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236B1 - 의료용 피부 봉합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피부 봉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236B1
KR101758236B1 KR1020170006517A KR20170006517A KR101758236B1 KR 101758236 B1 KR101758236 B1 KR 101758236B1 KR 1020170006517 A KR1020170006517 A KR 1020170006517A KR 20170006517 A KR20170006517 A KR 20170006517A KR 101758236 B1 KR101758236 B1 KR 10175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band
sheet member
ski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00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된 상처 부위의 양쪽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당겨 절개된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봉합술에 의한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한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개된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로서,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한 쌍의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 및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가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도록 당겨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피부 봉합구{Medical skin suture}
본 발명은 의료용 피부 봉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된 상처 부위의 양쪽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당겨 절개된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하도록 한 의료용 피부 봉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바깥쪽에서 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중에서 표피층은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진피층은 표피 아래층에 있으며 콜라겐섬유와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단백질로 이루어져 혈관, 신경, 땀샘 등이 있다.
또한, 피하지방측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피부는 체온 조절과 외부 환경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피부층은 부주위에 의한 사고로 인하여 피부가 절개되어 손상되며, 손상된 피부는 외부로 부터의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있어 세균감염방지와 상처치료를 위하여 봉합을 하여 상처부위가 회복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처의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봉합술은, 찢어져서 벌어진 피부면을 가능한 가깝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출혈 및 감염을 방지하고, 조직의 기능보존 및 외관을 유지하며, 상처가 빠르게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봉합술은 피부에 상처가 생긴 후 일찍 실시할수록 치료결과가 더 좋으므로 가능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소독된 기구와 물품을 사용하여 봉합하여야 한다.
이전에는 주로 봉합사(실)를 이용하여 봉합하였으나, 상처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는 봉합사 외에도 스테이플(staple)이나 테이프(tape), 봉합풀 등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재료마다 나름대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피부조직을 붙여 일정 기간 동안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켜 준다는 원칙은 모두 동일하다. 이 중에서 봉합사나 스테이플은 상처를 단단히 결속하는 이점이 있으나, 봉합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봉합사나 스테이플에 의한 흉터가 남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773326호(이하, '선특허'라 함.)에는 '외과 상처봉합용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특허는 연질성 실리콘고무재로 된 한 쌍의 지지대를 간격을 갖도록 서로 대향되게 하고, 지지대의 상부에는 스테플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양방향의 금속침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정열된 봉합지지체를 끼워 결합하며, 단위 금속침의 각 사이에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특허는 돌발적인 외과 사고발생 시 의료에 경험이 없어도 누구나 손쉽게 훼손된 상처의 열상 경계면을 간편, 용이한 과정으로 즉시 봉합할 수 있어 상처의 치유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상처의 접합부분에는 흉터가 생기지 않고 매우 깨끗하게 피부 봉합의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상처의 봉합수술을 위하여 병원에 방문하고, 또한 부분 마취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경제성이 없도록 함은 물론 봉합수술시 봉합사에 의한 흉터 발생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특허는 봉합지지체의 각 금속침이 진피 깊이에 삽입됨에 따라 금속침이 아무리 가늘더라도 상처의 주변에 다수의 금속침이 삽입된 흉터가 남는 문제가 있었으며, 봉합지지체가 상처의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의복을 입거나 벗을 때 의복에 걸려서 힘을 받거나, 또는 보행시 사람이나 사물과 부딪치거나 특히 넘어지는 경우 상처 부위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773326호, 외과 상처봉합용 밴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된 상처 부위의 양쪽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당겨 절개된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봉합술에 의한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한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 밴드를 당길 경우 당겨지는 밴드가 경사안내면에 안내되어 밴드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서 강한 힘으로 밴드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절개된 상처 부위가 최대한 붙도록 봉합할 수 있게 한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된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로서,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한 쌍의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 및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가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도록 당겨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상부면 선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 상기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체로 각각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부터 각각 띠 형상을 이루게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밴드와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 및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 및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제1 걸림돌부와 제2 걸림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서로 마주하여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와 제1 결합구멍 및 상기 제2 밴드와 제2 결합구멍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배치되게 구비하여 상기 제1 밴드가 제2 결합구멍에, 상기 제2 밴드가 제1 결합구멍에 각각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면 하부 후단부에는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을 통과시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안내할 수 있는 제1 경사안내면과 제2 경사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절개된 상처 부위의 봉합을 위해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면이 각각 제1 접촉경사면과 제2 접촉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는 멸균 처리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에 의하면, 절개된 상처 부위의 양쪽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당겨 절개된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봉합술에 의한 흉터가 남지 않도록 봉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 밴드를 당길 경우 