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69B1 - 골반근육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골반근육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669B1
KR102325669B1 KR1020210088849A KR20210088849A KR102325669B1 KR 102325669 B1 KR102325669 B1 KR 102325669B1 KR 1020210088849 A KR1020210088849 A KR 1020210088849A KR 20210088849 A KR20210088849 A KR 20210088849A KR 102325669 B1 KR102325669 B1 KR 102325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belt
rod
elastic memb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람
Original Assignee
윤보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보람 filed Critical 윤보람
Priority to EP21915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72842A4/en
Priority to US18/258,815 priority patent/US20240042275A1/en
Priority to CN202180084801.9A priority patent/CN116669819A/zh
Priority to PCT/KR2021/014154 priority patent/WO2022145649A1/ko
Priority to JP2023531573A priority patent/JP202450112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벨트 및 상기 지지벨트에 설치되는 삽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장치는 사용자의 질에 출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벨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벨트에 대한 상기 삽입부의 상대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삽입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반근육 운동기구{APPARATUS FOR TRAINING PELVIC MUSCLE}
본 발명은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골반저근은 회음과 골반가로막의 두 층으로 구성된다. 골반저근은 골반 바닥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근육들의 집합체이고, 방광, 자궁, 곧창자 등의 아래쪽 골반의 장기를 지지하고 받쳐준다. 골반가로막은 장기의 지지 외에도 호흡, 배변, 배뇨, 분만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불의의 사고 또는 출산 등으로 유발되는 회음의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케겔 운동(Kegel exercises)과 펨콘 요법(Femcon-therapy) 등이 알려져 있다. 케겔 운동은 치골미골근에 힘을 주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운동을 의미하며, 펨콘 요법은 무게추를 질에 삽입한 채 골반저근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또한, 골반가로막을 운동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회음수축운동 역시 골반가로막을 운동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꽉 끼는 벨트 및/또는 복압대를 착용하는 것은 골반가로막 강화에 도움이 된다.
이처럼 치골미골근, 치골직장근, 장골미골근 등을 포함하는 골반저근은 평소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부위이고 해부학적으로 인체 깊은 곳에 숨어져 있는 부위이기에, 타인에 의한 마사지가 어려워 의식적으로 그 수축과 이완을 마음먹어야만 운동이 가능하다.
다만, 직접 수축과 이완을 해주어야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조 기구 등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또는 반강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운동의 효율을 증진시키려는 시도가 있다.
본 발명은 골반 주변의 근육을 수축시키거나 이완시키는 운동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확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벨트; 상기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벨트; 및 상기 지지벨트에 설치되는 삽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장치는 사용자의 질에 출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벨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로드; 상기 로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벨트에 대한 상기 삽입부의 상대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삽입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장치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벨트가 배치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 및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롯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장치는 상기 지지벨트에 설치되는 가이드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더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삽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삽입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삽입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벨트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부와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지지벨트의 하면 상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벨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벨트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설치면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과, 일단이 상기 삽입부 하단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당기도록 마련되는 견인끈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끈이 걸리는 끈걸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견인끈의 타단이 잡아당겨질 때 상기 견인끈은 상기 삽입부를 하방으로 견인할 수 있다.
상단에 상기 견인끈의 타단이 고정되고, 좌우 측부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탄성링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견인끈의 타단은 잡아당겨지고 상기 견인끈은 상기 삽입부를 하방으로 견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사용자의 복압을 상승시키는 복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를 질 밖으로 밀어내거나 질 내로 당기는 방식으로 골반 근육을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올바르게 골반저근을 이완하고 수축하는 경우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가 움직이게 되고, 사용자는 삽입부의 움직임을 시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올바른 근육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공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운동이 끝난 후 삽입부는 운동이 시작될 때의 위치로 자동 복원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삽입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삽입부가 원위치 되려는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력은 골반근육 운동에 필요한 부하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탄성부재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허리벨트 및/또는 복압대가 복압을 상승시켜 골반가로막 운동의 효율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복압대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가 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상부 삽입부를 하부에서 올려다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하부 삽입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가이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일부를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탄성링이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탄성링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복압대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가 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상부 삽입부를 하부에서 올려다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하부 삽입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가이드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할 때, 골반근육 운동기구(1)는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스트랩(10,20,30)과, 스트랩(10,20,3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삽입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트랩(10,20,30)을 착용함으로써 삽입 장치(100)를 몸에 밀착시키거나 몸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스트랩(10,20,30)은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벨트(10)와, 허리벨트(10)에 양단이 고정되고 삽입 장치(100)가 설치되는 지지벨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벨트(20)는 사용자의 샅을 통과할 수 있다.
