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712B1 - 치과용 봉합 밴드 - Google Patents

치과용 봉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712B1
KR102226712B1 KR1020200132457A KR20200132457A KR102226712B1 KR 102226712 B1 KR102226712 B1 KR 102226712B1 KR 1020200132457 A KR1020200132457 A KR 1020200132457A KR 20200132457 A KR20200132457 A KR 20200132457A KR 102226712 B1 KR102226712 B1 KR 10222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needle
suture
denta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일
Original Assignee
한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일 filed Critical 한수일
Priority to KR102020013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61B2017/086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having flexible threads, filaments, laces or wires, e.g. parallel threads, extending laterally from a strip, e.g. for tying to opposing threads extending from a similar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2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protection of wound surr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는, 구강 내 상처에 놓이며, 굽혀질 수 있는 차폐막; 상기 차폐막이 상기 상처에 고정되도록 상기 차폐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파이크 니들; 및 상기 스파이크 니들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차폐막 내부에 위치하는 봉합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봉합 밴드{Dental suture band}
본 발명은 치과용 봉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를 폐쇄하거나 치유하기 위하여, 상기 상처에는 의료용 밴드가 부착되거나 상처 주위의 조직을 봉합하는 시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료용 밴드는 상처를 둘러싸는 주위의 피부에 접착부가 직접 접착됨으로써 접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지혈면이 상기 상처를 압박하거나 상기 상처에 대어지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일반적인 의료용 밴드는 구강 외 피부조직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타액에 의해 상시 축축하게 젖어있는 잇몸 환경(또는 구강 환경)에 적합하지 못하며, 노출된 일반적인 피부 조직이 아닌 특유의 잇몸 환경에서 접착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하여, 상기 일반적인 의료용 밴드는 발치, 임플란트 시술 등 잇몸의 상처에 사용하기에는 위생, 의료적 효과 면에서 부적당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처를 봉합하기 위한 시술에는 의료용 바늘(needle), 의료용 실, 의료용 스테이플러 등이 이용됨으로써 상처 폐쇄, 외상성 손상 또는 결손의 수복 또는 피부 조직의 접합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의료용 실(이하, “봉합사”라고 한다.)은, 체내에서 시간이 지나면 완전히 분해되는 생체 흡수성을 가지도록 제조되거나, 영구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비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을 가지는 봉합사는, 봉합사 제거가 상처의 수복을 위태롭게 하는 상황 또는 자연 치유 과정이 봉합사 물질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력을 상처 치유 후엔 불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비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봉합사는, 심부 조직 수복, 높은 장력 상처 등 치유 기간이 오래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거나 또는 상기 봉합사가 장기간 상처에 고정력을 제공해야 하는 상처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치과의 시술에서 잇몸의 봉합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발치, 치주 수술, 임플란트 식립 등 치과의 다양한 시술에서 잇몸의 봉합은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안전하며 의료적인 효과가 우수하도록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잇몸의 봉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의료용 봉합침에 봉합사를 연결한 후, 상기 봉합침이 잇몸의 상처 조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봉합사에 의해 상처 부위가 폐쇄되도록 꿰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잇몸의 봉합은 치과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에 편차가 생기며, 상기 숙련도를 익히기 위해 수개월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잇몸의 상처 크기에 따라, 상처 부위에 콜라겐으로 제조된 차폐막을 덧대어 꿰매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더욱 시술 시간이 길어지며, 치과환자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분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막(membrane)도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으로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골 형성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해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강 내 노출로 인해 감염 위험이 높고, 2차적인 제거 수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흡수성 차폐막은 소, 돼지 등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주 원료로 한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2차적인 제거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상술한 내용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KR10-1758236 B1,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 10-2017-0024400 A, 치과용 봉합클램프 KR 10-2020-008653 A, 연결밴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과용 봉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잇몸 환경에 최적화된 치과용 봉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잇몸의 상처 부위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치과용 봉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과의사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치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치과용 봉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는, 구강 내 상처에 놓이며, 굽혀질 수 있는 차폐막; 상기 차폐막이 상기 상처에 고정되도록 상기 차폐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파이크 니들; 및 상기 스파이크 니들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차폐막 내부에 위치하는 봉합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막은, 상기 상처 부위에 맞닿는 컨택파트; 및 상기 컨택파트에 결합하는 커버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는 상기 컨택파트와 상기 커버파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여 결합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은 상기 커버파트와 상기 컨택파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파트 및 상기 컨택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파트와 상기 커버파트의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컨택파트와 상기 커버파트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흡수 스펀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파트 및 상기 컨택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흡수 스펀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흡수 스펀지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 스펀지는 상기 차폐막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 스펀지는 젤폼(Gel-for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파트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을 고정시키는 니들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니들 고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의 길이는 상기 니들 고정부의 장변을 따르는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차폐막의 장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봉합사는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을 양측 단부에 결합하여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차폐막의 단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갈고리 형상,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절곡 형상 및 C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봉합사가 통과하여 결합할 수 있는 통과홀;
