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00B1 - 도어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00B1
KR101864300B1 KR1020160146322A KR20160146322A KR101864300B1 KR 101864300 B1 KR101864300 B1 KR 101864300B1 KR 1020160146322 A KR1020160146322 A KR 1020160146322A KR 20160146322 A KR20160146322 A KR 20160146322A KR 101864300 B1 KR101864300 B1 KR 10186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groove
blade
fixing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871A (ko
Inventor
김소진
Original Assignee
김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진 filed Critical 김소진
Priority to KR102016014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with special means for release, e.g. automatic release by furthe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에 따르면, 일측에 내입홈과 상기 내입홈의 상하 내측면이 내입된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구비된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슬라이딩홈 및 하부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슬라이딩부가 도어의 손잡이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도어와 문틀 사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과 소리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스토퍼{DOOR STOPER}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다수의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대부분의 도어는 문틀에 설치되되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어 일측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어는 공간을 구획하는 벽에 설치되어 그 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어는 가정집인 경우 열어두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바람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열린 도어가 닫히는 경우 강한 속도로 닫히며, 그로 인한 소리와 도어의 잠금장치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예상치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부상을 당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어의 바닥에 끼워 두는 스토퍼가 개발되었으나,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었고,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매번 도어 바닥에 끼워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애완동물이나 어린아이의 경우에, 도어의 바닥에 끼워 두는 스토퍼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빼 놓을 수 있어 도어의 닫힘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도어가 닫히게 되면, 밀폐된 공간에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경우 손잡이를 열지 못하여 갇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834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084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부가 도어의 손잡이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도어와 문틀 사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와 문틀 사이에 손가락의 끼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과 소리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유아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원할하게 할 수 있어 밀폐공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재를 도어의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어, 유아나 애완동물이 닿지 않는 위치 또는 닿는 위치 등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에 몸체를 용이하게 탈부탁할 수 있어 걸림부재의 파손에 의한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에 따르면, 일측에 내입홈과 상기 내입홈의 상하 내측면이 내입된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구비된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슬라이딩홈 및 하부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내입홈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폭 사이만큼 이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상부날개와 하부날개 및 상기 몸체의 정면에 상기 몸체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가 도어와 문틀을 향해 이동될 때, 일단이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입홈과 후측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날개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상부슬라이딩홈이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날개가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서 하부방향으로 밀면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에 따르면, 일측에 내입홈과 상기 내입홈의 상하 내측면이 내입된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구비된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슬라이딩홈 및 하부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내입홈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폭 사이만큼 이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상부날개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하부날개 및 상기 몸체의 정면에 상기 몸체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가 도어와 문틀을 향해 이동될 때, 일단이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입홈과 후측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날개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상부슬라이딩홈이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을 통해 고정부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날개를 하부방향으로 밀며 몸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날개가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딩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부날개를 삽입공을 향해 누르면 상기 몸체가 삽입공으로 밀리며 회전되는 동시에 상부날개와 몸체가 삽입공으로 삽입되며 하부날개가 하부슬라이딩홈에서 빠지고, 상기 몸체와 상부날개를 내입홈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의 전후폭은, 좌우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와 하부날개는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의 좌우측에 억지로 슬라이딩되어, 몸체가 고정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슬라이딩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고정부재에 슬라이딩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걸림부재로 인해 도어가 닫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걸림부재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도어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고정부재에 슬라이딩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걸림부재로 인해 도어가 닫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걸림부재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현관문 또는 방문 등 도어(200)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도어(200)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타측이 문틀(220)과 벌어져 개폐된다. 이하, '도어(200)와 문틀(220) 사이'의 기재는, 도어(200)의 타측 즉, 손잡이(210)가 구비된 측방향의 도어(200) 끝단과 문틀(220) 사이를 말한다.
