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429A - 패류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패류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429A
KR20240039429A KR1020220117997A KR20220117997A KR20240039429A KR 20240039429 A KR20240039429 A KR 20240039429A KR 1020220117997 A KR1020220117997 A KR 1020220117997A KR 20220117997 A KR20220117997 A KR 20220117997A KR 20240039429 A KR20240039429 A KR 20240039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washing
unit
sort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2011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429A/ko
Publication of KR2024003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류용 세척장치는 패류를 공급하는 패류 공급부; 상기 패류 공급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1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1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1차로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상기 제1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2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2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2차로 세척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상기 패류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류용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for shellfish}
본 발명은 조개, 홍합, 바지락 등의 패류를 세척하여 해감하기 위한 패류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패류를 제공받아 분류 및 세척을 진행하는 패류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개, 홍합, 바지락, 다슬기, 꽃게 등의 패류는 좋은 맛과 함께 좋은 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한국인이 많이 섭취하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서 양식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패류는 비교적 다른 해상생물에 비하여 이동하지 않고 머물러 사는 특성이 있어 양식이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하여 어민들의 주 소득원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패류는 모래와 펄이 섞인 갯벌에 많이 자생하거나 이와 같은 환경에서 양식이 이루어져, 채취 직후 해감 및 세척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통되는 경우 일반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보통 패류의 포장 유통 시에는 채취한 패류에 대한 해감 및 표면에 분포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기타 농수산물과 마찬가지로 크기에 따라서 판매 단가에 차이가 발생하여 크기에 따른 선별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패류를 선별하기 위해서, 다량의 패류를 작업자가 직접 선별하고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처리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그 한계가 있다.
또한, 패류 체취장으로부터 패류를 운반하고, 세척하고, 분리하고, 선별하는 등의 작업공정이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진행할 수 없어 작업공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패류의 크기별 분리선별에 있어서 작업자가 포장용도로 분리된 패류를 여러 개의 매쉬를 통하여 직접 선별하고 있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10-240793(2022.06.10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패류를 제공받아 분류 및 세척을 진행하는 패류용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용 세척장치는 패류를 공급하는 패류 공급부; 상기 패류 공급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1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1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1차로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상기 제1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2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2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2차로 세척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상기 패류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공급부는 내부에 패류가 저장되고, 바닥면이 상기 제1 세척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개구를 개폐하여 상기 패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과 물을 포함하는 제1 세척수가 저장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매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매쉬망에 형성된 매쉬홀의 크기는 상기 패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출구에는 제1 셔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셔터와 함께 상기 제1 배출구를 차폐하며, 상기 제1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제1 셔터는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셔터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세척수가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제1 매쉬망은 개방되어 상기 패류를 상기 제2 세척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세척부는 소금물을 포함하는 제2 세척수가 저장되고, 하부에 상기 제2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제2 수조와, 상기 제2 수조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매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부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에 의하여 복수의 선별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선별 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선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부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 세척부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척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상기 선별 공간의 선별 홀 크기는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패류를 제공받아 분류 및 세척을 진행하기 때문에 처리시간 및 처리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제1 세척수 및 제2 세척수에 미세 진동을 가하는 방법으로 패류를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시 패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1차로 패류를 세척하고 소금물을 이용하여 2차로 패류를 세척해 줌으로써, 패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류용 세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세척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세척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류 선별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패류 선별부를 이용한 패류의 선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용 세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류용 세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세척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세척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류 선별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패류용 세척장치(100)는 패류 공급부(110)와, 제1 세척부(120)와, 제2 세척부(130), 및 패류 선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류 공급부(110)는 조개, 홍합, 바지락 등의 패류(10)를 채취장으로부터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1 세척부(120) 측으로 패류(10)를 공급할 수 있다.