당겨지는 밴드가 경사안내면에 안내되어 밴드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서 강한 힘으로 밴드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절개된 상처 부위가 최대한 붙도록 봉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서로 맞닿도록 당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이용하여 절개된 상처부위를 봉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에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서로 맞닿도록 당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는 절개된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 및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접착층(102)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피부에 부착될 때 인체의 곡면을 따라 들뜸 없이 부착되어 견고한 부착력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쉽게 변형되는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멸균 처리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부직포 재질의 얇은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멸균 처리된 부직포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비용상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은나노 물질이 함유된 재질 등을 비롯하여 다른 재질로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일정한 단위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접착층(102)의 보호를 위해 이형지(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형지(120) 위에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부착된 상태에서 포장되어 유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는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는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도록 당겨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를 당김으로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피부를 당겨주어 봉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는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상부면 선단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제1 베이스판(210a)과 제2 베이스판(210b)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베이스판(210a)과 제2 베이스판(210b)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상부면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판(210a)과 제2 베이스판(210b)의 상부에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가 일체로 각각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로부터 각각 띠 형상을 이루게 길게 연장되도록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가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에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이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에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가 각각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에 삽입되는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톱퍼(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퍼(250)는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의 내측으로 제1 래치형 고정돌기(252a)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252b)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252a)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252b)는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의 내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252a)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252b)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제1 걸림돌부(254a)와 제2 걸림돌부(254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걸림돌부(254a)와 제2 걸림돌부(254b)가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252a)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252b)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는 절개된 상처 부위의 봉합을 위해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면이 각각 제1 접촉경사면(270a)과 제2 접촉경사면(270b)을 이루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의 내측면 하부 후단부에는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가 상기 제1 결합구멍(240a)과 제2 결합구멍(240b)을 통과시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안내할 수 있는 제1 경사안내면(260a)과 제2 경사안내면(26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 경사안내면(260a)과 제2 경사안내면(260b)에 의해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는 형태를 유지함으로,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당길 경우 당겨지는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강한 힘으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경사안내면(260a)과 제2 경사안내면(260b)에 의해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 강한 힘으로 당길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와 함께 용이하게 당겨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가 서로 마주하여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1 결합구멍(240a) 및 상기 제2 밴드(230b)와 제2 결합구멍(240b)을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의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배치되게 구비하여 상기 제1 밴드(230a)는 제2 결합구멍(240b)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밴드(230b)는 제1 결합구멍(240a)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는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인체의 곡면을 따라 들뜸 없이 피부에 부착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에 의해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를 피부와 함께 당긴 후에는 가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절단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의료용 피부 봉합구는 절개된 상처가 벌어진 상태에서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피부에 부착된 후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의 탄력 및 장력을 이용하여 벌어진 상처를 오므리도록 당기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처 양쪽 피부의 이동 및 탄력 변동에 따라 피부와 함께 이동 및 변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재(200a)와 제2 고정부재(200b)는 얇고 탄력성인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봉합 시술이 이루어지면, 절개된 상처가 아무는 것과 더불어 상처의 감염 등에 의한 경과를 관찰하려면 상처 주변 조직의 관찰 또한 중요함으로, 상처 주변 피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이용하여 절개된 상처부위를 봉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g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구에 의해 절개된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피부 봉합구를 사용 전에 도 7a표시와 같이 절개된 상처 부위의 소독이 필수적이며, 이때 상처 부위의 소독은 최대한 깔끔하여야 함은 당연하고,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가 떨어지지 않고 견고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처 부위에 건조 및 기름기 등이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처 부위의 소독이 완료되면, 도 7b표시와 같이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의 끝단을 함께 잡은 상태에서 이형지(120)로부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를 떼어낸다.