이러한, 도어 스토퍼(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10) 및 슬라이딩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부재(110)는 도어(2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손잡이(210)보다 상부 또는 하부 등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110)는, 일단을 손잡이(210) 방향 측의 도어(200) 일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후술할 슬라이딩부(120)가 슬라이딩될 때 일부가 도어(200)와 문틀(22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110)의 일측에는, 내입홈(111)이 형성된다. 내입홈(111)에는 후술할 슬라이딩부(120)의 몸체(121)가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10)의 내입홈(111)은 슬라이딩부(120)의 몸체(121)가 좌우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폭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120)의 몸체(121)는 내입홈(111)의 좌우 내측면 사이만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110)에는 내입홈(111)의 상하 내측면이 내입된 상부슬라이딩홈(112)과 하부슬라이딩홈(113)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슬라이딩홈(112)과 하부슬라이딩홈(113)에는 후술할 슬라이딩부(120)의 상부날개(122)와 하부날개(123)가 삽입된다.
또한, 상부슬라이딩홈(112)과 하부슬라이딩홈(113)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전후폭은, 좌우 중 어느 한 곳 이상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날개(122) 또는 하부날개(123)는 전후폭(두께)이 좁아지는 상부슬라이딩홈(112) 또는 하부슬라이딩홈(113)에 억지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몸체(121)가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0)의 타측에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고정부재(110)는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200)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 본드, 실리콘, 벨크로테이프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정부재(110)의 탈착이 용이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10)는, 슬라이딩부(120)가 탈부착가능하도록 삽입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공(114)은, 내입홈(111)과 고정부재(110)의 후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114)은, 후술할 상부날개(122)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상부슬라이딩홈(113)이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부(120)는, 고정부재(110)의 상부슬라이딩홈(112) 및 하부슬라이딩홈(113)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즉, 슬라이딩부(120)는, 도어(200)의 손잡이(210)를 향해 슬라이딩될 때, 도어(200)와 문틀(220) 사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어(200)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닫힘을 인위적으로 방지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부(120)를 도어(200)와 문틀(220) 사이로 슬라이딩시켜 도어(200)의 닫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부(120)는, 몸체(121), 상부날개(122), 하부날개(123) 및 걸림부재(124)를 포함한다.
몸체(121)는, 내입홈(111)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좌우폭 사이만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몸체(121)의 상하폭은, 내입홈(111)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부날개(122)는, 몸체(121)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부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된다.
또한, 하부날개(123)는, 몸체(121)의 하측에 돌출되어 하부슬라이딩홈(113)에 삽입된다.
고정부재(110)와 슬라이딩부(120)가 용이하게 착탈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슬라이딩부재(120)는, 상부날개(122)가 삽입공(114)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된다.
이때 하부날개(123)가 하부슬라이딩홈(113)에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서 하부방향으로 밀면 하부날개(123)가 하부슬라이딩홈(113)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날개(122)가 삽입공(114)으로부터 이탈되며 상부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된다.
반대로, 고정부재(110)로부터 슬라이딩부(120)를 분리하고자 하면, 상부날개(122)가 삽입공(144)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딩부(12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부날개(122)를 전방에서 후방 즉, 삽입공(114)을 향해 누르는 동시에 몸체(121)를 삽입공(114)으로 밀면 상부날개(122)와 몸체가(121)가 삽입공(114)으로 삽입되면서 하부날개(123)가 하부슬라이딩홈(113)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몸체(121)를 삽입공(114)으로부터 빼내면 분리가 된다.
고정부재(110)와 슬라이딩부(120)가 용이하게 착탈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슬라이딩부(120)는, 상부날개(122)가 삽입공(114)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된다.
