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58A -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 Google Patents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58A
KR20180124358A KR1020170058709A KR20170058709A KR20180124358A KR 20180124358 A KR20180124358 A KR 20180124358A KR 1020170058709 A KR1020170058709 A KR 1020170058709A KR 20170058709 A KR20170058709 A KR 20170058709A KR 20180124358 A KR20180124358 A KR 2018012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skin
drain pipe
drain tub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288B1 (ko
Inventor
한세령
한문석
Original Assignee
한문석
한세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1048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2435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문석, 한세령 filed Critical 한문석
Priority to KR102017005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88B1/ko
Priority to CN201880029752.7A priority patent/CN110602996B/zh
Priority to PCT/KR2018/004958 priority patent/WO2018208037A1/ko
Publication of KR2018012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anchored in the skin by suture or other skin penetr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6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or removing fluids into or out of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봉합을 위해 사용하되, 수술 후 인체 내부에 차 있는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을 봉합하기 전에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술 후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한 쌍의 베이스 패널(11)과;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며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조임부재(12)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어느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의 일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3)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다른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12)에 대응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를 구속하는 복수의 록킹부재(14)와;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배액관(50)이 삽입되는 구멍(25)이 형성됨과 아울러 구멍(2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커버 필름(20)과; 상기 배액관(50)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일측에 구비된 배액관 고정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Drain Tube Fixation and Surgical Skin Closure}
본 발명은 피부 봉합을 위해 사용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술 후 인체 내부에 차 있는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해 삽입된 배액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액관 제거 후 형성된 천공을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즉시 봉합할 수 있도록 한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에 의한 피부의 절개부위나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열상부위 및 피부가 칼에 의해 베어지거나 찔려서 생긴 창상부위 등과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는, 벌어진 경계부분을 통한 과출혈방지, 벌어진 경계부분의 세균감염방지 등을 위하여 봉합해야 한다.
이처럼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하거나 피부 스테이플러(skin stapler)를 이용하여 봉합하고 있다.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의 벌어진 경계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두 경우 모두 치료 후 봉합부분에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사를 이용한 피부봉합의 경우 시술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며 봉합사를 적용한 부위에 새로운 천공부위(봉합사 구멍)를 만들기 때문에, 수술부위의 감염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새로운 천공부위로 인해 미용 면에서도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제거 시 통증이 유발된다. 피부 스테이플러의 경우 시술시간이 봉합사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긴 하지만 수술부위의 감염 위험성이나 흉터로 인한 미용면의 악양향 및 제거 시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은 감수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외과적 수술에 의한 절개부위의 피부 봉합을 위한 비침습적 피부 봉합 유지기(Non-invasive surgical skin closure)가 의료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침습적 피부 봉합 유지기는 환자의 흉터를 최소화시켜 미용 효과가 좋고, 제거 시에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수술부위감염의 위험성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술자의 경우 기존의 봉합사를 이용한 피부 봉합보다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부 봉합 유지기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의 벌어진 경계부분, 즉 봉합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1 피부접착테이프와 제2 피부접착테이프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기 상처부위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부접착테이프 위에 고정된 제1 봉합띠들과 제2 봉합띠들의 톱니 모양 걸림부를 제2 피부접착테이프 위에 고정된 제1 잠금장치들과 제2 잠금장치들의 대응하는 요홈부에 걸어 놓은 다음 상기 제1 봉합띠와 상기 제2 봉합띠를 상기 제1 피부접착테이프 쪽에서 상기 제2 피부접착테이프를 향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잡아당겨서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봉합하도록 함으로써, 제1 봉합띠와 상기 제2 봉합띠를 상기 제1 피부접착테이프 쪽에서 상기 제2 피부접착테이프를 향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잡아 당기는 간단한 시술에 의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편리하고 빠르게 봉합하여 감염을 방지하고 흉터 없이 치료할 수 있도록 한, 봉합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와 3은, 좌측 및 우측 베이스 패널, 복수의 봉합 구성요소 그리고 각각의 베이스 패널에 결합되는 복수의 좌측 축방향 지지부 및 우측 축방향 지지부를 포함하고, 봉합 구성요소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베이스 패널을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결합하고, 각각 상기 좌측 및 우측 베이스 패널에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단부를 포함함과 아울러, 봉합 구성요소는 좌측 및 우측 패널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위치되고, 좌측 축방향 지지부는 좌측 봉합 구성요소 단부의 쌍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 축방향 지지부는 우측 봉합 구성요소 단부의 쌍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 축방향 지지부는 연속적인 봉합 구성요소와 축방향 지지부의 사행 배열이 형성되도록 서로 오프셋되는, 수술 절개 및 봉합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피부에 고정되는 제 1백킹시트와; 상기 제 1백킹시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1접착시트부재와; 상기 제 1접착시트부재에 연결되며 사용시 접혀 제 1접착시트부재의 상면에 접착되는 제 2접착시트부재와; 상기 제 1백킹시트 반대편의 피부에 고정되는 제 2백킹시트와; 상기 제 2백킹시트에 고정되고 제 2접착시트부재가 제 1접착시트부재측으로 인장될 때 제 2백킹시트를 제 1백킹시트측으로 근접시키는 앵커부를 가지며, 봉합라인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부착되는 백킹시트의 간격을 자유롭게 좁히거나 넓힐 수 있어 절개부위로 전달되는 힘을 상황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그만큼 봉합유지를 위한 기능성이 뛰어나고, 봉합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여, 움직임을 피할 수 없는 관절부분의 봉합부위에 적용된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도 부착력이 줄어들지 않아 교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되거나 부러지지 않아 내구성이 좋고, 특히 재질이 부드러워 눌리더라도 피부나 봉합부에 상처를 내지 않아 그만큼 안전한,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피부 봉합 유지기들은 피부를 봉합하는데만 사용할 수 있을 뿐 개복수술이나 흉강경 수술 및 복강경 수술과 같은 외과적 수술 시 인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관(Drain Tube)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배액관에 의해 생성되는 천공부위에 즉시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외과적 수술 후 인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액관은 봉합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배액관 주위의 피부조직을 천공(Puncture)하여 봉합사를 고정하고, 이 봉합사를 이용하여 배액관을 묶어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액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피부조직을 천공하여 봉합사를 고정하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이 크고 배액관을 뽑아내기 위하여 봉합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배액관을 뽑아낸 후에는 배액관에 의해 생성되는 천공부위를 봉합하게 