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859B1 - 피부 봉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봉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859B1
KR102354859B1 KR1020210127227A KR20210127227A KR102354859B1 KR 102354859 B1 KR102354859 B1 KR 102354859B1 KR 1020210127227 A KR1020210127227 A KR 1020210127227A KR 20210127227 A KR20210127227 A KR 20210127227A KR 102354859 B1 KR102354859 B1 KR 10235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trap
sheet
tightening
attachm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설학
윤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픽스
Priority to KR102021012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61B2017/086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having flexible threads, filaments, laces or wires, e.g. parallel threads, extending laterally from a strip, e.g. for tying to opposing threads extending from a similar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절개된 피부의 상처를 봉합사(실)로 꿰메지 않고도 봉합할 수 있는 비침습적 장치로, 일반적인 봉합 방법보다 넓은 범위의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쉽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절개부위를 봉합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피부 봉합 유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피부 봉합 유지장치{SUTURE RETENTION DEVICE}
본 발명은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된 피부의 상처를 봉합사(실)로 꿰메지 않고도 봉합할 수 있는 비침습적 장치로, 일반적인 봉합 방법보다 넓은 범위의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쉽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절개부위가 봉합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중에서 표피층은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진피층은 표피 아래층에 있으며 콜라겐섬유와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단백질로 이루어진 혈관, 신경, 땀샘 등이 있다. 또한,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피부는 체온 조절과 외부 환경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 한다.
이러한 피부층은 부주의에 의한 사고로 인하여 피부가 절개되어 손상되며, 손상된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세균감염방지와 상처치료를 위해서는 봉합을 하여 상처부위가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인체의 찢어진 상처 부위나, 또는 수술 등에 의해 절개된 상처부위는 실(봉합사)로서 꿰맨 후, 일정기간 경과 후 꿰맨 실을 제거하여 상처가 봉합되도록 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을 사용하는 봉합방법은 인체의 찢어진 상처부위나 수술에 의해 절개된 상처부위를 일일히 실로서 꿰매야 하는 별도의 시술작업을 필요로 하고, 또 꿰맨 실은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시술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더욱이 실로 꿰맨 상처 부위는 봉합되어 완치된 후에도 실로 꿰맨 자국 등 수술자국이 남아 있어 매우 흉하게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757호에는 실로 꿰매지 않고도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피부 봉합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데 사용되고,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피부에 부착되는 제1 결합부재,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다른 한쪽 피부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재,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마찰 또는 걸림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는 연결스트립 및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간격을 한 손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걸리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봉합술에 의한 흉터가 남지 않고, 봉합해야 하는 상처가 길더라도 길이방향을 따라 오므릴 수 있으며, 한 손으로도 벌어진 상처를 오므리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연결스트립을 당길 수 있는 레버가 개별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처부위가 긴 경우에는 봉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피부 봉합을 위해 레버를 순차적으로 여러번 당겨야 하기 때문에 여러번의 통증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각각 레버의 당김 정도가 다르면 피부 봉합이 고르게 되지 못해 수술자국이 흉하게 남게되며, 또 상처가 아문 뒤 흉터의 발생여부를 좌우할 수 있는 봉합부위가 제대로 봉합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방식의 봉합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4257호에 개시된 상처 봉합 장치와 같이 봉합실을 대신하여 테이핑 방식을 이용하여 상처를 봉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처부위에 상대적으로 많은 부위가 테이핑됨으로써 봉합부위에 대한 소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절개된 피부의 상처를 봉합사(실)로 꿰메지 않고도 봉합할 수 있는 비침습적 장치인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봉합 방법 보다 넓은 범위의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쉽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절개부위가 봉합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절개부위의 일측 피부에 부착되는 제1부착시트와, 절개부위의 타측 피부에 부착되는 제2부착시트로 구성되는 피부부착시트; 상기 제1부착시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부착시트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1피부보호방수시트와, 상기 