상기 상처 주위의 조직에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 및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스파이크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지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단부는 상기 통과홀과 함께 상기 차폐막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트 니들은, 원주각(θ)이 90° 내지 270°로 설정되고, 반지름(R)이 0.2 mm 내지 3mm로 설정되는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지름(R)은 0.4mm 내지 1.5mm 설정되는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스파이크 니들의 실시예로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T” 형상 및 압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봉합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파이크 지지부; 및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스파이크 니들의 실시예로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잇몸에 삽입되는 침이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봉합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스파이크 지지부와 제 2 스파이크 지지부; 및 상기 제 1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과 상기 제 2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파이크 지지부 및 상기 제 2 스파이크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잇몸 특유의 환경에 알맞도록 사용자의 힘에 쉽게 휘어질 수 있으며 잇몸에 고통을 감소시키면서도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적어도 수 분이 걸리는 잇몸의 종래 봉합 시간을 매우 빠르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치과진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치과환자는 상대적으로 짧아진 시술 시간에 의해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흡수성 차폐막의 양 방향에서 결합 또는 접착되고, 그 사이에 흡수 스펀지를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흡수성 차폐막 보다 흡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봉합사에 의해 스파이크 니들을 고정시키는 장력이 유지됨으로써 흡수성 차폐막으로 잇몸의 상처에 부착하여도 종래 보다 긴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대적으로 상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잇몸의 상처에 간편하고 쉽게 부착 또는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상처를 지혈할 수 있어 편리하며, 종래 꿰매기 위한 시술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대적으로 상처 크기가 큰 경우에, 콜라겐으로 제조된 차폐막을 덧대어 꿰맬 필요 없이 간편하게 부착하여도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내부에 봉합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판단에 따라 용이하게 기존의 봉합 시술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 잇몸 조직을 통과한 스파이크 니들에 힘을 주어 외측으로 더 빼내면 봉합사가 가해진 힘에 의해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된 봉합사를 매듭 한다면 일반적인 봉합 시술을 구현하여도 시술 시간이 종래보다 짧아지고 지혈도 빨리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봉합사를 잘라(cut)내거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스파이크 니들을 상처 부위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치과용 봉합 밴드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가 잇몸의 상처에 부착되기 위한 적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의 일부 구성은 투시(점선)하여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1)는, 구강 내 상처 부위에 놓이는 차폐막(10,20), 상기 차폐막(10,20)에 의해 고정 또는 지지되는 흡수 스펀지(30), 상기 차폐막(10,20)을 상처 부위에 고정시키는 스파이크 니들(40,41) 및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에 장력을 제공하는 봉합사(50,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막(10,20)은 흡수성 차폐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콜라겐을 주 원료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차폐막(10,20)은 상처 부위로 침투하는 외부 물질(예를 들어, 박테리아 등)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막(10,20)은 1차적으로 상처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지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폐막(10,20)은 구강 내 상처 부위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막(10,20)은 상처 조직이 접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상처 부위에 맞닿아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1)는 상기 차폐막(10,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막(10,20)은 상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차폐막(10,20)은 꼭지점이 라운드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막(10,20)은 구강 내 다양한 상처 크기에 대응하고, 유아에서 성인까지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5mm ~ 50mm 사이의 장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장변의 1 내지 1/2의 길이인 단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1)는 특유의 구강 내(및/또는 잇몸) 환경에 기인하여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1)는 잇몸의 상처 부위를 가압 및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차폐막(10,20)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차폐막(10,20)은 탄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막(10,20)은 상처 부위에 맞닿는 컨택파트(20) 및 상기 컨택파트(20)에 결합하는 커버파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차폐막(10,20)은 상처의 지혈과 세균 등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컨택파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막(10,20)은 구강 내에서 또는 잇몸에 흡수 스펀지(30), 스파이크 니들(40,41) 및 봉합사(50,51)에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컨택파트(20)에 결합하는 커버파트(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파트(20)는 상처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의 차폐막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파트(20)는 상처와 접촉하는 대응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택파트(20)의 대응면에 반대되는 면에는 상기 커버파트(10)가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컨택파트(20)의 