되는데, 이 천공 부위를 봉합사 또는 피부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봉합할 경우 추가로 천공을 만들게 되어 감염의 위험이 높고, 흉터가 남아 미용면에서 불리하며,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배액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배액관을 뽑아낸 후 배액관에 의한 천공 부위를 빠르고 간단하게 봉합할 수 있으면서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KR 10-1564648 B1 KR 10-2015-0058533 A KR 10-2016-0037186 A KR 10-2016-008646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과적 수술 후 삼출물의 배출을 위해 적용하는 배액관(Drain tube)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함과 아울러 배액관을 제거한 후 생성되는 천공부위를 곧바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봉합하여 시술을 빠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며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고 제거 시 통증의 유발을 줄이며 회복속도를 높이고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술 후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천공된 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한 쌍의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며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조임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 중 어느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의 일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 중 다른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를 구속하는 복수의 록킹부재와;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배액관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구멍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커버 필름과; 상기 배액관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측에 구비된 배액관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재는 일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단부와, 타측 단부를 형성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파지부와, 상기 고정단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며 상기 록킹부재에 의해 구속되며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복수의 연속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상기 배액관 고정구는 일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이형지가 부착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배액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부착형 밴드식 고정구, 걸고리와 밴드형 걸림구로 이루어져 상기 배액관을 사이에 두고 밴드형 걸림구가 걸고리에 결합되는 고정형 밴드식 고정구, 케이블 타이식 고정구, 상기 배액관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플라스틱 고정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고정구는 상부측에 상기 배액관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에 설치되는 하부체와, 하부면에 상기 배액관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상기 커버 필름은 구멍이 형성되는 내측 단부의 바깥쪽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일정 크기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는 인체에 설치된 배액관을 커버 필름의 구멍에 통과시킨 후 베이스 패널에 구비된 배액관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액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인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배액관을 통해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핏물이나 삼출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배액관을 제거하고 조임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 패널 사이의 간격을 좁혀 피부를 봉합할 수 있게 되어 수술 부위의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감염의 위험을 줄이며 흉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조임부재에 쐐기 형상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록킹부재에 의해 조임부재가 구속됨에 따라 베이스 패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부 봉합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흉터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배액관 고정구를 이용하여 인체에 설치된 배액관을 고정함에 따라 배액관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배액관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에 따르면, 커버 필름에 손잡이가 구비됨에 따라 배액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필름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의 중간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조임부재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배액관 고정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후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한 쌍의 베이스 패널(11)과;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며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조임부재(12)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어느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의 일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3)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다른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12)에 대응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를 구속하는 복수의 록킹부재(14)와;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배액관(50)이 삽입되는 구멍(25)이 형성됨과 아울러 구멍(2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커버 필름(20)과; 상기 배액관(50)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일측에 구비된 배액관 고정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부재(12)는 도 4와 같이, 일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단부(12a)와, 타측 단부를 형성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파지부(12b)와, 상기 고정단부(12a)와 파지부(12b)를 연결하며 상기 록킹부재(14)에 의해 구속되며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복수의 연속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는 일측 베이스 패널(11)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의 고정단부(12a)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조임부재(12)를 고정할 수만 있다면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4)는 타측 베이스 패널(11)에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의 걸림부(12c)를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조임부재(12)를 당길 때는 조임부재(12)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임부재(12)를 놓았을 때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속할 수만 있다면 그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배액관 고정구(30)는 피부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 배액관(50)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배액관(50)을 지지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일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이형지가 부착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11)에 고정되어 상기 배액관(5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부착형 밴드식 고정구나, 걸고리와 밴드형 걸림구로 이루어져 상기 배액관(50)을 사이에 두고 밴드형 걸림구가 걸고리에 결합되는 고정형 밴드식 고정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배액관(50)을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식 고정구나 상기 배액관(5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플라스틱 고정구(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고정구(30')는 도 5와 같이, 상부측에 배액관(5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베이스 패널(11)에 고정되는 하부체(31')와, 하부측에 상기 배액관(5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3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3) 결합되는 상부체(32)와, 상기 하부체(31)에 형성된 고정부(34)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체(32)에 형성되는 결합부(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필름(20)은 구멍(25)이 형성되는 내측 단부의 바깥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일정 크기의 손잡이(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쪽으로 분할된 상기 커버 필름(20)에서는 상기 손잡이(21)가 서로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피부 봉합 유지기는 수술 후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 부위에 부착되어 배액관을 고정함과 아울러 핏물 및 삼출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구멍 부위를 봉합하게 된다.
