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306B1 -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306B1
KR102327306B1 KR1020190164702A KR20190164702A KR102327306B1 KR 102327306 B1 KR102327306 B1 KR 102327306B1 KR 1020190164702 A KR1020190164702 A KR 1020190164702A KR 20190164702 A KR20190164702 A KR 20190164702A KR 102327306 B1 KR102327306 B1 KR 10232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cover member
window
lock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915A (ko
Inventor
양태희
안미혜
양빛나
문지은
곽영선
Original Assignee
양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희 filed Critical 양태희
Priority to KR102019016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05C3/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약간 개방한 상태로 잠글 수 있는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 잠금장치{Window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약간 개방한 상태로 잠글 수 있는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좌측창문과 우측창문으로 된 한 쌍을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러한 창문은 중간에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잠금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은 단지 잠금 또는 해지만 가능하며, 개폐량을 조절하여 잠글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환기를 위해 창문을 약간 열어 놓고 수면을 취할 경우 창문을 열고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할 수 있거나, 또는 항시 옆에서 돌보아야 할 유아나 아동이 보호자가 안보는 사이에 부주의로 창문을 열고 밖으로 나갈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개폐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잠글 수 있는 창문 잠금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창문에 쉽게 부가설치 가능한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기치 못한 고장이나 파손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걸림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리홈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일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타측에 상기 스토퍼부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시 스토퍼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리홈은, 상기 고리홈에 수납된 상기 걸림고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을 덮는 제1 커버부재와, 타측을 덮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재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일단에 파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창문의 개폐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잠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는 기존의 창문에 쉽게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에 의하면, 창문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재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잠금상태에서 창문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이 베이스부재에 흡수되므로, 예기치 못한 유리창의 파손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에 의하면, 기존 창틀과 일치하는 색상의 커버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함에 따라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100)는, 유리창(10, 도 5 참조)에 부착되는 띠 형태의 베이스부재(200)와, 베이스부재(200)의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재(200)는 유리창(10)에 가로 방향(유리창(10)의 폭 방향)으로 부착되는데, 예컨대 접착제나 접착테이프에 의해 베이스부재(200)의 후면이 유리창(10)의 실내쪽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형지(201)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테이프(202)가 베이스부재(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200)의 상측과 하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210)이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부재(200)의 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하는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재(200)의 길이 방향 일부 구간(A)에만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가 구비되고, 나머지 구간(B)에는 걸림고리(400)가 구비되지 않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창문 잠금장치(100)를 통한 창문의 최대 개방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열려진 창문을 통한 침입자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200)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부재(200)의 전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고리홈(22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고리홈(220)에 걸림고리(4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각각의 고리홈(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사이의 폭보다 상하 양측 사이의 길이가 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홈(220)의 좌우 양측 측벽 상단부에는 고리홈(220)과 연통하도록 파지홈(230)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 파지홈(230)을 통해 고리홈(220)에 수납된 걸림고리(400)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리홈(220)의 좌우 양측 측벽 하단부에는 회전축(500)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240)이 형성된다. 이 회전축(500)은 걸림고리(400)의 회동을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200)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복수 개의 삽입홈(240)을 통해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와 복수 개의 고리홈(220)을 차례로 관통하게 된다.
각각의 고리홈(220)에 걸림고리(4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서, 걸림고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0)이 관통하도록 중공(411)이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힌지결합부(410)와, 힌지결합부(410)의 일측에서 도면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420)와, 힌지결합부(410)의 타측에서 스토퍼부(420)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30)와, 연장부(430)의 끝단에서 스토퍼부(420)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440)를 포함하여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축(500)과 걸림고리(400)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걸림고리(400)의 장착은 각각의 고리홈(220)에 걸림고리(400)를 삽입한 후, 베이스부재(200)에 회전축(500)을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500)이 걸림고리(400)의 힌지결합부(4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걸림고리(400)는 힌지결합부(41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300)는 후면이 개방된 'C'자형 단면을 가지고,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재(200)의 전면을 덮도록 베이스부재(20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커버부재(30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 창틀과 일치하는 색상을 선택하는 경우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베이스부재(200)에 대한 커버부재(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걸림고리(400)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커버부재(300)의 상하 양측에는 커버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리브(310)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베이스부재(200)에 커버부재(300) 결합시, 베이스부재(200)의 슬라이드홈(210)에 커버부재(300)의 슬라이드 리브(310)가 삽입된다. 즉, 베이스부재(200)에 대한 커버부재(300)의 슬라이드 이동시, 커버부재(300)의 슬라이드 리브(310)가 베이스부재(200)의 슬라이드홈(2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커버부재(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0)의 전면 일측을 덮는 제1 커버부재(301)와, 베이스부재(200)의 전면 타측을 덮는 제2 커버부재(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부재(301)는 베이스부재(200)에서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가 구비되는 일부 구간(A)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제2 커버부재(302)는 걸림고리(400)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B)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커버부재(301)는 제2 커버부재(30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재(301)의 슬라이드 리브(310)가 제2 커버부재(302)의 슬라이드 리브(310) 내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커버부재(301)에 의한 걸림고리(400) 개방시 제1 커버부재(301)는 제2 커버부재(302)의 내측으로 수용된다(도 4 참조).
한편, 사용자가 제1 커버부재(301)를 쉽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커버부재(301)의 일단에 파지돌기(32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베이스부재(200)는 유리창(10)의 실내측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부착된다. 이때, 다른 창문의 창틀에 설치된 걸고리(20)의 설치 높이에 맞춰 베이스부재(200)의 부착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100)의 사용시에는, 먼저 제1 커버부재(301)를 제2 커버부재(30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창문을 일부 개방하고 복수 개의 걸림고리(400) 중 다른 창문의 걸고리(20)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걸림고리(400)를 고리홈(220)으로부터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걸림고리(400)의 걸림부(440)가 베이스부재(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사용자는 걸고리(20)를 회동시켜 걸림고리(400)의 걸림부(440)에 걸어서 체결할 수 있다.
걸고리(20) 체결시, 걸고리(20)의 일단이 걸림고리(400)의 걸림부(440) 내측에 끼워져 잠기게 되며, 이러한 잠금상태에서는 걸고리(20)가 걸림고리(400)의 연장부(430)에 걸리게 되므로 더 이상 창문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창문을 닫고자 하여도 걸고리(20)가 걸림고리(400)의 스토퍼부(420)에 걸리게 되므로 창문을 닫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고리(400)로부터 걸고리(20)를 분리하고, 회동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고리(400)를 고리홈(220)에 삽입하여, 창문을 다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창문 잠금장치(100)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창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열거나 닫을려고 하는 경우, 걸림고리(400)를 통해 베이스부재(200)와 유리창(10)으로 외력이 전달되는데, 베이스부재(200)가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러한 외력을 일부 완충함으로써 유리창(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재(200) 부착시 베이스부재(200)의 양단이 양측 창틀에 각각 밀착되게 함으로써, 걸림고리(4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베이스부재(200)가 변형 또는 파손되거나 유리창(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창문 잠금장치 200 : 베이스부재
210 : 슬라이드홈 220 : 고리홈
300 : 커버부재 301 : 제1 커버부재
302 : 제2 커버부재 310 : 슬라이드 리브
400 : 걸림고리 410 : 힌지결합부
420 : 스토퍼부 430 : 연장부
440 : 걸림부 500 : 회전축

