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632B1 -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632B1
KR102290632B1 KR1020190164806A KR20190164806A KR102290632B1 KR 102290632 B1 KR102290632 B1 KR 102290632B1 KR 1020190164806 A KR1020190164806 A KR 1020190164806A KR 20190164806 A KR20190164806 A KR 20190164806A KR 102290632 B1 KR102290632 B1 KR 10229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coupling
surgical incision
fixing bracket
closu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960A (ko
Inventor
신동군
권준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빌드
Priority to KR102019016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6Sutur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접착 필름과,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개부의 타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2 접착 필름과, 상기 제2 접착 필름 상면에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대향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제2 고정 브래킷을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SEALING APPARATUS FOR AN INCION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에 의한 절개부위,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열상부위, 피부가 칼에 의해 베어지거나 찔려서 생긴 창상부위 등과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는 벌어진 경계부분을 통한 과출혈 방지, 벌어진 경계부분의 세균감염방지 등을 위하여 봉합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봉합사를 이용하거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한다.
이처럼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의 벌어진 경계부분, 즉 봉합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상기한 봉합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봉합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두 경우 모두 치료 후 봉합부분에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648호에는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수술 절개부를 봉합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 기술은 수술 절개부(5)를 사이에 두고 양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 상에 설치된 다수의 봉합띠(3)를 잠금장치(4)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봉합 장치는 각각의 봉합띠(3)에 대하여 균일한 힘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 수술 절개부(5)를 균일하게 봉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합띠(3)를 잠금장치(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어느 한 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를 환부에 밀착시킨 후 봉합띠(3)를 당김으로써 양측 환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분배되지 못하므로 수술 절개부(5) 양쪽의 피부가 균일한 봉합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봉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봉합띠(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가 곡선 형태인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648호(2015.10.26)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6464호(2016.07.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술 절개부를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할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고, 절개부위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는 봉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접착 필름과,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개부의 타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2 접착 필름과, 상기 제2 접착 필름 상면에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대향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제2 고정 브래킷을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바(bar)와; 상기 한 쌍의 결합바 중앙에서 각각의 결합바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바는 각각, 세형 봉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고정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하여 몸체부의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요철은, 일방향 결합을 위한 래치형 톱니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바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접착필름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의 결합바에는, 상기 연결바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바의 절곡시 절곡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하는 제1 절곡홈과 제2 절곡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곡홈은 상기 결합바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홈은 상기 결합바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바는, 상기 좌측의 제2 절곡홈에서 제1 절곡홈 구간이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우측의 제2 절곡홈에서 제1 절곡홈 구간이 상기 좌측의 경사 방향과 대향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는, 소성 변형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삽입된 결합바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의 외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삽입된 결합바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의 내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바의 외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ㄷ' 형태의 채널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편은, 삽입된 상기 제1 결합바 및 제2 결합바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파지판과; 상기 한 쌍의 파지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파지판의 외측에 상기 지지대와 대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의 요철과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은, 제1 접착 필름과 제1 접착 필름 및 제2 접착 필름과 제2 접착 필름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 필름과 제1 접착 필름 또는 제2 접착 필름과 제2 접착 필름의 접합부에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부의 수술 절개부 반대측 단부에는, 접착 필름 사이의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장치는, 수술 절개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결합 부재를 통하여 동시에 인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환부 봉합면이 선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부 단부를 상방으로 인장시킴으로써 수술 절개부 양쪽 피부에 동일한 외력이 전달되어 흉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이어진 복수 개의 봉합 유닛 사이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환부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곡률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봉합 장치는 각각의 봉합 유닛이 