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192B1 -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 Google Patents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192B1
KR102325192B1 KR1020210072306A KR20210072306A KR102325192B1 KR 102325192 B1 KR102325192 B1 KR 102325192B1 KR 1020210072306 A KR1020210072306 A KR 1020210072306A KR 20210072306 A KR20210072306 A KR 20210072306A KR 102325192 B1 KR102325192 B1 KR 102325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unit
massag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스트
Priority to KR102021007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엉덩이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마사지 구동체; 상기 본체 하측에서 상기 마사지 구동체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당겨서 상기 안착부와의 각도가 수직한 각도와 수평한 각도 내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작동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지면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샴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RECLINING SHAMPOO CHAIR WITH MASSAGE FUNCTION}
본 발명은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손님은 모발을 자르거나 염색 등을 하기 위해서 미용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미용사에 의해 손질 받게 되고, 손질 받은 후 에는 샴푸를 하기 위해 샴푸실로 이동하여서 샴푸를 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할 때에는 손님을 샴푸의자에 뉘인 상태에서 머리를 샴푸대에 위치시킨 후 샤워기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겨주게 된다. 이때 머리는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뒷목 부분이 샴푸대에 받쳐진 채 샴푸가 이루어진다.
샴푸대를 살펴보면 샴푸대와 샴푸의자가 설치된 결합형과, 샴푸대가 단독으로 설치되고 근접된 위치에 별도의 샴푸의자가 설치된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머리를 감겨주기 위해서는 손님이 샴푸의자에 앉아서 어쩔수 없이 뒷목을 샴푸대 쪽으로 젖힌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뒷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가 편한 자세가 아니기 때문에, 손님은 샴푸 서비스를 받는 동안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미용실에서 서비스 차원에서 머리를 감겨주는 동안 머리 마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미용실 종업원이 손님의 머리를 감겨줄 뿐만 아니라, 마사지를 해줌으로써 종업원의 노동력이 요구되고, 마사지 받는 시간만큼 손님이 미용실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손님은 총 미용 시간을 길게 인식하여 불만족도가 높아질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588호(2005.01.03)
본 발명은 샴푸대와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샴푸 서비스를 받기 위해 본체에 앉은 경우, 사용자가 앉아 있는 본체가 리클라이닝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뒤로 기울어져 샴푸대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샴푸 서비스를 받는 동안 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미용실에서 샴푸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마사지와 샴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엉덩이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마사지 구동체; 상기 본체 하측에서 상기 마사지 구동체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당겨서 상기 안착부와의 각도가 수직한 각도와 수평한 각도 내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작동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지면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샴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마사지 구동체와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는,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되고,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인출되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직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 및 마사지 구동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직에 가까운 둔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로 소정 길이 인입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후측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로의 인입이 중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사지 구동체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좌판부와 우판부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된 경우,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되는 안면 가림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면 가림막부는, 상기 좌판부 또는 상기 우판부의 후방부 상측에서 두 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 조절부;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승하강 조절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좌판부 및 상기 우판부 중 상기 승하강 조절부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수건 거치바;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수건 거치바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상기 수건 거치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가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거치바는,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 길이조절바; 상기 제1 길이조절바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제2 길이조절바; 및 상기 제2 길이조절바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제3 길이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상기 제1 길이조절바 각각에 고정되는 제1 고정바; 및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상기 제3 길이조절바 각각에 고정되는 제2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된 경우, 상기 수건 거치바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수직하게 회동되어,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조절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가 사용자의 얼굴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의 상측에 거치된 수건, 패브릭, 또는 방수천에 의해, 샴푸 시간동안 사용자의 얼굴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샴푸대와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샴푸 서비스를 받기 위해 본체에 앉은 경우, 사용자가 앉아 있는 본체가 리클라이닝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뒤로 기울어져 샴푸대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샴푸 서비스를 받는 동안 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용실에서 샴푸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마사지와 샴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의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의 우판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의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의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 및 세운 상태의 리클라이닝 작동부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구동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 마사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 마사지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에 