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28B1 - 의료용 피부 봉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피부 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28B1
KR102463528B1 KR1020190117112A KR20190117112A KR102463528B1 KR 102463528 B1 KR102463528 B1 KR 102463528B1 KR 1020190117112 A KR1020190117112 A KR 1020190117112A KR 20190117112 A KR20190117112 A KR 20190117112A KR 102463528 B1 KR102463528 B1 KR 10246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fixing part
attached
suture
tra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221A (ko
Inventor
전성근
Original Assignee
전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37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3872B1/ko
Application filed by 전성근 filed Critical 전성근
Priority to KR102019011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된 피부의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할 수 있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봉합부를 기준으로 양쪽의 피부에 각각 접착되는 제1 접착시트와 제2 접착시트; 제1 접착시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의 상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제1 견인부재; 제2 접착시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의 상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제2 견인부재; 제2 접착시트의 일측에 이격하며 제1 견인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손잡이; 및 제1 접착시트의 일측에 이격하며 제2 견인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피부 봉합기{Medical suturing device}
본 발명은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된 피부의 상처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할 수 있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3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중에서 표피층은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진피층은 표피 아래층에 있으며 콜라겐섬유와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단백질로 이루어진 혈관, 신경, 땀샘 등이 있다. 또한,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피부는 체온 조절과 외부 환경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피부층은 부주의에 의한 사고로 인하여 피부가 절개되어 손상되며, 손상된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세균감염방지와 상처치료를 위해서는 봉합을 하여 상처부위가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처의 절개된 부위(이하, '봉합부')를 봉합하기 위한 봉합술은, 찢어져서 벌어진 피부면을 가능한 가깝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출혈 및 감염을 방지하고, 조직의 기능보존 및 외관을 유지하며, 상처가 빠르게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봉합술은 피부에 상처가 생긴 후 일찍 실시할수록 치료결과가 더 좋으므로 가능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소독된 기구와 물품을 사용하여 봉합하여야 한다.
이전에는 주로 봉합사(실)를 이용하여 봉합하였으나, 상처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는 봉합사 이외에도 스테이플(staple)이나 테이프(tape), 봉합풀 등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재료마다 나름대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피부조직을 붙여 일정 기간 동안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켜 준다는 원칙은 모두 동일하다.
이 중에서 봉합사나 스테이플은 상처를 단단히 결속하는 이점이 있으나, 봉합하는 과정에서 봉합사나 스테이플에 의한 흉터가 남는 단점이 있다. 또한, 봉합풀은 봉합력이 약해서 상처가 다시 벌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테이프의 경우에는 봉합부를 테이프가 가려서 이후 소독 등의 후속 처치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KR 10-1758236 B1 (2017.07.10 등록) KR 10-1564648 B1 (2015.10.26 등록) KR 10-1619500 B1 (2016.05.02 등록) KR 10-2015-0088120 A (2015.07.3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부를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한 의료용 피부 봉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봉합 후에도 봉합부의 소독 등 후속 처치가 가능한 의료용 피부 봉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합부를 봉합하기 위해 제1,제2 견인부재를 당겼을 때, 봉합부의 상당 부분이 제1,제2 선형부재 사이로 노출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합부를 기준으로 양쪽의 피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접착시트와 제2 접착시트; 상기 제1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봉합부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1 견인부재와 상기 제2 견인부재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견인부재는, 상기 제1 접착시트에 부착되는 제1-1 고정부와, 상기 제1-1 고정부에서 상기 제2 접착시트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선형부재와, 상기 제1 선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에 부착되는 제1-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제1 접착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봉합부 대향 모서리 쪽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선형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가 상기 제1 선형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선형부재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제1 선형부재의 양단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2 고정부까지 연장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1 고정부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제2 접착시트의 외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부가 부착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에 의하면, 봉합부의 양쪽에 제1,제2 접착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제1,제2 견인부재를 당겨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꿰매지 않고도 피부 봉합이 가능하여 흉터가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에 의하면, 봉합부의 상당 부분이 제1,제2 선형부재 사이로 노출되므로, 봉합 후에도 봉합부에 대한 소독 등 후속 처치가 가능하여 상처 회복이 빠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선형부재의 부분 확대도.