스트랩(10,20,30)은 허리벨트(10)와 지지벨트(20)를 결합시키는 체결끈(30)을 포함할 수 있다. 허리벨트(10)와 지지벨트(20)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허리벨트(10)와 지지벨트(20)는 합성섬유, 면, 가죽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리벨트(10)는 허리벨트(10)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홀(11)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벨트(20)는 지지벨트(20)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11) 중 어느 하나 및 이와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홀(21)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오버랩 된 상태로 체결끈(3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서로 중첩된 체결홀(11)과 고정홀(21)을 관통한 체결끈(30)은 인접한 다른 체결홀(11) 및/또는 고정홀(21)을 통과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매듭이 지어짐에 따라 체결끈(30)은 허리벨트(10)와 지지벨트(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체결끈(30)에 의해 통과되는 체결홀(11)과 고정홀(21)을 변경함으로써 지지벨트(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랩은 지지벨트(20) 및/또는 허리벨트(10) 상에 배치되고 지지벨트(20) 및/또는 허리벨트(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왈자조리개, 코드락, 버클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와 같이, 골반근육 운동기구(1)는 복압대(10')(또는, "복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허리벨트(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복압대(10')를 추가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복압대(10')는 허리벨트(10)와 별개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허리벨트(10)가 복압대(10')로 교체될 수도 있다. 복압대(10')에도 체결홀(1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허리벨트(10)가 복압대(10')로 교체되는 경우 체결끈(30)을 이용하여 지지벨트(20)를 복압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복압대(1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슬리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압대(10')는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를 감쌀 수 있다. 복압대(10')는 탄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압대(10')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압대(10')는 탄성이 있는 다른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압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반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복압대(10')가 복압을 상승시킴으로써 골반저근 운동의 효율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삽입 장치(100)는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는 삽입부(101,102)와, 삽입부(101,102)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111)와, 로드(111)에 의해 지지되고 삽입부(101,10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06)와, 지지벨트(20)에 설치되어 지지벨트(20)를 관통하고 로드(11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01,102)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101,102)의 외면은 수평면으로 자른 단면인 원형이고 수직면으로 자른 단면이 타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부(101,102)의 외면은 달걀형이거나, 조롱박 모양일 수 있다. 삽입부(101,102)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01,102)는 삽입부(101,102)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상부 삽입부(101)와, 삽입부(101,102)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하부 삽입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삽입부(102)는 상부 삽입부(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삽입부(101)의 상하 방향 길이는 하부 삽입부(102)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부 삽입부(101)의 상하 방향 길이는 하부 삽입부(102)의 상하 방향 길이의 대략 3배일 수 있다.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삽입부(101)의 하단에는 수나사(107)가 형성되고, 하부 삽입부(102)의 상단에는 상부 삽입부(101)의 수나사(107)에 대응되는 암나사(108)가 형성되며, 수나사(107)와 암나사(108)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는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수나사(107)는 일체로 형성된 로드(111)의 하단에 형성되고, 암나사(108)는 로드(111)의 하단과 대응되도록 슬롯(10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삽입부(102)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장치(100)는 삽입부(101,10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벨트(20)가 배치되는 슬롯(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슬롯(103)은 삽입부(101,102)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삽입 장치(100)를 전후 방향에서 바라볼 때 슬롯(103)은 삽입부(101,102)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장치(100)를 좌우 방향에서 바라볼 때 슬롯(103)은 삽입부(101,10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지지벨트(20)는 슬롯(103)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고, 슬롯(103) 안에서 슬롯(10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지벨트(20)를 고정된 것으로 볼 때, 삽입부(101,102)는 지지벨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슬롯(103)은 삽입부(101,102)의 상하 방향 움직임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로드(111) 및 탄성부재(106)는 슬롯(103)의 내부에 배치되고 삽입부(101,10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로드(111) 및 탄성부재(106)는 삽입부(101,10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111)와 탄성부재(106)가 슬롯(103)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서 움직임이 있는 구성인 로드(111)와 탄성부재(106)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구성으로 인한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로드(111)는 상하단이 삽입부(101,102)에 고정될 수 있다. 로드(111)의 상단은 슬롯(103)의 상면(또는 상부 삽입부(101))에 고정되고 로드(111)의 하단은 슬롯(103)의 바닥면(또는 하부 삽입부(102))에 고정될 수 있다. 