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72B1 -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72B1
KR101742072B1 KR1020160070644A KR20160070644A KR101742072B1 KR 101742072 B1 KR101742072 B1 KR 101742072B1 KR 1020160070644 A KR1020160070644 A KR 1020160070644A KR 20160070644 A KR20160070644 A KR 20160070644A KR 101742072 B1 KR101742072 B1 KR 10174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ir
adhesive member
bands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권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주)서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서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7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61F13/023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oclusive layer skin contac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5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having a special distribution arrangement of th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찢어진 상처나 절개된 피부 등을 봉합함에 있어 실로 꿰매지 않고도 자연적으로 봉합될 수 있도록 한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상처 부위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제1 접착부재 및 제2 접착부재,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제1 밴드 몸체부와 제1 밴드 몸체부 외주면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어 소정 간격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제1 밴드, 한 쌍의 제1 밴드 일측 말단부를 제2 접착부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 및 한 쌍의 제1 밴드 타측 소정 부위를 제1 접착부재에 체결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를 포함하는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장치{Closure device}
본 발명은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찢어진 상처나 절개된 피부 등을 봉합함에 있어 실로 꿰매지 않고도 자연적으로 봉합될 수 있도록 접착부재, 밴드, 밴드 고정부 및 밴드 잠금부를 포함하는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체의 찢어진 상처 부위나, 또는 수술 등에 의해 절개된 상처부위는 실로서 꿰맨 후, 일정기간 경과 후 꿰맨 실을 제거하여 상처가 봉합되도록 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을 사용하는 봉합방법은 인체의 찢어진 상처부위나 수술에 의해 절개된 상처부위를 일일히 실로서 꿰매야 하는 별도의 시술작업을 필요로 하고, 또 꿰맨 실은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시술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더욱이 실로 꿰맨 상처 부위는 봉합되어 완치된 후에도 실로 꿰맨 자국 등 수술자국이 남아 있어 매우 흉하게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105757호에는 실로 꿰매지 않고도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피부 봉합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데 사용되고,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 피부에 부착되는 제1 결합부재, 절개된 상처를 기준으로 다른 한쪽 피부에 부착되는 제2 결합부재,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마찰 또는 걸림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는 연결스트립 및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의 간격을 한 손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걸리는 레버를 포함하는 피부 봉합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봉합술에 의한 흉터가 남지 않고, 봉합해야 하는 상처가 길더라도 길이방향을 따라 오므릴 수 있으며, 한 손으로도 벌어진 상처를 오므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연결스트립을 당길 수 있는 레버가 개별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처부위가 긴 경우에는 봉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 상처가 아문 뒤 흉터의 발생여부를 좌우할 수 있는 봉합부위가 제대로 봉합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057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봉합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 절개되거나 상처난 부위의 피부가 제대로 봉합되었는지 확인이 용이한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봉합장치의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잘못 봉합한 경우에는 쉽게 재봉합할 수 있는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장치는,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상처 부위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제1 접착부재 및 제2 접착부재, 상기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제1 밴드 몸체부와 상기 제1 밴드 몸체부 외주면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어 소정 간격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제1 밴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일측 말단부를 제2 접착부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타측 소정 부위를 제1 접착부재에 체결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는 제2 접착부재와 제1 밴드의 일측 말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밴드 고정부는 제2 접착부재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 상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밴드 일측 말단부와 연결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장치에서, 제1 접착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는 제1 상면 연결판, 상기 제1 상면 연결판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측면 연결판, 상기 제1 측면 연결판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하면 연결판 및 상기 제1 하면 연결판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보조 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면 연결판 하면에는 제1 밴드의 제1 요철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걸림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면 연결판 상면에는 제1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1 상면 연결판과 제1 보조 연결판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을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부재 