대응면이 향하는 방향은 하방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면의 반대되는 방향은 상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응면은 상기 컨택파트(20)의 하면이라 설명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면에 반대되는 면은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이라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파트(10)는 상기 컨택파트(2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1 접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접착부(11)는 상기 커버파트(10)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접착부(11)는 상기 컨택파트(2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커버파트(10)와 상기 컨택파트(20)에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파트(10)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부(11)에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접착부(11)를 따라 미세 박음질이 되어 상기 커버파트(10)와 상기 컨택파트(20)는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사이에는 스파이크 니들(40,41)에 결합된 봉합사(50,51)와 상기 흡수 스펀지(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에는 상기 봉합사(50,51) 및/또는 상기 흡수 스펀지(30)가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50,51) 및/또는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상방에서, 상기 커버파트(10)는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봉합사(50,51) 및/또는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결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봉합사(50,51) 및/또는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기 제 1 접착부(11) 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파트(10)는 제 2 접착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부(12)는 상기 제 1 접착부(11) 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착부(12)는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접착부(12)는 상기 커버파트(10)의 하면에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접착부(12)는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파트(10) 및 상기 컨택파트(20)에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착부(11)는 “커버 고정부”라고 이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접착부(12)는 “스펀지 고정부”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기 커버파트(10)와 상기 컨택파트(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 스펀지(30)의 중심은, 상기 차폐막(10,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2차적으로 상처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지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출혈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기 차폐막(10,2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상기 컨택파트(20)의 상면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 스펀지(30)는 젤폼(Gel-for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젤폼은 외용지혈제의 하나로서 정제젤라틴에 포름알데히드를 더해 열을 가해서 중합시키고 기포를 불어넣어 스폰지상으로 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젤폼은 다공성이며, 절개조직과 창상조직의 파열, 모세관과 세정맥에서의 출혈 등을 신속히 지혈시킬 수 있다.
상기 컨택파트(20)는 스파이크 니들(40,41)이 고정되는 니들 고정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봉합사(50,51)와 함께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의 수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이 관통되어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컨택파트(2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의 일 단부(40b, 도3 참고)를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의 관통 지점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의 일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의 일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봉합사(50,51)의 장력에 더하여 상기 니들 고정부(21,22)에 의해 고정되는 스파이크 니들(40,41)은 안정적으로 구강 내 조직 또는 잇몸에 박힐 수 있다.
즉,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구강 내 상처 주위의 조직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컨택파트(20)가 상기 상처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잇몸에 박힌 상태에서 상처의 벌어진 부위가 서로 접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처는 접촉파트(20)에 의해 둘러싸지므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실로 꿰매는 봉합 시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상처를 봉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스파이크 니들(40,41)의 일 단부가 소정의 힘을 가하면 쉽게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니들 고정부(21,22)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 또는 고정 부재의 형상, 종류 등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이 상기 니들 고정부(21,22)로부터 탈거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에 결합된 봉합사(50,5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봉합사(50,51)를 상기 차폐막(10,20)으로부터 뽑아 내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을 상처 주위에 통과시키고, 상기 봉합사(50,51)를 매듭지어서 상처 부위를 꿰맬 수도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차폐막(10,20)의 양측 끝 부분에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차폐막(10,20)이 상처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니들 고정부(21,22)를 통해 상기 컨택파트(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컨택파트(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컨택파트(20)의 저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차폐막(10,20)의 장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차폐막(10,20)의 단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컨택파트(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 1 스파이크 니들(40) 및 상기 제 1 스파이크 니들(40)과 상기 단변을 따라 이격된 상기 컨택파트(20)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 2 스파이크 니들(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파이크 니들(40)은 상기 장변을 따라 이격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스파이크 니들(41)은 상기 제 1 스파이크 니들(4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니들 고정부(21,22)는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이 상기 컨택파트(20)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제 1 니들 고정부(21)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스파이크 니들(41)이 상기 컨택파트(20)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는 제 2 니들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니들 고정부(21)는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니들 