로드(1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드(111)는 삽입부(101,102)와 별개물로 형성되어 삽입부(101,102)에 고정될 수도 있고, 삽입부(101,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로드(111)는 상단이 상부 삽입부(101)와 연결(또는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104)와, 하단이 하부 삽입부(102)와 연결(또는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로드부(104,105)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가 결합됨에 따라 제1 로드부(104)의 하단과 제2 로드부(105)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고, 제1 로드부(104)와 제2 로드부(105)는 하나의 로드(1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로드부(104)의 중심축과 제2 로드부(105)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가 분리됨에 따라 로드(111)는 제1 로드부(104)와 제2 로드부(105)로 분해될 수 있고, 제1 로드부(104)와 제2 로드부(105)는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로드부(104)와 제2 로드부(10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1,2 로드부(104,105)는 로드(111)로 지칭될 수 있고, 로드(111)의 상단은 상부 삽입부(101)에 고정될 수 있다. 로드(111)의 상단은 상부 삽입부(10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 삽입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로드(111)의 하단은 하부 삽입부(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수나사(107)는 로드(111)의 하단에 형성되고, 암나사(108)는 하부 삽입부(102)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며, 로드(111)는 하부 삽입부(102)에 나사결합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드(111)는 지지벨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101,10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로드(111) 역시 삽입부(101,10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드(111)는 삽입부(101,102)의 상하 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부(101,10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로드(111)의 상단(즉, 제1 로드부(104)의 상단)은 지지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로드(111)의 하단(즉, 제2 로드부(105)의 하단)은 지지벨트(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로드(111)는 탄성부재(106)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06)는 로드(1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로드(111)는 코일 스프링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로드(111)는 탄성부재(106)의 좌굴(buckling)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압축 또는 인장이 모두 가해질 수 있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06)는 로드(111)에 의해 꿰인 상태로 슬롯(103)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삽입부(101,10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06)는 지지벨트(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지지벨트(20)의 일면(예: 상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홀더(120)는 지지벨트(20)에 설치되고 로드(111)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홀더(120)는 지지벨트(20)를 관통하고 로드(111)가 삽입되는 삽입홀(121a)이 형성되는 로드 가이드부(121)와, 로드 가이드부(121)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부 가이드부(122)와, 가이드 홀더(120)를 지지벨트(2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가이드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가 삽입홀(121a)에 해당될 수 있다. 로드 가이드부(121)는 삽입홀(121a)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로드(111)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로드 가이드부(121) 및 삽입홀(121a)은 지지벨트(20)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가이드부(121) 및 삽입홀(121a)은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지지벨트(20)에 대하여 대략 70°를 이룰 수 있다. 로드(111)는 삽입홀(1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기에 로드(111) 역시 지지벨트(20)에 대하여 대략 70°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드 가이드부(121), 삽입홀(121a), 및 로드(111)가 지지벨트(20)와 이루는 각도는 70°가 아닌 다른 각도일 수 있다.
삽입부 가이드부(122)는 슬롯(103)을 형성하는 삽입부(101,102)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고, 삽입부(101,102)의 내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벨트(20)에 대한 삽입부(101,10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다. 삽입부(101,102)가 지지벨트(2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 될 때 삽입부(101,102)는 삽입부 가이드부(122)에 의하여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체결부재(124)는 로드 가이드부(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 가이드부(121)의 하단 외주면에는 나사산(123)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123)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 가이드부(121)와 체결부재(124)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24)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더(12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지지벨트(20)를 관통할 때 삽입부 가이드부(122)는 지지벨트(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로드 가이드부(121)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산(123)은 지지벨트(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124)가 나사산(123)에 결합되어 가이드 홀더(120)를 지지벨트(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벨트(20)의 일면(예: 상면) 상에는 삽입부 가이드부(122)가 배치되어 가이드 홀더(120)가 지지벨트(2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벨트(20)의 타면(예: 하면) 상에는 체결부재(124)가 배치되어 가이드 홀더(120)가 지지벨트(2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홀더(120)(예: 로드 가이드부(121) 및/또는 삽입부 가이드부(122))에 탄성부재(106)의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삽입 장치(100)는 삽입부(101,102)가 지지벨트(20)에 대한 상대이동 시에 사용자의 피부가 슬롯(103)과 지지벨트(20) 측면 사이에 끼여 발생하는 상해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완충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10)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라텍스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10)는 지지벨트(20)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지지벨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벨트(20)는 완충부재(110)의 중심축 부근에 배치되도록 완충부재(1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완충부재(110)의 크기와 형상은 삽입부(101,102)가 배출 위치(P2)에 위치될 때 질에서 완전히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을 가지면 족하다.
