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917B1 -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 Google Patents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917B1
KR860001917B1 KR8200594A KR820000594A KR860001917B1 KR 860001917 B1 KR860001917 B1 KR 860001917B1 KR 8200594 A KR8200594 A KR 8200594A KR 820000594 A KR820000594 A KR 820000594A KR 860001917 B1 KR860001917 B1 KR 86000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adherent
attachment
larvae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471A (ko
Inventor
윌리암 오 설리반 브렌단
조셉 레겟트 레오
빅터 멜빈 막스웰
Original Assignee
디. 에이. 프렉크레톤
아이씨아이 오스트레일리아 리밋티드
윌리암 앨런 로다
더 스테이트 오브 사우드 오스트레일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에이. 프렉크레톤, 아이씨아이 오스트레일리아 리밋티드, 윌리암 앨런 로다, 더 스테이트 오브 사우드 오스트레일리아 filed Critical 디. 에이. 프렉크레톤
Publication of KR83000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제1도는 침강유닛으로 부터 부착치패를 이동시켜서 넣은 유동체임버의 선도(線圖)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생산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단지 굴양식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에 관한 것이다. 비록 연체동물중 여러종류의 부착성조개류의 생활사가 다르다 할지라도 이들 모두에게는 공통적으로 부유유생 상태가 있다. 예를들어, 굴의 유생은 약 200-250미크론의 크기로 자라며, 보통 이들을 정착할 고형물질을 찾고 있는 페디벨리저 단계(pediveliger stage) 또는 눈모양의 얼룩무뉘가 있는 유생(eyed larva)상태라고 한다. 유생의 구조가 변화하여 부착치패(spat)가 되며, 약 4일 후에 부착 치패는 껍데기를 만들어서 영원히 고형물질에 부착한다.
굴들이 번식하여 천연적으로 자랄때, 모든 성장단계에서 이들은 질병에 감염되기 쉬우며 식해동물(predator)에게도 쉽게 약탈되므로 유생 상태에서의 사망율은 99%를 넘는다.
굴은 오랜기간에 걸쳐 성장한 후에 수확된다. 어떤 장소에서, 속이 빈 깨끗한 굴껍질을 물속에 담가두면 이곳에 굴유생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유생이 정착한 굴 껍질은 사실상 인공적으로 만든 물질인데, 이 물질을 부착 패각(cultch)이라고 한다. 부착 패각에 부착시킨 것이나 이 패각에서 떨어져나간 치패들은 굴 양식장에서 양식하기 위한 종묘용 굴로 사용된다. 굴의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해당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여러가지 방법중 한가지 방법에 의하여 상업적인 제품으로 성숙될때까지 굴 양식장에서 양식시키기에 적절한 종묘용 굴을 효과적으로 사육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육아(brood)굴로 부터 유생을 수득하여 환경조건을 조심스럽게 조절하면서 적절한 식물성 먹이를 공급하여 종묘용굴을 인공사육하였다. 이들이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유생 상태가 되었을때, 바다나 강어귀에 있는 양식장에서 양식시키기에 편리한 방법으로 이들을 인공 부착패각에 정착시켰다.
부착 패각과 유리된 분리된 형태로 있는 종묘용 굴치패, 즉 어떤 형태의 물질에도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개별적인 굴치패를 사육하기 위한 방법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유생을 미국특허 제3, 526, 209호에 기술되어 있는 플라스틱판이나 납판 또는 미국특허 제3, 495, 573호에 기술되어 있는 그물(mesh)과 같은 임시 부착패각 표면에 정착시킨다. 유생의 대부분을 정착시킨후, 그들의 껍데기가 부착패각에 영구적으로 붙기전에, 물을 강하게 분사하여 임시 부착패각으로 부터 이들을 씻어내거나 털어버린다. 이렇게하여 수득한, 부착 패각에서 유리된 치패를 치패상자(tray)에 넣고 적절한 식물성먹이를 공급한다.
부착패각에서 유리된 치패가 개방해역(open water)상태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였을때, 이들을 성숙할때까지 양식시키기 위한 종묘용 굴로 사한용다.