고정부(22)도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니들 고정부(21)는 상기 제 2 니들 고정부(22)와 상기 컨택파트(20)의 단변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 1 니들 고정부(21)와 상기 제 2 니들 고정부(22) 사이에 상기 흡수 스펀지(3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니들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된 스파이크 니들(40)과 결합하는 제 1 봉합사(50)와, 상기 제 2 니들 고정부(22)에 의해 고정된 스파이크 니들(41)과 결합하는 제 2 봉합사(51)는, 상기 흡수 스펀지(3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폐막(10,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나이, 체격, 상처의 상태 등 다양한 구강 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봉합사(50,51)는 실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50,51)는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40,41)을 연결하며,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을 이어주는 봉합사(50,51)는 차폐막(10,2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폐막(10,20)이 잇몸 형상을 따라 절곡되어도 상처와 맞닿는 컨택파트(20)의 대응면을 들뜨지 않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봉합사(50,51)는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에 양 단부가 결합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제 1 봉합사(50)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스파이크 니들(41)에 양 단부가 결합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제 2 봉합사(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봉합사(50)의 일 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 중 일 측에 위치된 니들의 통과홀(45,도3 참고)을 통과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 1 봉합사(50)의 타 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 중 타 측에 위치된 니들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봉합사(50)는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에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 1 스파이크 니들(4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합사(50,51)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에 결합되어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봉합사(50,51)는 상기 제 1 접착부(11)와 상기 제 2 접착부(12)에 의해 결합되는 컨택파트(20)와 커버파트(10)에 의하여 상하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장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40,41)을 고정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봉합사(50,51)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봉합사(50,51)의 길이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51)에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니들 고정부(21,22)의 장변을 따르는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봉합사(50,51)의 길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봉합사(50,51) 상기 봉합사(50,51)는 상기 제 1 접착부(11)와 상기 제 2 접착부(12)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봉합사(50,51)의 길이는, 상기 제 1 접착부(11)와 상기 제 2 접착부(12)의 사이 공간을 한도로 다양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봉합사(50,51)는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40,41)의 일 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착부(11)와 상기 제 2 접착부(12)의 사이에서 여러 방향으로 절곡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내 환경은 나이, 체격, 상처의 상태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잇몸은 사람에 따라 크기도 다양하며 건강 상태도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강 내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1)는, 봉합사(50,51)에 의해 지지되는 스파이크 니들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은 서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대략적으로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41)은 “씨(C) 스파이크 니들”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가는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의 중심점(O)을 기준으로 90°(또는 π/2) 내지 270°(또는 3π/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서로 이격되는 양측 단부(40a,40b)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대략적인 갈고리 형상,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절곡 형상 또는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이 상처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면서 상처를 둘러싸는 차폐막(10,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의 양측 단부(40a,40b) 중 일 단부(40b)는 니들 고정부(41)에 의해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사이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일 단부(40b)는 “지지 단부”라고 이름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의 양측 단부(40b) 중 타 단부(40a)는 잇몸에 삽입 및/또는 결합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끝이 뾰족한 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타 단부(40a)는 “스파이크 단부”라고 이름한다.
즉,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봉합사(50)가 통과하여 결합할 수 있는 통과홀(45), 구강 내 상처 주위의 조직(예를 들어, 잇몸 등)에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40a) 및 상기 통과홀(45)이 형성된 위치에 근접하며, 니들 고정부(21,22)에 의해 고정 또는 지지되는 지지 단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45)은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의 몸체를 양측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45)에는 봉합사(50)가 통과되어 상기 스파이크 니들(4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단부(40b)는 상기 스파이크 단부(40a)와 달리 뭉툭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단부(40b)는 상기 통과홀(45)과 함께 상기 커버파트(10)와 상기 컨택파트(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단부(40a)는 용이하게 잇몸에 삽입될 수 있도록 끝을 향하여 뽀족한 첨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종래 상처를 꿰매기 위해 봉합사가 매듭되어 상처 부위를 관통하는 봉합침 보다, 원호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환자는 상대적으로 고통을 덜 느끼게 되고 다수의 스파이크 니들(40,41)이 박혀 있어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의 원호 길이는, 반지름(R)과 원주각(θ)의 곱으로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주각(θ)은 90°(또는 π/2) 내지 270°(또는 3π/2)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지름(R)은 0.2 내지 3(m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잇몸 내부에 치조골이 위치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부(40a)가 잇몸에 박힐 수 있는 깊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반지름(R)은 0.4 내지 1.5(mm)가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0)은 압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대략적으로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0)은 “티(T) 스파이크 니들”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은 봉합사(50)가 통과하는 통과홀(450)이 형성되는 지지부(410), 상기 지지부(41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파이크 지지부(420) 및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의 끝단에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단부(400a)의 형상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스파이크 단부(40a)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410)와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의 중심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통과홀(4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니들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410)는 상대적으로 넓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410)의 하면이 상기 니들 고정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는 상기 지지부(410)의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컨택파트(20)와 상기 커버파트(10)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는 상기 컨택파트(2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의 직경은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는 일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의 연장 길이는 2mm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단부(420a)는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의 연장 방향의 끝 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단부(400a)는 상기 연장 방향을 향할수록 뽀족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20) 및 상기 스파이크 단부(400a)는, 상기 지지부(4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410) 및 상기 스파이크 단부(400a)는, 상대적으로 넓은 잇몸 폭을 요구하는 다른 실시예의 형상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잇몸에 보다 적합하게 삽입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티(T) 스파이크 니들(400)은 잇몸이 얇을 때 잇몸 뼈에 고정시키기 유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은 상대적으로 잇몸이 얇은 어린이 등에 사용이 적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00)은 대략적인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니들(4000)은 “딥(deep) 스파이크 니들”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은 통과홀(4500)이 형성되는 지지부(4100) 및 상기 지지부(4100)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스파이크 지지부(4001)와 제 2 스파이크 지지부(40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파이크 지지부(4001) 및 상기 제 2 스파이크 지지부(4002)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파이크 지지부(4001) 및 상기 제 2 스파이크 지지부(4002)의 끝 단에는, 각각, 스파이크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파이크 지지부(4001,4002)와 상기 각각의 스파이크 단부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2 실시예를 원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 1,2 실시예와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의 차이점은, 잇몸에 박히는 침의 숫자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4100)는 커버파트(10)와 컨택파트(20)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면이 상기 니들 고정부(2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4100)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2스파이크 지지부(4001,4002) 및 제1,2스파이크 단부가 잇몸에 박히기 때문에, 상술한 제 1,2 실시예 보다 잇몸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파이크가 2개로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은, 2개의 스파이크 단부(4001,4002)가 수직 방향으로 잇몸에 박힐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은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 보다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은 상대적으로 정상보다 두꺼운 잇몸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씨 스파이크 니들(40,41)은 두꺼운 잇몸 상태를 유지하는 성인에게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과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은, 잇몸에 삽입되기 위하여 의료용 망치에 의해 타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의 지지부(410)와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의 지지부(4100)는 상기 의료용 망치가 타격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씨 스파이크 니들(40,41)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의료용 망치질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씨 스파이크 니들(40,41)은 곡선 형상에 의해 잇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티 스파이크 니들(400)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딥 스파이크 니들(4000) 보다 얇은 잇몸에서도 적용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봉합 밴드가 잇몸의 상처에 부착되기 위한 적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1)가 잇몸(G)의 상처(I) 부위에 적용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례로, 잇몸(G)의 치아(T)를 발치하는 경우, 상기 잇몸(G)에는 상처(I)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처(I)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치과용 봉합 밴드(1)를 접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택파트(20)의 대응면이 상처(I)를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이 형성된 부분에 힘(F)을 가해주면서 상기 차폐막(10,20)의 양측(단변) 부분을 굽힐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은 뾰족하고 얇은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상처(I) 주위의 잇몸에 박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처(I) 주위 조직을 서로 접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이 잇몸에 박힌 상태에서 힘(F)을 지속적으로 가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봉합사(50,51)의 장력에 의해 잇몸(F)에 박힌 상기 스파이크 니들(40,41)은 상기 상처(I) 주위의 조직을 당겨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처(I) 주위 조직을 접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니들(40)이 상기 잇몸(G)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파트(20)의 대응면은 상기 상처(I)와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막(10,20)과 흡수 스펀지(30)는 함께 상처(I)의 지혈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치과용 봉합 밴드(1)를 상처(I)에 적용시킴으로써, 종래 상처를 꿰매기 위한 시술 보다 시술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상처 봉합에 대한 난이도가 낮아져서 숙련도와 상관없이 상처 봉합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1 : 치과용 봉합 밴드
10,20 : 차폐막
30 : 흡수 스펀지
40,400,4000: 스파이크 니들
50: 봉합사

Claims (20)

  1. 구강 내 상처에 놓이는 컨택파트와 상기 컨택파트에 결합하는 커버파트를 가지며, 굽혀질 수 있는 차폐막;
    상기 차폐막이 상기 상처에 고정되도록 상기 컨택파트로부터 돌출되는 스파이크 니들;
    상기 스파이크 니들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는 봉합사; 및