안면 가림막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의 수전에 수전 각도 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따른 수전 각도 조절부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가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등받이부(11)를 눕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우판부(15)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등받이부(11)를 눕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등받이부(11)를 눕힌 상태 및 세운 상태의 리클라이닝 작동부(30)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는 본체(10), 프레임부(20), 리클라이닝 작동부(30), 마사지 구동체(40) 및 샴푸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미용실에서 샴푸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사용자가 앉아서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측에는 마사지 구동체(40)가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손님이 샴푸를 받는 동안, 마사지 구동체(40)를 통해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샴푸대(50)와 결합 또는 분리형으로 샴푸대(5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등받이부(11)가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샴푸대(50)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등받이부(11), 안착부(12), 하체부(13), 좌판부(14), 우판부(15) 및 커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11)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고 앉거나 누울 수 있다. 등받이부(11)에는 구동체 설치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1)의 중심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마사지 구동체(40)가 설치될 수 있는 구동체 설치공간(111)(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1)는 후술할 리클라이닝 작동부(30)에 의해 안착부(12)와 소정 각도 기울어지며 리클라이닝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1)와 안착부(12)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를 이루도록 등받이부(11)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고, 또는 앉아 있는 상태의 사용자 눕혀질 수 있도록 등받이부(11)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안착부(12)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할 수 있는 부분으로, 등받이부(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체부(13)는 손님이 하체를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체부(13)에는 다리 양쪽 각각을 삽입할 수 있는 다리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리 삽입부에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이 삽입되면 하체부(13)는 손님의 종아리와 발바닥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하체부(13) 내부에 마사지 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좌판부(14) 및 우판부(15)는 등받이부(11)와 안착부(12)와 하체부(13)의 좌우 양 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좌판부(14) 및 우판부(15)는 등받이부(11)와 안착부(12)의 양 측에서 사용자의 양 팔 부위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마사지하는 팔 마사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6)는 등받이부(11)와 안착부(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 및 엉덩이의 신체와 접척될 수 있다. 커버(16)는 등받이부(11) 및 안착부(12)의 전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커버(16)는 등받이부(11) 및 안착부(12)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6)에 의해 등받이부(11)에 형성된 구동체 설치공간(111)이 외부에서 가려질 수 있다. 커버(16)는 물에 강한 소재 또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20)는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본체(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10)가 안착되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20)에는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마사지 구동체(40)와 리클라이닝 작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기둥바(21), 제1단 수평바(22) 및 제2단 수평바(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바(21)는 본체(10)의 하측에서 4개의 지점에 지면과 수직하게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단 수평바(22)는 기둥바(2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4개의 제1단 수평바(22)가 4개의 기둥바(21)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기둥바(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단 수평바(23)는 기둥바(2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4개의 제2단 수평바(23)가 기둥바(21)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기둥바(21)를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부(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의 상측에는 본체(10)가 배치되어, 제1단 수평바(22)와 기둥바(21)에 의해 본체(10)가 지지될 수 있으며, 제1단 수평바(22)와 기둥바(21) 상부에는 마사지 구동체(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단 수평바(23) 또는 기둥바(21) 하부에는 리클라이닝 작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작동부(30)는 본체(10) 하측에서 마사지 구동체(40)의 양 측에 배치되어, 등받이부(11)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당겨서 안착부(12)와의 각도가 수직한 각도와 수평한 각도 내에서 등받이부(1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작동부(30)는 실린더부(31) 및 플런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31)는 하단이 프레임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린더부(31)의 하단은 프레임부(20)의 후방에 배치된 기둥바(21) 또는 제2단 수평바(2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31)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플런저부(32)는 실린더부(31)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등받이부(11)의 후측부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부(32)가 실린더부(31) 내부로 인입되면, 등받이부(11)의 후측부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평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부(32)가 실린더부(31) 외부로 인출되어 상승하게 되면, 등받이부(11)의 후측부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직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마사지 구동체(40)는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 구동체(40)는 본체(10)의 등받이부(11) 하측에서 프레임부(20)의 제1단 수평바(22) 및 기둥바(21)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다. 마사지 구동체(40)는 등받이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체 설치공간(111)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사지 구동체(40)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샴푸대(50)는 사용자의 머리카락 및 두피를 세척할 수 있도록, 개수대(51) 및 수전(52)을 포함할 수 있다. 샴푸대(50)는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리클라이닝 작동부(30)에 의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지면 사용자의 머리가 개수대(5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직에 가까운 둔각을 이루는 도 1 및 도 5a와 같은 상태의 본체(10)에 사용자가 착석한 후에, 플런저부(32)가 실린더부(31)로 소정 길이 인입되어, 등받이부(11)가 후측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도 2 및 도 5b와 같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50)에 위치될 수 있다.