영국특허 제1, 366, 394호에 배양기의 기포 교반법을 포함한 치패 상자들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부착패각에서 유리된 치패가 자신의 힘으로 유영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할지라도, 이러한 교반법은 이들 치패가 가짜 부유상태로 있을 수 있는 이생(the seperate)을 야기시킨다. 적절한 보조상자의 통상적인 정지상태에 비하여 치패상자내에서 이들 치패가 위와같은 가짜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의 잠재적인 장점은 치패가 생성시킨 자체 독성 대사 물질을 빨리 제거시키고, 식물성 먹이를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부착 패각으로 부터 부착 치패를 떼어냄으로써 야기되는 물리적인 손상을 통해 발생할 수도 있는 세균성 감염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착패각 상에서 분리된 치패를 미립 형태의 부착 패각을 사용해서 사육하는 방법을 알게되었는데, 이것은 교반된 배양 매질을 사용함으로써 후속되는 양식과정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종묘용 굴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모든 부착성 조개류의 자연적인 생활사중 그들 스스로 고형물질에 부착하는 몇몇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첫번째단계에서 크기가 큰 체와 미세한 크기의 체를 사용하여 50-500 미크론 범위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선별함으로써 미립형태의 입자상 부착기질(이후로는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로 언급)을 제조하고, 두번째로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유생단계로서 부유하고 있는 상기 조개류의 유생을 함유하는 수성 배양액을 상기의 미세입자상 부착기질과 접촉시킨후, 세번째 단계로 적어도 20%의 부유 유생이 배양액 배지로 부터 정착한 후에 두번째 선별단계로서, 유생이 정착한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을 상기의 크기가 큰 체와 같은 크기의 체로 통과시킨다. 네번째단계로 부착 치패라고 불리우는 정착 유생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로 구성되는 두번째 선별 단계로 부터 걸러낸 크기가 큰 부분을 일련의 하나이상의 부착치패 배양탱크로 이동시킨다. 이 배양탱크는 부착 치패가 후속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양식과정에서 종묘용 굴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자랄때까지 부유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양식하기에 적절한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는 그들의 자연적인 생활사중 몇몇 단계에서 그들의 껍질 2개중 적어도 한개가 고형물질에 부착된다.
그러한 부착성 조개류의 예를들면 굴, 진주담치(mussels)가리비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을 편의를 위하여 굴에 관해서만 기술하지만, 이것이 이들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형태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모든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납작굴(British or flat oyster) Ostrea edulis
진흙굴(Mud oyster) O. angasi
참굴(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시드니 바위굴(Sydney rock oyster) C. commercialis
슬리퍼굴(Slipper oyster) C. eradelie
맹그로브굴(Mangrove oyster) C. rhizophorae
버지니아 굴(Easter American oyster) C. virginica
포르투갈 굴(Portugese oyster) C. angulate
굴 유생은 여러종류의 물질에 부착하여 정착하게 된다. 미세입자상 부착기질은 유생이 부착되지 못하도록 반발감을 주거나 적절한 입자형태로 되어있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의 화학적 성질이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성이 되지 않는다. 적절하다고 발견된 한가지 특정한 물질로는 연체동물, 특히 진주담치(Mytilus edulis)의 부숴진 껍질을 들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한 바람직한 미세 입자상 부착 기질재료이다.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의 입자크기는 임계적인 요소이다.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상태의 굴 유생의 대부분은 약 200-250미크론 정도의 크기이다.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의 이상적인 크기 범위는 가장 작은 유생의 크기와 거의 똑같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상세히 설명하면, 만일 유생의 크기가 X-Y 미크론 정도라면, 미세입자상 부착기질의 크기는 거의 X-1.25Y미크론 정도가 된다.
보통 200-350미크론 정도의 크기로된 미세 입자상 부착 기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자들의 형태는 중요하지 않지만, 형태와 크기가 균일하고 선별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소판과 같은 형태의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이 바람직하다.
유생이 미세 입자상 부착 기질과 접촉할 때 필요한 정착시간은 유생의 성장 단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만약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단계의 유생이라면 이들 유생의 대부분은 5-7일후에 정착하게 된다.
두번째 선별단계는 한번의 작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두번째 선별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적어도 80%의 유생이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선별단계는 여러번 반봅하여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편리하게 하루에 한번 실시하며, 이 선별단계에서는 부유상태를 유지하는 유생과 부착되지 않은 페디벨리저(pediveliger)가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정착된 부착 치패를 선별한다.
일련의 선별조작은 적어도 유생의 20%가 정착되었을 때 시작하는 데, 이때 정착된 유생의 백분율은 부피를 알고 있는 배양기내에 남아있는 유생의 수를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부착치패를 회수하기 위한 선별작용은 미세입자상 부착 기질에 부착되지 않고 남아있는 애벌레의 수가 거의 20%가 될때까지 계속한다. 최후에 정착한 유생은 보통 크기가 작고 기형적이며 생활력이 강한 종묘용 굴로 성장할 수 없다.
