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774B1 -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774B1
KR102327774B1 KR1020190087298A KR20190087298A KR102327774B1 KR 102327774 B1 KR102327774 B1 KR 102327774B1 KR 1020190087298 A KR1020190087298 A KR 1020190087298A KR 20190087298 A KR20190087298 A KR 20190087298A KR 102327774 B1 KR102327774 B1 KR 10232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diaphragm
corn kernels
steamer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009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19008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수수를 가공하는 시스템은, 옥수수알을 수용하는 찜솥; 상기 찜솥을 수용하여 옥수수알을 증숙시키는 증숙기; 증숙된 상기 찜솥 내의 옥수수알을 이송하면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세척기;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하부의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이물선별기;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세척기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은 상기 진동판으로 낙하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동안 옥수수알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낙하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은 상기 진동판에 남도록 하여 이물을 제거하고,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옥수수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시간내에 포장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System for processing automatically corn}
본 발명은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대인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 좋은 작물로서 단백질, 지방, 당류, 전분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맛도 좋아 쪄서 먹거나 산업용으로 대량 생산하여 빵, 과자, 죽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옥수수는 생산되는 지방이나 개량하는 품종에 따라 찰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로 구분될 수 있다. 찰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쪄서 먹을 때 이용되고,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는 당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주로 대량 생산되어 가공된다.
옥수수는 수확한 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당질이 전분질로 전환되는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수확 후 24시간이 지나면 약 50%의 당질이 전분질로 전환되며, 48시간이 경과하면, 약 80%의 당질이 전분질로 전환된다.
즉, 수확한 뒤의 옥수수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당분함량이 떨어지며 수분도 줄어들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단옥수수나 초당옥수수를 가공할때는 24시간 이내에 포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옥수수를 생산하여 포장하는 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져 많은 양의 옥수수를 빠른 시간에 작업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포장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유통과정에서 당질이 전분질로 전환되어 최종 소비자에게 이르렀을 때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옥수수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의 옥수수를 빠른시간내에 포장 할 수 있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54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옥수수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 시간 내에 포장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를 가공하는 시스템은, 옥수수알을 수용하는 찜솥; 상기 찜솥을 수용하여 옥수수알을 증숙시키는 증숙기; 증숙된 상기 찜솥 내의 옥수수알을 이송하면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세척기;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하부의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이물선별기;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세척기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은 상기 진동판으로 낙하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동안 옥수수알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낙하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은 상기 진동판에 남도록 하여 이물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냉각 세척기는, 구획된 칸막이가 연속 배열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물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물은 상기 칸막이 상부에 부유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의 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인접하는 상기 칸막이로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찜솥은 측면 및 하부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은 개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를 자동으로 가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옥수수로부터 옥수수알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옥수수알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옥수수알을 구획된 칸막이에 수용하여 이송하는 단계; 옥수수알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칸막이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 이송된 옥수수알을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 위에 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개구를 통해 낙하되는 옥수수알을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선별 단계;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수수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 시간내에 포장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옥수수에서 알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찜솥의 하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찜솥이 증숙기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찜솥이 증숙기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세척기에서 옥수수알이 이송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서 냉각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옥수수알이 냉각 세척기에서 이송중에 세척되어 이물이 걸러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선별기에서 이물을 선별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진동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냉각 세척기로부터 이물선별기로 이송된 옥수수알이 이물이 제거된 다음 이송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알을 포장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이송부로부터 포장기로 이송된 옥수수알을 포장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옥수수에서 알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찜솥의 하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찜솥이 증숙기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찜솥이 증숙기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세척기에서 옥수수알이 이송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서 냉각 세척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옥수수알이 냉각 세척기에서 이송중에 세척되어 이물이 걸러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선별기에서 이물을 선별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진동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냉각 세척기로부터 이물선별기로 이송된 옥수수알이 이물이 제거된 다음 이송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알을 포장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이송부로부터 포장기로 이송된 옥수수알을 포장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100)은 옥수수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 시간내에 포장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옥수수에서 옥수수알을 분리하는 기계를 도시하고 있다. 옥수수(20)가 기계(10) 내로 투입되면, 옥수수알(30)이 분리되어 나온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100)은 찜솥(110), 증숙기(120), 호퍼(130), 냉각 세척기(140), 이물선별기(150), 이송부(160), 포장기(170)를 포함한다.