외과적 수술 또는 내과적 수술이 완료된 후, 인체 내부에 고여 있는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인체에 천공된 구멍에 배액관(50)이 삽입된 후, 커버 필름(20)의 구멍(25)으로 배액관(50)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필름(20)이 부착된 베이스 패널(11)을 수술 부위에 근접시킨다. 이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상측으로 돌출된 배액관(50)이 배액관 고정구(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 필름(20)에 구비된 손잡이(21)를 이용하여 커버 필름(20)을 베이스 패널(11)로부터 분리하고, 한 쌍의 베이스 패널(11)을 상기 배액관(50)의 양측에서 피부에 각각 부착한다.
이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조임부재(12)를 이용하여 상기 배액관(50)가 삽입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양측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이 부분의 피부가 먼저 봉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12)의 걸림부(12c)가 록킹부재(14)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양측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피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봉합되고, 상기 배액관(50)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인체에 삽입된 배액관(50)이 배액관 고정구(30)에 의해 고정되면, 인체 내부에 고여 있는 핏물이나 수술 부위에서 발생하는 삼출물이 상기 배액관(50)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이후, 핏물과 삼출물이 모두 배출되면, 상기 배액관(50)을 제거하고 구멍 부위를 봉합하면 된다.
즉, 상기 배액관(50)이 제거된 후 상기 조임부재(12)를 이용하여 구멍 부위의 피부가 서로 접하도록 양측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피부가 봉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12)의 걸림부(12c)가 록킹부재(14)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양측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구멍 부위의 피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봉합된다.
이와 같이, 외과적 수술이나 내과 수술시 인체 내부에 고여 있는 핏물이나 삼출물이 배액관 고정구(30)에 의해 고정된 배액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술 부위의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핏물과 삼출물의 배출이 모두 완료된 후 조임부재(12)와 고정부재(13) 및 록킹부재(14)를 이용하여 구멍 부위를 봉합하게 되므로 수술에 따른 흉터가 최소화되고 회복 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베이스 패널
12....조임부재
12a...고정단부
12b...파지부
12c...걸림부
13...고정부재
14...록킹부재
20...커버 필름
21...손잡이
25...구멍
30...배액관 고정구
30'...플라스틱 고정구
31...하부체
31'...안착홈
32...상부체
32'...안착홈
33...힌지
34...고정부
35...결합부
50...배액관

Claims (5)

  1. 수술 후 인체 내부의 핏물이나 삼출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한 쌍의 베이스 패널(11)과;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며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조임부재(12)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어느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의 일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3)와;
    상기 베이스 패널(11) 중 다른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12)에 대응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부재(12)를 구속하는 복수의 록킹부재(14)와;
    이형지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접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배액관(50)이 삽입되는 구멍(25)이 형성됨과 아울러 구멍(25)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되는 커버 필름(20)과;
    상기 배액관(50)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일측에 구비된 배액관 고정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2)는 일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단부(12a)와, 타측 단부를 형성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파지부(12b)와, 상기 고정단부(12a)와 파지부(12b)를 연결하며 상기 록킹부재(14)에 의해 구속되며 일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복수의 연속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2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 고정구(30)는 일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이형지가 부착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20)에 고정되어 상기 배액관(5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부착형 밴드식 고정구, 걸고리와 밴드형 걸림구로 이루어져 상기 배액관(50)을 사이에 두고 밴드형 걸림구가 걸고리에 결합되는 고정형 밴드식 고정구, 케이블 타이식 고정구, 상기 배액관(5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플라스틱 고정구(3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고정구(30')는 상부측에 상기 배액관(5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1)에 고정되는 하부체(31')와, 하부측에 상기 배액관(5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3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3) 결합되는 상부체(32)와, 상기 하부체(31)에 형성된 고정부(34)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체(32)에 형성되는 결합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20)은 구멍(25)이 형성되는 내측 단부의 바깥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일정 크기의 손잡이(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봉합 유지기.