완충부재(110)는 한 쌍의 완충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부재(110) 각각은 삽입부(101,102)의 전방과 후방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완충부재(110) 각각은 슬롯(10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삽입 장치(100)는 전기자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부는 전극과, 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극에 의한 전기자극의 주기, 강도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전극은 삽입부(101,102)(예: 상부 삽입부(101))의 외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배터리와 프로세서는 지지벨트(20)의 하면 또는 허리벨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전극, 배터리, 및 프로세서는 전선 등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자극부의 전극은 삽입 장치(100)를 질에 삽입한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극부는 사용자의 치골미골근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다. 전기자극부는 치골미골근에 전기적 자극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운동부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자극부는 치골미골근이 아닌 다른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삽입 장치(100)는 진동자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극부는 진동모터와, 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진동모터에 의한 진동자극의 주기, 강도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한편, 삽입 장치(100)가 전기자극부와 진동자극부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극과 진동모터 모두를 제어할 수 있고, 하나의 배터리가 전극과 진동모터 모두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모터는 삽입부(101,102)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삽입부(10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진동모터는 상부 삽입부(101)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진동모터는 슬롯(103)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와 프로세서는 지지벨트(20)의 하면 또는 허리벨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진동모터, 배터리, 및 프로세서는 전선 등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진동모터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자극부는 삽입 장치(100)를 질에 삽입한 사용자의 근육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극부는 삽입부(101,102)를 진동시켜 사용자의 치골미골근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다. 사용자는 진동자극부의 진동을 이용하여 치골미골근에 대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자극부는 치골미골근이 아닌 다른 근육에 진동 자극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삽입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삽입 장치(100)는 삽입부(101,102)의 일부분(예: 상부 삽입부(101))이 질에 삽입되는 상태인 삽입 위치(P1)와 삽입부(101,102) 전체가 질에서 배출된 상태인 배출 위치(P2)를 왕복할 수 있다.
삽입 위치(P1)에서 삽입부(101,102)의 대부분은 지지벨트(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배출 위치(P2)에서 삽입부(101,102)의 대부분은 지지벨트(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는 지지벨트(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삽입부(101,102)를 삽입 위치(P1)에 있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탄성부재(101,102)는 슬롯(103)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삽입부(101)의 내측 상면과 지지벨트(20) 사이에 배치되어 삽입부(101,102)가 삽입 위치(P1)에 있도록 삽입부(101,102)(예: 상부 삽입부(10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삽입 위치(P1)에서 탄성부재(106)는 다소 압축 변형된 상태이거나 탄성부재(106)가 자유장을 가지는 상태일 수 있다.
골반저근을 이완하여 질에 삽입된 삽입부(101,102)를 질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사용자는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101,102)는 질 외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삽입부(101,102)는 배출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부(101,102)가 삽입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지지벨트(20)는 팽팽하게 당겨져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부(101,102)가 정지된 지지벨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이므로, 하강하는 삽입부(101,102)(예: 상부 가압부(101)의 내측 상면)에 의해 탄성부재(106)의 상단은 하방으로 눌러지게 되고 탄성부재(106)는 더욱 압축 변형될 수 있다.
배출 위치(P2)에 도달한 삽입부(101,102)에는 압축 변형된 탄성부재(106)에 의해 탄성력(또는 "탄성 복원력")이 상방으로 가해질 수 있다. 즉, 삽입 위치(P1)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부(101,102)는 배출 위치(P2)에서 삽입 위치(P1)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으로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101,102)를 재차 밀어 냄으로써 골반근육 운동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101,102)를 밀어내는 동안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은 부하로 작용될 수 있다. 삽입부(101,102)를 질 밖으로 밀어내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탄성부재(106)에 의한 부하는 사용자의 역량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보자는 질 내에서 삽입부(101,102)를 이동시키면 충분하고, 숙련자는 삽입부(101,102)를 완전히 질 외로 밀어냄으로써 골반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06) 배치를 가지는 삽입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탄성부재(106)는 지지벨트(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의 상단은 지지벨트(20)의 하면 상에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슬롯(10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삽입부(102)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는 삽입부(101,102)를 배출 위치(P2)에 있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탄성부재(106)는 슬롯(103)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삽입부(102)의 내측 바닥면과 지지벨트(20) 사이에 배치되어 삽입부(101,102)가 배출 위치(P2)에 있도록 삽입부(101,102)(예: 하부 삽입부(10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배출 위치(P2)에서 탄성부재(106)는 다소 압축 변형된 상태이거나 자유장을 가지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101,102)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삽입 위치(P1)에 위치되게 만들 수 있고, 삽입부(101,102)는 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01,102)가 배출 위치(P2)에서 삽입 위치(P1)로 이동되는 동안, 지지벨트(20)는 팽팽하게 당겨져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부(101,102)가 정지된 지지벨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올라가는 것이므로, 상승하는 삽입부(101,102)(예: 하부 가압부(102)의 내측 바닥면)에 의해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상방으로 눌러지게 되고 탄성부재(106)는 더욱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삽입 위치(P1)에 도달한 삽입부(101,102)에는 압축 변형된 탄성부재(106)에 의해 탄성력이 하방으로 가해질 수 있다. 