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36B1 -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36B1
KR102324836B1 KR1020210003387A KR20210003387A KR102324836B1 KR 102324836 B1 KR102324836 B1 KR 102324836B1 KR 1020210003387 A KR1020210003387 A KR 1020210003387A KR 20210003387 A KR20210003387 A KR 20210003387A KR 102324836 B1 KR102324836 B1 KR 10232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coupling piece
inclination
piece
distribu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덕
Original Assignee
한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덕 filed Critical 한기덕
Priority to KR102021000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3Bases or fe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5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retractable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에 의하여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을 포함하는 전방향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 및 감쇄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감지센서를 통하여 배전반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전력기기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배전반의 변형,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배전반의 하부와 지면을 연결하되, 배전반의 하부면 양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충격 보상장치; 배전반의 양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배전반에 기울어짐이 발생되면, 충격 보상장치를 구동시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Distributing Board having Om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충격을 흡수하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시켜 배전반을 보호하고, 큰 충격으로 인해 배전반이 기울어질 경우,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배전반의 변형,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 설비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受配電)할 경우,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배전반은 차단기나,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 기기와 지지 구조물과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기 위한 전선의 집합체로 구성되고, 이러한 각종 전기 기기들을 배번반에 안전하게 절연하여 수납된 제품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개방형 배전반과 폐쇄형 배전반으로 분류되며, 개방형 배전반은 장비를 철제 프레임에 장착하는 구성이고, 폐쇄형 배전반은 장비를 박스 형태의 함체 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안정성이 높고, 공장에서 조립한 뒤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이 높다는 점에서 최근 들어 폐쇄형 배전반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배전반은 지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진 등의 지각 변동 또는 폭발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배전반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기 기기들이 파손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배전반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전력 장애 등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누전 등으로 인해 감전사고가 발생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도 내부 전기 기기가 파손되지 않고, 배전반이 넘어지는 것을 막아 누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7891호에,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내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주기를 크게 하여 지진력을 감소 및 소멸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구조상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에는 효과가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내진 성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81419호에,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이 개시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지진파와 같은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수평 충격파를 감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이 또한 수평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으나,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는 내진 성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배전반의 경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이 배전반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 등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기 때문에 전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할 수 있는 배전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54686호에, "전자력 지지대와 무방향 탄성 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이 개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충하거나,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배전반이 흡수, 완충 및 감쇄할 수 없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배전반이 기울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전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46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49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에 의하여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을 포함하는 전방향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 및 감쇄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감지센서를 통하여 배전반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전력기기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배전반의 변형,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전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전반에 기울어짐 및 화재 등의 발생 시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에 보고하여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전반의 기울기를 단계별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울기값에 따라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배전반의 전도를 방지하고,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여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력기기들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지진 및 진동을 포함하는 외부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여 배전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한 외부 충격 시 차단기를 차단하여 외부 충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배전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배전반의 도어가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중요 시설에 설치 시 배전반을 관계자 외의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반의 하부와 지면을 연결하되, 배전반의 하부면 양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충격 보상장치; 배전반의 양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배전반에 기울어짐이 발생되면, 충격 보상장치를 구동시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충격 보상장치는 배전반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보상부재와, 보상부재를 내부에 갖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키는 완충부재, 및 보상부재와 완충부재를 내부에 갖는 주름관을 포함한다.