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벌어진 봉합부(10)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제2 견인부재(400,5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견인부재(400)는 제1 접착시트(2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300)의 상부를 지나서 연장되며, 제2 견인부재(500)는 제2 접착시트(3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를 지나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견인부재(400)를 제2 접착시트(300)의 외측으로 잡아당기고, 제2 견인부재(500)를 제1 접착시트(200)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제1 견인부재(400)에 의해 제1 접착시트(200)가 제2 접착시트(300) 방향으로 당겨지고, 제2 견인부재(500)에 의해 제2 접착시트(300)가 제1 접착시트(200) 방향으로 당겨져서 제1,제2 접착시트(200,300) 간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게 된다. 이때, 제1 접착시트(200)가 부착된 피부가 제2 접착시트(300) 방향으로 당겨지고, 제2 접착시트(300)가 부착된 피부는 제1 접착시트(200) 방향으로 당겨져서 봉합부(10) 양측의 피부가 서로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제2 견인부재(400,500)가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를 따라 제1 견인부재(400)와 제2 견인부재(500)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제2 견인부재(400,500)에 의한 견인력이 제1,제2 접착시트(200,300)에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제1,제2 견인부재(400,500)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제1,제2 접착시트(200,300)가 한쪽으로 비틀어지지 않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제1,제2 견인부재(400,500)는 서로 서로 상이한 개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견인부재(400)가 제2 견인부재(500)보다 하나 더 많거나, 반대로 제2 견인부재(500)가 제1 견인부재(400)보다 하나 더 많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견인부재(400)는 제1-1 고정부(410)와 제1 선형부재(420) 및 제1-2 고정부(430)를 포함하며, 제2 견인부재(500)는 제2-1 고정부(510)와 제2 선형부재(520) 및 제2-2 고정부(530)를 포함한다. 제1-1 고정부(410)와 제2-1 고정부(510), 제1 선형부재(420)와 제2 선형부재(520), 그리고 제1-2 고정부(430)와 제2-2 고정부(530)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제1 견인부재(400)의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1 고정부(410)가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제1-1 고정부(410)는 제1 선형부재(420)의 일단을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서 제1 선형부재(420)의 일단을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면에 고정 부착하는 접착제층 또는 접착테이프 등 제1 접착시트(200)와 구분되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선형부재(420)의 일단이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면에 융착된 경우, 제1-1 고정부(410)는 제1 선형부재(420)와 제1 접착시트(200)의 융착부를 가리킨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접착시트(200)와 제1 선형부재(420)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제1-1 고정부(410)는 제1 접착시트(200)와 제1 선형부재(420)의 연결부를 가리킨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고정부(410)는 제1 선형부재(420)의 일단과 제1 접착시트(200)를 연결하는 모든 구성이 해당될 수 있다.
제1 선형부재(420)는 제1-1 고정부(4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300) 쪽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선형부재(420)는 길이에 비해 폭(또는 직경이나 두께)이 작은 선형부재로서, 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선형부재(420)는 의료용 실 등의 섬유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줄이나 끈,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1 고정부(410)와 제1 선형부재(420)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선형부재(420)가 섬유사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선형부재(420)의 양단이 제1-1 고정부(410)와 제1-2 고정부(430)에 각각 의료용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제1-2 고정부(430)는 제1 선형부재(420)에 견인력을 가하는 한편, 제1 선형부재(420)에 걸린 장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이 제1 선형부재(420)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손잡이(600)에 고정된다. 일 예로서, 제1-2 고정부(430)는 의료용 습윤밴드로 사용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 고정부(430)의 하부면에는 접착층(800)이 형성되고 접착층(800)의 하부에는 보호시트(900)가 부착된다. 제1-2 고정부(430)의 보호시트(900)는 후술하는 제1 손잡이(600)의 보호시트(9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형부재(420)의 타단은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제1-2 고정부(43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제1 선형부재(420)의 타단이 제2-2 고정부(53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선형부재(420)와 제1-2 고정부(430)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2 고정부(430)는 제1 선형부재(420)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제1 선형부재(4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는, 봉합부(10)에 부착시 제1 선형부재(420)와 제2 선형부재(520)가 봉합부(10)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된다. 