    상기 상처의 지혈을 위한 흡수 스펀지를 포함하며,
    상기 봉합사와 상기 흡수 스펀지는, 상기 컨택파트와 상기 커버파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콜라겐을 원료로 하는 흡수성 차폐막을 포함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여 결합되는 통과홀을 형성하며,
    상기 통과홀은, 상기 커버파트와 상기 컨택파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파트 및 상기 컨택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파트 및 상기 컨택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흡수 스펀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흡수 스펀지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스펀지는 상기 차폐막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수 스펀지는 젤폼(Gel-form)을 포함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파트는, 상기 스파이크 니들을 고정시키는 니들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니들 고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치과용 봉합 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길이는 상기 니들 고정부의 장변을 따르는 이격 거리로 설정되는 치과용 봉합 밴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차폐막의 장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차폐막의 단변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봉합사는 상기 한 쌍의 스파이크 니들을 양측 단부에 결합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봉합 밴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여 결합할 수 있는 통과홀;
    상기 상처 주위의 조직에 박힐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 및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스파이크 단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지지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갈고리 형상,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절곡 형상 및 “C”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봉합 밴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단부는, 상기 통과홀과 함께 상기 차폐막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치과용 봉합 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트 니들은, 원주각(θ)이 90° 내지 270°로 설정되고, 반지름(R)이 0.2 mm 내지 3mm로 설정되는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치과용 봉합 밴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파이크 지지부; 및
    상기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T” 형상 및 압정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봉합 밴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상기 봉합사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스파이크 지지부와 제 2 스파이크 지지부; 및
    상기 제 1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과 상기 제 2 스파이크 지지부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스파이크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 니들은 잇몸에 삽입되는 침이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ㄷ” 형상을 가지는 치과용 봉합 밴드.
  20. 삭제
KR1020200132457A 2020-10-14 2020-10-14 치과용 봉합 밴드 KR10222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57A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0-10-14 치과용 봉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57A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0-10-14 치과용 봉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712B1 true KR102226712B1 (ko) 2021-03-10

Family

ID=7514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57A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0-10-14 치과용 봉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7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2A (ja) * 1993-03-26 1994-10-04 Yuichi Abe 歯槽骨再生用歯科治療材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20120003231U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한국메디코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창상피복재
KR20150133671A (ko) * 2015-10-30 2015-11-30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KR20170024400A (ko) 2015-08-25 2017-03-07 황동환 치과용 봉합클램프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20200008653A (ko) 2017-07-06 2020-01-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2A (ja) * 1993-03-26 1994-10-04 Yuichi Abe 歯槽骨再生用歯科治療材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20120003231U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한국메디코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창상피복재
KR20170024400A (ko) 2015-08-25 2017-03-07 황동환 치과용 봉합클램프
KR20150133671A (ko) * 2015-10-30 2015-11-30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KR20200008653A (ko) 2017-07-06 2020-01-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sted Ligature and suture material: the employment of fine silk in preference to catgut and the advantages of transfixion of tissues and vessels in control of hemorrhage also an account of the introduction of gloves, gutta-percha tissue and silver foil
ES2747349T3 (es) Dispositivo para cerrar una abertura de tejidos
US5047047A (en) Wound closing device
US3831608A (en) Suture bridges
ES2924558T3 (es) Aparato de cierre de herida vascular
US20080051833A1 (en) Suture passer and method of passing suture material
KR101758236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구
JPH10504216A (ja) 穿刺閉鎖部
TW2009303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tures using self adhesive pads with anchors
WO2000072798A1 (en) Safe needle, placebo needle, and needle set for double blind
KR102226712B1 (ko) 치과용 봉합 밴드
US9393012B2 (en) Suture needle guard
KR20190059673A (ko) 피부 리프팅용 수술 도구
JPH02232047A (ja) 治療準備用の無菌粘着フォイル
JP2017520366A (ja) デバイス
CN109893185B (zh) 缝合装置
JPS5948A (ja) 皮膚創傷急速縫合装置
RU2809965C1 (ru)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апикально-фиксирующего шва при операциях вестибулопластики по Едранову С.С.
Hollander et 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acial lacerations
Berrett et al. Wound Closure
RU2088168C1 (ru) Способ сочетан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ри переломе нижней челюсти
CN213249386U (zh) 一种体表缝合辅助单元
CN219557420U (zh) 口腔专用缝线套扎装置
KR100773326B1 (ko) 외과 상처봉합용 밴드
US20230285153A1 (en) Dental mesh for covering bone graf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