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62B1 -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 Google Patents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62B1
KR102327562B1 KR1020200069102A KR20200069102A KR102327562B1 KR 102327562 B1 KR102327562 B1 KR 102327562B1 KR 1020200069102 A KR1020200069102 A KR 1020200069102A KR 20200069102 A KR20200069102 A KR 20200069102A KR 102327562 B1 KR102327562 B1 KR 10232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s
fixing mechanism
object container
contai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영
Original Assignee
주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영 filed Critical 주창영
Priority to KR102020006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물건고정기구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은 물건 수용공간을 갖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단에 일부가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과, 상기 몸통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옆으로 열리고 닫히는 슬라이딩 문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의 안쪽 내벽을 따라 물건고정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개시된 물건고정기구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봉과,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2 봉과, 상기 제1 및 제2 봉들이 끼워지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봉은 상기 제1 봉과 제2 봉 중 하나의 일부가 나머지 봉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Object fixing implement and object accommodating box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편리하고 안전한 물건수용 및/또는 운반을 위한 제품과 관련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에 관한 것이다.
여러 물건들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물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품은 다양한 가방이 될 수도 있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장식장이 될 수도 있으며, 한정된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통이 될 수도 있다. 물건을 수용하는 제품의 내부 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제품이 수용할 수 있는 물건의 수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물건 수용 제품의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한정된 내부 공간에 최대한 많은 물건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어느 정도의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수납된 물건들은 안전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용된 물건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물건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물건고정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물건고정기구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은 물건 수용공간을 갖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단에 일부가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과, 상기 몸통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옆으로 열리고 닫히는 슬라이딩 문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몸통의 안쪽 내벽을 따라 물건고정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물건 수용통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운반 지지체와 상기 물건 수용통을 체결하기 위한 홀이 상기 몸통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과 상기 운반 지지체의 체결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볼트는 나사산을 갖는 몸통부분과, 나사산을 갖지 않으며, 상기 몸통부분보다 굵기가 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 지지체는 상기 물건 수용통의 바닥과 체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에 로프의 끝부분을 걸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물건고정기구는 탄성을 갖는 서로 다른 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봉과,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2 봉과, 상기 제1 및 제2 봉들이 끼워지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봉은 상기 제1 봉과 제2 봉 중 하나의 일부가 나머지 봉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개시된 물건고정기구는 물건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탄성을 갖고 있어 물건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물건고정기구가 구비된 물건 수용통을 이용하여 물건을 전달 또는 배달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물건을 수용하면서 이동중 물건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이동 과정에서 물건의 추락이나 훼손 혹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물건 수용통의 경우, 옆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딩 방식의 문을 측면에 구비하고 있어, 물건 수용통 이용자가 이동중에, 특히 사용자가 물건 수용통을 오토바이 뒤에 싣고 이동하는 중에 문의 열림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이동중에 문 열림에 따른 물건 추락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물건 수용통을 이용할 경우, 다양한 물건들을 안전하게 수용하여 배달할 수 있다.