플런저부(32)가 실린더부(31)로의 인입이 중단되면, 사용자가 샴푸 서비스를 받는 동안 마사지 구동체(40)가 작동되어 사용자에게 샴푸 서비스를 받는 동시에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구동체(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 마사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 마사지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사지 구동체(40)는 메인 브라켓(41), 메인 마사지부(42), 옥 마사지부(43), 발열부(44) 및 이동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브라켓(41)에는 메인 마사지부(42)와 옥 마사지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브라켓(41)은 구동체 삽입공간(200)에 위치되어, 이동부(45)와 고정되어, 이동부(45)에 의해 본체(10)의 가이드부(454)에 설치되어, 가이드부(45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메인 마사지부(42)는 제1 롤러(421), 제2 롤러(422), 제1 아암(423), 제2 아암(424), 암 연결부(425), 회전부(426) 및 동력부(4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는 손님의 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단단한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 각각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암(423)은 제1 롤러(421)와 연결되되, 제1 아암(423)에 연결된 제1 롤러(421)는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아암(424)은 제2 롤러(422)와 연결되되, 제2 아암(424)에 연결된 제2 롤러(422)는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암(423)과 제2 아암(424)은 소정의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아암(423)과 제2 아암(424)은 약 120도 이내의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 각각이 제1 아암(423)과 제2 아암(4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가 손님의 신체를 가압하며 회전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마사지 구동체(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는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마사지 구동체(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롤러(421)와 제2 롤러(422)는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암 연결부(425)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일 단이 제1 아암(423)과 제2 아암(424)이 연결된 부분에 연결되고 타 단은 회전부(426)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426)는 동력 전달부(4261), 제1 회전축(4262) 및 제2 회전축(4263)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261)는 제1 회전축(4262)과 제2 회전축(4263)에 의해 암 연결부(425)와 동력부(427)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축(4262)에 의해 암 연결부(42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축(4262)의 일 단이 동력 전달부(4261)에 연결되고, 제1 회전축(4262)의 타 단이 암 연결부(425)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263)에 의해 동력부(427)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축(4263)의 일 단은 동력부(427)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4263)의 타 단이 동력 전달부(4261)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261)는 제1 회전축(426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동력 전달부(4261)는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4261)가 회전하게 되면, 동력 전달부(4261)와 연결된 제2 회전축(4263)이 회동하게 된다. 제2 회전축(4263)이 회동하게 되면, 제2 회전축(4263)과 연결된 암 연결부(425)가 함께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암 연결부(425)에 고정된 제1 아암(423)과 제2 아암(424)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롤러(421) 및 제2 롤러(422)가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동력부(427)는 모터와 같은 동력을 제2 회전축(4263)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옥 마사지부(43)는 체결 브라켓(431),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및 센싱 옥롤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브라켓(431)에는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및 센싱 옥롤러(434)가 체결되며, 체결 브라켓(431)은 메인 브라켓(41)에 체결될 수 있다. 각 구성이 체결된 체결 브라켓(431)은 메인 브라켓(41)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브라켓(431)은 제1 고정부(4311), 제2 고정부(4312) 및 제3 고정부(4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311)와 제2 고정부(4312)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4311)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부(4312)는 전후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부(4313)는 제1 고정부(4311) 및 제2 고정부(4312) 각각에서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가 설치되는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를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제1 옥롤러(432)는 제1 고정부(4311)의 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옥롤러(432)는 제1 고정부(4311)의 전방에서 제3 고정부(43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옥롤러(432)는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옥롤러(432)는 내부가 비어있는 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옥롤러(433)는 제2 고정부(4312)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옥롤러(433)는 제2 고정부(4312)의 양 측에서 제3 고정부(43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옥롤러(433)는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옥 롤러(122)는 내부가 비어있는 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는 옥으로 이루어진 롤러 형상일 수 있다.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의 내부에는 발열부(44)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는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부(44) 또는 발열모듈(140)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에 의해 따뜻한 롤러의 상태로 마사지를 제공하여 피로 회복과 긴장감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센싱 옥롤러(434)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발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옥롤러(434)는 제1 고정부(431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옥롤러(434)는 제1 옥롤러(432) 및 제2 옥롤러(433)보다 작고 낮은 높이로 제1 고정부(4311)에 설치되어 손님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센싱 옥롤러(434)는 제1 옥롤러(432) 및 제2 옥롤러(433)와 동일하게 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싱 옥롤러(434)의 내측에는 제1 옥롤러(432) 및 제2 옥롤러(433)와 동일한 발열부(44)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부(44)에 전류가 공급되어 발열할 경우,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센싱 옥롤러(434)는 동일하게 발열된다. 이때, 센싱 옥롤러(434) 내부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가 센싱 옥롤러(434)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처럼,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센싱 옥롤러(434)가 동일하게 발열하기 때문에, 센싱 옥롤러(434)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제1 옥롤러(432)와 제2 옥롤러(433)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열부(44)는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센싱 옥롤러(434) 각각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센싱 옥롤러(434)를 가열할 수 있다.