이때, 보상부재는 볼 형태로 형성되되, 배전반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회동홈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원형 바 형태의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완충부재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그 내부에 보상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완충부재와, 상부 완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 완충부재의 설치공간의 각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되, 수평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는 설치공간의 각 내측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는 설치공간 상에 설치되는 보상부재의 실린더부재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부 완충부재와 하부 완충부재 사이에 수직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수직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주름관은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상, 하단부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하부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감지값에 따라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를 통하여 배전반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전력 공급의 차단 또는/및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실행부와, 실행부를 통하여 실행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한편, 배전반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 전면에 보조도어가 더 구비되되, 보조도어는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고,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면, 보조도어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개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 및 감쇄하여 배전반을 보호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감지한 후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함으로써 배전반을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배전반의 전도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전력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배전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을 분산 및 완화하여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력기기들의 변형,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반을 관계자 외의 타인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배전반에 전달되는 것을 흡수 및 차단하여 배전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배전반에 발생되는 외부 충격에 대하여 동시 대처가 가능하고,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반 내부의 전력기기들을 보호하여 배전반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누전이 발생되거나, 누전에 의해 배전반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전 등을 포함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짐이 발생된 후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보조도어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설치된 보조도어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설치된 보조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기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라는 단어는 단수 및 복수를 지칭할 수 있는 용어로 정의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생략될 수도 있고, 그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충격 보상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짐이 발생된 후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구비되는 충격 보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보조도어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설치된 보조도어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에 설치된 보조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1)은 고압의 전력을 인가받아 변압기(미도시)에 의해 저압으로 변환한 후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 보상장치(100)와 감지센서(300, 3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격 보상장치(100)는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이 배전반(1)에 가해질 경우, 외부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시킴과 동시에 보다 큰 충격에 의해 배전반(1)이 기울어질 경우,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전반(1)의 하부와 지면을 연결하되, 상기 배전반(1)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전반(1)의 하부면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 보상장치(100)는 배전반(1)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보상부재(110)와 상기 보상부재(110)를 내부에 갖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충 및 감쇄시키는 완충부재(130), 및 상기 보상부재(110)와 완충부재(130)의 내부에 갖되,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관(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상부재(110)는 볼 형태의 회동부재(111)와 상기 회동부재(11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원형 바 형태의 가압부재(112), 및 상기 가압부재(112)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유압에 의해 가압부재(112)를 이동시키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부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부재(115)가 유압에 의해 가압부재(112)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115)가 가압부재(112)를 그 내,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보상부재(110)의 회동부재(111)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전반(1)의 하부면에는 반원 형태의 회동홈(3)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홈(3)은 상기 회동부재(111)가 이탈되지 않고 회동만 가능하도록 2/3 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115)의 하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되, 그 중심부에는 회전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115)는 유압에 의해 가압부재(112)를 실린더부재(115)의 내,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11)와 가압부재(112)의 연결부위에 판체로 형성되는 고정편(113)이 일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113)은 상기 보상부재(110)의 회동부재(111)가 배전반(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회동홈(3)에 결합 시 결합된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반(1)에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배전반(1)이 기울어질 경우, 절단 및 파손되어 보상부재(11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배전반(1)에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배전반(1)이 기울어질 경우, 고정편(113)이 파손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전반(1)의 하부에 연결된 보상부재(110)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편(113)에는 절개선 또는 절단선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및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 절개선(미도시) 또는 절단선(미도시)에 의해 보상부재(110)에서 고정편(113)이 절단 및 파손되어 분리되어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130)는 상부 완충부재(131) 및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완충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내부에 보상부재(11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32)의 각 내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탄성부재(140)가 구비되되, 상기 수평 탄성부재(140)의 일측 단부는 설치공간(132)의 각 내측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는 설치공간(132) 상에 설치되는 보상부재(110)의 실린더부재(115) 