두번째 선별단계에서 회수한 부착 치패는 즉시 부착치패 배양탱크로 이전시킬 수도 있으나, 바닥에 그물이 깔려있는 상자내에서 수일동안 안정시킨후에 부착치패 배양탱크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치패가 후속되는 굴양식과정에서 종묘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이 부착치패를 일련의 부착치패 배양탱크에서 배양시킨다. 부착치패는 거의 4mm정도 크기까지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개이상의 탱크로 이루어진 일련의 탱크인 경우에, 각 탱크내에 있는 부착치패의 크기를 비슷하게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규칙적으로 각 탱크내에 있는 부착치패를 체로 걸러서 가장 큰 부착치패를 더 큰 크기 범위의 적합한 다음 탱크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부착치패 배양탱크를 교반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교반기가 작동하면서 부착치패를 손상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교반하는 것은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배양탱크들은 부착치패의 성장에 적절한 최적온도로 가열시킨 적절하게 정제한 바닷물로 채운다. 이 바닷물은 탱크의 저부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교반되는데, 이때 바닷물 내의 부착치패는 보유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매일 배양된 식물성먹이를 부착치패에 공급한다. 약 2∼4일 정도의 주기로 부착치패를 바닷물로부터 여과하여, 이들이 만들어내는 유독성 산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닷물에 넣는다.
이러한 통상적인 부착치패 배양법이 많은 상황에서 만족스럽다 할지라도, 공기를 분사시킬 때 어린굴이 탱크밖으로 나갈 가능성이 있으며 영양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고 교반하는데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단점들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과된 바닷물을 공급하는 연속흐름을 이용한 유동층법에 의하여 부착치패의 배양액을 교반시키는 더 좋은 방법을 발견하였다. 요약 화학사전(9 th Edition-Van Nostrand Reinhold Company)에 유둥화(fluidization)란 "미세하게 분리된 고체들이 이동성기체나 이동성 액체에 현탁됨으로써 유체와 같이 행동하도록 하는 방법"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만일 다수의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을 함유하는 용기를 통해서, 유체 견인력(ie pressure drop times vessel cross-Sectional area)을 입자의 무게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크게 하는 속도로 바닷물을 위로 흐르게 한다면, 이 입자들은 부유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동화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방법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서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의 입자에 부착된 부착치패는 유동층법을 이용한 부유배양기술에 의하여 성장시키며, 유등층 법이란 배양매질을 입자들이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 다수의 입자상 부착 기질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유동층법을 사용하므로써 발견된 장점들은 성장이 더 균일해지고 빨라지며, 가항해역내에서 부착치패를 그물바구니로 운반하기 적절한 크기인 4mm 정도의 크기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다량으로 공급하는 바닷물이 유동매질로 작용하기에 유용하지 않으므로 유동매질은 정제한 후에 유동층에 재순환시킬 수 있다.
병류기(flow-through system)를 이용하여 유동층으로부터 넘쳐흐른 물을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장치내에 유독한 대사물질(metabolite)들이 적재되는 것을 막아준다. 부착치패에 공급하기 위한 식물성먹이는 유동하는 바닷물 흐름속에 주입시킬 수 있지만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부착치패는 정지 상태나 공기로 교반한 배양탱크내에 있을 때보다 더 큰 부피의 바닷물과 접촉하기 때문에 바닷물내에 존재하는 먹이들은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에 거의 충분하며 그러므로 인위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장점은 비교적 적은 규모의 편리한 양식장에서 많은 수의 종묘용 굴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내부 직경이 235mm이고 높이가 900mm인 속이 빈 수직원통형 용기를 함유하고 있는 유동체임버는 덜자란 어린 굴 치패가 부착된 미세입자상 부착 기질을 5×106개 보유하고 있다.
더구나 병류법을 사용하면 모든 필요한 영양분들을 공급하도록 천연적인 바닷물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영양물들을 첨가시키기 위하여 식물성 먹이를 배양할 필요가 없다. 특정한 위치조건에 따라 성장율이 다르고 정확한 비교를 하기는 어렵지만, 본 발명에 의한 방법, 특히 유동화한 부착치패 배양법을 사용하면 부착치패의 성장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보통 정착시킨지 20일 동안에 4mm의 크기로 자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실예를 든것이지,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 장치의 범위를 이러한 실예에 국한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1도는 침강유닛으로부터 부착치패를 이전시킬 유동체임버의 선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제1도는 용기와 저부 바로위에 그물로 된 체(11)를 설치시킨 수직 원통형 용기(10)를 나타낸다. 발브(13)가 부착된 유입관(12)는 용기의 저부인 그물로 된 체(11)밑에 위치시킨다. 출구관(14)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관측창문(15)는 체(11)위에 위치시킨다.