또한, 물건 수용통이 오토바이 뒤쪽에 장착된 경우, 운전석쪽으로 문이 열려 있으면, 운전자가 승차하기 어려우므로,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타기 위해서는 물건 수용통의 측면에 구비된 문은 정상적으로 닫혀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시된 물건 수용통을 이용할 경우, 출발전에 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출발전에 문이 열려 물건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물건 수용통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이 운반 거치대에 체결된 경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물건 수용통과 운반 거치대의 체결의 예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과 운반 거치대의 체결에 사용된 체결수단에 대한 제1 및 제2 예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의 운반에 사용되는 거치대의 입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운반 거치대에 장착된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y축 방향으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에 도 9의 물건고정기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에 도 9의 물건고정기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도시 생략됨)에 수용된 물건들을 도 9의 물건고정기구로 고정한 경우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물건 수용통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물건 수용통(10)은 뚜껑(12)과 몸통(14)을 포함한다. 뚜껑(12)은 몸통(14)의 상단의 한 부분에 회전될 수 있게 체결될 수 있다. 뚜껑(12)은 몸통(12)의 상단의 상기 체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몸통(14)에 뚜껑(12)을 닫을 때, 뚜껑(12)을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8)이 구비되어 있다. 몸통(14)의 높이는, 예를 들면 50㎝ 정도일 수 있으나, 이보다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몸통(14) 밑면의 가운데 홈(groove)(80)이 형성되어 있다. 홈(80)은 몸통(1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80)은 위로 오목하다. 몸통(14)의 측면에 슬라이딩 방식의 문(16)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문(16)을 슬라이딩 문이라 부를 수도 있다. 문(16)은 몸통(14)의 길이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문(16)이 열리면 물건 수용통(10) 내부가 보인다. 따라서 물건 수용통(10)에 물건을 넣을 때는 뚜껑(12)을 열고 넣을 수도 있고, 측면의 문(16)을 열고 넣을 수도 있다. 물건을 꺼낼 때도 마찬가지이다. 문(16)의 높이는 몸통(14)의 높이보다는 낮다. 문(16)을 열고 닫을 때, 문(16)은 문틀(16a, 16b)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문틀(16a, 16b)은 문(16)의 하단 및 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문(16)이 닫일 때, 문(16)의 끝단은 위 아래 문틀(16a, 16b)을 연결하는 세로로 형성된 문틀(16c)에 삽입된다. 문틀(16c)에는 문(16)이 닫혔을 때, 문(16)의 고정과 문(16)과 문틀의 밀착을 높이기 위한 제2 고정수단(20)이 구비되어 있다. 문(16)의 손잡이 쪽은 평평할 수도 있고,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약간 휘어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옆으로 열리는 문(16)이 구비됨으로써, 물건 수용통(10)을 이용하여 물건을 전달하거나 배달할 때, 특히 오토바이 뒤에 물건 수용통(10)을 싣고 이동할 때, 이동중에 문(10)이 열리는 것을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이동중에 물건이 추락하거나 소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물건 수용통(10)이 운반 거치대(40)에 장착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40)는 체결수단으로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40)는,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운반 거치대(40)는 운송수단 혹은 운송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운반 거치대(40)는 이륜 구동차, 예컨대 오토바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운반 거치대(40)는 수직 상단부(40a)와 수직 하단부(40b) 및 수평부(40c)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40c)는 수직 하단부(40b)의 하단에 연결된다. 수평부(40c)와 수직 하단부(40b)는 수직할 수 있다. 수직 상단부(40a)는 수직 하단부(40b)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정도는 수직 하단부(40b)에 형성된 홀(40h1)에 끼워지는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수직 상단부(40a)에 형성된 홀(40h2)과 수직 하단부(40b)에 형성된 홀(40h1)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수단이 홀들(40h1, 40h2)을 통해 끼워짐으로써 수직 상단부(40a)는 수직 하단부(40b)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상단부(40a)의 양쪽 세로축을 잇는 가로축(32)에 로프 고정을 위한 제1 핀(44)이 마련되어 있다. 수평부(40c)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로프 고정을 위한 제2 핀(46)이 마련되어 있다. 제2 핀(46)은 물건 수용통(10)을 운반 거치대(40)에 체결할 때 사용된 체결수단의 일부일 수 있다. 물건 수용통(10) 상에 물건을 쌓는 경우,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쌓은 물건을 고정할 수 있는데, 로프는 제2 핀(46)을 이용하여 매듭지을 수 있다. 운반 거치대(40)의 수평부(40c)에 복수의 홀(48)이 형성되어 있다. 