즉, 배출 위치(P2)로 복원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부(101,102)는 삽입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골반저근을 수축하여 질을 빠져나가려는 삽입부(101,102)를 질 내로 잡아당김으로써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은 운동에 필요한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와 같이, 사용자는 상부 삽입부(101)와 하부 삽입부(102)를 분리하여 슬롯(103)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고, 탄성부재(106)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부재(106)를 선택적으로 지지벨트(20)의 상부에 배치시키거나 지지벨트(20)의 하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탄성부재(106)에 의하여 삽입부(101,102)에 가해지는 탄성력(또는, 부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06)의 일단은 삽입부(101,102)(예: 상부 가압부(101)의 내측 상면, 또는 하부 가압부(102)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탄성부재(106)의 타단은 가이드 홀더(12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가 자유장을 가지는 상태일 때 삽입부(101,102)는 삽입 위치(P1)와 배출 위치(P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삽입부(101,102)를 질 밖으로 밀어낼 때 압축 변형되는 탄성부재(106)는 탄성력을 삽입부(101,102)에 상방으로 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삽입부(101,102)를 질 내로 깊숙이 잡아당길 때 인장 변형되는 탄성부재(106)는 탄성력은 삽입부(101,102)에 하방으로 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06)는 사용자가 골반저근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삽입부(101,102)를 이동시키려고 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골반근육 운동에 필요한 부하를 양방향(즉, 상방 및 하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일부를 단면 처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와 비교하여 삽입 장치의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이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관한 설명은 모두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할 때,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스트랩(10,20,30)과, 스트랩(10,20,30)에 설치되는 삽입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장치(200)는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는 삽입부(201)와, 삽입부(201)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1,212)와, 로드(211,212)에 의해 지지되고 삽입부(20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06)와, 지지벨트(20)에 설치되어 지지벨트(20)를 관통하고 로드(211,2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01)는 대략 달걀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롱박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1)의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211,212)는 삽입부(20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벨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다.
로드(211,2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이 삽입부(201)에 고정되며 지지벨트(20)를 관통하는 로드부(211)와, 로드부(21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탄성부재(10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12a)을 포함하는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211)와 고정부(212)는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201)는 지지벨트(20)의 상부에 위치되고 고정부(212)는 지지벨트(20)의 하부에 위치되며 로드부(211)는 삽입부(201)와 고정부(212)를 연결할 수 있다.
로드(211,212)는 탄성부재(106)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0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로드부(211)는 코일 스프링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로드(211,212)는 탄성부재의 좌굴(buckling)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압축 또는 인장이 모두 가해질 수 있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06)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어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06)는 지지벨트(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6)의 상단은 지지벨트(20)의 후면 상에 고정될 수 있고,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고정부(212)의 고정홈(21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홀더(220)는 지지벨트(20)에 설치되고 로드(211,212)(예: 로드부(211))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홀더(220)는 지지벨트(20)를 관통하고 로드부(211)가 삽입되는 삽입홀(221a)이 형성되는 로드 가이드부(221)와, 로드 가이드부(221)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부재 픽서(222)와, 가이드 홀더(220)를 지지벨트(2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가이드부(2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부가 삽입홀(221a)에 해당될 수 있다. 로드 가이드부(221)는 삽입홀(221a)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로드(211,212)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다.
탄성부재 픽서(222)는 지지벨트(20)의 하면과 함께 탄성부재(106)의 상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06)의 상단은 탄성부재 픽서(222)와 지지벨트(2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224)는 로드 가이드부(221)의 상단 외주면 형성되는 나사산(22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 픽서(222)는 가이드 홀더(220)가 지지벨트(20)에서 상방으로 당겨져 뽑히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224)는 가이드 홀더(220)가 지지벨트(20)에서 하방으로 당겨져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장치(200)는 삽입부(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질에 삽입되는 상태인 삽입 위치(P1)와 삽입부(201) 전체가 질에서 배출된 상태인 배출 위치(P2)를 왕복할 수 있다. 삽입 위치(P1)는 배출 위치(P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삽입부(201)는 탄성부재(106)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일 때, 즉 탄성부재가 자유장을 가질 때, 배출 위치(P2)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탄성부재(106)를 제1 탄성부재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부(201)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삽입 위치(P1)에 위치되게 만들 수 있고, 삽입부(201)는 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201)가 배출 위치(P2)에서 삽입 위치(P1)로 이동되는 동안, 지지벨트(20)는 팽팽하게 당겨져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부(201)와 로드(211,212)가 정지된 지지벨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올라가는 것이므로, 상승하는 로드(211,212)의 고정부(212)에 의해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상방으로 눌러지게 되고 탄성부재(106)는 더욱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삽입 위치(P1)에 도달한 삽입부(201)에는 압축 변형된 탄성부재(106)에 의한 탄성력이 로드(211,212)를 매개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부(201)는 삽입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골반저근을 수축하여 질을 빠져나가려는 삽입부(201)를 질 내로 잡아당김으로써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은 운동에 필요한 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부(201)는 탄성부재(106)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일 때, 즉 탄성부재(106)가 자유장을 가질 때, 삽입 위치(P1)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탄성부재(106)를 제2 탄성부재라고 할 수 있다.