외주연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공간(132)의 각 내측면 상, 하부와 상기 실린더부재(115)의 외주연 상, 하부에 수평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어 있으나,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재(115)의 하부와 설치공간(132)의 바닥면에 경사 탄성부재(150)가 각각 더 구비되어 경사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설치공간(132) 바닥면 중심부에는 원 형태의 회전부재(132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32a)는 상기 보상부재(110)의 실린더부재(115)에 형성되는 회전홈(116)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115)에 형성되는 회전홈(116)은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회전부재(132a)가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116)은 상기 회전부재(132a)가 이탈되지 않고 회동만 가능하도록 2/3 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1)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설치공간(132)에 설치되되, 설치공간(132)의 각 내측면과 보상부재(110)의 실린더부재(115) 외측면에 연결설치된 수평 탄성부재(140)가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되, 상기 설치공간(132)의 바닥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회전부재(132a)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132a)에 회전홈(116)으로 결합된 실린더부재(115)가 이동 및 회전되면서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상부 결합편(133)이 하향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편(133)은 외부 결합편(133a)과 상기 외부 결합편(133a)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결합편(13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결합편(133b)과 외부 결합편(133a) 사이에 결합홈(133c)이 형성되되, 전체 단면 형상이 "┌┐" 형태로 하향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완충부재(136)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 결합편(137)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결합편(137)은 외부 결합편(137a)과 상기 외부 결합편(137a)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결합편(137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결합편(137b)과 외부 결합편(137a) 사이에 결합홈(137c)이 형성되되, 전체 단면 형상이 "└┘" 형태로 상향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편(133)과 상기 하부 완충부재(136)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편(137)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상부 결합편(133)과 하부 완충부재(136)의 하부 결합편(137) 사이에는 수직 탄성부재(16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탄성부재(160)의 상단부는 상부 완충부재(131)의 상부 결합편(133)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 결합편(133)의 내부 결합편(133b)과 외부 결합편(133a)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133c)에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 탄성부재(160)의 하단부는 하부 완충부재(136)의 하부 결합편(137)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 결합편(137)의 내부 결합편(137b)과 외부 결합편(137a)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137c)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와 하부 완충부재(136)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 탄성부재(16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재(160)에 의해 배전반(1)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여 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실린더부재(115)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지지홈(11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17) 내에 보조 탄성부재(1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탄성부재(170)의 상단부는 지지홈(117) 내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설치공간(132)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1)으로 수평방향, 수직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평 탄성부재(140) 및 수직 탄성부재(160)에 의해 전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주름관(190)은 상기 보상부재(110)와 완충부재(130)를 보호함과 동시에 배전반(1)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전반(1)에 가해지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되게 신축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190)의 상, 하단부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되, 체결부재(도번 미도시)에 의해 배전반(1)의 하부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상부재(110)와 완충부재(130)의 외측에 주름관(190)이 구비되어 있으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배전반(1)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 감지센서(300, 300')는 상기 배전반(1)의 양 측면 상부에 구비되되,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배전반(1)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센서(300, 300')는 기울기 감지센서 또는 거리 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1)의 양 측면 상부에 기울기 감지센서(Tilt Sensor)가 구비될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를 통해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전반(1)의 양 측면 상부에 거리 감지센서(Distance Sensing Sensor)가 구비될 경우, 상기 거리 감지센서를 통하여 배전반(1)의 양 측면 상부와 바닥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300, 300')는 컨트롤러(500)에 연결되되, 상기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을 컨트롤러(5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배전반(1)에 구비되는 감지센서(300, 300')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값을 전송받고, 전송된 감지값에 따라 배전반(1) 내의 차단기를 차단하거나,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0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 또는/및 중앙서버에 연결되어 관리자 또는/및 중앙서버에 배전반(1)의 이상 유/무에 따른 상태값을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 또는/및 중앙서버에서 배전반(1)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값이 요청될 경우, 배전반(1)의 상태값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는 입력부(510)와 판단부(520)와 실행부(530)와 통신부(540)와 저장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510)는 상기 감지센서(300, 300')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감지값이 입력된다.
상기 판단부(520)는 상기 입력부(510)를 통하여 입력된 감지값에 따라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부(520)는 상기 입력부(510)를 통하여 입력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기울어짐 설정값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비교하여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판단부(520)에는 비교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행부(530)는 상기 판단부(520)를 통하여 배전반(1)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및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실행부(530)는 판단부(520)를 통하여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거나, 기 설정된 설정값의 범위 내이거나, 기 설정된 설정값 미만일 경우, 차단기를 차단하거나, 상기 보상부재(110)의 실린더부재(115)를 구동시켜 상기 실린더부재(115)에 삽입결합된 가압부재(112)를 이동시켜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배전반(1)이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거나, 차단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기울어짐을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부(540)는 상기 실행부(530)를 통하여 실행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 또는/및 중앙서버에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54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 