홀(48)은 상기 로프의 끝(예컨대, 로프 끝의 갈고리처럼 구부러진 부분)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홀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홀(48)은 상기 로프의 끝부분이 쉽게 걸릴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홀(48)은 서로 떨어져 있고, 수평부(40c)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홀(48)은 수평부(40c)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부(40c)를 관통하는 홀일 수도 있다. 홀(48) 입구 사이즈는, 예를 들면 1.5㎝ x 1.5㎝ 일 수 있으나, 이 사이즈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 사이즈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홀(48)의 자리에 홀 대신 주어진 깊이를 갖는 홈이나 고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홀(48)이나 상기 홈이나 고리는 상기 로프의 끝부분을 걸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40)의 체결의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물건 수용통(10)의 구석과 운반 거치대(40)의 수평부(40c)의 끝부분의 체결부에 대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물건 수용통(10)의 바닥(22)과 수평부(40c)는 볼트(24)와 너트(26)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볼트(24)는 바닥(22)과 수평부(40c)를 차례로 관통한다. 볼트(24)는 나사산이 있는 몸통부분(24a)과 몸통부분(24a)에 비해 가는 부분(24b)과 끝부분(24c)으로 나눌 수 있다. 몸통부분(24a)은 상기 체결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가는 부분(24b)은 몸통부분(24a)에서 연장된 부분으로 볼 수도 있으며, 굵기는 몸통부분(24a)보다 가늘다. 끝부분(24c)은 몸통부분(24a)보다 가늘고, 가는 부분(24b)보다는 굵다. 몸통부분(24a)의 일부와 가는 부분(24b) 및 끝부분(24c)은 너트(26) 밖에 있고, 로프를 걸거나 매듭짓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물건 수용통(10)과 수평부(40c)의 체결에 사용되는 수단(56)의 하나로 설명된 볼트(24)와 너트(26)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몸통부분(24a)과 끝부분(24c) 사이에 있는 가는 부분(24b)의 굵기는 가운데 부분이 가장 가늘고, 가운데 부분에서 몸통부분(24a)과 끝부분(24c)으로 가면서 점차 굵어진다. 끝부분(24c)의 직경은 너트(26)의 내경보다 작다.
도 6은 볼트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한 볼트(24)의 가는 부분(24d)은 도 5에 도시한 볼트(24)의 가는 부분(24b)과 다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는 부분(24d)은 전체 굵기가 일정하다. 또한, 도 6의 볼트(24)는 별도의 끝부분을 갖고 있지 않으며, 가는 부분(24d)의 끝단이 볼트(24)의 끝단이 된다. 몸통부분(24a)과 가는 부분(24d) 사이에는 몸통부분(24a)에서 가는 부분(24d) 방향으로 굵기가 점차 가늘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도 7은 물건 수용통의 거치에 사용되는 운반 거치대(70)를 보여준다.
도 7의 (a)도는 운반 거치대(70)의 수직 상단부(70a) 및 하단부(70b)가 수평부(70c)와 수직하게 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의 (b)도는 (a)도에서 수직 상단부(70a) 및 하단부(70b)가 왼쪽으로 젖혀진 경우, 곧 수평부(70c)에 대해 90°보다 큰 각으로 경사진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의 (c)도는 수평부(70c)와 수직부(70a+70b)가 접힌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상단부(70a)와 수직 하단부(70b)의 구조 및 형태와 상호배치관계는 도 3에서 설명한 운반 거치대(40)의 수직 상단부 및 하단부(40a, 40b)와 동일할 수 있다. 수직 상단부(70a)의 홀(70h2)과 수직 하단부(70b)의 홀(70h1)과 그 역할은 도 3의 수직 상단부(40a)의 홀(40h2)과 수직 하단부(40b)의 홀(40h1)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의 운반 거치대(40)와 도 7의 운반 거치대(70)의 차이점은 도 3의 운반 거치대(40)는 수직부(40a+40b)와 수평부(40c)가 접히지 않게, 곧 회전되지 않게 결합된 반면, 도 7의 운반 거치대(70)는 수직부(70a+70b)와 수평부(70c)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7의 운반 거치대(70)의 수직 하단부(70b)의 하단과 수평부(70c)의 한쪽은 회전가능하게 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있고, 참조번호 70h3는 상기 회전가능하게 하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을 나타낸다. 2개의 나란한 수평부(70c)에는 각각 복수의 홀들(74a, 74b, 74c, 76a, 76b, 7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들(74a, 74b, 74c, 76a, 76b, 76c)에 도 4의 볼트(24) 혹은 도 5의 체결수단(56)이 삽입되어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70)가 체결된다. 물건 수용통(10)의 바닥(22)에도 수평부(70c)의 홀들(74a, 74b, 74c, 76a, 76b, 76c)에 대응되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건 수용통(10)과 수평부(70c)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볼트(24)가 끼워지고, 이 볼트(24)에 너트(26)가 결합됨으로써,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7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나란한 수평부(70c)의 끝단은 연결부재(86)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86)의 재질과 구조는 수평부(70c)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10)과 운반 거치대(4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물건 수용통(10)의 배면을 보여준다.
