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226B1 -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226B1
KR102566226B1 KR1020210032484A KR20210032484A KR102566226B1 KR 102566226 B1 KR102566226 B1 KR 102566226B1 KR 1020210032484 A KR1020210032484 A KR 1020210032484A KR 20210032484 A KR20210032484 A KR 20210032484A KR 102566226 B1 KR102566226 B1 KR 10256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seat
rail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997A (ko
Inventor
임교순
Original Assignee
임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교순 filed Critical 임교순
Priority to KR102021003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2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장치된 시트, 시트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발받침대, 발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사용자의 양쪽 대퇴부와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부, 제2프레임과 일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누름부가 장착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누름부를 당길 때 양쪽 대퇴부와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눌러서 꼬리뼈 부위가 지압돌기에 의해 눌러지도록 유도하는 레버, 시트 후방의 제1프레임에 구비된 등받이 및 등받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1프레임에 대하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Exercise apparatus for muscle strengthening of perineum and acupuncture point stimulation}
본 발명은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사이즈 및 위치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의 발달로 현대 사회인들 대다수가 운동부족 상태에 있고,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한 자세를 유지하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근육이 비활성화되고 신체대사가 저하되어 심장병, 당뇨병, 비만증 등의 각종 질병과 성인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근육은 수축운동으로 발달하지만 수축운동을 하지 않는 근육은 이완된 상태로 방치되어 처지고 늘어져서 퇴화된다.
예컨대, 양쪽 넓적다리 사이 회음부 근육과 괄약 근육 및 질 근육의 약화로 겪게 되는 남성의 전립선 비대증, 여성의 요실금, 방광염 같은 비뇨기과 질환과 그로 인한 성기능 장애는 사회활동을 방해하고, 당혹감, 불편감, 수치심 등으로 환자를 고립시켜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남성의 성기능 장애는 전립선 관련 질환자 대부분에서 동반되어 성욕감퇴, 조루증, 사정통, 발기부전 등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고 자신감 상실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한편, 회음부 주변의 근육(회음근)은 지방과 민무늬근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수축과 이완운동을 반복하여 단련하면 요실금, 발기부전 등의 치료효과는 물론 성기능을 강화하고 우울증과 조급함, 갱년기 증세, 편두통 및 만성적 변비 등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 항문이나 질 속에다가 콘 형태의 기구를 삽입하고 압박, 온열 및 진동 등의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여 괄약근과 회음근의 수축운동을 도와주는 이른바 삽입형 진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항문이나 질 속에 진동기구를 직접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한 데다 사용 시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물론 수치심과 불결함 및 불쾌감 등을 유발하여 사용이 꺼려질 수밖에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한편, 한의학에서 꼬리뼈 앞쪽 끝 부분과 항문 사이에 위치하는 장강혈을 자극하거나 눌러주면 변비, 탈항, 설사, 치질 등의 치료는 물론 허리와 등이 쑤시고 아프거나 근육이 땅기는 것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으며, 또 꼬리뼈에서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회양혈을 자극하거나 눌러주면 항문 주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치질, 수족냉증, 혈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 본 발명자가 개발 및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 기구는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 및 경락을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하여 탄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아울러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무릎견인벨트와 견인줄 및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의 양쪽 무릎 부위에 무릎견인벨트를 착용하듯이 감싼 상태로 견인줄을 당겨야 하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 시에는 착용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견인줄의 길이는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에 맞춰져 있어 키가 크거나 작은 사용자의 경우 그에 맞는 최적의 상태로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638017 B1(2016.07.04) KR 10-0416937 B1(2004.01.16) KR 10-1376989 B1(2014.03.17) KR 10-2014-0103694 A(2014.08.27) KR 10-1457443 B1(2014.10.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기술이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사이즈 및 위치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 및 경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운동 기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로 조절하여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도록 작용하는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하여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장치된 시트, 시트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발받침대, 발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부, 제2프레임과 일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타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누름부가 장착되며,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누름부를 당길 때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눌러서 꼬리뼈 부위가 지압돌기에 의해 눌러지도록 유도하는 레버, 시트 후방의 제1프레임에 구비된 등받이 및 등받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1프레임에 대하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제3프레임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사이즈 및 위치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여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회음부 근육을 강화시키고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도록 작용하는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하여 가할 수 있어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시트에는 사용자의 회음근과 괄약근에 물리적 자극을 주는 진동장치가 내장됨으로써 괄약근 강화는 물론 성기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제3프레임의 하단과 핀 이음으로 연결된 채 제1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프레임과 제3프레임을 연결하는 클레비스 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를 따라 틸팅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인덱스 브래킷 및 인덱스 브래킷의 한쪽에 장착되고 틸팅구멍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3프레임의 각도를 결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앉은 자세 등 신체 조건에 따라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3프레임의 각도 등 사이즈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제1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정지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제1레일, 시트와 등받이를 장착한 채로 제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나사구멍이 형성된 제1새들 및 제1새들의 제1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 시 제1나사구멍을 통해 제1정지구멍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제1레일에 대하여 제1새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1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시트와 발받침대 간의 거리를 편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누름부는, 레버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정지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제2레일,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나사구멍이 형성된 제2새들 및 제2새들의 제2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 시 제2나사구멍을 통해 제2정지구멍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제2레일에 대하여 제2새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2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누름부가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누르는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등받이는, 제3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슬라이더의 제3나사구멍에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제3나사구멍을 통해 제3프레임에 접촉되어 제3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더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3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등받이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에 상관없이 신체 조건에 맞게 또는 선택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자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범용성을 높임은 물론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력(근육)을 강화하여 탄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구나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레버를 잡고 당겨서 누름부로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압돌기 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는 압력 및 하중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의 국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시트(10), 제1 내지 제3프레임(20)(40)(80), 발받침대(30), 누름부(50), 레버(60), 등받이(70) 및 진동장치(90)를 포함하고 있다.