또는/및 중앙서버에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통신부(540)는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이더넷 통신(Ethernet Communication)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 등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여기서, 데이터는 배전반(1)의 감지센서(300, 300')에서 감지된 감지값, 즉 기울기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 및 기울어짐의 보상값 등 각종 상태값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전반(1)의 정보 데이터, 즉 배전반(1)의 식별번호, 위치 등을 포함하는 배전반(1)의 전반적인 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감지센서(300, 300')로부터 감지된 감지값, 외부 충격에 따른 배전반(1)의 기울어짐 및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 등의 측정값 및 실행값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550)는 롬 메모리(ROM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저장체 모듈로서, 컨트롤러(500)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500)에 디스플레이부(도번 미도시)가 더 구비되되, 배전반(1)의 전면에 구비되어 컨트롤러(5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전반(1)의 이상 유/무 및 정상작동 유/무, 기울어짐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00)에 전원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배전반(1) 전방 좌, 우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도어(5, 5')가 각각 구비되되, 각 도어(5, 5')는 별도의 키 조작에 의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잠금장치(도번 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1)은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5, 5')가 개방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관계자 외의 타인이 배전반(1)을 개방 및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 외부로부터 보다 안전한 상태로 운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1)은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5, 5')의 전면에 보조도어(700)가 더 구비되는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전반(1)이 개방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도어(700)는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1)의 전방 좌, 우측에 형성되는 도어(5, 5')의 전면 중심부에 설치되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전면 중심부에 별도의 보조잠금장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도어(700)의 상, 하부면 양 측에는 레일편(703)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도어(700)의 양 측면에는 안착홈(70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반(1)의 상, 하부 가장자리에 돌출부(6a, 6b)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플랜지 형태를 이루되, 도어(5, 5')의 전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돌출부(6a) 및 하부 돌출부(6b)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조도어(700)의 레일편(703)이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기 위한 레일홈(7a, 7b)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전반(1)의 양 측에는 "ㄷ"자 형태의 회전편(8)이 상호 대칭되게 각각 절곡형성되되, 상기 회전편(8)의 중심부에는 절곡홈(8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도어(700)를 배전반(1)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보조도어(700)가 배전반(1)의 양 측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도어(700)를 배전반(1)의 전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개방 시 회전편(8)의 절곡홈(8a)을 중심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전반(1)의 개방 시 상기 보조도어(700)의 보조잠금장치를 해제한 보조도어(700)를 배전반(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되, 상기 도어(5, 5')의 전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돌출부(6a) 및 하부 돌출부(6b)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형성되는 레일홈(7a, 7b)을 따라 보조도어(700)의 레일편(703)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레일편(703)이 레일홈(7a, 7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다가 배전반(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할 경우,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한 보조도어(700)가 회전편(8)의 절곡홈(8a)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되, 상기 보조도어(7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안착홈(705)에 의해 보조도어(700)의 회전 개방 시 배전반(1)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도어(7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안착홈(705)과 상기 배전반(1)의 양 측에 각각 절곡형성되는 회전편(8)의 절곡홈(8a)은 상호 대응되는 길이 및 크기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배전반(1)의 도어(5, 5') 전면에 구비되는 보조도어(7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회전하여 개방시킨 후 배전반(1)의 도어(5, 5')에 구비되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배전반(1)을 개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다 안전한 상태로 운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 돌출부(6a) 및 하부 돌출부(6b)에 홈(도번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한 보조도어(700)의 회전 시 상기 보조도어(700)의 상, 하부면 양 측에 돌출형성되는 레일편(703)이 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홈의 위치는 상기 배전반(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보조도어(700)의 각 레일편(703)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배전반(1)이 설치된 지면 상에 지진을 포함하는 진동 등으로 인해 배전반(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되, 수직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와 하부 완충부재(136)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 탄성부재(160)의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키고, 외부의 충격이 없어질 경우,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실제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 외에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을 포함하는 경사방향 등 불특정한 방향에서 배전반(1)으로 충격이 가해지고, 이때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와 보상부재(110)를 연결하는 수평 탄성부재(140)를 통해서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키고, 상기 상부 완충부재(131)의 바닥면과 보상부재(110)의 하부 외주연을 연결하는 경사 탄성부재(150) 또는/및 보조 탄성부재(170)를 통하여 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외부에서 배전반(1)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준 범위를 넘어 배전반(1)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전반(1)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감지센서(300, 300')는 기울기 또는 바닥면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컨트롤러(500)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500)는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 즉 기울기값이 기준 감지값, 즉 설정값의 범위 미만일 경우,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방향 또는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가압부재(112)를 유압에 의해 실린더부재(115) 내부로 당기거나, 또는 밀어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이 기준 감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배전반(1) 내의 차단기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방향 또는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가압부재(112)를 유압에 의해 실린더부재(115) 내부로 당기거나, 또는 밀어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한다.