이때, 제1,제2 선형부재(420,520)가 가는 굵기의 실이나 와이어로 이루어짐에 따라, 봉합부(10)의 상당 부분이 제1 선형부재(420)와 제2 선형부재(520)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어 소독 등 후속 처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1 선형부재(420)에 비해 폭이 넓은 제1-2 고정부(430)가 봉합부(10)를 가리지 않도록, 시술시 제1 선형부재(420)의 타단이 고정된 제1-2 고정부(430)의 일단은 봉합부(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2 접착시트(30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손잡이(600)와 제2 손잡이(700)는 각각 제1 견인부재(400)와 제2 견인부재(500)를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접착시트(300)와 제1 접착시트(200)의 외측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손잡이(600)와 제2 손잡이(700)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제1,제2 손잡이(600,700)는 전술한 제1,제2 접착시트(200,3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고정부(430)의 타단이 제1 손잡이(600)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2-2 고정부(530)의 타단이 제2 손잡이(70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일 예로서, 제1,제2 지지대(430,530)의 타단이 제1,제2 손잡이(600,700)의 상부면에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손잡이(600)와 제2 손잡이(700)는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일측 모서리에 제1-2 고정부(430) 또는 제2-2 고정부(530)와 대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2 고정부(430)와 제2-2 고정부(530)는 지지대의 상부면에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2 고정부(430)와 제1 손잡이(600), 그리고 제2-2 고정부(530)와 제2 손잡이(700)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2 손잡이(600,700)의 하부면에는 접착층(800)과 보호시트(900)가 구비되는데, 제1 손잡이(600)와 제1-2 고정부(430), 그리고 제2 손잡이(700)와 제2-2 고정부(530)의 하측면에는 동일한 보호시트(900)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상태도이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보호시트(900)를 제거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를 기준으로 봉합부(10)의 양측 피부에 제1,제2 접착시트(200,300)를 부착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600)와 제1-2 고정부(430), 그리고 제2 손잡이(700)와 제2-2 고정부(530)로부터 보호시트(900)를 제거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손잡이(600)와 제1-2 고정부(430), 그리고 제2 손잡이(700)와 제2-2 고정부(530)에 동일한 보호시트(900)가 부착되어 각각 한 번에 보호시트(900)가 제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달리 제1-2 고정부(430), 제2-2 고정부(530), 제1 손잡이(600) 및 제2 손잡이(700)에 각각 별도의 보호시트(900)가 부착된 경우에는, 각각 별도로 보호시트(900)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600)를 제2 접착시트(300)의 외측으로, 그리고 제2 손잡이(700)를 제1 접착시트(200)의 외측으로 잡아당긴다.
이 과정에서, 제1 손잡이(600)가 제1-2 고정부(430)를 잡아당기고, 제1-2 고정부(430)는 제1 선형부재(420)를 잡아당기며, 제1 선형부재(420)의 일단이 고정된 제1 접착시트(200)가 제2 접착시트(300)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손잡이(700)가 제2-2 고정부(530)를 잡아당기고, 제2-2 고정부(530)는 제2 선형부재(520)를 잡아당기며, 제2 선형부재(520)의 일단이 고정된 제2 접착시트(300)가 제1 접착시트(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접착시트(200)와 제2 접착시트(300)가 각각 부착된 봉합부(10) 양측의 피부가 서로 간의 간격을 좁히면서 서로 맞닿아 봉합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를 봉합한 상태에서 제1 손잡이(600)와 제2 손잡이(700)를 피부에 부착한다. 동시에, 제1-2 고정부(430)는 제2 접착시트(300) 및 피부에 부착되고, 제2-2 고정부(530)는 제1 접착시트(200) 및 피부에 부착된다.
이때, 봉합부(10)가 다시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제1,제2 선형부재(520)에 걸리는 장력을 제1-2 고정부(430)와 제1 손잡이(600), 그리고 제2-2 고정부(530)와 제2 손잡이(700)가 지지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손잡이(600,700)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2 고정부(430)와 제2-2 고정부(530)에 절취선(431,5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에 의하면, 제1,제2 선형부재(420,520)가 가는 굵기의 실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줄로 이루어짐에 따라, 봉합부(10)의 상당 부분이 제1 선형부재(420)와 제2 선형부재(520) 사이로 노출된다. 따라서,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의 시술 이후에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에 대하여 소독 등 후속 처치가 용이하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는, 봉합부(10)의 양측 피부에 제1 접착시트(200)와 제2 접착시트(300)가 각각 접착되고, 제1,제2 접착시트(200,300)를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당겨서 봉합부(10)를 밀착시킨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유사하다.