바닷물은 발브(4)에 의하여 조절된 속도로 유입관(12)를 통하여 용기(10)으로 주입된다.
부착패는 침강유닛이나 안정화상자로부터 운반하여 그물로 된 체(11)위에 놓는다. 부착치패가 출구관(14)를 통하여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속도로 바닷물을 유입관(12)를 통하여 주입하였다. 용기에 주입하는 바닷물의 속도는 창(15)를 통하여 부착치패의 부유상태를 관찰하면서 조절한다.
부착치패가 적당한 크기로 성장했을 때 이들을 체로 건져내어서 성장한 굴을 지탱할 수 있는 크기의 그물로 된 체가 있는 상기와 유사한 유동체임버에 넣는다.
부착치패가 성장단계에서 종묘용 굴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앞에서 기술한 방법을 계속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미세입자상 부착기질상에서 성장한 부착패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큼직한 부착패각에서 성장한 부착치패보다 더 균일하며 더 좋은 형태를 갖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미세 입자상 부착기질을 사용하므로써, 치패가 부착패각에서 분리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치패를 분리시키는 작용에서 굴 껍질이 손상되기 쉬우며 심한 경우에는 굴이 죽거나 또는 세균에 감염되거나 식해동물의 습격을 받을 부위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필수 불가결한 부분인 선별조작은 약하고 성장이 늦은 굴을 추려내는 편리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다음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실시예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가열가공된 바닷물이 있는 20, 000ℓ의 탱크에서 참굴(C. gigas)의 유리된 부유유생을 길렀다. 바닷물을 4-7일 간격으로 갈아주고 유생을 체로 가려내고 세척하였다. 12-16일후에 유생에서 안점과 발이 발현되어 페디벨리저가 되었는데, 이 상태에서 그들은 부착할 적절한 물질을 찾는다. 탱크내에 있는 물을 배수시키고 일련의 체를 통하여 페이벨리저를 선별하였다. 250미크론 체에 걸려지지 않는 페디벨리저를 210미크론의 그물체가 있으며 측면이 얌은 플라스틱으로 된 상자(500mm×500mm)로 이루어진 침강유닛에 넣었다.
침강유닛내에 있는 페디벨리저에게 공급된 물질은 210미크론 체에는 걸려지지 않으면서, 350미크론 체에는 걸려질 수 있는 미세한 가루로 만든 섭조개의 껍질이었다. 껍질입자들을 상자내 500미크론 깊이까지 고르게 공급하였으며 페디벨리저 유생은 상자 한개당 0.5-1.0×106정도의 밀도로 상자내에 넣었다. 이러한 상자들을 가열된 가공 바닷물이 재순환되고 있는 탱크의 10-15mm의 깊이에 침전시켰다. 침강유닛은 폐쇄식이므로 바닷물은 살수기에 의하여 침강상자내에 공급된다.
페디벨리저는 매일 공급되었으며 5일 동안 정착하도록 두었다. 매일 350미크론 체로 걸러서, 새롭게 정착된 부착치패를 찾아내어 침강유닛에 있는 것과 유사한 분리계인 부착치패상자에 넣었다. 첫번째 선별조작에서 유생의 40%를 건저내고 그 다음 선별조작에서 처음 존재하고 있던 유생의 20%, 10%, 10%씩을 차례로 건져내었다. 나머지 20%는 정착되지 않았다. 정착된 부착치패를 5-7일 이상 폐쇄식 재순환유닛에서 안정화시키고 성장시킨후에 유사한 유동체임버 세개가 연결되어 있는 개방식 유동층으로 운반시켰다.
첫번째 유동체임버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계하였다. 수직 원통형 용기(10)의 직경은 235mm이고 용기의 저부에서 130mm 위에 350미크론의 그물로 된 체(11)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관은 용기내에서 유지되고 있는 수위가 용기의 저부에서 900mm 위에 있는 것과 같은 위치에 장치되어 있다.
두번째와 세번째 유동체임버는 크기와 구조와 똑같은데 단지 각각 1mm와 2mm의 그물체가 장치되어 있는 것이 다른다.