만약, 상기 컨트롤러(500)는 감지센서(300, 30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이 기준 감지값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즉 상기 보상부재(110)를 통하여 보상할 수 있는 기울어짐을 벗어나, 배전반(1)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없을 정도의 기울기일 경우, 배전반(1) 내의 모든 전력 공급 및 차단기를 차단하여 전력기기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배전반의 변형,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 또는 중앙서버에 현재 상황을 보고 및 전송하여 보상부재(110)를 통하여 보상할 수 있는 기울어짐인 상황을 인지시키며, 이를 통해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전반(1)에 기울어짐이 발생되거나, 화재 등의 발생 시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에 현재 상황을 보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외부인에게 이를 인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알람음 또는 경고음 등을 발생시키거나, 경광등을 발광하여 외부인에게 이를 인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음성발생부(미도시) 및 발광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배전반, 3 : 회동홈,
5, 5' : 도어, 6a, 6b : 상, 하부 돌출부,
7a, 7b : 레일홈, 8 : 회전편,
8a : 절곡홈, 100 : 충격 보상장치,
110 : 보상부재, 111 : 회동부재,
112 : 가압부재, 113 : 고정편,
115 : 실린더부재, 116 : 회전홈,
117 : 지지홈, 130 : 완충부재,
131 : 상부 완충부재, 132 : 설치공간,
132a : 회전부재, 133 : 상부 결합편,
133a : 외부 결합편, 133b : 내부 결합편,
133c : 결합홈, 136 : 하부 완충부재,
137 : 하부 결합편, 137a : 외부 결합편,
137b : 내부 결합편, 137c : 결합홈,
140 : 수평 탄성부재, 150 : 경사 탄성부재,
160 : 수직 탄성부재, 170 : 보조 탄성부재,
190 : 주름관, 300, 300' : 감지센서,
500 : 컨트롤러, 510 : 입력부,
520 : 판단부, 530 : 실행부,
540 : 통신부, 550 : 저장부,
700 : 보조도어, 701 : 보조잠금장치,
703 : 레일편, 705 : 안착홈.

Claims (7)

  1. 배전반의 하부와 지면을 연결하되, 상기 배전반의 하부면 양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충격 보상장치;
    상기 배전반의 양 측면 상부에 구비되어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배전반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되, 기울기 감지센서 또는 거리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배전반에 기울어짐이 발생되면, 상기 충격 보상장치를 구동시켜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격 보상장치는,
    배전반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보상부재와, 상기 보상부재를 내부에 갖되,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시키는 완충부재, 및 상기 보상부재와 완충부재를 내부에 갖는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보상부재는,
    볼 형태로 형성되되, 배전반의 하부면에 2/3 원 형태로 형성되는 회동홈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원형 바 형태의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부 중심부에 2/3 원 형태의 회전홈이 형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와 가압부재의 연결부위에 판체로 형성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은 보상부재의 회동부재가 배전반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회동홈에 결합 시 결합된 수직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배전반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및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 절단 및 파손되어 보상부재가 회동되도록 분리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절개선 또는 절단선이 더 형성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 및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 절개선 또는 절단선에 의해 보상부재에서 고정편이 절단 및 파손되고, 상기 고정편이 분리된 보상부재가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형성되고, 그 내부에 보상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완충부재와, 상기 상부 완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완충부재의 설치공간의 각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수평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되, 상기 수평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는 설치공간의 각 내측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는 설치공간 상에 설치되는 보상부재의 실린더부재 외주연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완충부재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상부 결합편이 하향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 결합편은 외부 결합편과 상기 외부 결합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결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결합편과 외부 결합편 사이에 "┌┐" 형태의 결합홈이 하향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완충부재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하부 결합편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결합편은 외부 결합편과 상기 외부 결합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결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결합편과 외부 결합편 사이에 "└┘" 형태의 결합홈이 상향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완충부재의 상부 결합편과 하부 완충부재의 하부 결합편 사이에 수직 탄성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 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상부 결합편의 내부 결합편과 외부 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수직 탄성부재의 하단부는 하부 결합편의 내부 결합편과 외부 결합편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결합되어 수직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부와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경사 탄성부재가 각각 더 구비되어 경사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 내에 보조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상단부는 지지홈 내에 위치하고, 보조 탄성부재의 하단부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및 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되, 그 상, 하단부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배전반의 하부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감지값에 따라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판단하되, 입력된 감지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를 비교하여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를 통하여 배전반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전력 공급의 차단 또는/및 배전반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실행부와, 상기 실행부를 통하여 실행된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관리자에게 전송하되, 배전반의 이상 유/무에 따른 상태값을 