봉합장치
CN104703564A (zh) 伤口缝合装置
KR102328082B1 (ko)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US8636763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KR101742072B1 (ko) 봉합장치
US20210204933A1 (en) Reinforcing incision drapes having stitching zones bounded by reinforcing zones for closing incisions formed in fragile tissue
KR102033872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290632B1 (ko)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463528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GB2364246A (en) Wound closure system
US10702262B1 (en)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US20230190260A1 (en)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EP0788771A1 (en) Skin clos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