시트(10)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도록 제1프레임(10) 상에 장착되어 있고,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1)가 그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지압돌기(11)는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압 및 자극하기 위해 시트(10)의 상면에서 볼록하면서도 뾰쪽하게 솟아오른 마치 산봉우리 같은 인체공학적인 형태 또는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0)은 시트(10)와 진동장치(90)를 지면(바닥)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떠받쳐주고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고 연결 및 조립하여 골격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프레임(20)은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시트(10)와 발받침대(30)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제1프레임(20)은 제1레일(21)과 제1새들(23) 및 제1조절볼트(25)를 포함하고 있다.
제1레일(21)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정지구멍(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1새들(23)은 시트(10)와 등받이(70)를 장착(탑재)한 채로 제1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 제1레일(21)과 통하는 제1나사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새들(23)은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제1레일(21)을 따라 매끄럽고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해주는 미끄럼 베어링을 갖는 가이드 롤러(23a)가 다수 장착되어 있다.
제1조절볼트(25)는 조임 시 제1나사구멍(24)을 통해 제1정지구멍(22)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제1레일(21)에 대하여 제1새들(2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제1새들(23)의 제1나사구멍(24)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조절볼트(25)는 회전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머리 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받침대(30)는 사용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로 양발 즉, 양쪽 발바닥을 올려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2프레임(40) 상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발받침대(30)는 사용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발바닥이 밀착되게 얹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발받침대(30)는 발바닥을 지압 및 자극 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가 무수히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프레임(40)은 시트(10)와 발받침대(30) 및 진동장치(90)를 지면(바닥)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떠받쳐주고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고 연결 및 조립하여 골격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40)은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다리(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프레임(20)은 제2프레임(40) 상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누름부(50)는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눌러주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부(50)는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 즉 대퇴부를 통증 없이 자연스럽게 누르도록 가죽이나 합성수지 패드 등의 유연성 재질이 씌워진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5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누르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누름부(50)는 제2레일(51)와 제2새들(53), 제2조절볼트(55), 누름봉(56) 및 팔대(57)를 포함하고 있다.
제2레일(51)은 레버(60)에 장착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정지구멍(5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2새들(53)은 제2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측면에 제2나사구멍(54)이 제2정지구멍(52)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조절볼트(55)는 조임 시 제2나사구멍(54)을 통해 제2정지구멍(52)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제2레일(51)에 대하여 제2새들(5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제2새들(53)의 제2나사구멍(54)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2조절볼트(55)는 회전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머리 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봉(56)은 사용자의 양쪽 대퇴부를 통증 없이 자연스럽게 누르도록 가죽이나 합성수지 패드 등의 유연성 재질이 씌워진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팔대(57)는 끝부분에 누름봉(56)을 장착하여 지지하고 제2새들(53)에 고정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구부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60)는 사용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수월하게 누름부(50)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60)의 한쪽 끝부분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면서 당김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61)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반대쪽) 끝부분에는 제2프레임(40)과 클레비스 볼트(62)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레버(60)는 누름부(50)를 장착하여 손잡이(61)를 잡고 당김 시 클레비스 볼트(6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부(50)가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가압 및 압박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그 무게중심점을 이루는 꼬리뼈 부위가 지압돌기(11)에 의해 자연스럽게 눌러져 자극을 받도록 유도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 적은 힘으로 큰 힘을 내도록 작용하여 누름부(50)가 사용자의 당기는 힘보다도 더 강력하게 당겨질 수 있다.