골반저근을 이완하여 질에 삽입된 삽입부(201)를 질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사용자는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부(201)가 삽입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로 이동되는 동안, 지지벨트(20)는 팽팽하게 당겨져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부(201)와 로드(211,212)가 정지된 지지벨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이므로, 하강하는 로드(211,212)의 고정부(212)에 의해 탄성부재(106)의 하단은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탄성부재(106)는 더욱 인장 변형될 수 있다.
배출 위치(P2)에 도달한 삽입부(201)에는 인장 변형된 탄성부재(106)에 의한 탄성력이 로드(211,212)를 매개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부(201)는 배출 위치(P2)에서 삽입 위치(P1)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으로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201)를 재차 밀어 냄으로써 골반근육 운동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질 내에 삽입된 삽입부(201)를 밀어내는 동안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은 부하로 작용될 수 있다. 삽입부(201)를 질 밖으로 밀어내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탄성부재(106)에 의한 부하는 사용자의 역량에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보자는 질 내에서 삽입부(201)를 이동시키면 충분하고, 숙련자는 삽입부(201)를 완전히 질 외로 밀어냄으로써 골반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106)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고정부(212)를 분리함으로써 탄성부재(106)를 삽입 장치(200)에서 분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삽입 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할 수 있고, 탄성부재(106)에 의한 탄성력(또는, 부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는 상호 교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06)가 자유장을 가지는 상태일 때 삽입부(201)는 삽입 위치(P1)와 배출 위치(P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삽입부(201)를 질 밖으로 밀어낼 때 압축 변형되는 탄성부재(106)는 탄성력을 삽입부(201)에 상방으로 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삽입부(201)를 질 내로 깊숙이 잡아당길 때 인장 변형되는 탄성부재(106)는 탄성력을 삽입부(201)에 하방으로 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06)는 사용자가 골반저근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삽입부(201)를 이동시키려고 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골반근육 운동에 필요한 부하를 양방향(즉, 상방 및 하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할 때, 도 1 및/또는 도 10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거치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1)에 마련되는 거치대(3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은 도 10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치대(3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설치면(예: 실내 바닥, 의자의 좌판 등)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301)과, 지지판(301)의 전단 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거치편(303)과, 지지판(301)의 후단 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거치편(302)과, 지지판(301) 상부에 형성되고 삽입 장치(100)가 위치 가능한 작동공간(300a)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판(301)은 설치면에 접착제, 나사, 클램프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작동공간(300a)은 제1,2 거치편(302,303)과 지지판(30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삽입 장치(100,200)가 질 밖으로 배출될 때(즉, 배출 위치(P2)일 때) 삽입 장치(100,200)(예: 삽입부(101,102,201) 및/또는 로드(111,211,212))는 작동공간(300a)에 노출 또는 위치될 수 있다.
제1 거치편(303)은 삽입 장치(100,200)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지지벨트(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1 거치홈(305)을 포함하고, 제2 거치편(302)은 삽입 장치(100,200)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지지벨트(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2 거치홈(3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홈(305)은 제1 거치편(303)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거치홈(304)은 제2 거치편(30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벨트(20)는 제1,2 거치홈(304,305)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2 거치홈(304,305) 각각은 상방을 향해 되는 병목부(304a)와, 병목부(304a)의 하부에 배치되어 병목부(304a)와 연결되고 지지벨트(20)가 수용되는 수용부(304b)를 포함할 수 있다.
병목부(304a)는 거치홈(304,305)의 입구에 해당될 수 있다. 지지벨트(20)는 비틀어진 채로 병목부(304a)를 통과할 수 있고 수용부(304b)에 수용된 후 복원될 수 있다. 병목부(304a)의 좌우 방향 폭은 지지벨트(20)의 좌우 방향 폭보다 작으므로 지지벨트(20)가 수용부(304b)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더라도 의도치 않게 거치홈(304,30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거치홈(304,3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홈(304,305)에 지지벨트(20)가 안착되어 지지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면 족하다.