찜솥(110)은 옥수수알(30)을 수용한다. 찜솥(110)의 측면 및 하부면에는 다수의 개구(111)가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증숙기(120)는 찜솥(110)을 수용하고 열을 가해 옥수수알(30)을 증숙시킨다.
호퍼(130)는 찜솥(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증숙된 옥수수알(30)을 수용한다. 호퍼(13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벨트(131)가 배치되어 옥수수알은 냉각세척기(140)로 이송될 수 있다.
냉각 세척기(140)는 이송벨트(141)와 물 분사부(143)를 포함하고, 호퍼(130)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30)을 이송하면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70)을 제거한다. 이물(70)은 옥수수 파편, 옥수수 수염 등이 될 수 있다.
이송벨트(141)에는 구획된 칸막이(141a)가 연속 배열된다. 이송벨트(141)의 일측 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칸막이(141a)에는 인접하는 칸막이(141a)로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141a')가 형성된다.
물 분사부(143)는 이송벨트(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송벨트(141)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43a)을 구비한다. 분사노즐(143a)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물(70)은 칸막이(141a) 상부에 부유되어 이송벨트(14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 제거된다.
이물선별기(150)는 다수의 개구(151a)가 형성된 진동판(151)과, 진동판(151) 하부의 컨베이어벨트(152)를 구비한다. 진동판(151)은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되어, 진동하면서 진동판(151) 하부의 컨베이어벨트(152)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냉각 세척기(140)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30)은 진동판(151)으로 낙하되고, 진동판(151)이 진동하는 동안 옥수수알(30)은 개구(151a)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52)로 낙하되고, 개구(151a)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70)은 진동판(151)에 남도록 하여 이물(70)을 제거한다. 이물(70)은 옥수수 수염 등이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진동판(151)의 하부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55)이 위치되어, 진동판(151)이 이동하는 동안 진동판(151)에 붙어있는 이물(70)을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송부(160)는 이물선별기(150)의 컨베이어벨트(152)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30)을 포장기(170)로 이송한다.
포장기(170)는 이송부(160)를 통해 이송된 옥수수알(30)을 정량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포장기(170)는 이송부(16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물선별기(150)의 컨베이어벨트(152)를 통해 이송되는 옥수수알(30)을 정량으로 포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100)은 옥수수알(30)을 증숙하고 이물을 제거하고 정량으로 포장하기까지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 시간내에 포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100)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찜솥(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찜솥(110)의 측면 및 하부에는 복수의 개구(111)가 형성된다. 개구(111)는 옥수수알(3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옥수수알(30)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찜솥(110)은 하부패널(113, 114)이 개폐 가능하게 측부패널에 연결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패널(113, 114)은 중앙의 제1 하부패널(113)과, 제1 하부패널(113) 양쪽의 제2 하부패널(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의 제1 하부패널(113)은 측부패널에 연결되고, 양쪽의 제2 하부패널(114)이 개폐될 수 있다.
결합부(112)에 의해 제2 하부패널(114)이 측부패널에 연결되면, 찜솥(110)이 옥수수알(30)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결합부(112)에서 측부패널에 대한 제2 하부패널(114)의 결합을 해제하면, 제2 하부패널(114)이 하부로 젖혀지면서 찜솥(110)의 하부가 개방되어 옥수수알(30)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증숙기(12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121)와, 상부를 덮는 커버(122)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2)는 상부에 손잡이(123)가 형성되고 손잡이(123)를 돌려서 몸체(121)와 커버(122)를 결합하거나 분리할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2)는 지지대(124)가 커버(122) 상부의 손잡이(123)와 몸체(121)를 연결하고, 지지대(124)의 축은 회전가능하여 커버(122)를 측면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증숙기(120)의 커버(122)는 측면으로 열고 닫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커버(122)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122)를 위로 열어젖혀서 여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냉각 세척기(140)는 이송벨트(141), 물 분사부(143), 이물저장부(144), 받침대(145), 롤러(146)를 포함한다.