제2부착시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부착시트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2피부보호방수시트로 구성되는 피부보호방수시트;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부착시트 및 피부보호방수시트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면 보호필름; 상기 제1부착시트 및 제2부착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스트랩 지지수단;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의 양측단에서 중앙측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교호 삽입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의 중앙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의 양측 최종단이 결합되어 스트랩을 조여 고정시키게 구성되는 조임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임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스트랩이 조여지면 상기 피부부착시트 및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가 절개부위 측으로 당겨지면서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적용하면, 절개된 피부의 상처를 봉합사(실)로 꿰메지 않고도 봉합할 수 있는 비침습적 장치인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적용하면, 조임잠금수단을 통해 스트랩을 조임시켜 절개부위를 동시에 모아 봉합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일반적인 봉합 방법 보다 넓은 범위의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쉽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절개부위를 봉합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결합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잠금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잠금수단의 결합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에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잠금수단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조임잠금수단에서 손잡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는 절개된 피부의 상처(절개부위)를 봉합사(실)로 꿰메지 않고도 봉합할 수 있는 비침습적 장치로, 일반적인 봉합 방법 보다 넓은 범위의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쉽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절개부위를 봉합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피부부착시트(100), 피부보호방수시트(200), 접착면 보호필름(300), 스트랩 지지수단(400), 스트랩(500) 및 조임잠금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부부착시트(100)는 절개부위(I) 양측의 피부(S)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절개부위(S)의 일측 피부(S)에 부착되는 제1부착시트(110)와, 절개부위(I)의 타측 피부(S)에 부착되는 제2부착시트(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부부착시트(100)는 피부에 부착될 때 인체의 곡면을 따라 들뜸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므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부부착시트(100)는 절개부위(I)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고,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환자의 피부 직접 부착되면서 피부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피부부착시트(100)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oid) 접착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 Waterproof Sheet)는 상기 피부부착시트(100)를 피부(S)에 2중으로 고정시키고 절개부위(I)의 주변 피부에 소독액이나 수분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부착시트(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부착시트(110)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1피부보호방수시트(210)와, 상기 제2부착시트(1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부착시트(120)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2피부보호방수시트(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는 피부에 부착될 때 인체의 곡면을 따라 들뜸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므로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oid) 접착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면 보호필름(300, Removal Sheet)은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면 보호필름(300)은 상기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310,320,330...)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분할된 보호필름(310,320,330...)에는 바깥쪽 부분에 일정 크기의 파지부(311,321,3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311,321,331...)는 서로 엇갈리게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400)은 후술하는 스트랩(500)을 안내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부착시트(110) 및 제2부착시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브라켓(4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은 상기 피부부착시트(100)와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은 상기 피부부착시트(100)의 절개부위측 단부에 부착 고정되는 제1세로지지대(411)와, 상기 제1세로지지대(410)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스트랩(500)이 삽입되는 삽입공(412a)이 형성되는 스트랩 안내지지구(412)와, 상기 제1세로지지대(410)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 사이에 부착 고정되는 세로연결대(413)와, 상기 세로연결대(413)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 사이에 부착 고정되는 제2세로지지대(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은 스트랩 안내지지구(412)가 제1세로지지대(4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세로연결대(413) 및 제2세로지지대(414)가 상기 