및 제2 접착부재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 및 제2 위치 확인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타측 말단부에는 제1 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한 쌍의 제1 밴드는 7 내지 13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사이에는 한 개의 제2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개의 제2 밴드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 및 제2 손잡이가 형성된 제2 밴드 몸체부,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밴드 몸체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밴드 고정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걸림돌기부와 제2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한 개의 제2 밴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재 및 제2 접착부재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 및 제1 위치 확인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는 14 내지 26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사이에는 한 쌍의 제2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제2 밴드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 및 제2 손잡이가 형성된 제2 밴드 몸체부,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밴드 몸체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밴드 고정부 및 상기 제2 요철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걸림돌기부와 제2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한 개의 제2 밴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부재 및 제2 접착부재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 및 제1 위치 확인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는 21 내지 39mm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밴드는 7 내지 13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장치는 한 번에 당길 수 있는 2 개상의 밴드를 구비하고 있어 봉합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장치는 밴드 잠금부에 소정의 간극을 구비하고 있어 접착부재의 부착 위치를 수정하거나 잘못 봉합한 경우에도 다시 봉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봉합장치는 접착부재 상면에 위치 확인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제대로 봉합되었는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밴드 잠금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합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등의 상처 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정면도 그리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봉합장치는 제1 접착부재(10), 제2 접착부재(20), 한 쌍의 제1 밴드(30),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40) 및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는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를 정확하게 오므려 흉터를 최소화하고 또 상처의 치유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처 부위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피부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탈부착이 가능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위치 확인부재(11)와 제2 위치 확인부재(21)가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각각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당겨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경우, 절개된 부위나 상처난 부위의 동일한 면이 봉합될 수 있도록 피부를 균일하게 당겨야만 흉터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 상부에 구비된 제1 위치 확인부재(11)와 제2 위치 확인부재(21)는 원하는 위치에서 피부가 예정된 거리만큼 이동하였는지를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확인부재(11)와 제2 위치 확인부재(21)는 상호 대향되는 형상의 화살표일 수 있으며,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가 원하는 거리와 위치만큼 이동하였는지를 상호 대향되는 화살표의 방향과 각도로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확인부재(11)와 제2 위치 확인부재(21)가 화살표 형상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확인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한 쌍의 제1 밴드(30),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40) 및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상호 밀착시켜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나 상처를 오므리기 위한 구성들이다.
본 발명의 봉합장치는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봉합을 위하여 소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밴드, 그리고 이들 밴드에 각각 대응되는 개수의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은 주요 특징부 중 하나에 해당된다.
먼저 제1 밴드(30)에 관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밴드(30)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제1 밴드 몸체부(31)와, 제1 밴드 몸체부(31) 외주면 소정 부위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제1 요철부(32), 그리고 한 쌍의 제1 밴드(30)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손잡이(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밴드(30)의 일측 말단부는 제2 접착부재(20) 상에 위치한 제1 밴드 고정부(40)와 결합되고, 타측 소정 부위는 제1 접착부재(10) 상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와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밴드(30)에 구비된 제1 요철부(3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는 쉽게 이동하지만 타방향으로는 이동이 어렵도록 소정각도를 갖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손잡이(33)는 제1 밴드(30)를 파지하기 쉬우며 당길 때 미끄러지지 않고, 또 제품의 홍보가 가능하도록 소정 문양이나 형상을 갖도록 입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밴드(30)에서 각 밴드는 7 내지 13mm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밴드의 이격거리가 7mm 미만인 경우에는 밴드의 간격이 너무 촘촘하여 봉합시간이 길어지고, 반대로 13 mm를 초과하게 되면 밴드의 간격이 너무 넓어 봉합부위를 정확하게 봉합시키는 것이 곤란하므로, 각 밴드의 이격거리는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이격 거리는 8 내지 12 mm이다.