걸림부재(124)는, 몸체(121)의 정면에 몸체(121)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몸체(121)가 도어(200)와 문틀(220)을 향해 이동될 때, 일단이 도어(200)와 문틀(220) 사이에 돌출되어 도어(200)의 닫힘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걸림부재(124)를 도어(200)의 손잡이(210)방향 측으로 이동시켜 놓으면, 도 5와 같이, 바람 또는 인위적으로 도어(200)가 닫힐 때, 걸림부재(124)로 인해 도어(200)가 닫히지 않고 열린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124)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져 소리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파손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스토퍼 110 : 고정부재
111 : 내입홈 112 : 상부슬라이딩홈
113 : 하부슬라이딩홈 114 : 삽입공
120 : 슬라이딩부
121 : 몸체 122 : 상부날개
123 : 하부날개 124 : 걸림부재
200 : 도어 210 : 손잡이
220 : 문틀

Claims (3)

  1. 일측에 내입홈과 상기 내입홈의 상하 내측면이 내입된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구비된 접착부재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슬라이딩홈 및 하부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내입홈의 좌우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폭 사이만큼 이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상부날개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하부날개 및
    상기 몸체의 정면에 상기 몸체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가 도어와 문틀을 향해 이동될 때, 일단이 상기 도어와 문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입홈과 후측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날개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상부슬라이딩홈이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을 통해 고정부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날개를 하부방향으로 밀며 몸체를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날개가 하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며 상부슬라이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부날개가 삽입공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딩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부날개를 삽입공을 향해 누르면 상기 몸체가 삽입공으로 밀리며 회전되는 동시에 상부날개와 몸체가 삽입공으로 삽입되며 하부날개가 하부슬라이딩홈에서 빠지고, 상기 몸체와 상부날개를 내입홈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의 전후폭은, 좌우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와 하부날개는 상부슬라이딩홈과 하부슬라이딩홈의 좌우측에 억지로 슬라이딩되어, 몸체가 고정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슬라이딩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토퍼.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6322A 2016-11-04 2016-11-04 도어 스토퍼 KR10186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22A KR101864300B1 (ko) 2016-11-04 2016-11-04 도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22A KR101864300B1 (ko) 2016-11-04 2016-11-04 도어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71A KR20180049871A (ko) 2018-05-14
KR101864300B1 true KR101864300B1 (ko) 2018-06-04

Family

ID=6218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22A KR101864300B1 (ko) 2016-11-04 2016-11-04 도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0B1 (ko) * 2022-07-13 2022-09-27 윤중재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78B1 (ko) * 2015-07-02 2015-08-07 조용만 손가락 끼임 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43Y1 (ko) 2002-07-11 2002-10-04 김재식 도어용 스토퍼
KR101084538B1 (ko) 2009-06-25 2011-11-17 안창희 문 닫힘 방지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78B1 (ko) * 2015-07-02 2015-08-07 조용만 손가락 끼임 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0B1 (ko) * 2022-07-13 2022-09-27 윤중재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WO2024014796A1 (ko) * 2022-07-13 2024-01-18 윤중보 여닫이문의 충격소음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71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1140A (en) Safety door for nursery schools, kindergartens and like environments
US20070028417A1 (en) Door stop for child safety
US9297203B2 (en) Curtain drawstring structure
AU2016314028B2 (en) Window lock assembly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1864300B1 (ko) 도어 스토퍼
US9149117B2 (en) Tool cabinet drawer and latching mechanism
KR20150130191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US9915093B2 (en) Security gate
KR101542178B1 (ko) 손가락 끼임 방지구
US9187939B1 (en) Safety gate locking strap and a safety gat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6653403B2 (ja) パッキン装置付き引き戸およびパッキン装置
KR200448664Y1 (ko) 손가락 끼임 방지장치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CN218092579U (zh) 推拉窗和工程机械驾驶室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KR200465743Y1 (ko) 미닫이 창문용 다목적 잠금 스토퍼
CN104196379A (zh) 一种安全门卡
US3087751A (en) Safety chaing locking means for a door
KR102327306B1 (ko) 창문 잠금장치
CN218150589U (zh) 儿童安全平开门
TWM416673U (en) Buffer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2375831B1 (ko) 도어 세이프가드
KR20130084271A (ko) 도어 손가락 끼임 방지구
GB2510813A (en) Improvements to letter-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