도 8의 (a)도를 참조하면, 물건 수용통(10)의 밑면에는 위로 오목한 홈(80)이 있다. 이 홈(80)으로 인해 물건 수용통(10) 안쪽 바닥의 홈(80)에 대응하는 부분은 볼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건 수용통(10) 안쪽 바닥은 평평하지 않은 바, 평평한 바닥을 만들기 위해 물건 수용통(10) 안쪽 바닥에는 수평판(100)이 놓여 있다. 수평판(100)은 홈(80)과 양쪽 볼트(24)를 덮는다. 수평판(100)이 구비됨에 따라 수평판(100)과 물건 수용통(10) 바닥 사이에 수용 공간(80S)이 만들어지고, 이 수용 공간(80S)에는 필기도구나 간단한 도구를 넣을 수 있다. 물건 수용통(10)의 양쪽 구석은 운반 거치대(40)의 수평부(40c)와 직접 체결되는 부분이다. 물건 수용통(10)의 양쪽 하단 모서리는 안쪽으로 일정부분 들어가 있다. 이 들어간 부분에 운반 거치대(40)의 수평부(40c)가 위치한다.
도 8의 (b)도는 운반 거치대(40)가 평평한 평판 형태의 수평부(88)를 갖고, 이 수평부(88) 상에 물건 수용통(10)이 체결된 경우에 물건 수용통(10)의 배면을 보여준다. (b)도의 경우, 물건 수용통(10)의 바닥 전체가 평평하므로, 물건 수용통(10) 안쪽 바닥에는 (a)도의 수평판(100)과 같은 부재가 필요치 않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90)를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물건고정기구(90)는 주어진 길이(L1)를 갖는 제1 및 제2 봉(90A, 90B)과 복수의 제1 및 제2 봉(90A, 90B)을 봉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띠 혹은 벨트(90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의 길이(L1)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의 길이(L1)는 고정하려는 물건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봉(90A, 90B)의 길이(L1)는 10cm이하 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및 제2 봉(90A, 90B)의 길이(L1)는 2cm~8cm 정도일 수 있다. 제1 봉(90A)은 속이 찬 봉일 수 있다. 제2 봉(90B)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봉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은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재질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은 사슬 혹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물건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탄성이 물건을 고정할 수 없을 정도로 커서는 곤란하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에서 충분히 물건을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갖는다. 벨트(90C)의 탄성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의 재질은, 예를 들면 실리콘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벨트(90C)의 재질은 제1 및 제2 봉(90A, 90B) 중 어느 하나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봉(90A, 90B)은 벨트(90C)에 끼워지는 형태로 밸트(90C)와 결합되어 있다. 벨트(90C)는 제1 및 제2 봉(90A, 90B)의 허리부분, 곧 중간부분을 감싼다.