다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제2 견인부재(4000,5000)와 제1,제2 손잡이(6000,70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바,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접착시트(200)와 제2 접착시트(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1 견인부재(4000)는 제1 접착시트(200)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300)의 상부로 연장되며, 제2 견인부재(5000)는 제2 접착시트(300)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로 연장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제2 견인부재(4000,5000)가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 형성된다. 예컨대, 봉합부(10)를 따라 제1 견인부재(4000)와 제2 견인부재(5000)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제2 견인부재(4000,5000)에 의한 견인력이 제1,제2 접착시트(200,300)에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제1,제2 견인부재(4000,5000)는 서로 서로 상이한 개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견인부재(4000)는 제1 접착시트(200)에 부착되는 제1-1 고정부(4100)와, 제1-1 고정부(4100)에서 제2 접착시트(30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선형부재(4200)와, 제1 선형부재(4200)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1 손잡이(6000)에 부착되는 제1-2 고정부(4300)를 포함한다.
제2 견인부재(5000)는 제2 접착시트(300)에 부착되는 제2-1 고정부(5100)와, 제2-1 고정부(5100)에서 제1 접착시트(20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선형부재(5200)와, 제2 선형부재(5200)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2 손잡이(7000)에 부착되는 제2-2 고정부(5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1 고정부(4100)와 제2-1 고정부(5100), 제1 선형부재(4200)와 제2 선형부재(5200), 그리고 제1-2 고정부(4300)와 제2-2 고정부(5300)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제1 견인부재(4000)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제2 견인부재(4000,50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고정부(4100)와 제1 선형부재(4200) 및 제1-2 고정부(4300)가 예컨대 나일론 등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제1-1 고정부(4100)는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이때, 제1-1 고정부(4100)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사각형 같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1-1 고정부(4100)의 구체적인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시트(200)의 내측에서 봉합부(10) 대향 모서리 쪽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나팔 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제1-1 고정부(4100)가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1 고정부(4100)의 테두리는 제1 접착시트(20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직선부(4110)와, 제1 직선부(4110)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제1 접착시트(200)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제1 경사부(4120)와, 한 쌍의 제1 경사부(4120)의 끝단에서 제1 경사부(4120)의 경사각보다 더 큰 각도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경사부(4130)와, 한 쌍의 제2 경사부(413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직선부(4140)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1-1 고정부(4100)의 외측 폭이 내측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은, 제1 선형부재(4200)에 의해 제1-1 고정부(4100)가 당겨질 때 제1-1 고정부(4100)에 전달된 힘을 분산시켜, 제1 접착시트(200)의 봉합부(10) 대향 모서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이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1 고정부(4100)는 제1 접착시트(200)의 봉합부(10) 대향 모서리에 제1 직선부(4110)가 인접하게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고정부(4100)의 일측에서 제1 선형부재(4200)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선형부재(4200)는 길이에 비해 폭(또는 직경이나 두께)이 작은 와이어 형태, 예컨대 합성수지 재질의 줄이나 끈, 또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고정부(4300)는 제1 선형부재(4200)에 견인력을 가하는 한편, 제1 선형부재(4200)에 걸린 장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제1 선형부재(4200)의 끝단에 제1 선형부재(4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제1-2 고정부(4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 손잡이(6000)의 제1 지지대(6200)의 형태와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1 손잡이(6000)의 제1 