피부부착시트(100)와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되, 세로연결대(413)는 가이드 브라켓(410)이 세로방향으로 지지력이 향상되면서 지지되게 하고, 제2세로지지대(414)는 가이드 브라켓(410)이 가로방향으로 지지력이 향상되면서 지지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가이드 브라켓(410)이 피부부착시트(100)와 피부보호방수시트(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스트랩(500)이 조임될 때, 가이드 브라켓(410)이 피부에 부착된 피부부착시트(100)와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보다 넓은 범위를 당겨 절개부위(I)를 안정적으로 모아 피부 봉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트랩(500)은 조임에 의해 피부 봉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 브라켓(400)을 절개부위(I) 측으로 당기는 부분으로,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400)의 양측단에서 중앙측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에 교호 삽입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스트랩(500)은 가이드 브라켓의 삽입공(412a)에 교호 삽입되어 스트랩(500)이 조임되면서 가이드 브라켓(410)이 절개부위(I) 측으로 당겨질 때 장력이 분산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절개부위(I)가 안정적으로 모아지면서 피부 봉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임잠금수단(600)은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400)의 중앙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500)의 양측 최종단이 결합되어 스트랩(500)을 조여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즉, 상기 조임잠금수단(600)에 의해 상기 스트랩(500)이 조여지면 상기 피부부착시트(100) 및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가 절개부위(I) 측으로 당겨지면서 절개부위(I)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잠금수단(600)은 지지판(610), 조임몸체(620) 및 조임커버(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지지판(610)은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중앙부분에 상측으로 결합축(611)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축(611)은 후술하는 조임관에 끼워져 조임관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611)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부(611)는 슬릿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분기후크편(611a)으로 분기되고, 각 분기후크편(611a)은 중앙으로 탄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조임관을 용이하게 통과한 다음 조임관의 상단에 걸림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몸체(6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6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절개부위측 단부에 스트랩(500)의 양측 최종단이 투입되는 투입구(621)가 형성되며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부(6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621)는 스트랩(500)이 삽입되는 스트랩 안내지지구(412)와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랩(500)이 조임될 때 스트랩의 장력이 스트랩 안내지지구(412) 및 투입구(621)에서 동일하게 걸릴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커버(630)는 상기 결합축(611)에 조립식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면에 상기 조임몸체(620)의 기어부(622)에 맞물려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631a)가 형성되는 조임관(631)과, 상기 조임관(63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임몸체(620)의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스트랩(500)의 양측 최종단이 고정되는 고정공(632a)이 형성되는 커버판(6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커버(630)는 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구(621)로 유입된 스트랩(500)이 조임관(631)의 외면에 감아지면서 스트랩(500)을 조임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관(631)의 스토퍼(631a)는 상기 기어부(622)의 톱니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임커버(630)가 조임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토퍼(631a)가 기어부(622)의 톱니의 경사면을 타고 넘게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지만, 반대로, 조임커버(630)를 통해 스트랩(500)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에는 상기 스토퍼(631a)가 기어부(622)의 톱니와 맞물리게 되고 스토퍼(631a)가 기어부(622)의 톱니에 지지되면서 걸림되게 함으로써, 조임몸체(620)상에서 조임커버(63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조임몸체상에서 조임커버를 잠금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절개부위(I)가 모아지면서 피부 봉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스토퍼(631a)는 상기 조임관(631)의 외면에 180도 각도를 이루며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쌍의 형성된 스토퍼(631a)가 조임몸체의 기어부(622)에 걸림되면서 조임관(631)가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조임몸체(620)에 걸림 지지하기 때문에, 조임몸체에 조임관이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잠금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판(632)에는 상기 스토퍼(631a)의 상측으로 기어부(622)에 맞물린 스토퍼(631a)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해제공(63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부위(I)의 피부 봉합이 잘 못이루어진 경우, 걸림해제공(632b)을 통해 기어부(622)에 맞물린 스토퍼(631a)의 걸림을 해제한 후, 조임몸체(620)상에서 조임커버(630)가 풀리는 방향으로 조임커버를 회전시켜 스트랩(500)의 조임을 해제시킨 후 피부 봉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개부위(I)의 재봉합이 필요한 경우 조임커버(630)를 조임몸체(620)에서 회전시켜 스트랩(500)이 다시 조임되게 함으로써, 절개부위(I)를 모아 