패류 공급부(110)는 트레이(111) 및 공급량 제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11)는 내부에 패류(10)가 저장되고, 바닥면이 제1 세척부(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의 일측에는 개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11)의 바닥면이 제1 세척부(1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트레이(111) 내부에 저장된 패류(10)는 중력에 의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개구(110a)를 통해 제1 세척부(12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111)의 바닥면은 약 15 ~ 45°의 경사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111)는 내부에 저장된 패류(10)가 모두 소진되면 외부에서 패류(10)를 더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부는 덮개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급량 제어부(112)는 트레이(111)의 개구(110a)를 개폐하여 패류(10)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량 제어부(112)는 개구(110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111)의 개구율을 제어함으로써 제1 세척부(120)로 제공되는 패류(10)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급량 제어부(112)는 트레이(111)의 개구(110a)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개구율 및 개폐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패류(10)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급량 제어부(112)가 상측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하고 개방 시간이 증가할수록 패류(10)의 공급량은 많아지고, 공급량 제어부(112)가 하측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하고 개방 시간이 감소할수록 패류(10)의 공급량은 줄어들게 된다.
제1 세척부(120)는 패류 공급부(110)로부터 패류(10)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1 세척수(W1)에 진동을 가하는 제1 초음파 발생부(150)를 구비하여 패류(10)를 1차로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세척부(120) 내부에 제1 초음파 발생부(150)가 구비됨에 따라 제1 세척수(W1)에 진동을 발생시켜 패류(10)의 세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 세척부(120)는 패류 공급부(110)로부터 낙하하는 패류(10)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트레이(111)의 개구(110a)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호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세척부(120)는 제1 수조(121) 및 제1 매쉬망(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조(121)는 내부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과 물을 포함하는 제1 세척수(W1)가 저장될 수 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탈취 효과 및 산 중화효과가 있는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서,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소다, 베이킹소다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오염물을 흡착시키는 특징이 있어 세척수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은 물 100 중량부 당 10~30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탄산수소나트륨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세척 효과가 미미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패류(10)를 세척하기 위한 최적의 농도보다 커서 재료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제1 세척부(120)의 하부에는 제1 세척수(W1)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출구(120a)에는 제1 셔터(123)가 구비되어 제1 배출구(120a)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척부(120) 내에서 패류(10)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 셔터(123)는 제1 배출구(120a)를 차폐하고, 패류(10)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 셔터(123)는 제1 배출구(120a)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매쉬망(122)은 제1 수조(121)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수조(12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조(121)의 바닥면은 제1 셔터(123)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쉬망(122)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쉬홀의 크기는 패류(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류(10)의 세척이 이루어질 때 패류(10)에서 제거된 이물질만 매쉬홀의 하부로 통과하고, 패류(10)는 매쉬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1 매쉬망(122)은 제1 배출구(12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 세척수(W1)를 이용한 세척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 매쉬망(122)은 제1 셔터(123)와 함께 제1 배출구(120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제1 세척수(W1)를 이용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매쉬망(122)은 제1 배출구(120a)를 차폐하고 제1 셔터(123)는 제1 배출구(120a)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쉬홀을 통과한 패류(10)의 이물질이 제1 세척수(W1)와 함께 제1 세척부(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셔터(123)가 개방되어 제1 세척수(W1)가 제1 배출구(120a)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제1 매쉬망(122)은 개방되어 패류(10)를 제2 세척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쉬망(122)은 일부가 제1 배출구(120a) 측에 힌지 결합되어 구동모듈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제1 배출구(120a)를 개방할 수 있다.
제2 세척부(130)는 제1 세척부(120)로부터 패류(10)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2 세척수(W2)에 진동을 가하는 제2 초음파 발생부(160)를 구비하여 패류(10)를 2차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2 세척부(130)는 제1 세척부(120)로부터 직접 패류(10)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나, 제1 세척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세척수(W1)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 컨베이어(170)를 통해 패류(10)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세척부(130)는 제1 세척부(120)와 제2 세척부(130) 사이에 배치된 제1 컨베이어(170)를 통해 제1 세척부(120)로부터 1차적으로 세척된 패류(10)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세척부(130)는 제1 세척부(12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세척부(130)는 제1 컨베이어(170)로부터 낙하하는 패류(10)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170)의 일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호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세척부(130)는 제2 수조(131) 및 제2 매쉬망(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조(131)는 내부에 소금물을 포함하는 제2 세척수(W2)가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패류(10)의 경우 뻘이나 물을 먹어 먹이만 걸러내는 습성이 있는데, 살아 있는 패류(10)의 경우 소금물을 빨아들이면서 안에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소금물을 세척수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때, 소금물은 바닷물의 염도와 유사한 3.4 ~ 3.6ppm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세척부(130)의 하부에는 제2 세척수(W2)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출구(130a)에는 제2 셔터(133)가 구비되어 제2 배출구(130a)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세척부(130) 내에서 패류(10)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 셔터(133)는 제2 배출구(130a)를 차폐하고, 패류(10)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2 셔터(133)는 제2 배출구(130a)를 개방할 수 있다.