지지대(6200)에 부착되어 제1 선형부재(4200)에 걸린 장력을 지지할 수 있다면, 제1-2 고정부(4300)의 규격과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손잡이(6000)와 제2 손잡이(7000)는 각각 제1 견인부재(4000)와 제2 견인부재(5000)를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손잡이(6000)는 제2 접착시트(3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손잡이(7000)는 제1 접착시트(2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손잡이(6000)는 제1 파지부(6100)와, 제1 파지부(6100)의 내측 모서리에서 봉합부(1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대(6200)를 포함하며, 이때 제1 파지부(610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1 지지대(6200)가 제1 파지부(6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손잡이(7000)는 제2 파지부(7100)와, 제2 파지부(7100)의 내측 모서리에서 봉합부(1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대(7200)를 포함하며, 이때 제2 파지부(710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2 지지대(7200)가 제2 파지부(7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파지부(6100)와 제2 파지부(7100), 제1 지지대(6200)와 제2 지지대(7200)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제1 손잡이(6000)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제2 손잡이(6000,70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 견인부재(4000)의 제1-2 고정부(4300)가 의료용 접착제에 의해 제1 지지대(6200)의 상측에 부착된다. 한편, 제1 지지대(6200)와 제1 파지부(6100)를 포함하는 제1 손잡이(6000)는 예컨대 의료용 습윤밴드로 사용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손잡이(6000)의 하부면에는 접착층(800)과 보호시트(900)가 구비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상태도이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의 사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보호시트(900)를 제거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를 기준으로 봉합부(10)의 양측 피부에 제1,제2 접착시트(200,300)를 부착한다.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6000)와 제2 손잡이(7000)로부터 보호시트(900)를 제거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6100)를 제2 접착시트(300)의 외측으로, 그리고 제2 파지부(7100)를 제1 접착시트(200)의 외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제1 지지대(6200)가 제1-2 고정부(4300)를 잡아당기고, 제1-2 고정부(4300)는 제1 선형부재(4200)를 통해 제1-1 고정부(4100)를 잡아당기며, 제1-1 고정부(4100)가 부착된 제1 접착시트(200)가 제2 접착시트(300)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지지대(7200)가 제2-2 고정부(5300)를 잡아당기고, 제2-2 고정부(5300)는 제2 선형부재를 통해 제2-1 고정부(5100)를 잡아당기며, 제2-1 고정부(5100)가 부착된 제2 접착시트(300)가 제1 접착시트(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1 손잡이(6000)와 제2 손잡이(70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 접착시트(200)와 제2 접착시트(300)가 각각 부착된 봉합부(10) 양측의 피부가 서로 간의 간격을 좁히면서 서로 맞닿아 봉합되는 것이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10)를 봉합한 상태에서 제1 파지부(6100)와 제2 파지부(7100)를 피부에 부착한다. 이때, 제1 지지대(6200)는 제2 접착시트(300)에 부착되고, 제2 지지대(7200)는 제1 접착시트(200)에 부착되어, 제1 선형부재(4200)와 제2 선형부재(5200)에 걸린 장력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물론, 제1,제2 손잡이(7000)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제1,제2 지지대(6200,7200)가 제2,제1 접착시트(300,200)의 테두리를 지나 피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만, 제1-2 고정부(4300)가 제2 접착시트(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2-2 고정부(5300)가 제1 접착시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2 고정부(4300)와 제2-2 고정부(5300)의 단부가 의복 등 외부의 물체에 걸려서 분리되거나 접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1,제2 파지부(6100,7100)를 절취하여 제거하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제2 지지대(6200,7200)의 일부와 함께 제1,제2 파지부(6100,7100)를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제2 지지대(6200,7200)에 절취선(6210,721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에 의하면, 제1,제2 선형부재(4200,5200)가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는 굵기의 줄이나 끈 또는 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봉합부(10)의 상당 부분이 제1 선형부재(4200)와 제2 선형부재(5200) 사이로 노출된다. 따라서,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의 시술 이후에도 봉합부(10)에 대하여 소독 등 후속 처치가 용이하다.