발열부(44)는 열선 고정부(441), 열선(442), 세라믹(443), 커버(16)부(444) 및 체결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열선 고정부(441)는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열선(442)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열선 고정부(44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에 열선(442)이 나선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열선 고정부(441)는 열에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열선(442)은 전류를 전달받아 발열하는 선일 수 있다. 예컨대, 열선(442)에는 50볼트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열선(442)은 열선 고정부(441)에 고정되며 커버(16)부(444) 및 체결부(445)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세라믹(443)은 열선 고정부(441)와 열선(442)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443)은 열선(442)이 발산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고, 세라믹(443)의 열은 제1 옥롤러(432), 제2 옥롤러(433) 또는 센싱 옥롤러(434)로 전달될 수 있다.
커버(16)부(444)는 열선(442)의 단부가 관통하며 열선 고정부(441)와 세라믹(443)의 일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445)는 커버(16)부(444)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열선(442)의 단부가 관통하며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445)의 양 측에는 볼트(446)에 의해 제3 고정부(43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부(44)는 세라믹(443)과 열선(442)으로 이루어져, 옥으로 이루어진 롤러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동부(45)는 연결부(451) 및 레크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51)는 메인 브라켓(41)의 양 측 각각에 두 개씩 배치되되, 전 후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451)의 단부에는 레크부(452)가 설치될 수 있다.
레크부(452)는 피니언부(453)에 설치되어, 등받이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크부(452)와 피니언부(453)는 일반적인 랙 피니언 장치로써, 동력을 전달받아 레크부(452)가 피니언부(453)에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레크부(452)와 피니언부(453)는 등받이부(1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른 구조 및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가이드부(454)는 프레임부(20)(20)의 제1단 수평바(22)(22)에 설치되며 등받이부(11)의 구동체 설치공간(111)을 따라 형성되어, 마사지 구동체(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454)에는 피니언부(453)가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부(453)에 마사지 구동체(40)(10)의 레크부(452)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패널(6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패널(60)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패널(60)은 후술할 제어모듈(70)의 제어부(71)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제어부(71)로 전송하여 제어부(71)가 각 구성들을 신호에 따라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60)은 전원버튼(61), 안마종류선택버튼(62), 강도조절버튼(63), 시간설정버튼(64), 남/여설정버튼(65), 일시정지버튼(66), 수동/자동모드버튼(67), 하체부조절버튼(68) 및 리클라이닝버튼(69)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61)은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안마종류선택버튼(62)은 마사지 구동체(40)의 작동 방법이 다른 방법으로 복수개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사지 구동체(40)의 위치에 따라 강도가 증가되는 부분 등 다양한 마사지 작동 방법이 저장되어, 안마종류선택버튼(62)을 누름에 따라 다른 마사지 강도 및 방법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를 이용한 방식의 마사지 구동체(4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 내측 또는 하부에는 에어포켓 또는 주무르는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는 마사지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강도조절버튼(63)은 마사지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사지 구동체(40)가 사용자를 두드리거나 문지르는 강도를 약하게 하거나 강하게 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시간설정버튼(64)은 마사지 구동체(40)가 작동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설정버튼(64)을 1회 누름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복수회 누름에 따라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1회 누름에 마사지 시간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회를 누르면 10분으로 마사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최대 횟수가 5회라고 할 경우, 5회를 누르면 25분으로 마사지 시간이 설정되고, 6회를 누를 때에는 마사지가 종료되는 것일 수 있다.