제1 밴드 고정부(40)는 제1 밴드(30)의 일측 말단부와 연결되며, 한 쌍의 제1 지지부(41), 제2 지지부(42) 그리고 미끄럼 방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부(41)는 제2 접착부재(20)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2 지지부(42)는 한 쌍의 제1 지지부(41)를 상호 연결하면서 한 쌍의 제1 밴드(30) 일측 말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밴드(30) 상부면에는 소정의 모양이나 형상을 갖는 입체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43)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절개되거나 상처난 피부를 봉합하려고 제1 손잡이(32)를 당겨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밀착시키는 경우, 제2 접착부재(20)가 피부로부터 떨어질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봉합장치는 미끄럼 방지부(43)를 갖는 제2 지지부(42)를 구비하고 있어, 제2 접착부재(20)의 위치를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부(41)와 제2 지지부(42)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또 제2 접착부재(20)와 제1 지지부(41), 제1 지지부(41)와 제2 지지부(42)는 고주파, 초음파 융착 등 공지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당겨 피부의 봉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밴드(30)에 구비된 제1 요철부(32)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측면도인 도 4와 제1 밴드 잠금부(50)의 확대사시도인 도 5를 참고하면서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상면 연결판(51), 제1 측면 연결판(52), 제1 하면 연결판(53) 및 제1 보조 연결판(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상면 연결판(51), 제1 상면 연결판(51)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 연결판(52), 제1 측면 연결판(52)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하면 연결판(53) 그리고 제1 하면 연결판(53)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보조 연결판(54)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상면 연결판(51) 저면에는 제1 걸림돌기부(51a)가 구비되고, 제1 하면 연결판(53) 상면에는 제1 이탈방지부(5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돌기부(51a)는 제1 밴드(30)의 제1 요철부(3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 즉 제1 손잡이(32)를 당기는 방향으로만 제1 밴드(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요철부(32)에 형성된 홈부(H)와는 직교한 방향으로 제1 걸림돌기부(51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53a)는 제1 밴드(30)를 당길 때, 제1 밴드(30)가 제1 밴드 잠금부(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밴드 몸체부(31)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상면 연결판(51)과 제1 하면 연결판(53)과의 거리가 제1 요철부(32)의 외경과 유사한 것이, 제1 요철부(32)가 구비된 제1 밴드(30)가 제1 밴드 잠금부(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제1 상면 연결판(51)과 제1 보조 연결판(5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S)은 제1 밴드 몸체부(31)를 제1 밴드 잠금부(50)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연결부(42)와 일체화된 제1 밴드 몸체부(31)를 제1 밴드 잠금부(50)에 결합시키거나, 혹은 제1 손잡이(33)를 당겨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상호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은 경우 제1 밴드 몸체부(31)를 분리시켜 다시 조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접착부재(10) 상에서 간극(S)이 밖으로 향하도록, 즉 제1 측면 연결판(52)이 인접한 채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간극(S)이 밖으로 향하도록 제1 이탈방지부(50)를 위치시킴으로써, 제1 이탈방지부(50)로부터 제1 밴드(3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제1 손잡이(33)를 당기는 과정에서 제1 측면 연결판(52)은 한 쌍의 제1 밴드(3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 유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 쌍의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 저면에는 소정 크기를 갖는 보호필름(9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필름(90)은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PET(Polyethylene phthalate) 재질의 필름일 수 있으나 상기 재료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밴드 고정부(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예(도 1 참조)와 동일하므로, 제1 밴드 고정부(4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제1 밴드 고정부(40)는 한 쌍의 제1 지지부(41)와 제2 지지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부(41)는 제2 접착부재(20)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지지부(42)는 한 쌍의 제1 지지부(41)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1 밴드 몸체부(31)의 일측 말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밴드(60),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제2 밴드 잠금부(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제2 실시예(도 6 참조)와 동일하므로, 상기 차이가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는 한 개의 제2 밴드(60),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제2 밴드 잠금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개의 제2 밴드(60)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62)가 형성된 제2 밴드 몸체부(61)와 제2 손잡이(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밴드 몸체부(61)의 일측 말단은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밴드 고정부(70)에 고정되고, 타측 말단부에는 제2 손잡이(63)가 구비되어 있다. 또 제2 밴드 몸체부(61)의 제2 요철부(62)는 도 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1 개의 제2 밴드 잠금부(8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밴드 사이가 7 내지 13mm 이격되도록 한 쌍의 제1 밴드(30)는 14 내지 26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2 밴드(60)는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 중앙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일측 말단부는 제1 밴드 고정부(40)에 고정되고 타측말단부는 제1 손잡이(33)가 구비된 한 쌍의 제1 밴드(30), 그리고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 제2 손잡이(63)가 구비된 제2 밴드(6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서로 마주 보도록 대향 구비하고 있어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상호 밀착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한 번의 조임만으로도 긴 절개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합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한 쌍의 제2 밴드(60),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제2 밴드 잠금부(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제3 실시예(도 7 참조)와 동일하므로, 상기 차이가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 밴드(60),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제2 밴드 잠금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밴드(60)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62)가 형성된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2 밴드 몸체부(61)와 제2 손잡이(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밴드 몸체부(61)의 일측 말단은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밴드 고정부(70)에 고정되고, 타측 말단부에는 제2 손잡이(63)가 구비되어 있다. 