또한, 제1-1 고정부(4100)와 제2-1 고정부(5100)의 외측 폭이 내측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제2 선형부재(4200,5200)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각각 분산시켜,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봉합부(10) 대향 모서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이 걸리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선형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A)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의료용 피부 봉합기(1000)와 전체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제1,제2 선형부재(4200A,5200A)의 일단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1-1, 제2-1 고정부(4100,5100)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선형부재(4200A)는, 일단이 제1-2 고정부(4300)까지 연장되는 제1 몸체부(4210A)와, 제1 몸체부(4210A)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제1-1 고정부(4100)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지부(4220A)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선형부재(5200A)는 일단이 제2-2 고정부(5300)까지 연장되는 제2 몸체부(5210A)와, 제2 몸체부(5210A)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제2-1 고정부(5100)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지부(5220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제2 선형부재(4200A,5200A)의 일단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1-1,제2-1 고정부(4100,5100)로 각각 연장되는 경우, 제1,제2 선형부재(4200A,5200A)에 의한 견인력이 제1-1,제2-1 고정부(4100,510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작용됨으로써, 국부적인 힘의 집중에 의한 제1-1,제2-1 고정부(4100,5100)의 분리나 제1,제2 접착시트(200,300)의 뒤틀림 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봉합부
100,1000,1000A : 의료용 피부 봉합기
200 : 제1 접착시트
300 : 제2 접착시트
400,4000 : 제1 견인부재
420,4200,4200A : 제1 선형부재
500,5000 : 제2 견인부재
520,5200,5200A : 제2 선형부재
600,6000 : 제1 손잡이
700,7000 : 제2 손잡이

Claims (8)

  1. 봉합부를 기준으로 양쪽의 피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접착시트와 제2 접착시트;
    상기 제1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재 및 상기 제2 견인부재는 서로 서로 상이한 개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제2 손잡이의 하부면에 접착층과 보호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부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1 견인부재와 상기 제2 견인부재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3. 봉합부를 기준으로 양쪽의 피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접착시트와 제2 접착시트;
    상기 제1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2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1 접착시트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 견인부재;
    상기 제2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접착시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견인부재의 타단이 부착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재 및 상기 제2 견인부재는 서로 서로 상이한 개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견인부재는, 상기 제1 접착시트에 부착되는 제1-1 고정부와, 상기 제1-1 고정부에서 상기 제2 접착시트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선형부재와, 상기 제1 선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에 부착되는 제1-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제1 접착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봉합부 대향 모서리 쪽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가 상기 제1 선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부재는 섬유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 고정부 및 상기 제1-2 고정부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제1 선형부재의 양단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2 고정부까지 연장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1 고정부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제2 접착시트의 외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부가 부착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0190117112A 2019-04-15 2019-09-23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46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112A KR102463528B1 (ko) 2019-04-15 2019-09-23 의료용 피부 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711A KR102033872B1 (ko) 2019-04-15 2019-04-15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1020190117112A KR102463528B1 (ko) 2019-04-15 2019-09-23 의료용 피부 봉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711A Division KR102033872B1 (ko) 2019-04-15 2019-04-15 의료용 피부 봉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21A KR20200121221A (ko) 2020-10-23
KR102463528B1 true KR102463528B1 (ko) 2022-11-03

Family

ID=8404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112A KR102463528B1 (ko) 2019-04-15 2019-09-23 의료용 피부 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120A (ko) 2014-01-23 2015-07-31 이상목 의료용 상처 봉합장치
KR101619500B1 (ko) 2015-07-13 2016-05-10 아성양행 주식회사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58236B1 (ko) 2017-01-13 2017-07-14 주식회사 아이미코리아엠에스 의료용 피부 봉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221A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383A (en) Surgical drape and suture
JP6410980B2 (ja) 結び目をつける作業が不要な縫合糸及びそれを含むキット
US8764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wounds without sutures
US10624641B2 (en)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RU2580479C2 (ru) Самоудерживающиеся шовные материалы для неотложной помощи и упаковки для них
US4423731A (en) Surgical dressings
US20230346377A1 (en) Band for surgical wound suture
US20090149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tures using self adhesive pads with anchors
US8691355B2 (en) Film dressing
RU2656549C2 (ru) Сетк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6832944B2 (ja) 予めセットされたプーリシステムを有するインプラント装置
KR20220021197A (ko) 외과 수술용 피부 봉합기
US20090131980A1 (en) Tendon Cap and method for tendon repair
KR102463528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CN107920815B (zh) 缝合构件
KR102249093B1 (ko)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KR102328082B1 (ko)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20090007421A (ko) 외과용 봉합도구 및 그 적용방법
EP3135143A1 (en) Weft hair extension
GB208375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rgical dressings for closing wounds
CN215424870U (zh) 一种伤口快速闭合装置
KR102354859B1 (ko) 피부 봉합 유지장치
KR20210035009A (ko)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CN112741662A (zh) 一种伤口快速闭合装置
KR20240050982A (ko) 피부봉합유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