남/여설정버튼(65)은 본체(10)에 앉은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설정할 수 있다. 남/여설정버튼(65)을 통해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누를 경우 마사지 강도가 다르게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남성의 마사지 강도가 더 강하게 작동될 수 있고 여성의 마사지 강도가 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로 작동될 수 있다.
일시정지버튼(66)은 마사지 구동체(40)의 작동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1회 더 누르게되면 마사지가 다시 작동될 수 있다.
수동/자동모드버튼(67)은 마사지 모드를 수동으로 할지 자동으로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으로 할 경우, 기 설정된 마사지 모드들 중 선택되는 모드로 마사지 강도, 형태, 시간에 따라 마사지 구동체(40)가 작동되며, 수동으로 할 경우에는, 마사지 강도, 마사지 형태, 마사지 시간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하체부조절버튼(68)은 하체부(1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하체부(13)의 마사지가 작동되도록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체부(13)가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도록 상승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하체부(13)가 안착부(12)와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도록 하강 회전될 수도 있다.
리클라이닝버튼(69)은 리클라이닝 작동부(30)의 on/off를 제어하여, 리클라이닝 작동부(30)의 작동에 의해 등받이부(11)가 후방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누운 자세가 될 수 있도록 하거나, 등받이부(11)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승된 상태가 도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에 수건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1)는 안면 가림막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면 가림막부(80)는 좌판부(14) 또는 우판부(15)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면 가림막부(80)가 우판부(15)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안면 가림막부(80)는 리클라이닝 작동부(30)에 의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50)에 위치된 경우,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샴푸 서비스 시간에는 사용자의 얼굴로 물이나 샴푸 거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건을 사용자의 이마나 얼굴에 살짝 올려서 얼굴을 가린다. 안면 가림막부(80)는 리클리이닝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누운자세가 되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다.
안면 가림막부(80)는 승하강 조절부(81), 힌지부(82), 수건 거치바(83) 및 고정바(84)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조절부(81)는 우판부(15)의 후방부 상측에서 두 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승하강 조절부(81)는 높이실린더(811) 및 피스톤부(812)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실린더(811)는 우판부(15)의 후방부 상측에서 두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실린더(811) 내측으로 피스톤부(812)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피스톤부(812)은 높이실린더(8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이실린더(81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에는 소정 길이 우판부(15)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힌지부(82)는 승하강 조절부(81)와 수건 거치바(83)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82)는 승하강 조절부(81)와 수건 거치바(83)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수건 거치바(83)가 승하강 조절부(81)와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수건 거치바(83)는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승하강 조절부(81)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며, 우판부(15)에서 좌판부(14)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건 거치바(83)의 위치는 누워서 샴푸대(50)에 머리가 기대진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건 거치바(83)는 제1 길이조절바(831), 제2 길이조절바(832) 및 제3 길이조절바(8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조절바(831)는 힌지부(8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길이조절바(832)는 제1 길이조절바(831)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3 길이조절바(833)는 제2 길이조절바(832)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길이조절바(831)에 제2 길이조절바(832)가 인입되고 제2 길이조절바(832)에 제3 길이조절바(833)가 인입됨에 따라 수건 거치바(83)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제1 길이조절바(831)에서 제2 길이조절바(832)가 인출되고, 제2 길이조절바(832)에서 제3 길이조절바(833)가 인출됨에 따라 수건 거치바(83)의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고정바(84)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수건 거치바(83)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고정바(84)는 제1 고정바(841) 및 제2 고정바(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바(841)는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제1 길이조절바(831) 각각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고정바(842)는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제3 길이조절바(833)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승하강 조절부(81)의 작동, 제1 길이조절바(831)와 제2 길이조절바(832)와 제3 길이조절바(833)의 인입 또는 인출의 작동은 모터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안면 가림막부(8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12a와 같이, 등받이부(11)가 전방을 바라보는 상태로써 사용자가 앉아 있는 자세인 경우, 수건 거치바(83)는 제1 길이조절바(831) 내부로 제2 길이조절바(832)가 인입되고 제2 길이조절바(832) 내측으로 제3 길이조절바(833)가 인입된 상태이며, 이러한 수건 거치바(83)는 힌지부(82)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승하강 조절부(8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접철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리클라이닝 작동부(30)에 의해 등받이부(11)가 안착부(12)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50)에 위치된 경우, 도 12b와 같이, 수건 거치바(83)는 힌지부(82)를 기준으로 승하강 조절부(81)와 수직하게 회동되고, 도 12c와 같이, 제1 길이조절바(831)에서 제2 길이조절바(832)가 인출되고, 제2 길이조절바(832)에서 제3 길이조절바(833)가 인출되어,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2d와 같이, 승하강 조절부(81)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어, 수건 거치바(83)가 사용자의 