모듈화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적절히 이격시켜 사용함으로써 절개부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부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봉합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봉합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봉합 유닛에 사용되는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술부 봉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봉합 유닛에 사용되는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절개된 상처(S)의 양쪽 피부에 부착되어 절개된 상처(S)를 꿰매지 않고도 닫아서 아물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은 각각 접착 필름(10, 20)과, 고정 브래킷(30, 40)과, 결합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10, 20)은 수술 절개부(S)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접착 필름(10)과, 상기 수술 절개부(S)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접착 필름(10)의 타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2 접착 필름(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필름(10, 20)의 하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피부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10, 20)은 3차원 곡면을 가지는 피부에 들뜸이 없이 부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쉽게 변형되는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필름(10, 20)은 절개부(S)를 기준으로 양쪽 피부에 각각 부착되는 구성이므로, 접착 필름(10, 20)이 부착되더라도 절개부(S) 주변 피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상처 보호 및 감염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필름(10, 2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 브래킷을 초음파 또는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접착 가능하도록 폴리우레탄(PU)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30, 40)은 접착 필름(10, 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접착 필름(10, 20)을 수술 절개부(S)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제1 접착 필름(10)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30)과, 제2 접착 필름(20) 상면에 상기 제1 고정 브래킷(30)과 대향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브래킷(30) 및 제2 고정 브래킷(40)의 구성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50)는 절개부(S)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30) 및 제2 고정 브래킷(40)에 각각 결합되어 제1 고정 브래킷(30)과 제2 고정 브래킷(40)을 수술 절개부(S) 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부재(50)는 절개부(S)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30) 및 제2 고정 브래킷(4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바(bar, 51)와, 상기 한 쌍의 결합바(51) 중앙에서 각각의 결합바(51)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바(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바(51)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며 세형 봉 형상, 즉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51a, 51b)와, 몸체부(51a, 51b)의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결합부(52a, 5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a, 52b)의 요철은 결합바(51)가 고정 브래킷(30, 40)에 결합될 때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52a, 52b)의 요철은,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일방향 결합을 위한 래치형 톱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결합부(52a, 52b)는 접착필름(10, 20)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것이 고정 브래킷(30, 40)과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30, 40)은 접착 필름(10, 20)의 상면에 고정되어 고정 브래킷(30, 40)에 결합된 결합 부재(50)를 이용하여 접착 필름을 수술 절개부 쪽으로 모이게 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30, 40)은 삽입된 결합바(51)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51)의 외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31, 41)와, 삽입된 결합바(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51)의 내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32, 33, 42, 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31, 41)는 접착 필름(10, 2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31a, 41a)과, 상기 바닥판(31a, 41a)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판(31b, 41b)과, 상기 측판(31b, 41b)의 상단에서 접착 필름(10, 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덮개판(31c, 4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1, 41)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 형태의 채널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결합바(51)의 외측 일부가 상기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양쪽으로 당김으로써 접착 필름을 수술 절기부 방양으로 모이도록 유도하는 부분으로, 삽입된 결합바(51)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파지판(32, 42)과, 상기 한 쌍의 파지판(32, 42)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판(33, 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편의 재질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판(32, 42)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대(31, 4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51)의 요철과 맞물리어 결합바(5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 돌기(34, 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34, 44)의 형태는 결합 부재(50)의 래치형 톱니에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유닛(100)은 사용하기 전에 접착 필름(10)과 고정 브래킷(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접착 필름(10)과 접착 필름(20)이 커버 필름(미도시)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관된다.
먼저, 제1 접착 필름(10)과 제2 접착 필름(20)을 커버 필름에서 떼어낸 후, 제1 접착 필름(10)을 수술 절개부(S)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켜 한 쪽 피부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2 접착 필름(20)을 수술 절개부(S)의 다른 쪽 피부에 소정 거리 이격시켜 고정시킨 후 결합 부재(50)를 고정 브래킷(30, 40)의 지지대(31, 32)와 탄성 지지편(32, 42) 사이에 끼워 1차 결합시킨다.
이어서, 제1 고정 브래킷(30)의 파지판(32)과 제2 고정 브래킷(40)의 파지판(42)를 각각 양손의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후, 엄지와 검지에 힘을 가하면 파지판(32, 42)이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굽어지고 이에 의하여 결합 부재(51)의 결합부(52a, 52b)와 결합 돌기(34, 44)가 서로 이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쪽의 파지판(32, 42)을 양손의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술 절개부(S)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접착 필름(10)과 제2 접착 필름(20)이 수술 절개부(S) 쪽으로 이동하여, 수술 절개부(S)의 양쪽 피부가 절개부(S) 쪽으로 수축되어 절개부(S)를 봉합하게 된다.