제2 매쉬망(132)은 제2 수조(131)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수조(13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2 수조(131)의 바닥면은 제2 셔터(133)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매쉬망(132)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쉬홀의 크기는 패류(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류(10)의 세척이 이루어질 때 패류(10)에서 제거된 이물질만 매쉬홀의 하부로 통과하고, 패류(10)는 매쉬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매쉬망(132)은 제2 배출구(13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 세척수(W2)를 이용한 세척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2 매쉬망(132)은 제2 셔터(133)와 함께 제2 배출구(130a)를 차폐할 수 있으며, 제2 세척수(W2)를 이용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2 매쉬망(132)은 제2 배출구(130a)를 차폐하고 제2 셔터(133)는 제2 배출구(130a)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쉬홀을 통과한 패류(10)의 이물질이 제2 세척수(W2)와 함께 제2 세척부(1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셔터(133)가 개방되어 제2 세척수(W2)가 제2 배출구(130a)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제2 매쉬망(132)은 개방되어 패류(10)를 후술되는 패류 선별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매쉬망(132)은 일부가 제2 배출구(130a) 측에 힌지 결합되어 구동모듈을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제2 배출구(130a)를 개방할 수 있다.
패류 선별부(140)는 제2 세척부(130)로부터 패류(10)를 제공받으며, 패류(10)의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패류 선별부(140)는 제2 세척부(130)로부터 직접 패류(10)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나, 제2 세척부(130)로부터 배출되는 제2 세척수(W2)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2 컨베이어(180)를 통해 패류(10)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류 선별부(140)는 제2 세척부(130)와 패류 선별부(140) 사이에 배치된 제2 컨베이어(180)를 통해 2차적으로 세척된 패류(10)를 제공받을 수 있다.
패류 선별부(140)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141)에 의하여 복수의 선별 공간(S1, S2)으로 구획되고, 각 선별 공간(S1, S2)의 바닥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선별 홀(140a, 14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선별 공간(S1, S2)의 바닥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선별 홀(140a, 140b)이 형성됨에 따라, 세척이 완료된 패류(10)는 크기 별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패류 선별부(140)는 패류(1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선별 홀(140a, 140b)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칸막이(141)는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류 선별부(140)의 바닥면은 제2 세척부(13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세척부(13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선별 공간(S1, S2)에 형성된 선별 홀(140a, 140b)의 크기는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선별 공간(S1) 및 제2 선별 공간(S2)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세척부(130)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제1 선별 공간(S1)의 제1 선별 홀(140a) 크기가 제2 선별 공간(S2)의 제2 선별 홀(140b)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작은 크기의 패류(10)가 제1 선별 홀(140a)에 의하여 먼저 선별되어 분리되고, 이보다 큰 패류(10)가 제2 선별 홀(140b)에 의하여 나중에 선별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선별된 패류(10)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선별 공간(S1, S2)의 하부에는 저장부(19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패류 선별부를 이용한 패류의 선별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패류 선별부(14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류 선별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141)에 의하여 내부에 복수의 선별 공간(S1, S2)이 마련되고, 각 선별 공간(S1, S2)의 바닥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선별 홀(140a, 14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류(10)가 제1 선별 공간(S1)으로 제공되면, 패류(10)가 제1 선별 홀(140a) 측으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진동모터(142)는 패류 선별부(140)에 진동을 가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작은 크기의 패류(10)가 먼저 제1 선별 홀(140a)을 통과하게 되며, 제1 선별 홀(140a)의 크기보다 큰 패류(10)는 제1 선별 홀(140a)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 선별 공간(S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1차적으로 선별과정이 완료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141)는 개방되어 패류(10)는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제2 선별 공간(S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진동모터(142)는 패류(10)가 제2 선별 홀(140b) 측으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패류 선별부(140)에 진동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선별 홀(140a)을 통과하지 못한 나머지 패류(10)들은 제2 선별 홀(140b)을 통과하며 2차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141)가 1개 구비되어 제1 선별 공간이 2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칸막이(14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선별 공간은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류용 세척장치(100)는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패류(10)를 제공받아 분류 및 세척을 진행하기 때문에 처리시간 및 처리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제1 세척수(W1) 및 제2 세척수(W2)에 미세 진동을 가하는 방법으로 패류(10)를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시 패류(1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1차로 패류(10)를 세척하고 소금물을 이용하여 2차로 패류(10)를 세척해 줌으로써, 패류(10)에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패류 공급부