얼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수건 거치바(83)와 고정바(84)의 상측에 거치된 수건, 패브릭, 또는 방수천에 의해, 샴푸 시간동안 사용자의 얼굴에 물 또는 거품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샴푸대(50)의 수전(52)에 수전 조절부(9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수전 조절부(90)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수전 조절부(90)는 수전(52)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수전 조절부(90)는 제1 하우징(91) 및 제2 하우징(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91)은 수전(52)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볼 형상의 회전볼(9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92)은 제1 하우징(91)의 하측에서 수전(52)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상기 회전볼(911)이 삽입될 수 있는 오목홈(9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볼(911)이 오목홈(921)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제1 하우징(91)과 제2 하우징(92)이 감싸도 있는 부분의 수전(52)의 각도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볼(911)은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샴푸대(50)에 눕는 사람이 성인인지 어린이인지 등 사용자의 얼굴 등 신체 조건에 따라 수전(52)이 향하는 각도가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전 조절부(90)는 제1 각도조절부(90a), 제2 각도조절부(90b), 제3 각도조절부(90c) 및 제4 각도조절부(90d)가 수전(52)의 길이를 따라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도 14a와 같이, 샴푸대(50)에 누운 사람이 성인 남성인 경우, 제1 각도조절부(90a) 및 제2 각도조절부(90b)는 수전(52)이 후방을 향하도록 수전(5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각도조절부(90c) 및 제4 각도조절부(90d)에서 수전(52)이 전방의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샴푸대(50)에 누운 사람이 개수대(51)의 후방까지 머리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수전 조절부(90)를 통해 수전(52)을 후방으로 소정 각도 벤딩시켜 수전(52)에서 공급되는 물줄기가 사용자의 얼굴이 아니라 머리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b와 같이, 샴푸대(50)에 누운 사람이 어린이인 경우, 제1 각도조절부(90a), 제2 각도조절부(90b), 제3 각도조절부(90c) 및 제4 각도조절부(90d)에서 수전(52)이 전방의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11)가 하부몸체(112)와 상부몸체(113)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1)는 하부몸체(112)와 상부몸체(113)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112)의 상부에는 가이드홈(1121)이 형성되고, 상부몸체(113)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1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31)가 가이드홈(11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부몸체(113)가 하부몸체(11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길이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에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안착된 상태에서, 등받이부(11)가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누운 자세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10)에서 가만히 앉아있는 자세에서 누운자세로 자세만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가 샴푸대(50) 위로 올라오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어린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가 본체(10)보다 작은 경우에는 등받이부(1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어린이 사용자의 머리가 샴푸대(50)에 닿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몸체(113)가 하부몸체(112)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어린이 사용자의 머리가 샴푸대(50)와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몸체(113)의 후방부의 길이가 하부몸체(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부몸체(113)가 이동되더라도 샴푸대(50)로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7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모듈(70)은 제어부(71), 데이터부(72), 물 온도 맞춤부(73), 신체 조건 감지부(74), 수전 각도 조절부(75) 및 베드 조절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70)은 제어부(71), 데이터부(72), 물 온도 맞춤부(73), 신체 조건 감지부(74) 및 수전 각도 조절부(75) 및 베드 조절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는 각 구성들과 연결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부(72)에는 안마종류선택버튼(62), 강도조절버튼(63), 시간설정버튼(64), 남/여설정버튼(65)에 대응되는 마사지 구동체(40)의 작동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부(72)에는 시술에 따른 물 온도 정보 또는 나이에 따른 물 온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파마나 염색 또는 커트의 시술에 따라 샴푸 물 온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파마의 경우에는 너무 따뜻한 물로 샴푸할 경우 파마가 풀릴 수 있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로 샴푸를 해야 한다. 이처럼, 시술에 따른 적정 물 온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물 온도 맞춤부(73)는 수전(52)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의 온도 조절부와 연결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패널을 통해 시술자로부터 사용자의 시술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리클라이닝 작동부(30)가 작동되어 등받이부(1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동안, 물 온도 맞춤부(73)는 시술 정보에 맞는 물 온도 정보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신체 조건 감지부(74)는 등받이부(11) 또는 등받이부(11)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16)에 설치되는 센서일 수 있다. 일 예로, 신체 조건 감지부(74)는 등받이부(11)에 사용자가 등을 기댔을 때, 양쪽 어깨의 너비와, 머리가 끝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등받이부(11)에 사용자가 기대어, 등받이부(11)에 가해지는 압력과 압력이 끝나는 지점 등을 감지함에 따라 양쪽 어깨의 너비를 판단할 수 있으며, 머리가 끝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수전 각도 조절부(75)는 신체 조건 감지부(74)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수전 조절부(90)를 제어하여 수전(5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신체 조건 감지부(74)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 성인 남성, 성인 여성, 어린이 중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면, 이에 따라 수전 각도 조절부(75)는 도 14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전 조절부(90)를 조절할 수 있다.