이후, 도 7c표시와 같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위를 절개된 상처부위의 양쪽으로 위치되게 하여 도 7d표시 같이 피부에 견고하게 부착한다.
이때,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를 골고루 균일하게 눌러주어 피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e표시와 같이 절개된 상처의 크기에 따라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를 부착한다. 이때, 의료용 피부 봉합구의 간격은 대략 2~3mm 정도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개된 상처를 따라 여러 개의 의료용 피부 봉합구를 부착한 후에는 도 7f표시와 같이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당겨 피부에 부착된 제1 접착시트부재(100a)와 제2 접착시트부재(100b)의 간격이 좁혀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경사면(270a)과 제2 접촉경사면(270b)이 맞닿거나 혹은 맞닿을 정도로 좁혀지게 당겨서 절개된 상처를 꿰매지 않고 봉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당겨 절개된 상처를 봉합한 후에는 도 7g표시와 같이 제1 밴드(230a)와 제1 밴드(230a)의 돌출부위, 즉 여분이 없도록 상기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20a)와 제2 몸체(220b)에 최대한 가깝게 제1 밴드(230a)와 제2 밴드(230b)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를 거즈 등으로 덮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된 상처 부위의 양쪽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당겨 절개된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함으로 봉합에 의한 흉터가 남지않고, 또 통증없이 편리하게 봉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봉합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 밴드를 당길 경우 당겨지는 밴드가 경사안내면에 안내되어 밴드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함으로서 강한 힘으로 밴드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절개된 상처 부위가 최대한 붙도록 봉합할 수 있다. 즉, 당기는 힘이 약하게 되면 절개된 상처 부위가 완전히 오므라지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강한 힘으로 잡아당길 수 있게 함으로서 절개된 상처부위가 완전히 모므라지게 하여 봉합할 수 있다. 즉, 상처의 양쪽에서 오므리는 쪽으로 강한 힘을 가할 수 있어 확실한 봉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a - 제1 접착시트부재 100b - 제2 접착시트부재
102 - 접착층 200a - 제1 고정부재
200b - 제2 고정부재 210a - 제1 베이스판
210b - 제2 베이스판 220a - 제1 몸체
220b - 제2 몸체 230a - 제1 밴드
230b - 제2 밴드 240a - 제1 결합구멍
240b - 제2 결합구멍 250 - 스톱퍼
252a - 제1 래치형 고정돌기 252b - 제2 래치형 고정돌기
254a - 제1 걸림돌부 254b - 제2 걸림돌부
260a - 제1 경사안내면 260b - 제2 경사안내면
270a - 제1 접촉경사면 270b - 제2 접촉경사면

Claims (5)

  1. 절개된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에 있어서,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한 쌍의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 및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가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도록 당겨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상부면 선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
    상기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체로 각각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1 몸체와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부터 각각 띠 형상을 이루게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밴드와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서로 마주하도록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 및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 및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제1 걸림돌부와 제2 걸림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서로 마주하여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와 제1 결합구멍 및 상기 제2 밴드와 제2 결합구멍을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배치되게 구비하여 상기 제1 밴드가 제2 결합구멍에, 상기 제2 밴드가 제1 결합구멍에 각각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형 고정돌기와 제2 래치형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소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의 내측면 하부 후단부에는 상기 제1 밴드와 제2 밴드가 상기 제1 결합구멍과 제2 결합구멍을 통과시 제1 밴드와 제2 밴드의 끝단부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안내할 수 있는 제1 경사안내면과 제2 경사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절개된 상처 부위의 봉합을 위해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된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면이 각각 제1 접촉경사면과 제2 접촉경사면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시트부재와 제2 접착시트부재는 멸균 처리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1020170006517A 2017-01-13 2017-01-13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10175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517A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1-13 의료용 피부 봉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517A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1-13 의료용 피부 봉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236B1 true KR101758236B1 (ko) 2017-07-14