도 10은 물건고정기구(90)의 평면 모습, 곧 도 9에서 물건고정기구(90)를 y축 방향으로 본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봉(90A)의 직경(D2)은 제2 봉(90B)의 내경(D1)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봉(90A)은 제2 봉(90B)에 삽입될 수 있다. 물건고정기구(90)를 이용하여 물건을 고정시킬 때, 제1 봉(90A)의 벨트(90C)에 감긴 부분 위쪽이나 아래쪽이 제2 봉(90B)에 삽입된다. 벨트(90C)에서 제1 봉(90A)과 제2 봉(90B)이 끼워지는 부분은 원통형이고, 이러한 원통형 부분은 두께가 일정한 평평한 부분(P1)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평평한 부분(P1)도 원통형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봉(90A)과 제2 봉(90B) 사이에 원통형의 빈 벨트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은 물건 수용통(10) 내벽을 따라 물건고정기구(90A+90B+90C)가 구비된 경우를 보여준다. 물건 수용통(10)의 앞면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문(16)이 있어 앞면에는 물건고정기구(90A+90B+90C)가 배치되지 않는다. 물건 수용통(10)의 안쪽 벽에 물건고정기구(90A+90B+90C)의 장착을 위한 기구(1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구(110)를 이용하여 물건고정기구(90A+90B+90C)를 물건 수용통(10)의 내벽에 고정할 수 있다. 기구(110)는 걸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기구(110)에 물건고정기구(90A+90B+90C)의 벨트(90C)의 평평한 부분(P1)이 걸쳐지거나 끼워질 수 있다.
도 12는 내벽(120)에 물건고정기구(90)가 장착된 물건 수용통(10)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13은 물건고정기구(90)를 이용하여 물건 수용통(10) 안쪽에 물건들(150, 160)을 수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시의 편의 상, 물건 수용통(10)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물건(150)과 제2 물건(160)은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물건(150)은 제1 물건고정기구(130)로 고정되어 있고, 제2 물건(160)은 제2 물건고정기구(140)로 고정된다. 제1 물건(150)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물건고정기구(130)의 한쪽에 있는 제1 봉(130A)은 물건 수용통(10)의 내벽에 장착된 물건고정기구(90)의 제2 봉(90B)에 끼워지고, 다른 쪽에 있는 봉은 물건고정기구(90)의 대응하는 봉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물건(160)을 고정하기 위해, 제2 물건고정기구(140)의 한쪽의 제1 봉(140A)은 물건고정기구(90)의 대응하는 제2 봉(90B)에 끼워질 수 있고, 다른 쪽의 봉은 물건고정기구(90)의 대응하는 봉과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건 수용통(10)에 수용되는 물건들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물건 수용통과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고정기구가 구비된 물건 수용통은 음식배달을 위한 배달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일반 물건의 수납을 위한 제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물건 수용통(10)이 물건전달을 위한 통(예, 퀵 서비스 물건 수납통, 우편 배달통)이나 음식배달을 위한 배달통으로 사용되고, 오토바이 등과 같은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전달 혹은 배달되는 경우, 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딩 문(16)은 운전자측으로 열리므로, 출발하기 전에 문(16)이 열려있다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앉기 위해서는 문(16)은 정상적으로 닫혀 있어야 한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의한 물건 수용통을 사용할 경우, 문(16)이 열린 상태로 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출발하면서 물건 수용통 안에 수납된 물건이 밖으로 돌출되거나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발한 이후에도 문(16)이 열리면 운전자의 신체(예, 옆구리)에 문이 닿게 되므로, 운전자가 문열림을 빨리 감지할 수 있어 물건전달 혹은 음식배달과정에서도 수납된 물건이 통 밖으로 돌출되거나 통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물건 수용통 12:뚜껑 14:몸통 16:슬라이딩 문
16a-16c:문틀 18, 20:제1 및 제2 고정기구 22:바닥 24:볼트
24a:몸통부분 24b,24d:가는 부분 24c:끝부분 26:너트 40,70:운반거치대
40a,70a:수직상단부 40b,70b:수직하단부 40c,70c:수평부
40h1-40h2,48, 70h1-70h3:홀 44,46:제1 및 제2 핀 56:체결수단
74a-74c,76a-76c:홀 80:홈 80S:수용공간 88:수평부 90:물건고정기구
90A,90B:제1 및 제2 봉 90C:벨트 100:수평판 110:물건고정기구 장착기구
120:내벽 130,140:제1 및 제2 물건고정기구 130A, 140A:제1 봉
150,160:제1 및 제2 물건 D1:제2 봉의 내경 D2:제1 봉의 직경
L1:제1 및 제2 봉의 길이 P1:벨트의 평평한 부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봉;
    탄성을 갖는 복수의 제2 봉; 및
    상기 제1 및 제2 봉들이 끼워지는, 탄성을 갖는 벨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봉과 상기 복수의 제2 봉은 상기 벨트를 따라 차례차례 상기 벨트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봉은 상기 제1 봉과 제2 봉 중 하나의 일부가 나머지 봉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물건고정기구.