이송벨트(141)는 서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회전축(미도시)을 기점으로 단면이 "ㅗ"자 형상으로 돌출된 부속들이 연속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이러한 컨베이어벨트(141)의 측면을 차단하는 차단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은 컨베이어벨트보다 높게 형성되어 이물(70) 등이 냉각 세척기(14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 분사부(143)는 이송벨트(141)의 상부에 설치되고, 물 분사부(143)에 연결된 분사노즐(143a)은 이송벨트(141)가 이송하는 반대방향(도 7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이물저장부(144)는 이송벨트(14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이물저장부(144)와 이송벨트(141)가 연결되는 쪽의 이물저장부(144)에는 절개부(144a)가 형성되어, 이송벨트(141)로부터 이물저장부(144)로 물과 이물(7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벨트(141)의 칸막이(141a)에는 다수의 개구(141a')가 형성된다. 이송벨트(141)가 단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개구(141a')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냉각 세척기(140)에서 이송벨트(141)의 하부에는 수조가 설치되어 이송벨트(141)에서 배출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물선별기(150)는 냉각 세척기(140)의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물선별기(150)는 냉각 세척기(140)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30)로부터 이물(70)을 선별하여 옥수수알(30)만 포장기(170)로 이송되게 한다.
이송부(160)는 이물선별기(150)의 컨베이어벨트(152)보다 낮은 높이로 컨베이어벨트(15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옥수수알(30)을 포장기(170)로 이송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송부(160)는 제2 이송벨트(161), 받침대(163), 롤러(164)를 포함한다. 제2 이송벨트(161)는 구획된 칸막이가 연속 배열되는 형태로 되어, 옥수수알(30)이 칸막이 내에 수용된 상태로 포장기(170)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포장기(170)에서는 옥수수알(30)이 정량으로 배출되어 포장재(60)에 진공포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되어 옥수수(20)로부터 옥수수알(30)을 분리하고 이물을 제거하여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옥수수(20)의 껍질을 제거한 후 탈립기(10)에 투입하면, 탈립기(10)로부터 옥수수알(30)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리된 옥수수알(30)을 찜솥(110)에 넣고 증숙기(120)에서 증숙한다.
커버(122)가 열려져 있는 증숙기(120) 내부로 찜솥(110)이 삽입되고, 커버(122)를 닫아 밀폐시킨 다음 옥수수알(30)을 증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옥수수(20)를 옥수수알(30)로 분리한 다음에 찜솥(110)에 넣어 증숙하기 때문에, 종래에 옥수수(20)를 통째로 증숙하는 것보다 한 번에 훨씬 더 많은 양을 증숙할 수 있다.
찜솥(110)은 와이어(50)에 의해 레일(40)과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40)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찜솥(110)를 이송할 수 있어, 찜솥(110)를 증숙기(120) 또는 호퍼(130)까지 쉽게 이송할 수 있다(도 5 참조).
다음에, 증숙된 옥수수알(30)은 호퍼(130)에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냉각 세척기(140)로 이송된다.
옥수수알(30)은 냉각 세척기(140)의 이송벨트(141)에 채워진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냉각 세척기(140)의 상부에 설치된 물 분사부(143)에서 물이 분사되면서 옥수수알(30)을 세척하고, 옥수수알(30) 중에 포함된 이물은 부유되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냉각 세척기(140)의 단부로 이송된 옥수수알(30)은 진동판(151) 위에 낙하된다. 진동판(151)의 개구(151a)를 통해 낙하되는 옥수수알(30)은 컨베이어벨트(152)에 의해 이송하고, 진동판(151)의 개구(151a)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70)은 제거된다.
다음에, 컨베이어벨트(152)에 의해 이송된 옥수수알(30)을 정량으로 포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100)에서는 옥수수(20)를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많은 양을 빠른 시간 내에 포장함으로써, 당분함량이 떨어지거나 수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옥수수를 제공하면서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세척기(140)와 이물선별기(150)를 통해 옥수수알(30) 중에 포함된 이물(70)을 2단계에 걸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탈립기 20 : 옥수수
30 : 옥수수알 40 : 레일
50 : 와이어 60 : 포장재
70 : 이물 100 :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110 : 찜솥 111 : 개구
112 : 결합부 113 : 제1 하부패널
114 : 제2 하부패널 120 : 증숙기
130 : 호퍼 140 : 냉각 세척기
141 : 제1 이송벨트 141a : 칸막이
143 : 물 분사부 143a : 분사노즐
144 : 이물저장부 144a : 절개부
150 : 이물선별기 151 : 진동판
151a : 개구 152 : 컨베이어벨트
153 : 받침대 154 : 롤러
160 : 이송부 170 : 포장기

Claims (6)

  1. 옥수수를 가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옥수수알을 수용하는 찜솥;
    상기 찜솥을 수용하여 옥수수알을 증숙시키는 증숙기;
    증숙된 상기 찜솥 내의 옥수수알을 이송하면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세척기;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하부의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이물선별기;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세척기로부터 이송된 옥수수알은 상기 진동판으로 낙하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동안 옥수수알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낙하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은 상기 진동판에 남도록 하여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진동판은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되어, 진동하면서 상기 진동판 하부의 컨베이어벨트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55)이 위치되어, 상기 진동판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진동판에 붙어있는 이물을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세척기는,