피부가 재봉합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판(632)에는 일측 외주면에 호 형상의 절개부(632c)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632c)의 일측 단부에는 커버판(632)의 하면에 한쌍의 힌지홈(632d)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632c)에는 단부 내측에 상기 힌지홈(632d)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핀(633a)이 형성된 손잡이(6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판(632)의 상면에는 절개부(632c)의 일측으로 상기 손잡이(633)가 꺽이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손잡이(633)를 지지하는 꺽임방지돌기(632e)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633)가 커버판(632)과 수평하게 절개부(632c)에 수납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33)가 커버판(632)에 수직되게 회동되어서 손잡이(633)를 파지한 후 커버판(632)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는 절개부위의 길이에 대응되게 다양한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는 절개부위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400)은 상기 피부부착시트(100)에 길이에 대응되게 피부부착시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구간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트랩(500) 및 조임잠금수단(600)은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400)이 설치되는 구간마다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는 절개부위가 짧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410)이 피부부착시트(100)에 각각 3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스트랩(500) 및 조임잠금수단(600)이 1개로 형성된 3모듈구조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410)이 피부부착시트(100)에 각각 5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스트랩(500) 및 조임잠금수단(600)이 1개로 형성된 5모듈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위가 긴 경우,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모듈구조와 5모듈구조를 각각 또는 서로 조합하여 절개부위(I)의 길이에 대응되게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봉합 유지장치의 파손 유무와 멸균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위(봉합부위)의 위치를 확인 한 후,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의 접착면에서 보호필름을 순차적으로 제거한 다음, 절개부위(I)의 양측으로 피부부착시트(100)가 위치하도록 피부부착시트(100) 및 피부보호방수시트(200)를 피부(S)에 부착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33)를 사용하여 조임커버(630)를 조임몸체(620)에서 회전시켜 스트랩(500)을 조임시킨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부착시트(100) 및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가 스트랩(500)의 조임에 의해 절개부위(I) 측으로 당겨지면서 절개부위(I)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봉합하고 봉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봉합 유지장치를 제거할 때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콜솜 등을 사용하여 피부에 부착된 피부부착시트(100) 및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200)를 피부(S)에서 분리시켜 부드럽게 제거한다.
100: 피부부착시트 200: 피부보호방수시트
300: 접착면 보호필름 400: 스트랩 지지수단
500: 스트랩 600: 조임잠금수단

Claims (5)

  1. 절개부위의 일측 피부에 부착되는 제1부착시트와, 절개부위의 타측 피부에 부착되는 제2부착시트로 구성되는 피부부착시트; 상기 제1부착시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1부착시트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1피부보호방수시트와, 상기 제2부착시트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부착시트를 피부에 고정시키고 방수력을 제공하는 제2피부보호방수시트로 구성되는 피부보호방수시트;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피부부착시트 및 피부보호방수시트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면 보호필름; 상기 제1부착시트 및 제2부착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스트랩 지지수단;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의 양측단에서 중앙측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교호 삽입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의 중앙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의 양측 최종단이 결합되어 스트랩을 조여 고정시키게 구성되는 조임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임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스트랩이 조여지면 상기 피부부착시트 및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가 절개부위 측으로 당겨지면서 절개부위를 부드럽게 동시에 모아 피부 봉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조임잠금수단은, 상기 피부보호방수시트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고 중앙부분에 상측으로 결합축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과,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절개부위측 단부에 스트랩의 양측 최종단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된 조임몸체와, 상기 결합축에 조립식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면에 상기 조임몸체의 기어부에 맞물려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조임관과, 상기 조임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임몸체의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스트랩의 양측 최종단이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커버판으로 구성되는 조임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축은 상기 조임관에 끼워져 조임관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부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부는 