베드 조절부(76)는 신체 조건 감지부(74)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도 15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시술 종류에 따라 데이터부(72)에 저장되어 있는 물 온도 정보를 조절하고, 신체 조건 감지부(74)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수전(52) 각도나 상부 본체(10)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10: 본체 11: 등받이부
111: 구동체 설치공간 112: 하부몸체
1121: 가이드홈 113: 상부몸체
1131: 가이드돌기 12: 안착부
13: 하체부 14: 좌판부
15: 우판부 16: 커버
20: 프레임부 21: 기둥바
22: 제1단 수평바 23: 제2단 수평바
30: 리클라이닝 작동부 31: 실린더부
32: 플런저부 40: 마사지 구동체
41: 메인 브라켓 42: 메인 마사지부
421: 제1 롤러 422: 제2 롤러
423: 제1 아암 424: 제2 아암
425: 암 연결부 426: 회전부
4261: 동력 전달부 4262: 제1 회전축
4263: 제2 회전축 427: 동력부
43: 옥 마사지부 431: 체결 브라켓
4311: 제1 고정부 4312: 제2 고정부
4313: 제3 고정부 432: 제1 옥롤러
433: 제2 옥롤러 434: 센싱 옥롤러
44: 발열부 441: 열선 고정부
442: 열선 443: 세라믹
444: 커버부 445: 체결부
446: 볼트 45: 이동부
451: 연결바 452: 레크부
453: 피니언부 454: 가이드부
50: 샴푸대 51: 개수대
52: 수전 60: 사용자패널
600: 디스플레이부 61: 전원버튼
62: 안마종류선택버튼 63: 강도조절버튼
64: 시간설정버튼 65: 남/여설정버튼
66: 일시정지버튼 67: 수동/자동모드버튼
68: 하체부조절버튼 69: 리클라이닝버튼
70: 제어모듈 71: 제어부
72: 데이터부 73: 물 온도 맞춤부
74: 신체 조건 감지부 75: 수전 각도 조절부
76: 베드 조절부 80: 안면 가림막부
81: 승하강 조절부 811: 높이실린더
812: 피스톤부 82: 힌지부
83: 수건 거치바 831: 제1 길이조절바
832: 제2 길이조절바 833: 제3 길이조절바
84: 고정바 841: 제1 고정바
842: 제2 고정바 90: 수전 조절부
91: 제1 하우징 911: 회전볼
92: 제2 하우징 921: 오목홈

Claims (4)

  1.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와, 엉덩이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마사지하는 마사지 구동체;
    상기 본체 하측에서 상기 마사지 구동체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당겨서 상기 안착부와의 각도가 수직한 각도와 수평한 각도 내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작동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지면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샴푸대;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마사지 구동체와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는,
    하단이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되고,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 외부로 인출되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등받이부의 후측부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직에 인접한 각도를 이루게 되되,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 및 마사지 구동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직에 가까운 둔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로 소정 길이 인입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등받이부가 후측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실린더부로의 인입이 중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사지 구동체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좌판부와 우판부의 후방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된 경우,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되는 안면 가림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면 가림막부는,
    상기 좌판부 또는 상기 우판부의 후방부 상측에서 두 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 조절부;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승하강 조절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좌판부 및 상기 우판부 중 상기 승하강 조절부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수건 거치바;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수건 거치바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바; 및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상기 수건 거치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가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회동되어 접철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거치바는,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제1 길이조절바;
    상기 제1 길이조절바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제2 길이조절바; 및