111: 트레이
112: 공급량 제어부
120: 제1 세척부
121: 제1 수조
122: 제1 매쉬망
123: 제1 셔터
130: 제2 세척부
131: 제2 수조
132: 제2 매쉬망
133: 제2 셔터
140: 패류 선별부
150: 제1 초음파 발생부
160: 제2 초음파 발생부
170: 제1 컨베이어
180: 제2 컨베이어
190: 저장부

Claims (11)

  1. 패류를 공급하는 패류 공급부;
    상기 패류 공급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1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1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1차로 세척하는 제1 세척부;
    상기 제1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내부에 저장된 제2 세척수에 진동을 가하는 제2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류를 2차로 세척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로부터 패류를 제공받으며, 상기 패류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패류 선별부;
    를 포함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공급부는,
    내부에 패류가 저장되고, 바닥면이 상기 제1 세척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개구를 개폐하여 상기 패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과 물을 포함하는 제1 세척수가 저장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매쉬망을 포함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쉬망에 형성된 매쉬홀의 크기는 상기 패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패류용 세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에는 제1 셔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셔터와 함께 상기 제1 배출구를 차폐하며, 상기 제1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1 매쉬망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차폐하고 상기 제1 셔터는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세척수가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제1 매쉬망은 개방되어 상기 패류를 상기 제2 세척부로 제공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척부는,
    소금물을 포함하는 제2 세척수가 저장되고, 하부에 상기 제2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제2 수조와,
    상기 제2 수조 내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매쉬망을 포함하는 패류용 세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부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에 의하여 복수의 선별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선별 공간의 바닥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선별 홀이 형성되는 패류용 세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부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패류용 세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2 세척부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세척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상기 선별 공간의 상기 선별 홀 크기는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패류용 세척장치.
KR1020220117997A 2022-09-19 2022-09-19 패류용 세척장치 KR20240039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97A KR20240039429A (ko) 2022-09-19 2022-09-19 패류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97A KR20240039429A (ko) 2022-09-19 2022-09-19 패류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429A true KR20240039429A (ko) 2024-03-26

Family

ID=9047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997A KR20240039429A (ko) 2022-09-19 2022-09-19 패류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4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793B1 (ko) 1990-10-19 2000-02-01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 기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793B1 (ko) 1990-10-19 2000-02-01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 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42B1 (ko) 패류 선별장치
JP2016158627A (ja) 貝類種苗選別機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WO19990425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waste by means of fly larvae
US3726251A (en) Fish rearing tank
Hidu et al. Suspended culture of oysters: biological fouling control
KR860001917B1 (ko)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KR20240039429A (ko) 패류용 세척장치
CN108739594B (zh) 水产养殖设备
Dunbrack et al. Population level differences in aggressiveness and their relationship to food density in a stream salmonid (Salvelinus fontinalis)
JPH03501441A (ja) 甲殻生物捕獲用システム
US20230415938A1 (en) Automated inspection of crops
US4192254A (en) Floatable bedding
US6932026B2 (en) Aquatic farm
US11425894B2 (en) Horseshoe crab incubation system
Daniels et al. A practical hatchery manual: production of southern flounder fingerlings
CN206963688U (zh) 一种罗非鱼养殖用筛选装置
US5215197A (en) Seafood separator device
US3154805A (en) Apparatus for deboning cooked poultry
JP6237851B2 (ja) 穀粒分配供給装置および粗選ボックス
US6001146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waste by means of fly larvae
JP6448014B2 (ja) 養殖カゴ引上げ方法、養殖カゴ洗浄方法、貝係止ロープ洗浄方法、養殖物引上げガイド、養殖物洗浄装置
CN108522372A (zh) 一种黑珍珠鳉鱼休眠卵的收集保存方法
JP3887320B2 (ja) 魚介類の養殖システム
McCall et al.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prey aggregations by juvenile spot (Leiostomus xanthurus Lacepe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