슬릿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분기후크편으로 분기되고, 각 분기후크편은 중앙으로 탄력에 의해 휘어지면서 상기 조임관을 용이하게 통과한 다음 조임관의 상단에 걸림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임관의 외면에 180도 각도를 이루며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스토퍼의 상측으로 기어부에 맞물린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걸림해제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에는 일측 외주면에 호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 단부에는 커버판의 하면에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는 단부 내측에 상기 힌지홈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핀이 형성된 손잡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으로 상기 손잡이가 꺽이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손잡이를 지지하는 꺽임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커버판과 수평하게 절개부에 수납되거나, 손잡이가 커버판에 수직되게 회동되어서 손잡이를 파지한 후 커버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피부부착시트와 피부보호방수시트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되되,
    상기 피부부착시트의 절개부위측 단부에 부착 고정되는 제1세로지지대와, 상기 제1세로지지대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랩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스트랩 안내지지구와, 상기 제1세로지지대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피부부착시트 및 피부보호방수시트 사이에 부착 고정되는 세로연결대와, 상기 세로연결대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피부부착시트 및 피부보호방수시트 사이에 부착 고정되는 제2세로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부착시트 및 피부보호방수시트는 절개부위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은 상기 피부부착시트에 길이에 대응되게 피부부착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구간 이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트랩 및 조임잠금수단은 상기 스트랩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구간마다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
KR1020210127227A 2021-09-27 2021-09-27 피부 봉합 유지장치 KR10235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27A KR102354859B1 (ko) 2021-09-27 2021-09-27 피부 봉합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27A KR102354859B1 (ko) 2021-09-27 2021-09-27 피부 봉합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859B1 true KR102354859B1 (ko) 2022-01-24

Family

ID=8004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227A KR102354859B1 (ko) 2021-09-27 2021-09-27 피부 봉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2336A2 (en) * 2010-07-19 2012-01-26 Wound Care Technologies, Inc. Wound closure system
KR20170049240A (ko) * 2015-10-28 2017-05-10 김미연 상처 보호기구
KR20200025370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제이앤킴 봉합사 조임을 위한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봉합 유지기
US20210219973A1 (en) * 2020-01-21 2021-07-22 Shanghai Unitedheart Medical Technology Co., Ltd. Skin wound clo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2336A2 (en) * 2010-07-19 2012-01-26 Wound Care Technologies, Inc. Wound closure system
KR20170049240A (ko) * 2015-10-28 2017-05-10 김미연 상처 보호기구
KR20200025370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제이앤킴 봉합사 조임을 위한 스트랩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봉합 유지기
US20210219973A1 (en) * 2020-01-21 2021-07-22 Shanghai Unitedheart Medical Technology Co., Ltd. Skin wound clo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596B2 (en) Wound closure product
US20190133576A1 (en) Wound closure system
US9597079B2 (en) Wound closure product
US5833666A (en) Catheter fixation assembly
CA2890545C (en)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WO2005070304A1 (en) Surgical retractor having suture control features
WO2005092423A1 (en) A plaster device for supporting a bended length of a tube
US20050171404A1 (en) Surgical retractor having suture control features
US20230346377A1 (en) Band for surgical wound suture
CN110602996B (zh) 用于固定引流管的皮肤缝合保持器
US8012130B2 (en) Plaster device for supporting a bended length of a tube
KR20220021197A (ko) 외과 수술용 피부 봉합기
US20180071493A1 (en) Suture-bas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and method
KR102354859B1 (ko) 피부 봉합 유지장치
JP4790091B1 (ja) 創離開防止用補助具
KR20220111621A (ko) 무봉합사 의료용 피부 봉합 장치
KR102585783B1 (ko) 의료용 상처 봉합기
EP0807450A1 (en) Surgical devices
KR200344226Y1 (ko) 의료용 봉합사
US202301902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inching sutures and a quick-release mechanism
KR20190112508A (ko) 의료용 봉합 유지기
KR102249093B1 (ko) 외과 상처 봉합용 밴드
KR20240002550A (ko) 록킹핀을 통해 견인부재를 고정 가능한 비침습형 피부 봉합 유지기
KR20240002549A (ko) 연결끈을 이용한 비침습형 피부 봉합 유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