또 제2 밴드 몸체부(61)의 제2 요철부(62)는 도 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2 개의 제2 밴드 잠금부(8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밴드 사이가 7 내지 13mm 이격되도록 한 쌍의 제1 밴드(30)는 21 내지 39mm 이격되고, 또 한 쌍의 제2 밴드(60)는 7 내지 13mm 이격되면서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 중앙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일측 말단부는 제1 밴드 고정부(40)에 고정되고 타측말단부는 제1 손잡이(33)가 구비된 한 쌍의 제1 밴드(30), 그리고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 제2 손잡이(63)가 부착된 한 쌍의 제2 밴드(6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가 서로 마주 보도록 대향 구비하고 있어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상호 밀착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한 번의 조임만으로도 긴 절개부위를 봉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봉합장치를 사용하여 절개된 부위를 봉합한 이후에는 봉합장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봉합장치를 사용하여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등의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 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봉합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등 상처부위를 소독한 후,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 사이 공간부에 상처부위가 위치하도록 봉합장치를 피부에 부착시킨다.
이어서 봉합장치의 위치확인부재와 상처의 봉합정도를 확인하면서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가 서로 근접하도록 손잡이를 당긴다.
봉합이 완료되면 길게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봉합장치 상부면에 피부의 봉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보호필름을 붙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 제1 접착부재
11 : 제1 위치 확인부재
20 : 제2 접착부재
21 : 제2 위치 확인부재
30 : 제1 밴드
31 : 제1 밴드 몸체부 32 : 제1 요철부
33 : 제1 손잡이
40 : 제1 밴드 고정부
41 : 제1 지지부 42 : 제1 연결부
43 : 미끄럼 방지부
50 : 제1 밴드 잠금부
51 : 제1 상면 연결판 51a : 제1 걸림돌기부
52 : 제1 측면 연결판 53 : 제1 하면 연결판
53a : 제1 이탈방지부 54 : 제1 보조연결판
60 : 제2 밴드
61 : 제2 밴드 몸체부 62 : 제2 요철부
63 : 제2 손잡이
70 : 제2 밴드 고정부
71 : 제2 지지부
80 : 제2 밴드 잠금부
90 : 보호필름
S : 간극 H : 홈부

Claims (15)

  1. 절개되거나 벌어진 피부 상처 부위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상기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를 상호 연결하며, 제1 밴드 몸체부(31)와 상기 제1 밴드 몸체부(10) 외주면에 제1 요철부(32)가 형성되어 소정 간격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제1 밴드(30);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 일측 말단부를 제2 접착부재(2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40); 및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 타측 소정 부위를 제1 접착부재(10)에 체결하는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고정부(40)는 제2 접착부재(20)와 제1 밴드(30)의 일측 말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지부(41)를 구비하고,
    제1 접착부재(10)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는, 제1 상면 연결판(51), 상기 제1 상면 연결판(51)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측면 연결판(52), 상기 제1 측면 연결판(52)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하면 연결판(53) 및 상기 제1 하면 연결판(53)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 제1 보조 연결판(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 연결판(51) 하면에는 제1 밴드(30)의 제1 요철부(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걸림돌기부(51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면 연결판(53) 상면에는 제1 밴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53a) 및 상기 제1 상면 연결판(51)과 제1 보조 연결판(5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11) 및 제2 위치 확인부재(21)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고정부(40)는 제2 접착부재(20)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 지지부(41); 및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41) 상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밴드(30) 일측 말단부와 연결되는 미끄럼 방지부(43)가 형성된 제2 지지부(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 타측 말단부에는 제1 손잡이(3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는 7 내지 13mm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8.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는 한 개의 제2 밴드(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제2 밴드(60)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62) 및 제2 손잡이(63)가 형성된 제2 밴드 몸체부(61);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밴드 몸체부(61)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상기 제2 요철부(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걸림돌기부와 제2 밴드(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한 개의 제2 밴드 잠금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11) 및 제1 위치 확인부재(21)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는 14 내지 26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2.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 밴드(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밴드(60)는, 외주면 소정 위치에 제2 요철부(62) 및 제2 손잡이(63)가 형성된 제2 밴드 몸체부(61);
    한 쌍의 제1 밴드 잠금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밴드 몸체부(61)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2 밴드 고정부(70); 및
    상기 제2 요철부(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걸림돌기부와 제2 밴드(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한 개의 제2 밴드 잠금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10) 및 제2 접착부재(20) 상면에는 제1 접착부재(10)와 제2 접착부재(2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위치 확인부재(11) 및 제1 위치 확인부재(21)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밴드(30)는 21 내지 39mm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밴드(60)는 7 내지 13mm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장치.