전송하거나, 배전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값 요청이 있을 경우, 배전반의 상태값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 전면에 보조도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도어는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고, 그 전면 중심부에 보조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도어의 상, 하부면 양 측에는 레일편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조도어의 양 측면에는 보조도어의 회전 개방 시 배전반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전반의 상, 하부 가장자리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어의 전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보조도어의 레일편이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기 위한 레일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전반의 양 측에는 "ㄷ"자 형태의 회전편이 상호 대칭되게 각각 절곡형성되되, 상기 회전편의 중심부에는 절곡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도어를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되, 상기 도어의 전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 형성되는 각 레일홈을 따라 보조도어의 레일편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레일편이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다가 상기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면, 배전반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보조도어가 각 회전편의 절곡홈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개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20210003387A 2021-01-11 2021-01-11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232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87A KR102324836B1 (ko) 2021-01-11 2021-01-11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87A KR102324836B1 (ko) 2021-01-11 2021-01-11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836B1 true KR102324836B1 (ko) 2021-11-11

Family

ID=7851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87A KR102324836B1 (ko) 2021-01-11 2021-01-11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55B1 (ko) * 2022-02-10 2022-12-07 (주)엔지피 유압실린더를 갖는 수배전반 내진 장치
KR102513412B1 (ko) * 2022-08-30 2023-03-24 주식회사 금호테크닉스 내진 대비 면진 기능을 가진 태양광 패널 고정 어셈블리
KR102533028B1 (ko) * 2022-04-18 2023-05-16 정강욱 메타버스 기반의 학습자 경험 설계 시스템
KR102548383B1 (ko) * 2022-09-19 2023-06-28 (주)세풍전기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8Y1 (ko) * 2009-11-12 2010-07-01 한국산전(주) 접이식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KR101054686B1 (ko) 2011-04-04 2011-08-08 (주)서전기전 전자력 지지대와 무방향 탄성 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644920B1 (ko) 2016-02-19 2016-08-04 (주)신명전력산업 방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1759489B1 (ko) * 2016-11-30 2017-07-19 이덕화 지진 진동감지센서에 연계된 전력차단 시스템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12188B1 (ko) * 2017-09-21 2018-01-02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면진배전반용 댐핑모듈
KR2019000025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배전선용 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8Y1 (ko) * 2009-11-12 2010-07-01 한국산전(주) 접이식 도어가 구비되는 배전반
KR101054686B1 (ko) 2011-04-04 2011-08-08 (주)서전기전 전자력 지지대와 무방향 탄성 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644920B1 (ko) 2016-02-19 2016-08-04 (주)신명전력산업 방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1759489B1 (ko) * 2016-11-30 2017-07-19 이덕화 지진 진동감지센서에 연계된 전력차단 시스템을 갖는 수배전반
KR20190000251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진동 저감 장치를 구비한 배전선용 배전반
KR101812188B1 (ko) * 2017-09-21 2018-01-02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면진배전반용 댐핑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55B1 (ko) * 2022-02-10 2022-12-07 (주)엔지피 유압실린더를 갖는 수배전반 내진 장치
KR102533028B1 (ko) * 2022-04-18 2023-05-16 정강욱 메타버스 기반의 학습자 경험 설계 시스템
KR102539911B1 (ko) * 2022-04-18 2023-06-05 정강욱 메타버스 기반의 러닝 저니 설계 시스템
KR102513412B1 (ko) * 2022-08-30 2023-03-24 주식회사 금호테크닉스 내진 대비 면진 기능을 가진 태양광 패널 고정 어셈블리
KR102548383B1 (ko) * 2022-09-19 2023-06-28 (주)세풍전기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836B1 (ko)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151579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765535B1 (ko)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51578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19639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102155107B1 (ko)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309867B1 (ko) 내진 완충 장치와 코일 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812119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1181430B1 (ko) 분전반
KR102234715B1 (ko) 스마트 내진 감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KR101505629B1 (ko)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기기 설치용 가대
KR102176889B1 (ko) 디지털 통신방식 에너지 감응 패시브(passive) 센서를 적용한 이상 상태 감시 내진형 배전반 시스템
KR102150475B1 (ko) 내진장치에 내진변위감지센서가 구비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590440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센싱 장치
KR102472486B1 (ko)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341152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152112B1 (ko) 내진기능이 구비된 전기 보호장치
KR102292234B1 (ko) 외함 와이어 고정형 내진장치
KR20140066316A (ko)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2234397B1 (ko) 스마트 내진 감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KR102332546B1 (ko) 함체의 진동감쇠장치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201228B1 (ko) 충격 완화장치를 구비한 내진분전반
CN213845975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户外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