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218A -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218A
KR20230141218A KR1020220040520A KR20220040520A KR20230141218A KR 20230141218 A KR20230141218 A KR 20230141218A KR 1020220040520 A KR1020220040520 A KR 1020220040520A KR 20220040520 A KR20220040520 A KR 20220040520A KR 20230141218 A KR20230141218 A KR 2023014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esaw
user
seesaw frame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교순
Original Assignee
임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교순 filed Critical 임교순
Priority to KR102022004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218A/ko
Publication of KR2023014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의 너클이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너클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 가능하면서 일정한 높이로 공중에 놓인 상태의 시소프레임, 상기 시소프레임의 가운데 부분 위에 장착되고, 뒤쪽에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이 장치된 새들, 상기 시소프레임의 선단에 사용자가 상기 새들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발받침대, 상기 새들 앞쪽의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새들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잡고 당길 때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가 상기 지압봉에 의해 눌러지도록 하는 핸들, 상기 새들 뒤쪽의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구비된 등받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앞뒤 부분 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시소프레임이 상기 핀을 중심으로 하여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하고 그 반동으로 상기 시소프레임을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Exercise apparatus for muscle strengthening of perineum and acupuncture point stimulation}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인체의 장강혈과 회양혈 및 경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와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의 발달로 현대 사회인들 대다수가 운동부족 상태에 있고,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한 자세를 유지하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근육이 비활성화되고 신체대사가 저하되어 심장병, 당뇨병, 비만증 등의 각종 질병과 성인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근육은 수축운동으로 발달하지만 수축운동을 하지 않는 근육은 이완된 상태로 방치되어 처지고 늘어져서 퇴화된다.
예컨대, 양쪽 넓적다리 사이 회음부 근육과 괄약 근육 및 질 근육의 약화로 겪게 되는 남성의 전립선 비대증, 여성의 요실금, 방광염 같은 비뇨기과 질환과 그로 인한 성기능 장애는 사회활동을 방해하고, 당혹감, 불편감, 수치심 등으로 환자를 고립시켜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남성의 성기능 장애는 전립선 관련 질환자 대부분에서 동반되어 성욕감퇴, 조루증, 사정통, 발기부전 등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고 자신감 상실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한편, 회음부 주변의 근육(회음근)은 지방과 민무늬근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수축과 이완운동을 반복하여 단련하면 요실금, 발기부전 등의 치료효과는 물론 성기능을 강화하고 우울증과 조급함, 갱년기 증세, 편두통 및 만성적 변비 등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 항문이나 질 속에다가 콘 형태의 기구를 삽입하고 압박, 온열 및 진동 등의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여 괄약근과 회음근의 수축운동을 도와주는 이른바 삽입형 진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항문이나 질 속에 진동기구를 직접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한 데다 사용 시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물론 수치심과 불결함 및 불쾌감 등을 유발하여 사용이 꺼려질 수밖에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한편, 한의학에서 인체의 꼬리뼈 앞쪽 끝부분과 항문 사이에 위치하는 장강혈을 자극하거나 눌러주면 변비, 탈항, 설사, 치질 등의 치료는 물론 허리와 등이 쑤시고 아프거나 근육이 땅기는 것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으며, 또 꼬리뼈에서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회양혈을 자극하거나 눌러주면 항문 주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치질, 수족냉증, 혈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 본 발명자가 개발 및 선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동 기구는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 및 경락을 자극 및 지압하면서 회음부의 근육을 강화하여 탄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아울러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무릎견인벨트와 견인줄 및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의 양쪽 무릎 부위에 무릎견인벨트를 착용하듯이 감싼 상태로 견인줄을 당겨야 하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 시에는 착용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견인줄의 길이는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에 맞춰져 있어 키가 크거나 작은 사용자의 경우 그에 맞는 최적의 상태로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638017 B1(2016.07.04) KR 10-0416937 B1(2004.01.16) KR 10-1376989 B1(2014.03.17) KR 10-2014-0103694 A(2014.08.27) KR 10-1457443 B1(2014.10.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 및 경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하면서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하여 회음부와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인체의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회음부의 근육 및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인체의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도록 작용하는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인체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뒤쪽의 일정한 높이에 너클이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너클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 가능하면서 일정한 높이로 공중에 뜬 상태에 놓인 시소프레임, 상기 시소프레임의 가운데 부분 위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장착되고, 뒤쪽에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이 장치된 새들, 상기 시소프레임의 선단에 사용자가 상기 새들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한 발받침대, 상기 새들 앞쪽의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새들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잡고 당길 때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가 상기 지압봉에 의해 눌러지도록 하는 핸들, 상기 새들 뒤쪽의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새들에 앉을 때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앞뒤 부분 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시소프레임이 상기 핀을 중심으로 하여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하고 그 반동으로 상기 시소프레임을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인체의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인체의 피부나 근육에 나타나는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도록 