  7. 물건 수용 공간을 갖는 몸통;
    상기 몸통의 상단에 일부가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
    상기 몸통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옆으로 열리고 닫히는 슬라이딩 문; 및
    상기 몸통의 안쪽 내벽을 따라 장착된 물건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건고정기구는 청구항 6항의 물건고정기구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 수용통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운반 지지체와 상기 물건 수용통을 체결하기 위한 홀이 상기 몸통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과 상기 운반 지지체의 체결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볼트는,
    나사산을 갖는 몸통부분; 및
    나사산을 갖지 않으며, 상기 몸통부분보다 굵기가 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 지지체는 상기 물건 수용통의 바닥과 체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에 로프의 끝부분을 걸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물건 수용통.
KR1020200069102A 2020-06-08 2020-06-08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KR10232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02A KR102327562B1 (ko) 2020-06-08 2020-06-08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02A KR102327562B1 (ko) 2020-06-08 2020-06-08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562B1 true KR102327562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02A KR102327562B1 (ko) 2020-06-08 2020-06-08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780U (ko) * 1998-02-27 1999-09-27 편정범 음식배달용 가방
JP3136289B2 (ja) * 1999-03-12 2001-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梱包装置
JP2016088107A (ja) * 2014-10-29 2016-05-23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自転車用荷台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転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780U (ko) * 1998-02-27 1999-09-27 편정범 음식배달용 가방
JP3136289B2 (ja) * 1999-03-12 2001-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梱包装置
JP2016088107A (ja) * 2014-10-29 2016-05-23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自転車用荷台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転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320B1 (en) Clothes attachable collapsible theme park beverage holding apparatus
US9084464B2 (en) Case having a housing and a sliding tray
FR2645127A1 (fr) Conteneur d'expedition a berceaux
WO1999042017A1 (en) Rack system for backpack
CN1689917A (zh) 具有可取出的附件夹持器的箱体
KR102327562B1 (ko) 물건고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물건 수용통
JP6922567B2 (ja) 吊下げ収納体
KR200492292Y1 (ko) 접이식 상자용 카트
JP2019043758A (ja) 搬送設備
US20040140305A1 (en) Storage box
US8118168B2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nd crafts
KR101451976B1 (ko) 다용도 접이식 카트
US11141014B2 (en) Mailbox with an extended downward sloping chute
KR101598209B1 (ko) 가변형 파레트
JP2017213418A (ja) 宅配ボックス
KR200404243Y1 (ko) 화물차량 적재함
FI126984B (fi) Vaunu ja järjestelmä tuotteiden väliaikaiseen säilyttämiseen
JPH09202237A (ja) 部品用コンテナ台車
KR102038824B1 (ko) 수납함이 구비된 유리 이송용 파렛트
US9873381B2 (en) Integrated holder system
US20060214120A1 (en) Apparatus for shipping radioactive material
JP2009096219A (ja) 収納性に優れた車室内用物入れ
JP6819519B2 (ja) 吊下げ収納体
KR20130011439A (ko) 가방 및 그 용품
CN213009420U (zh) 一种物品分拣用放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