    구획된 칸막이가 연속 배열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물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물은 상기 칸막이 상부에 부유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 제거되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의 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인접하는 상기 칸막이로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솥은 측면 및 하부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은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6. 옥수수를 자동으로 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로부터 옥수수알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옥수수알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옥수수알을 구획된 칸막이에 수용하여 이송하는 단계;
    옥수수알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칸막이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
    이송된 옥수수알을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 위에 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개구를 통해 낙하되는 옥수수알을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선별 단계;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된 옥수수알을 정량으로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이송벨트에 개구가 형성되는 칸막이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벨트 하부에 수조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 분사부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가 이송되는 반대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부유되는 이물을 제거하고,
    상기 이송된 옥수수알을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진동판 위에 낙하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송벨트의 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물이 빠지면서 상기 칸막이에 수용된 옥수수알이 상기 진동판 위에 낙하될 수 있는 옥수수를 자동으로 가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90087298A 2019-07-19 2019-07-19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KR10232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98A KR102327774B1 (ko) 2019-07-19 2019-07-19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98A KR102327774B1 (ko) 2019-07-19 2019-07-19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09A KR20210010009A (ko) 2021-01-27
KR102327774B1 true KR102327774B1 (ko) 2021-11-17

Family

ID=7423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98A KR102327774B1 (ko) 2019-07-19 2019-07-19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711B1 (ko) 1998-07-13 2005-11-25 윤 선 장 대두피 탈피장치
KR101077197B1 (ko) 2010-12-29 2011-10-27 홍천군 찰옥수수 통조림
JP2012080780A (ja) 2010-10-07 2012-04-26 Nakai:Kk 固形食材の蜜漬け加熱装置
CN104799172A (zh) * 2015-05-07 2015-07-29 河南可喜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甜玉米粒生产线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058B2 (ja) * 1997-04-04 2000-02-07 日立造船向島マリン株式会社 湿式異物除去装置
KR100675428B1 (ko) 2005-09-30 2007-01-30 김연수 풋옥수수 알의 가공방법
KR101723856B1 (ko) * 2015-05-04 2017-04-06 최병국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711B1 (ko) 1998-07-13 2005-11-25 윤 선 장 대두피 탈피장치
JP2012080780A (ja) 2010-10-07 2012-04-26 Nakai:Kk 固形食材の蜜漬け加熱装置
KR101077197B1 (ko) 2010-12-29 2011-10-27 홍천군 찰옥수수 통조림
CN104799172A (zh) * 2015-05-07 2015-07-29 河南可喜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甜玉米粒生产线及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09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4549B1 (en) Motorised conveyor for moving a flow of harvest from a fruit harvesting machine
AU2013328326B2 (en) Improved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of horticultural products
US8267256B2 (en) Device for sorting a harvested stream of fruit in bunches and separation system further integrating a destemming device
AU20122516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residue from a flow of harvest
US20160143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roduce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KR102327774B1 (ko) 옥수수의 자동 가공 시스템
US2240442A (en) Cleaning and separating device
Zeidler Processing and packaging shell eggs
ITFI20000146A1 (it) Dispositivo di cernita per macchine di raccolta di bacche od altri frutti e macchine di raccolta equipaggiate con questo selezionatore
US4075087A (en) Continuous grader for fruits or the like
KR100453570B1 (ko) 마늘 줄기 및 뿌리 제거장치
US20050226963A1 (en) Character-shaped snack food containing hardening agent
CN208798659U (zh) 一种萝卜加工生产线
CN111137478A (zh) 一种食品自动包装设备
CN107971208B (zh) 一种花生分存转化装置
KR101643117B1 (ko) 고추수확기
Sims Mechanization of post-harvest pecan processing
JPS5926826Y2 (ja) 大豆脱粒機
EP2230949A1 (en) De-bunching system including a device for lateral evacuation of undesirable components
US20050226984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aracter-shaped snack food product
JPH02222666A (ja) 食品の加工方法とその装置
Bitting The canning of peas
JPS63129976A (ja) 野菜の洗浄方法
KR20240039429A (ko) 패류용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