작용하는 압력과 하중을 최대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음부 근육을 강화시키고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새들은, 상기 지압봉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지압봉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 위의 상기 지압봉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산, 상기 시소프레임에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시트, 상기 시트의 뒤쪽에 상기 지압봉의 상부가 관통하여 튀어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구멍,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안쪽 둘레에 상기 헤드의 바깥쪽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헤드홀이 형성된 가이드,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동기어 및 상기 가이드에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압봉의 수나사산과 나사짝을 이루도록 원통의 안쪽 둘레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피동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할 사람의 신체 특성이나 사이즈 또는 임의의 선택에 따라 지압봉의 높낮이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 가능하여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는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회음부의 근육 및 괄약근의 강화는 물론 성기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등받이부는, 상기 시소프레임 위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고정된 백프레임, 상기 백프레임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나사구멍과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선단이 상기 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백프레임에 접촉되어 상기 백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손잡이볼트 및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등을 지지해주는 백레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백레스트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소프레임이 핀을 중심으로 시소를 타듯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지압봉이 인체의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을 최대의 압력과 하중으로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손으로 핸들을 잡고 당기는 작용을 통해 근력 강화 운동 및 회음부 근육 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상관없이 신체 조건에 맞게 또는 선택에 따라 지압봉의 높낮이를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자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범용성을 높임은 물론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력(근육)을 강화하여 탄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새들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새들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중 댐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지지프레임(10), 시소프레임(20), 새들(30), 발받침대(40), 핸들(50), 등받이부(60) 및 댐퍼(7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프레임(10)은 시소프레임(20)을 지면(바닥)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떠받쳐주고 전후좌우로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고 연결 및 조립하여 전후로 긴 골격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 뒤쪽의 일정한 높이에는 시소프레임(20)과 핀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너클(1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의 양쪽에는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다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소프레임(20)은 새들(30), 발받침대(40), 핸들(50), 등받이부(60)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고 연결 및 조립하여 전후로 긴 골격을 이루는 형태로 지지프레임(10)의 위쪽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시소프레임(20)은 일정한 높이로 공중에 뜬 상태에서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0)의 너클(11)과 핀(21)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새들(30)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소프레임(20)의 가운데 부분 위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새들(30)의 뒤쪽에는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31)이 그 상측으로 돌출되게 장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봉(31)의 하단에는 지압봉(3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다각형 모양의 헤드(3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헤드(31a) 위쪽의 지압봉(31)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나사산(31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압봉(31)은 사용자의 회음근과 괄약근에 물리적 자극을 주고, 그 주위의 경락을 문지르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할 사람의 꼬리뼈나 회음부를 반복적으로 자극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새들(30)의 뒤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압봉(31)은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압 및 자극하기 위해 시트(32)의 관통구멍(32a)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볼록하면서도 뾰쪽하게 솟아오른 마치 산봉우리 같은 인체공학적인 형태 또는 끝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새들(30)은 시소프레임(20)에 사용할 사람이 미끄러지지 않게 앉을 수 있도록 시트(3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시트(32)의 뒤쪽에는 지압봉(31)의 상부가 관통하여 튀어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구멍(32a)이 뚫려 있다.
또한, 시트(32)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몸의 균형을 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브래킷(33)에 의해 시소프레임(20) 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3)에는 지압봉(31)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34)가 고정되어 있고, 그 가이드(34)의 안쪽 둘레에는 지압봉(31)의 헤드(31a)가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헤드(31a)의 바깥쪽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홀(3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33)에는 손가락으로 돌릴 때 헛돌거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톱니를 갖는 원동기어(3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원동기어(35)의 회전축(35b)이 브래킷(33)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그 회전축(35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원동기어(35)는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매끄럽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해주는 미끄럼 베어링(35a)을 갖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34)에는 원동기어(35)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원통형의 피동기어(36)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피동기어(36)의 안쪽 둘레에는 지압봉(31)의 수나사산(31b)과 나사짝을 이루는 암나사산(36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압봉(31)은 피동기어(36)의 회전에 따른 반작용으로 승강하도록 서로 나사 체결된 채로 시트(32)의 관통구멍(32a)과 가이드(34)의 헤드홀(34a) 내에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어 있다.