이어서 양쪽의 파지판(32, 42)에서 양손의 엄지와 검지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파지판(32, 42)은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결합 부재(50)의 래치형 톱니(52a, 52b)와 결합 돌기(34, 44)가 맞물리게 되어 제1 고정 브래킷(30)과 제2 고정 브래킷(40)은 수술 절개부(S)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접착 필름(10)과 제2 접착 필름(20)에 지속적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브래킷(30, 40)을 양쪽에서 동시에 수술 절개부(S) 방향으로 당기기 때문에 수술 절개부(S)의 양쪽 피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절개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어느 한 쪽의 피부접착 테이프(1, 2)를 환부에 밀착시킨 후 봉합띠(3)를 당김으로써 양측 환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분배되지 못하므로 수술 절개부(5) 양쪽의 피부가 균일한 봉합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위치하게 됨으로써, 수술 절개부(S) 양 쪽 피부가 소정 각도 상방으로 올라오면서 절개부(S)를 중심으로 좌우측에서 모이기 때문에, 봉합 부위가 균일한 힘을 받아 봉합선이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수술 절개부(S)를 봉합하기 위하여 절개부(S)의 양 쪽 피부를 수평 방향에서 각각 인장하는 경우 양 쪽 피부가 과도하게 인장되어 봉합 부위에 흉터가 남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부재 결합바(51)의 상면 및 하면에 절곡홈(54a, 5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홈(54a, 54b)은 연결바(53)를 중심으로 결합바(5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54a, 54b)은 결합바(51)의 절곡시 절곡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하게 되며, 연결바(53)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1 절곡홈(54a)과 상기 제1 절곡홈(54a)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절곡홈(5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절곡홈(54a)은 결합바(51)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절곡홈(54b)은 결합바(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브래킷(30)과 제2 고정 브래킷(40)이 제1 접착 필름(10)과 제2 접착 필름(2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 브래킷(30)과 제2 고정 브래킷(40)을 수술 절개부(S) 쪽으로 더욱 당기게 되면, 결합바(51)가 좌측의 제2 절곡홈(54b)에서 제1 절곡홈(54a) 구간이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고, 우측의 제2 절곡홈(54b)에서 제1 절곡홈(54a) 구간이 좌측의 경사 방향과 대향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됨으로써, 결합바(51)의 중앙 부분이 상방으로 올라온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하여 수술 절개부(S) 양쪽의 피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아 수술 절개부(S)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상방으로 모인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술 절개부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51)는 상기와 같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절곡된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는 소성 변형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들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접착 필름(10)과 제1 접착 필름(10) 및 제2 접착 필름(20)과 제2 접착 필름(20)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1 접착 필름(10) 상면에는 제1 고정 브래킷(30)이 접착 고정되고, 상기 연속하여 배열된 제2 접착 필름(20) 상면에는 제2 고정 브래킷(40)이 접착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봉합 유닛(100)들의 접합부, 즉 제1 접착 필름(10)과 제1 접착 필름(10) 및 제2 접착 필름(20)과 제2 접착 필름(20)이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연속된 펀칭부(52)에 의해 봉합 유닛(100)들 사이를 절취할 수 있는 절취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부(60)의 일측 단부, 즉 제1 접착 필름(10)과 제1 접착 필름(10) 또는 제2 접착 필름(20)과 제2 접착 필름(20) 사이에 형성된 절취부(60)에서 수술 절개부(S)를 기준으로 하여 바깥 쪽의 단부에는 펀칭부(61)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접착 필름(10, 20)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연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10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어진 복수 개의 봉합 유닛(100)들을 적절하게 절취하여 환부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곡률 형태로 곡선 형태의 절개부(S)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부위와 같이 피부의 신축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있어서,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는 봉합 유닛(100) 사이의 간격을 멀리 하여 적용함으로써 피부 신축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봉합 유닛(100)들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절개부봉합 장치는 수술 절개부를 봉합사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술 절개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조임력을 부여하여 봉합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고, 절개부위가 직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술 절개부위를 봉합사나 스테이플(staples)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술 절개부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접착 필름 20 : 제2 접착 필름
30 : 제1 고정 브래킷 31 : 지지대
32 : 파지판 33 : 연결판
34 : 결합 돌기 40 : 제2 고정 브래킷
41 : 지지대 42 : 파지판
43 : 연결판 44 : 결합 돌기
50 : 연결부재 51 :몸체부
52 : 결합부 60 : 절취부
61 : 펀칭부 62 : 연결부
100 : 수술 절개부 봉합 유닛
1000 :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S : 수술 절개부

Claims (10)

  1. 절개부의 일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1 접착 필름과,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개부의 타측 피부에 고정되는 제2 접착 필름과,