안정화유닛으로부터 운반한 부착치패를 그물체위에 놓고 부착치패가 출구관을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갈 정도로 빠르지 않으면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속도로 바닷물을 입구관을 통하여 공급하였다. 용기내에 공급되는 바닷물의 속도는 관찰창을 통하여 부착치패의 부유상태를 관찰하면서 조절한다.
각각의 크기에 대하여 분리된 유동체임버를 사용하여 세종류의 크기로된 부착치패들을 유동층계에서 성장시켰다. 체외 크기에 따라 구분된 부착치패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a) 350미크론보다 크고 1mm보다 작은 것-350미크론 부착치패로 표기
(b) 1mm보다 크고 2mm보다 작은 것-1mm 부착치패로 표기
(c) 2mm보다 크고 4mm보다 작은 것-2mm 부착치패로 표기
정착된 부착치패는 먼저 350미크론의 부착치패를 위한 유동체임버에 넣었다.이들을 매주마다 선별조작하여 이들이 성장하였을 때 1mm와 2mm 체임버들을 이용하여 더 성장시켰다. 어린굴이 4mm 그물에 걸러지지 않을 정도로 성장하였을 때 이들을 양식장의 랙(rack)위에 있는 그물주머니에 넣었다.
적절한 유동체임버에서 2mm의 크기로 자란 부착치패의 밀도는 1주일에 1mm씩 자라는 여름동안의 성장속도조건에서 세제곱 센티미터당 부착치패 30-50개 정도이다. 부착치패의 필요한 영양물은 사용한 바닷물이 함유하고 있는 천연적인 영양물로 충당하였다.

Claims (16)

  1. 첫번째 단계로 크기가 큰 체와 미세한 크기의 체를 사용하여 50-500미크론 범위의 크기를 갖는 미립형입자를 선별하여 미세입자상 부착기질을 제조하고, 두번째 단계로 눈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유생단계로서 부유하고 있는 하기 조개류의 유생을 함유하는 수성 배양액을 상기의 미세입자상 부착기질과 접촉시킨후, 세번째 단계에서 적어도 20%의 부유유생이 부착치패가 되었을 때 상기의 크기가 큰 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체로 배양액을 선별하고, 네번째 단계로 선별된 굴치패가 배양매질내에서 종묘용 굴치패로 자랄때까지 부착치패를 부유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성장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가 굴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3. 제2항에 있어서, 굴이 하나이상의 Ostrea edulis, Ostrea angasi, Crassostrea commercialis, Crassostrea eradelis, Crassostrea rhizophorae, Crassostrea virginica 및 Crassostrea angulata 종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4. 제2항에 있어서, 굴이 Crassostrea gigas 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5. 제1-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립형 물질이 섭조개의 분쇄된 껍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6. 제5항에 있어서, 진주담치가 Mytilus edulis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7.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립형 물질이 혈소판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8.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립형 물질이 200-350미크론의 크기로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9.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부유유생중의 적어도 80%가 정착된후에 세번째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0.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번째 단계인 선별조작을 하루에 한번씩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1.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네번쩨 단계로 들어가기 전에, 세번째 단계에서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부착치패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2.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든 부착치패가 적어도 4mm로 성장할 때까지 네번째 단계를 계속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3.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동화 수단에 의하여 부착치패를 부유상태로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유동화 수단이 부착치패가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속도와 적어도 동일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흐르는 배양 매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5.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배양매질이 바닷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배양매질을 계속적으로 재순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사육법.