Claims (8)

  1.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걸림고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홈은, 상기 고리홈에 수납된 상기 걸림고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리홈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일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타측에 상기 스토퍼부와 대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시 스토퍼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5. 삭제
  6.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을 덮는 제1 커버부재와, 타측을 덮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부재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일단에 파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걸림고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KR1020190164702A 2019-12-11 2019-12-11 창문 잠금장치 KR10232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02A KR102327306B1 (ko) 2019-12-11 2019-12-11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02A KR102327306B1 (ko) 2019-12-11 2019-12-11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15A KR20210073915A (ko) 2021-06-21
KR102327306B1 true KR102327306B1 (ko) 2021-11-17

Family

ID=7659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702A KR102327306B1 (ko) 2019-12-11 2019-12-11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3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408Y2 (ko) * 1975-11-06 1980-03-12
KR101538856B1 (ko) * 2013-11-18 2015-07-24 최재혁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15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196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US20070028417A1 (en) Door stop for child safety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2327306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2092506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장치
KR20220019507A (ko) 도어 폴딩형 손낌방지장치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200380388Y1 (ko) 문 손 보호대
KR102347346B1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150112458A (ko) 도어 안전장치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101864300B1 (ko) 도어 스토퍼
JP2015197027A (ja) 網戸装置
KR20110000970U (ko) 소음방지기능을 갖는 내풍압 셔터용 가이드 레일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EP3124732B1 (en) A window with an opening restrictor having a gripping mechanism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JP4321465B2 (ja) 外召し合せ框用振れ止め具
CN218092579U (zh) 推拉窗和工程机械驾驶室
KR102030638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형 여닫이 도어조립체
KR101941379B1 (ko) 창호 방충망용 잠금구 록킹장치
KR930000599Y1 (ko) 스크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