거치대(300)는 지지벨트(20)에 결합되어 삽입 장치(1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한 작동공간(300a)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치대(300) 없이 골반근육 운동기구(1)를 착용한 상태로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삽입부(101,102)가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져 골반근육 운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거치대(300)를 사용하는 경우 의자의 좌판에 안착되는 지지판(301)의 상부에 작동공간(300a)이 확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서도 골반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지판(301)을 손으로 잡거나 의자에 고정시킨 후 전후 방향으로 허리를 움직이는 골반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거치홈(304,305)은 지지벨트(2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거치대(300)는 일단이 삽입부(101,102)의 하단에 고정되는 견인끈(310)과, 견인끈(310)이 걸리도록 지지판(301)에 형성되는 끈걸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끈걸이(320)는 지지판(301)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지지판(301)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되는 함몰부(321)와, 함몰부(321)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바(322)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끈(310)은 그 일단이 삽입부(101,102)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고리(112)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견인끈(310)의 타단은 함몰부(321)에 삽입된 후 지지바(322)를 감싸 돌아서 다른 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사용자는 견인끈(310)의 타단 측을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삽입부(101,102)는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즉, 지지바(322)는 일종의 고정 도르래에 해당될 수 있고, 지지바(322)는 사용자에 의하여 견인끈(310)에 걸리는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골반저근을 수축하여 질을 빠져나가려는 삽입부(101,102)를 질 내로 잡아당김으로써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견인끈(310)을 이용하여 직접 삽입부(101,102)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운동에 필요한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견인끈(310)의 자유단을 외부의 물체(예: 실내 기둥, 사용자의 발목 등)에 묶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움직여 자율적이고 연속적으로 운동에 필요한 부하를 증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삽입 장치(100)에서 탄성부재(106)를 제거한 후 견인끈(310)을 잡아당기는 힘 만을 부하로 이용하여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에 탄성링이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탄성링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의 (a)는 탄성링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의 (b)는 탄성링이 사용자에 의하여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4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도 12에 도시된 골반근육 운동기구의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할 때, 골반근육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하여 가압되는 탄성링(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링(400)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링(40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링(400)은 탄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금속,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링(400)의 일단(예: 상단)에는 견인끈(31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즉, 견인끈(310)은 끈걸이(320)에 걸린 상태에서, 일단이 탄성링(4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삽입부(101,102)의 체결고리(112)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링(400)의 타단(예: 하단)에는 탄성링(400)의 일단(예: 상단)으로 연장되는 견인끈(310)이 통과하는 가이드홀(40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401)은 탄성링(400)이 탄성 변형될 때 견인끈(3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탄성링(3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홀(40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거치편(303)에는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견인끈(310)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은 지지판(30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은 생략될 수 있고 견인끈(310)은 제1 거치편(303)의 측부 공간을 지나 전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탄성링(400)은 사용자의 양 허벅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양 허벅지로 탄성링이(400) 허벅지 사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붙들 수 있다.
사용자는 양 허벅지 사이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허벅지에 힘을 주어 탄성링(400)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던 탄성링(400)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하여 좌우 측면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된 조롱박 모양이 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 원형 고리 형상을 가지던 탄성링(400)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하여 좌우 측면 부분이 가압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장축이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단축이 연장되는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탄성링(400)이 탄성 변형될 때, 견인끈(310)이 고정된 탄성링(400)의 일단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견인끈(310)이 고정된 탄성링(400)의 상단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견인끈(310)이 고정된 탄성링(400)의 일단(예: 상단)의 움직임과 함께 견인끈(310)은 잡아당겨지게 된다. 견인끈(310)의 일단이 탄성링(400)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방으로 잡아당겨질 때, 견인끈(310)은 삽입부(101,102)를 하방으로 견인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견인끈(310)은 탄성링(400)을 매개로 사용자에 의하여 잡아당겨질 수 있다.
사용자는 골반저근을 수축하여 질을 빠져나가려는 삽입부(101,102)를 질 내로 잡아당김으로써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양 허벅지에 힘을 풀고 허벅지 사이를 벌리면, 탄성링(400)은 다시 원형 고리 형상으로 탄성 복원됨과 동시에 삽입부(101,102) 역시 삽입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장치(100)와 탄성링(400)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골반저근을 수축함과 동시에 이와 접해 있는 엉덩이근육(예: 속폐쇄근, 바깥폐쇄근 등), 볼기근육(큰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등), 모음근(예: 두덩근, 작은모음근, 짧은모음근, 큰모음근, 두덩정강근 등) 등을 수축하는 운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골반저근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인접 근육들과의 협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골반근육 운동기구
100,200; 삽입 장치
101,102; 삽입부
103; 슬롯
106; 탄성부재
111; 로드
120; 가이드 홀더

Claims (7)

  1.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벨트;
    상기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벨트; 및
    상기 지지벨트에 설치되는 삽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장치는
    사용자의 질에 출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벨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로드;
    상기 로드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벨트에 대한 상기 삽입부의 상대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삽입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벨트가 배치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및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롯의 내부에 배치되는 골반근육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장치는
    상기 지지벨트에 설치되는 가이드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더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삽입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삽입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골반근육 운동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벨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벨트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설치면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과,
    일단이 상기 삽입부 하단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당기도록 마련되는 견인끈과,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끈이 걸리는 끈걸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견인끈의 타단이 잡아당겨질 때 상기 견인끈은 상기 삽입부를 하방으로 견인하는 골반근육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견인끈의 타단이 고정되고, 좌우 측부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탄성링이 탄성 변형될 때, 상기 견인끈의 타단은 잡아당겨지고 상기 견인끈은 상기 삽입부를 하방으로 견인하는 골반근육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사용자의 복압을 상승시키는 복압대;를 더 포함하는 골반근육 운동기구.