    상기 제2 접착 필름 상면에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대향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제2 고정 브래킷을 상기 수술 절개부 쪽으로 인장시킨 채로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봉합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및 제2 고정 브래킷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바(bar)와;
    상기 한 쌍의 결합바 중앙에서 각각의 결합바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바는 각각,
    세형 봉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고정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하여 몸체부의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바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접착필름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고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요철은,
    일방향 결합을 위한 래치형 톱니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삽입된 결합바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의 외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삽입된 결합바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의 내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바의 외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ㄷ' 형태의 채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삽입된 한 쌍의 결합바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한 쌍의 파지판과;
    상기 한 쌍의 파지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파지판의 외측에 상기 지지대와 대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의 요철과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9. 제1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는,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봉합 유닛들은,
    제1 접착 필름과 제1 접착 필름 및 제2 접착 필름과 제2 접착 필름 측면이 각각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필름과 제1 접착 필름 또는 제2 접착 필름과 제2 접착 필름의 접합부에는, 연속된 펀칭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절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0190164806A 2019-12-11 2019-12-11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290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06A KR102290632B1 (ko) 2019-12-11 2019-12-11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06A KR102290632B1 (ko) 2019-12-11 2019-12-11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60A KR20210073960A (ko) 2021-06-21
KR102290632B1 true KR102290632B1 (ko) 2021-08-18

Family

ID=7659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06A KR102290632B1 (ko) 2019-12-11 2019-12-11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8220A1 (en) * 2003-04-14 2008-09-18 Leslie Philipp Weiser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Wounds Without Sutures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42072B1 (ko) 2016-06-08 2017-06-05 (주)서린시스템 봉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120A (ko) * 2014-01-23 2015-07-31 이상목 의료용 상처 봉합장치
KR101768878B1 (ko) 2015-01-09 2017-08-18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8220A1 (en) * 2003-04-14 2008-09-18 Leslie Philipp Weiser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Wounds Without Sutures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101742072B1 (ko) 2016-06-08 2017-06-05 (주)서린시스템 봉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60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859A (en) Suture assembly
US8764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wounds without sutures
US8777986B2 (en) Incision guide and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741416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10123800B2 (en)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US783871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20050021081A1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SK278157B6 (en) Device for closing a wound
US7354446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20130345744A1 (en) Wound closure device
WO2017200058A1 (ja) 閉鎖器具
US20110152893A1 (en) Suture organizer
US20110152894A1 (en) Suture organizer
US8636763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KR20220021197A (ko) 외과 수술용 피부 봉합기
KR102290632B1 (ko)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20180124358A (ko)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KR102328082B1 (ko)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033872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US4177802A (en) Self retaining skin retractor
GB2364246A (en) Wound closure system
KR102320420B1 (ko)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KR102463528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기
KR20240002549A (ko) 연결끈을 이용한 비침습형 피부 봉합 유지기
TWM494588U (zh) 傷口癒合輔助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