발받침대(40)는 사용자가 새들(30)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려 밀착시킬 수 있도록 시소프레임(2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즉, 발받침대(40)는 사용자가 시트(32)에 앉은 상태에서 양쪽 발바닥이 밀착되게 얹을 수 있도록 시소프레임(20)의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진 앞쪽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발받침대(40)는 표면에 발바닥을 지압 및 자극 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가 무수히 배열된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발받침대(40)는 사용할 사람의 신체 사이즈나 체형에 따라 시소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50)은 사용자가 시트(32)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새들(30) 앞쪽의 시소프레임(20) 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50)의 양쪽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면서 당김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핸들(50)은 사용자가 상기 새들(30)에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양손으로 잡고 당길 때 시소프레임(20)이 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점을 이루는 꼬리뼈 부위가 지압봉(31)에 의해 자연스레 가압 및 압박되어 자극을 받도록 유도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 적은 힘으로 큰 힘을 내도록 작용한다.
등받이부(60)는 사용자가 새들(30)에 앉을 때 등 부위를 받쳐 주어 뒤로 편안하게 기대거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새들(30) 뒤쪽의 시소프레임(20) 위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부(60)는 사용할 사람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등받이부(60)는 백프레임(61), 슬라이더(63), 조절볼트(65) 및 백레스트(66)를 포함하고 있다.
백프레임(61)은 시소프레임(20) 후단 위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고정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체크홀(6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백프레임(61)은 슬라이더(63)가 회전됨 없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백레스트(66)를 받쳐주고 시소프레임(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도록 단면의 모양이 사각형인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3)는 백프레임(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에는 조절볼트(65)와 나사 체결을 위해 표면으로부터 내면까지 통하는 나사구멍(64)이 뚫려 있다.
조절볼트(65)는 슬라이더(63)의 나사구멍(64)과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그 나사구멍(64)을 통해 선단이 백프레임(61)의 표면에 접촉되어 백프레임(61)에 대하여 슬라이더(6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조절볼트(65)는 조임 시 나사구멍(64)을 통해 백프레임(61)의 체크홀(62)들 중 원하는 지점의 체크홀(62)에 끼워져 백프레임(61)에 대하여 백레스트(66)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슬라이더(63)의 나사구멍(64)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볼트(65)는 회전 조작이 간편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머리 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볼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레스트(66)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주기 위해 슬라이더(63)에 고정되어 있다.
댐퍼(70)는 시소프레임(20)이 핀(21)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탄성패드(73)와 스프링(74)의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하고 그 반동현상(반발현상)으로 시소프레임(20)을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0)의 앞뒤 부분 위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70)는 실린더(71), 플런저(72), 탄성패드(73) 및 스프링(74)을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71)는 플런저(72)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하고, 스프링(74)을 내장하여 보호하기 위해 원통형 용기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지지프레임(10) 위에 고정되어 있다.