    상기 제2 길이조절바에서 소정 길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제3 길이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상기 제1 길이조절바 각각에 고정되는 제1 고정바; 및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양 측의 상기 제3 길이조절바 각각에 고정되는 제2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작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안착부와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샴푸대에 위치된 경우,
    상기 수건 거치바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 조절부와 수직하게 회동되어, 사용자의 얼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하강 조절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조절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가 사용자의 얼굴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바의 상측에 거치된 수건, 패브릭, 또는 방수천에 의해, 샴푸 시간동안 사용자의 얼굴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KR1020210072306A 2021-06-03 2021-06-03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KR10232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06A KR102325192B1 (ko) 2021-06-03 2021-06-03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306A KR102325192B1 (ko) 2021-06-03 2021-06-03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192B1 true KR102325192B1 (ko) 2021-11-11

Family

ID=7851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06A KR102325192B1 (ko) 2021-06-03 2021-06-03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2686A (zh) * 2022-02-25 2022-05-27 成都理工大学 一种自动洗头机
CN116858203A (zh) * 2023-09-04 2023-10-10 莱芜金诚土地估价有限责任公司 一种地籍测绘对中装置
KR102659266B1 (ko) 2024-01-19 2024-04-22 (주)미래로21 샴푸대가 구비된 마사지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88Y1 (ko) 2004-10-05 2005-01-14 손영기 전후방 이동 기능을 가지는 샴푸대
KR20120116536A (ko) * 2011-04-13 2012-10-23 장승열 안마기능을 갖춘 샴푸용 의자
KR101436262B1 (ko) * 2013-09-06 2014-08-29 송형선 샴푸 전동의자
KR101629290B1 (ko) * 2014-12-01 2016-06-21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88Y1 (ko) 2004-10-05 2005-01-14 손영기 전후방 이동 기능을 가지는 샴푸대
KR20120116536A (ko) * 2011-04-13 2012-10-23 장승열 안마기능을 갖춘 샴푸용 의자
KR101436262B1 (ko) * 2013-09-06 2014-08-29 송형선 샴푸 전동의자
KR101629290B1 (ko) * 2014-12-01 2016-06-21 강동윤 샴푸 전동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2686A (zh) * 2022-02-25 2022-05-27 成都理工大学 一种自动洗头机
CN114532686B (zh) * 2022-02-25 2023-10-24 成都理工大学 一种自动洗头机
CN116858203A (zh) * 2023-09-04 2023-10-10 莱芜金诚土地估价有限责任公司 一种地籍测绘对中装置
CN116858203B (zh) * 2023-09-04 2023-11-07 莱芜金诚土地估价有限责任公司 一种地籍测绘对中装置
KR102659266B1 (ko) 2024-01-19 2024-04-22 (주)미래로21 샴푸대가 구비된 마사지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192B1 (ko)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샴푸 의자
US20190208911A1 (en) Rocking chair massager
US20080161736A1 (en) Massage device of chair type
KR20120116536A (ko) 안마기능을 갖춘 샴푸용 의자
WO2015019509A1 (ja) マッサージ機
JP4226283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215409B1 (ko)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미용실 의자
KR102540968B1 (ko) 두피 마사지 안마의자 및 그 방법
JP200213656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2325193B1 (ko) 샴푸 의자 및 헤어시술 및 샴푸가 가능한 샴푸 의자 시스템
US7353620B1 (en) Hair drying device
KR101604842B1 (ko) 온열 진동 마사지기
KR102381919B1 (ko) 마사지 베드
JP3391735B2 (ja) マッサージ機用の背受けクッション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3210374U (ja) マッサージ機
KR100758639B1 (ko) 틸팅 좌판 및 상기 틸팅 좌판이 구비되는 의자
KR102076218B1 (ko) 안마의자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KR20060128702A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JP4015443B2 (ja) マッサージ機
KR20210021208A (ko) 안마장치
US2776496A (en) Chair with drier
JP3973400B2 (ja) 洗髪装置
KR102659266B1 (ko) 샴푸대가 구비된 마사지 의자
US20220256992A1 (en) Automatic shampoo bowl and chair
JPH10263031A (ja) ヒータ付マッサージ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