등받이(70)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어 뒤로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시트(10) 후방의 제1프레임(20) 위쪽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7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등받이(70)는 슬라이더(71)와 제3조절볼트(73)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더(71)는 제3프레임(8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3조절볼트(73)와 나사 체결을 위한 제3나사구멍(72)이 제3프레임(80)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조절볼트(73)는 제3프레임(80)에 대하여 슬라이더(71)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제3나사구멍(72)과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제3나사구멍(72)을 통해 제3프레임(8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3조절볼트(73)는 회전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머리 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프레임(80)은 등받이(70)를 지지하도록 제1프레임(20) 상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3프레임(80)은 등받이(70)를 받쳐주고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프레임(80)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제3프레임(80)은 인덱스 브래킷(82), 스토퍼(84) 및 탄지스프링(8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인덱스 브래킷(82)은 제3프레임(80)의 하단과 클레비스 핀(81)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된 채 제1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고, 그 클레비스 핀(8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를 따라 틸팅구멍(8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84)는 인덱스 브래킷(82)의 틸팅구멍(8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제3프레임(80)의 설정 각도를 결정하도록 인덱스 브래킷(82)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탄지스프링(85)은 스토퍼(84)와 틸팅구멍(83) 간의 접촉 간섭을 해제 시 제3프레임(80)이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자동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탄지스프링(85)은 외력에 대해 압축 및 인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3프레임(80)의 하단과 클레비스 핀(81)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탄지스프링(85)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 혹은 강선을 굽힘 가공하여 마치 클립과 같은 형태로 형성한 이형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진동장치(90)는 사용자의 회음근과 괄약근에 물리적 자극을 주고, 그 주위의 경락을 문지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시트(10)에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장치(90)는 사용자의 꼬리뼈나 회음부를 반복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지압돌기(11) 하측에서 반복적으로 승강 운동하거나 진동발생기에 의해 진동하면서 사용자의 꼬리뼈나 회음부를 반복적으로 자극하는 구조 및 스위칭 제어에 의해 진동의 강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압에 의해 플런저가 상하로 반복해서 승강 운동하는 피스톤 또는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플런저가 상하로 반복해서 승강 운동하는 솔레노이드 또는 기타 공지의 선형운동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면서 바이브레이션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를 이용하여 시트(10) 전체가 떨리면서 사용자의 꼬리뼈와 회음부 및 낭심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장치(90)는 외부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91)가 구비되어 있고, 그 구동축에는 편심추(92)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장치(90)는 모터(91)에 전원을 공급하면 그 구동축이 회전운동하고, 이와 동시에 편심추(92)가 모터(91)의 중심축에서 벗어난 편심 회전운동으로 시트(10)와 지압돌기(11)에 진동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는 조력자나 트레이너 등의 도움 없이 사용자 스스로 꼬리뼈 부위에 위치하는 장강혈과 회양혈을 용이하게 자극 및 지압함과 동시에 자기 체중 저항 운동으로 회음부 근육을 수축시켜 회음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과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꼬리뼈 부위를 지압돌기(11)에 밀착시킨 상태로 시트(10)에 앉아서 양발을 발받침대(30)에 올리고 양손으로 레버(60)를 강하게 잡아당기면 누름부(50)가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부위를 눌러서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압돌기(11) 방향으로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압돌기(11) 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는 누름부(50)의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하여 직접적으로 가할 수 있어 지압돌기(11)가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에 위치하는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자기 체중 저항 운동 작용으로 순간적인 압력이 회음부에 전달됨으로써 회음근 및 괄약근을 강화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진동장치(90)를 스위칭 제어하여 작동시키면 시트(10)나 지압돌기(11)에 진동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회음근과 괄약근에 더욱 효과적으로 물리적 자극을 줄 수 있어 괄약근 및 골반근육을 강화함은 물론 조루증 예방 등의 성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시트(10)에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인체의 무게중심점이 위치하는 꼬리뼈 및 회음 부위의 근육을 자기 체중 저항 운동으로 강하게 수축시켜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레버(60)를 힘주어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시트 11: 지압돌기
20: 제1프레임 21: 제1레일
22: 제1정지구멍 23: 제1새들
24: 제1나사구멍 25: 제1조절볼트
30: 발받침대 40: 제2프레임
41: 받침다리 50: 누름부
51: 제2레일 52: 제2정지구멍
53: 제2새들 54: 제2나사구멍
55: 제2조절볼트 56: 누름봉
57: 팔대 60: 레버
61: 손잡이 62: 클레비스 볼트
70: 등받이 71: 슬라이더
72: 제3나사구멍 73: 제3조절볼트
80: 제3프레임 81: 클레비스 핀
82: 인덱스 브래킷 83: 틸팅구멍
84: 스토퍼 85: 탄지스프링
90: 진동장치

Claims (3)

  1.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지압돌기(11)가 장치된 시트(10);
    상기 시트(10)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20);
    사용자가 상기 시트(10)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발받침대(30);
    상기 발받침대(30)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40);
    사용자의 양쪽 대퇴부를 눌러주도록 구비된 누름부(50);
    상기 제2프레임(40)과 일단이 핀 이음으로 연결되고 타단에 손잡이(61)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5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기 누름부(50)를 당길 때 양쪽 대퇴부를 눌러서 꼬리뼈 부위가 상기 지압돌기(11)에 의해 눌러지도록 유도하는 레버(60);