플런저(72)는 시소프레임(20)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에 의해 실린더(71) 속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72)의 하단에는 스프링(74)의 상단 지지하기 위한 홀더(7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패드(73)는 시소프레임(20)이 핀(21)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성 완충재로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72)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74)은 시소프레임(20)이 핀(21)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완화하고 시소프레임(20)과 탄성패드(73) 간의 접촉 간섭을 해제 시 실린더(71)에 대하여 플런저(72)가 미리 정해진 높이로 자동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스프링(74)은 미리 정해진 탄성에 의해 플런저(72)를 탄력적으로 밀어주어 탄성패드(73)가 시소프레임(20)의 하면(바깥쪽 둘레)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시소프레임(20)의 시소를 타듯 하는 운동 시 플런저(72)로 전달되는 외력에 대해 압축 및 인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74)은 시소프레임(20)의 오르락내리락하는 운동 시 탄성패드(73)를 통해 플런저(72)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탄성패드(73)는 시소프레임(20)에 자동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74)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는 조력자나 트레이너 등의 도움 없이 사용자 스스로 꼬리뼈 부위에 위치하는 장강혈과 회양혈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자극 및 지압함과 동시에 자기 체중 저항 운동으로 회음부 근육을 수축시켜 회음근과 괄약근에 더욱 효과적으로 물리적 자극을 줄 수 있어 괄약근 및 골반근육을 강화함은 물론 조루증 예방 등의 성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꼬리뼈 부위를 지압봉(31)에 밀착시킨 상태로 시트(32)에 앉아서 양발을 발받침대(40)에 올리고 양손으로 핸들(50)을 잡고 강하게 당기면서 반동을 주면 시소프레임(20)이 제자리에서 핀(21)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하는 반복적인 상하운동하여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압봉(31)이 가압 및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압봉(31) 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는 누름 압력 및 누름 하중을 최대화하여 지압봉(31)이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에 위치하는 장강혈과 회양혈을 효과적으로 자극하고 지압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체중 저항 운동 작용으로 순간적인 압력이 회음부에 전달됨으로써 회음근 및 괄약근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댐퍼(70)의 반동 작용으로 시소프레임(20)을 자연스럽게 밀어올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엉덩이 근육에 긴장을 일으켜 골반근육과 근력 강화 및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지압봉(31)이 인체의 중요한 반응점인 장강혈과 회양혈을 최대의 압력과 하중으로 자극 및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새들(30)에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인체의 무게중심점이 위치하는 꼬리뼈 및 회음 부위의 근육을 자기 체중 저항 운동으로 강하게 수축시켜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양손으로 핸들(50)을 잡고 힘주어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자연스럽게 팔을 당기는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피동기어(36)의 암나사산(36a)과 지압봉(31)의 수나사산(31b)이 나사 체결되어 있고, 또 지압봉(31)의 헤드(31a)가 가이드(24)의 헤드홀(34a) 속에 회전되지 않고 승강은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임의로 원동기어(35)를 조작하여 돌리면 이와 맞물린 피동기어(36)가 반대방향으로 정위치에서 회전하고, 이렇게 되면 피동기어(36)와 나사 체결되어 있는 지압봉(31)이 회전하지 않고 빗면의 원리에 의해 자연스레 시트(32)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구멍(32a)을 통해 승강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압봉(31)의 위치, 즉 높낮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한 후 원동기어(35)의 조작을 멈추면 피동기어(36)의 암나사산(36a)과 지압봉(31)의 수나사산(31b)이 조합되어 있어 지압봉(3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풀리지 않고 시트(32)의 위쪽으로 튀어나오게 승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할 사람의 신체 사이드 등을 정확히 반영해 지압봉(31)의 높낮이를 최적의 자세로 간편하고 자유로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범용성 및 실용성을 높임은 물론 장강혈과 회양혈을 자극 및 지압하고 회음부의 근력(근육)을 강화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11: 너클
20: 시소프레임 21: 핀
30: 새들 31: 지압봉
31a: 헤드 31b: 수나사산
32: 시트 32a: 관통구멍
33: 브래킷 34: 가이드
34a: 헤드홀 35: 원동기어
36: 피동기어 36a: 암나사산
40: 발받침대 50: 핸들
51: 손잡이 60: 등받이부
61: 백프레임 62: 체크홀
63: 슬라이더 64: 나사구멍
65: 조절볼트 66: 백레스트
70: 댐퍼 71: 실린더
72: 플런저 73: 탄성패드
74: 스프링

Claims (3)

  1. 일정한 높이의 너클(11)이 구비된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너클(11)과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 가능하면서 일정한 높이로 공중에 놓인 상태의 시소프레임(20);
    상기 시소프레임(20)의 가운데 부분 위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장착되고, 뒤쪽에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를 자극 및 지압하기 위한 지압봉(31)이 장치된 새들(30);
    상기 시소프레임(20)의 선단에 사용자가 상기 새들(30)에 앉은 상태로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한 발받침대(40);
    상기 새들(30) 앞쪽의 상기 시소프레임(20) 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상기 새들(30)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잡고 당길 때 사용자의 꼬리뼈 부위가 상기 지압봉(31)에 의해 눌러지도록 하는 핸들(50);