KR1020160070644A 2016-06-08 2016-06-08 봉합장치 KR10174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44A KR101742072B1 (ko) 2016-06-08 2016-06-08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44A KR101742072B1 (ko) 2016-06-08 2016-06-08 봉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072B1 true KR101742072B1 (ko) 2017-06-05

Family

ID=5922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644A KR101742072B1 (ko) 2016-06-08 2016-06-08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89B1 (ko) * 2021-02-03 2021-04-13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기
KR102243126B1 (ko) * 2021-02-02 2021-04-22 정민재 무봉합사 의료용 피부 봉합 장치
KR20210073960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350328B1 (ko) * 2021-04-28 2022-01-14 오렌지메디칼(주)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00565U (zh) 2015-02-16 2015-09-02 沈立忠 调节式医疗扣件装置
KR101564648B1 (ko) *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CN204814010U (zh) 2015-07-06 2015-12-02 江西宜信堂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皮肤伤口缝合器
KR101611144B1 (ko) 2012-10-31 2016-04-08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144B1 (ko) 2012-10-31 2016-04-08 집라인 메디칼, 인크. 수술 절개 및 봉합 장치
KR101564648B1 (ko) * 2014-06-23 2015-10-30 오렌지메디칼(주) 봉합장치
CN204600565U (zh) 2015-02-16 2015-09-02 沈立忠 调节式医疗扣件装置
CN204814010U (zh) 2015-07-06 2015-12-02 江西宜信堂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皮肤伤口缝合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60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290632B1 (ko) 2019-12-11 2021-08-18 주식회사 코빌드 수술 절개부 봉합 장치
KR102243126B1 (ko) * 2021-02-02 2021-04-22 정민재 무봉합사 의료용 피부 봉합 장치
KR102239889B1 (ko) * 2021-02-03 2021-04-13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기
KR102350328B1 (ko) * 2021-04-28 2022-01-14 오렌지메디칼(주)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072B1 (ko) 봉합장치
US741416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7838718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JP7296028B2 (ja) 力変調組織ブリッジ、関連するツール、キット、および方法
US20050021081A1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JP6181657B2 (ja) 一体化された力分散部を有する外科的切開および閉鎖器具
US8777986B2 (en) Incision guide and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101564648B1 (ko) 봉합장치
US7354446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KR101768878B1 (ko) 수술용 피부봉합부 봉합유지기
MX2011005709A (es) Sistema y metodo para el cierre mecanico de heridas.
JP2019536597A (ja) 創傷閉鎖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る創傷閉鎖デバイス
US10874395B2 (en) Closure device
AU2013280310A1 (en) Wound closure device
US8636763B2 (en) Device for laceration or incision closure
US20210204933A1 (en) Reinforcing incision drapes having stitching zones bounded by reinforcing zones for closing incisions formed in fragile tissue
KR200493054Y1 (ko) 피부 개구 밀봉 장치
US20130312770A1 (en) Surgical drape
JP7377258B2 (ja) 医療デバイス
JP2023538193A (ja) 切開部閉鎖器具
US20230248363A1 (en) Tabbed and split dual liner
JP2023512755A (ja) 人体組織に対して細長い可撓性要素のu字形部を支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59604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inimizing wound dehiscence, scar spread, and/or the like
US201601749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with wound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