    상기 시트(10) 후방의 상기 제1프레임(20)에 구비된 등받이(70); 및
    상기 등받이(70)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 제3프레임(80);
    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5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양쪽 무릎과 골반 사이의 누르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버(60)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정지구멍(5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제2레일(51);
    상기 제2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나사구멍(54)이 형성된 제2새들(53); 및
    상기 제2새들(53)의 제2나사구멍(54)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 시 상기 제2나사구멍(54)을 통해 상기 제2정지구멍(52)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상기 제2레일(51)에 대하여 상기 제2새들(5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2조절볼트(55);
    를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에 내장되고, 사용자의 회음근과 괄약근에 물리적 자극을 주는 진동장치(90);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상기 제3프레임(8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3프레임(80)의 하단과 핀 이음으로 연결된 채 상기 제1프레임(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프레임(20)과 상기 제3프레임(80)을 연결하는 클레비스 핀(8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를 따라 틸팅구멍(8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인덱스 브래킷(82); 및
    상기 인덱스 브래킷(82)의 한쪽에 장착되고 상기 틸팅구멍(8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제1프레임(20)에 대하여 상기 제3프레임(80)의 각도를 결정하는 스토퍼(84);
    를 더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상기 시트(10)와 상기 발받침대(30)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정지구멍(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제1레일(21);
    상기 시트(10)와 상기 등받이(70)를 장착한 채로 상기 제1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나사구멍(24)이 형성된 제1새들(23); 및
    상기 제1새들(23)의 제1나사구멍(24)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 시 상기 제1나사구멍(24)을 통해 상기 제1정지구멍(22) 중 원하는 지점에 끼워져 상기 제1레일(21)에 대하여 상기 제1새들(2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1조절볼트(25);
    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등받이(7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70)는,
    상기 제3프레임(8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71)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71)의 제3나사구멍(72)과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상기 제3나사구멍(72)을 통해 상기 제3프레임(80)에 접촉되어 상기 제3프레임(80)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71)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3조절볼트(73)가 구비된,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KR1020210032484A 2021-03-12 2021-03-12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KR10256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84A KR102566226B1 (ko) 2021-03-12 2021-03-12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84A KR102566226B1 (ko) 2021-03-12 2021-03-12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97A KR20220127997A (ko) 2022-09-20
KR102566226B1 true KR102566226B1 (ko) 2023-08-11

Family

ID=8344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84A KR102566226B1 (ko) 2021-03-12 2021-03-12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2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880A (ja) * 2008-02-29 2009-09-10 Tanren:Kk 立上り訓練具及び立上り・背筋訓練具
KR101638017B1 (ko) * 2015-07-03 2016-07-11 임교순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37B1 (ko) 2002-11-18 2004-01-31 강병모 회음부 근력 증강장치 및 방법
KR20070045511A (ko) * 2005-10-27 2007-05-02 임옥만 접이식 다목적 운동기
KR101376989B1 (ko) 2012-11-29 2014-03-25 전성훈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KR20140103694A (ko) 2013-02-19 2014-08-27 주식회사 엠앤지파트너스 근전도를 이용한 골반저근육 강화운동 보조장치
KR101457443B1 (ko) 2013-07-15 2014-11-05 김원국 회음부 강화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1880A (ja) * 2008-02-29 2009-09-10 Tanren:Kk 立上り訓練具及び立上り・背筋訓練具
KR101638017B1 (ko) * 2015-07-03 2016-07-11 임교순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97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92B1 (ko) 재활운동장치
US5833590A (en) Backbone stretching exerciser
KR101885057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KR102165681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KR101376989B1 (ko)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CN108618959B (zh) 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KR102566226B1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KR101638017B1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EP3545934B1 (en) Human body massag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649347B1 (ko)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CN209220928U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
KR20180113951A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WO2018095071A1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CN108618960B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KR20230141218A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JP2001079055A (ja) 脚部の浮腫・静脈瘤軽減装置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JP2023529697A (ja) 会陰部マッサージ機能付きマッサージ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10086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CN209220929U (zh) 保健按摩装置
KR102521319B1 (ko) 복부지압마사지기
CN217311800U (zh) 腹部拉伸器
US11083662B2 (en)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