Family

ID=5935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517A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1-13 의료용 피부 봉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2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288A (zh) * 2019-06-26 2019-08-20 王铁刚 一种医用缝合拉扣
KR102033872B1 (ko) 2019-04-15 2019-10-17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US10702262B1 (en) 2019-04-19 2020-07-07 Suturegard Medical, Inc.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KR20200121221A (ko) 2019-04-15 2020-10-23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1-03-10 한수일 치과용 봉합 밴드
KR20210034825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7115A1 (en) 2000-05-10 2008-06-19 Canica Design, Inc. Clinical and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nd Stretching Plastic Tissue
US20080228219A1 (en) 2003-04-14 2008-09-18 Weiser Leslie P Wound closure device
KR101619500B1 (ko) 2015-07-13 2016-05-10 아성양행 주식회사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7115A1 (en) 2000-05-10 2008-06-19 Canica Design, Inc. Clinical and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nd Stretching Plastic Tissue
US20080228219A1 (en) 2003-04-14 2008-09-18 Weiser Leslie P Wound closure device
KR101619500B1 (ko) 2015-07-13 2016-05-10 아성양행 주식회사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050A (zh) * 2019-04-15 2020-11-24 全成根 外科伤口缝合贴
KR102033872B1 (ko) 2019-04-15 2019-10-17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US12011170B2 (en) 2019-04-15 2024-06-18 Sungguen JUN Band for surgical wound suture
KR102463528B1 (ko) 2019-04-15 2022-11-03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WO2020213793A1 (ko) * 2019-04-15 2020-10-22 전성근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KR20200121221A (ko) 2019-04-15 2020-10-23 전성근 의료용 피부 봉합기
WO2020214200A1 (en) * 2019-04-19 2020-10-22 Suturegard Medical, Inc.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JP2022529671A (ja) * 2019-04-19 2022-06-23 スチャーガー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半架橋体およびそ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JP7426404B2 (ja) 2019-04-19 2024-02-01 スチャーガー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半架橋体およびそ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US10702262B1 (en) 2019-04-19 2020-07-07 Suturegard Medical, Inc. Hemi-brid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CN110141288A (zh) * 2019-06-26 2019-08-20 王铁刚 一种医用缝合拉扣
KR20210034825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328082B1 (ko) 2019-09-23 2021-11-17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1-03-10 한수일 치과용 봉합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36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구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ES2747349T3 (es) Dispositivo para cerrar una abertura de tejidos
US10624641B2 (en)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US200602001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TW2009303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tures using self adhesive pads with anchors
MXPA02010751A (es) Sistema y metodo para mover y estirar tejido plastico.
KR101432499B1 (ko) 봉합사 삽입키트
KR20190084257A (ko) 상처 봉합 조성물 및 상처 봉합 조성물로 제조된 상처 봉합 장치
EP3331454B1 (en) Non-invasive wound closure device
KR20150088120A (ko) 의료용 상처 봉합장치
KR20150105757A (ko) 피부 봉합 조립체
KR20190112508A (ko) 의료용 봉합 유지기
KR102226712B1 (ko) 치과용 봉합 밴드
RU26748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закрытия отверстий в ткани
KR20240050982A (ko) 피부봉합유지기
KR20200025368A (ko) 의료용 봉합 유지기
JP2006095096A (ja) 生体内組織閉鎖具および生体内組織閉鎖装置
Roenigk et al. Simple Repairs/Jeff Lander and Frederick Fish
KR20040006162A (ko) 단추를 이용한 봉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