    상기 새들(10) 뒤쪽의 상기 시소프레임(20) 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새들(30)에 앉을 때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부(60); 및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앞뒤 부분 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시소프레임(20)이 상기 핀(21)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하고 그 반동으로 상기 시소프레임(20)을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댐퍼(70);
    를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30)은,
    상기 지압봉(31)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지압봉(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31a);
    상기 헤드(31a) 위쪽의 상기 지압봉(31)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산(31b);
    상기 시소프레임(20)에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앉을 수 있도록 구비한 시트(32);
    상기 시트(32)의 뒤쪽에 상기 지압봉(31)의 상부가 관통하여 튀어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구멍(32a);
    상기 시소프레임(20) 위에 상기 시트(32)를 고정하는 브래킷(33);
    상기 브래킷(33)에 상기 지압봉(31)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되고, 안쪽 둘레에 상기 헤드(31a)가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상기 헤드(31a)의 바깥쪽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헤드홀(34a)이 형성된 가이드(34);
    상기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동기어(35); 및
    상기 가이드(34)에 상기 원동기어(35)와 맞물려 돌아가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압봉(31)의 수나사산(31b)과 나사짝을 이루도록 원통의 안쪽 둘레에 암나사산(36a)이 형성된 피동기어(36);
    를 더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6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앉은 자세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시소프레임(20) 위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고정된 백프레임(61);
    상기 백프레임(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한쪽에 표면으로부터 내면까지 통하는 나사구멍(64)이 형성된 통형 슬라이더(63);
    상기 슬라이더(63)의 나사구멍(64)과 나사 체결에 따른 조임 시 상기 나사구멍(64)을 통해 상기 백프레임(61)에 접촉되어 상기 백프레임(61)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63)의 고정 위치를 유지시키는 조절볼트(65); 및
    상기 슬라이더(63)에 고정되어 등을 지지해주는 백레스트(66);
    를 더 포함하는,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KR1020220040520A 2022-03-31 2022-03-31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KR20230141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20A KR20230141218A (ko) 2022-03-31 2022-03-31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20A KR20230141218A (ko) 2022-03-31 2022-03-31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218A true KR20230141218A (ko) 2023-10-10

Family

ID=8829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520A KR20230141218A (ko) 2022-03-31 2022-03-31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21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37B1 (ko) 2002-11-18 2004-01-31 강병모 회음부 근력 증강장치 및 방법
KR101376989B1 (ko) 2012-11-29 2014-03-25 전성훈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KR20140103694A (ko) 2013-02-19 2014-08-27 주식회사 엠앤지파트너스 근전도를 이용한 골반저근육 강화운동 보조장치
KR101457443B1 (ko) 2013-07-15 2014-11-05 김원국 회음부 강화기구
KR101638017B1 (ko) 2015-07-03 2016-07-11 임교순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37B1 (ko) 2002-11-18 2004-01-31 강병모 회음부 근력 증강장치 및 방법
KR101376989B1 (ko) 2012-11-29 2014-03-25 전성훈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KR20140103694A (ko) 2013-02-19 2014-08-27 주식회사 엠앤지파트너스 근전도를 이용한 골반저근육 강화운동 보조장치
KR101457443B1 (ko) 2013-07-15 2014-11-05 김원국 회음부 강화기구
KR101638017B1 (ko) 2015-07-03 2016-07-11 임교순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057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CN108013609A (zh) 多功能健身桌椅
CN201316393Y (zh) 节能保健擂背椅
CN103610559A (zh) 伸弯腰腹养生椅
CN108618959B (zh) 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KR101376989B1 (ko) 복식호흡 및 괄약근 운동이 가능한 걸상형 의료기기
CN207694172U (zh) 一种等速上肢肌肉内收外展康复训练装置
CN206934294U (zh) 腹部按摩椅床装置
CN207101479U (zh) 一种使用及收纳便捷的按摩装置
CN206044926U (zh) 腰肌训练健康椅
KR20090081976A (ko) 의자 착탈용 마사지 등받이
KR20230141218A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CN209220928U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
KR101638017B1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KR102566226B1 (ko) 경혈자극 및 회음부 근력 강화용 운동 기구
CN214260536U (zh) 一种便携式多功能拉伸装置
KR20180113951A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WO2018095071A1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CN209612127U (zh) 一种供上体锻炼用体育装置
CN209220929U (zh) 保健按摩装置
CN2291839Y (zh) 多功能健身椅
CN108618960B (zh) 可穿戴式保健按摩装置及操作方法
KR101910086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CN109350917A (zh) 一种腰肌劳损康复多功能训练装置
CN218853424U (zh) 一种康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