KR1020170058709A 2017-05-11 2017-05-11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KR10199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09A KR101993288B1 (ko) 2017-05-11 2017-05-11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CN201880029752.7A CN110602996B (zh) 2017-05-11 2018-04-27 用于固定引流管的皮肤缝合保持器
PCT/KR2018/004958 WO2018208037A1 (ko) 2017-05-11 2018-04-27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709A KR101993288B1 (ko) 2017-05-11 2017-05-11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58A true KR20180124358A (ko) 2018-11-21
KR101993288B1 KR101993288B1 (ko) 2019-09-30

Family

ID=6410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709A KR101993288B1 (ko) 2017-05-11 2017-05-11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3288B1 (ko)
CN (1) CN110602996B (ko)
WO (1) WO20182080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96A (ko) 2019-06-19 2020-12-31 주식회사 오쎄인 시안화아크릴레이트의 점도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를 통한 골대체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것의 조성물
KR102341258B1 (ko) * 2021-09-27 2021-12-21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
KR102350328B1 (ko) * 2021-04-28 2022-01-14 오렌지메디칼(주)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82A (ko) 2022-01-06 2023-07-13 오렌지메디칼(주)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171A (ko) * 2008-12-02 2011-09-15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상처를 봉합시키는 기계적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8533A (ko) 2012-10-31 2015-05-28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20160037186A (ko) 2013-07-24 2016-04-05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KR20160086464A (ko) 2015-01-09 2016-07-20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336B1 (fr) * 1998-12-22 2001-06-08 Francis Navarro Dispositif de maintien d'au moins un drain ou analogue
CN102217960A (zh) * 2011-06-10 2011-10-19 冉雪瑛 皮肤伤口缝合器
CN202777396U (zh) * 2012-09-04 2013-03-13 丁一阳 引流导管的固定装置
CN203861286U (zh) * 2014-03-10 2014-10-08 数码桥有限公司 一种伤口缝合装置
CN205322395U (zh) * 2015-12-25 2016-06-22 成都众智致仁医疗科技有限公司 通用型皮肤吻合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171A (ko) * 2008-12-02 2011-09-15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상처를 봉합시키는 기계적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8533A (ko) 2012-10-31 2015-05-28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KR20160037186A (ko) 2013-07-24 2016-04-05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KR101564648B1 (ko)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KR20160086464A (ko) 2015-01-09 2016-07-20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96A (ko) 2019-06-19 2020-12-31 주식회사 오쎄인 시안화아크릴레이트의 점도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를 통한 골대체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것의 조성물
KR102350328B1 (ko) * 2021-04-28 2022-01-14 오렌지메디칼(주)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KR102341258B1 (ko) * 2021-09-27 2021-12-21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8037A1 (ko) 2018-11-15
KR101993288B1 (ko) 2019-09-30
CN110602996A (zh) 2019-12-20
CN110602996B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800B2 (en)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AU2012332558B2 (en)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CA2351643C (en) A surgical device for retracting and/or sealing an incision
KR20180124358A (ko)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US4519392A (en) Hemostasing muscle clips for needleless surgery
JP4295214B2 (ja) 形成組織を移動及び伸張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5806937B2 (ja) 創傷の機械的な閉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726706B2 (en) Suture tape and method for use
JP3249818B2 (ja) 創傷閉鎖装置
EP2566403B1 (en) Incision guide and wound closure device
RU2626875C2 (ru) Сформованный методом многослойного литья полимерный бариатрический зажим и способ его установки
US8353929B2 (en) Vascular wound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68878B1 (ko)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JPH021253A (ja) 重合体材料から作られた改良された外科用固定器具
US20050171404A1 (en) Surgical retractor having suture control features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JP2022502205A (ja) 腹部の閉鎖方法および様々な態様のデバイス
KR20220021197A (ko) 외과 수술용 피부 봉합기
KR102350328B1 (ko)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KR20170051394A (ko) 외과 수술용 클립 어플라이어
KR102616926B1 (ko)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KR20240002549A (ko) 연결끈을 이용한 비침습형 피부 봉합 유지기
RU23492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вывихов акромиального конца ключицы
US20220211535A1 (en) Patient immobiliz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mobilizing a patient
RU2304932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и соединения тка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20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121

Effective date: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