KR8200594A 1981-02-11 1982-02-11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KR860001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E755181 1981-02-11
AUPE.7551 1981-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71A KR830008471A (ko) 1983-12-10
KR860001917B1 true KR860001917B1 (ko) 1986-10-25

Family

ID=376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594A KR860001917B1 (ko) 1981-02-11 1982-02-11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38725A (ko)
JP (1) JPS58500588A (ko)
KR (1) KR860001917B1 (ko)
FR (1) FR2499363A1 (ko)
GB (1) GB2105161B (ko)
WO (1) WO198200264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94B1 (ko) * 2009-10-08 2010-04-21 김재민 꼬막 종묘의 생산방법
KR101115150B1 (ko) * 2011-10-14 2012-03-05 전라남도 해수분사에 의한 새꼬막 인공종묘의 생산 방법
CN104012439A (zh) * 2014-07-01 2014-09-03 宁德市吉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纯天然高山淡水蛏的养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370A (en) * 1981-04-09 1986-05-20 Ici Australia Limited Mollusc culture
IE73278B1 (en) * 1993-09-23 1997-05-21 Vokes Limited A method for producing molluscs
US6062170A (en) * 1998-06-01 2000-05-16 Nutreco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kton reduction in fish farming
US6024050A (en) * 1998-06-17 2000-02-15 Rheault; Robert B. Shellfish aquaculture upwellers and systems
AUPQ177699A0 (en) * 1999-07-22 1999-08-12 Australian Fresh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Pty Ltd Crust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188086B2 (en) * 2016-08-21 2019-01-29 Daniel Michael Leo Insect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FR2889793B1 (fr) * 2005-08-17 2007-10-05 Robert Wan Holding Procede d'amelioration de la survie de larves d'huitres lors de leur fixation, et solution nourrissant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20130036983A1 (en) * 2010-01-20 2013-02-14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Fish Embryos
CN102884999B (zh) * 2012-10-19 2014-04-16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用于防止栉江珧幼虫漂浮粘连的培育装置及其培养的方法
CN115053851B (zh) * 2022-05-25 2023-06-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双壳贝类幼体延迟变态的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8354A (en) * 1965-07-27 1967-01-17 Farr Whitlock Dixon & Co Inc Shell fish culture
US3495573A (en) * 1968-04-12 1970-02-17 Long Island Oyster Farms Inc Method of growing oysters
US3486486A (en) * 1968-08-30 1969-12-30 Long Island Oyster Farms Inc Method of growing oysters
US3517648A (en) * 1968-09-10 1970-06-30 Pacific Mariculture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free oyster seed
US3701338A (en) * 1970-12-10 1972-10-31 Olympia Oyster Co Oyster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US3913525A (en) * 1972-07-07 1975-10-21 Frank C Plocek Shrimp tank
FR2452876A1 (fr) * 1979-04-06 1980-10-31 Devin Francis Procede pour l'elevage de mollusques ou coquillages depuis leur taille la plus petite jusqu'a la plus gran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94B1 (ko) * 2009-10-08 2010-04-21 김재민 꼬막 종묘의 생산방법
KR101115150B1 (ko) * 2011-10-14 2012-03-05 전라남도 해수분사에 의한 새꼬막 인공종묘의 생산 방법
CN104012439A (zh) * 2014-07-01 2014-09-03 宁德市吉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纯天然高山淡水蛏的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5161B (en) 1985-01-30
WO1982002644A1 (en) 1982-08-19
GB2105161A (en) 1983-03-23
FR2499363A1 (fr) 1982-08-13
KR830008471A (ko) 1983-12-10
US4438725A (en) 1984-03-27
JPS58500588A (ja) 1983-04-21
FR2499363B1 (ko) 1984-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917B1 (ko) 연체동물중 부착성 조개류의 초기 사육법
US5144907A (en) Scallop aquaculture
CN101049093A (zh) 北方海区滩涂及浅海牡蛎单体养殖方法
Danilowicz et al. Rearing methods for two damselfish species: Dascyllus albisella (Gill) and D. aruanus (L.)
JPH05176653A (ja) 海上における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JP4953118B2 (ja) 橈脚類を含む海水魚給餌源を使用した養殖魚を生産するための水産養殖システム
CN109329135A (zh) 一种拉萨裸裂尻鱼苗培育方法
US4589370A (en) Mollusc culture
CN104938374A (zh) 基于生态系统的单体牡蛎中间培育方法
US3486486A (en) Method of growing oysters
Lenhoff Culturing large numbers of Hydra
Janaki Ram Freshwater pearl culture in India
CN107711655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网箱及养殖方法
AU550278B2 (en) Method of growing molluscs
RU254811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лоди (спата) мидий mytillus galloprovincialis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в черном море
CA1172922A (en) Method of growing molluscs
KR102436829B1 (ko)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Maguire et al. Cultivation of the Sydney rock oyster Crassostrea commercialis (Iredale and Roughley) in prawn farming ponds
JP2007060910A (ja) 海藻と二枚貝の混合養殖方法
JP2660164B2 (ja) 付着珪藻の培養方法
RU2541459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гигантской устрицы crassostrea gigas в черном море
JP2019135948A (ja) 頭足類への給餌方法および頭足類への給餌器具
KR20220038976A (ko) 표면 코팅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Narasimham et al. Clam culture
Syamsuddin A Review of the Use of Spores for the Supply of High-Quality Kappaphycus alvarezii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