KR1020210088849A 2020-12-31 2021-07-07 골반근육 운동기구 KR10232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915447.3A EP4272842A4 (en) 2020-12-31 2021-10-14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EVICE
US18/258,815 US20240042275A1 (en) 2020-12-31 2021-10-14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pparatus
CN202180084801.9A CN116669819A (zh) 2020-12-31 2021-10-14 骨盆肌肉运动器材
PCT/KR2021/014154 WO2022145649A1 (ko) 2020-12-31 2021-10-14 골반근육 운동기구
JP2023531573A JP2024501124A (ja) 2020-12-31 2021-10-14 骨盤筋肉運動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8695 2020-12-31
KR1020200188695 2020-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669B1 true KR102325669B1 (ko) 2021-11-12

Family

ID=7849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849A KR102325669B1 (ko) 2020-12-31 2021-07-07 골반근육 운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2275A1 (ko)
EP (1) EP4272842A4 (ko)
JP (1) JP2024501124A (ko)
KR (1) KR102325669B1 (ko)
CN (1) CN116669819A (ko)
WO (1) WO2022145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8488B1 (ja) 2023-06-23 2024-05-07 合同会社asterisk柚 骨盤底筋運動チェッ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230A (en) * 1996-02-21 1998-03-31 Sawchuck; Diane J. Perineometer for domestic use in pre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20169056A1 (en) * 1999-12-13 2002-11-14 Ross Anthony C. Pelvic floor exerci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526A1 (en) * 2000-12-29 2003-04-24 Michael Farley Relating to the control of urinary continence
CN2593837Y (zh) * 2002-12-12 2003-12-24 王志圣 肛门括约肌保健器
KR100710908B1 (ko) * 2005-07-19 2007-04-27 김경일 요실금 검사치료 및 골반저근과 질근육의 바이오피드백 훈련용 장치
KR101713934B1 (ko) * 2014-12-01 2017-03-09 주식회사 휴먼메디컬솔루션 전자동 요실금 및 성기능장애 진단 치료 장치
CN107582322A (zh) * 2017-08-22 2018-01-16 余军辉 腰带式盆底肌治疗仪
CN210750195U (zh) * 2019-06-24 2020-06-16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盆底肌群恢复训练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3230A (en) * 1996-02-21 1998-03-31 Sawchuck; Diane J. Perineometer for domestic use in prevention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20169056A1 (en) * 1999-12-13 2002-11-14 Ross Anthony C. Pelvic floor exerci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1124A (ja) 2024-01-11
EP4272842A4 (en) 2024-07-24
US20240042275A1 (en) 2024-02-08
WO2022145649A1 (ko) 2022-07-07
EP4272842A1 (en) 2023-11-08
CN116669819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6249A (en) Stretching apparatus
US8137247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lient foot support
US94863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rcising muscles that move the thigh
US7261679B2 (en) Runner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US4775148A (en) Abdominal exerciser
US5509869A (en) Isotonic cervical exercise device
US20130045842A1 (en) Tension exercise device
KR102325669B1 (ko) 골반근육 운동기구
US20050101461A1 (en) Strength exercising harness
KR102177307B1 (ko)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US6712742B2 (en) Compact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US200903121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US926568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rcising muscles that move the thigh
JP2901083B2 (ja) 臀部装着運動装置
US5823924A (en) Muscle exerciser
KR101351985B1 (ko) 힙업 운동기구
WO2004035146A1 (en) Aquatic exercise device
KR200462366Y1 (ko) 목 운동 장치
US5401228A (en) Abdominal exerciser
RU127644U1 (ru) Съемный тренажер бегуна
CN215231931U (zh) 一种体育训练下肢韧带拉伸装置
US4361322A (en) Body stretching exerciser
KR102566226B1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CN212522865U (zh) 一种腿部肌肉拉伸练习踏板
CN209966694U (zh) 多功能健身康复牵引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