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383B1 -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 Google Patents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383B1
KR102548383B1 KR1020220117822A KR20220117822A KR102548383B1 KR 102548383 B1 KR102548383 B1 KR 102548383B1 KR 1020220117822 A KR1020220117822 A KR 1020220117822A KR 20220117822 A KR20220117822 A KR 20220117822A KR 102548383 B1 KR102548383 B1 KR 10254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rizontal state
horizontal
switchboar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세풍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풍전기 filed Critical (주)세풍전기
Priority to KR102022011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배전반이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에 배전반이 안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상부베이스;지면에 하면이 결합되는 하부베이스; 면진베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배전반이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 상부가 상부베이스 내측에 수용되고, 하면이 하부베이스에 고정되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서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감지센서; 및 수평상태 정상범위 설정 및 실시간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Switchgear base for seismic isolation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that can check the horizontal state through LED}
본 발명은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배전반이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설비로 생산된 전기를 수요자에게 보내주는 전기설비에 관련된 전기기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용 판넬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할 때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배전반은 구체적으로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과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종전기 설비 계통으로 배전,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스 바, 기중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계전기 등의 배전기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함은 배전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면서도 제작비가 적게 들고 내부와 외부의 외관도 수려하여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배전반은 내부에 다수의 배전기기들이 수납되므로 내부에 많은 접점들이 있다. 이때, 지진과 같은 큰 진동이 있을 경우 접점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배전반이 설치된 건물이나 시설물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크고 작은 사고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은 이러한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면진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2427497호(2022.08.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가 상부베이스 내측에 수용되고, 하면이 하부베이스에 고정되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서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구비하고, 면진베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배전반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 지진 및 진동으로부터 배전반을 보호하고, 미믹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 수평정상범위 설정 및 실시간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는 상면에 배전반이 안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상부베이스; 지면에 하면이 결합되는 하부베이스; 배전반이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 상부가 상부베이스 내측에 수용되고, 하면이 하부베이스에 고정되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서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감지센서; 및 수평상태 정상범위 설정 및 실시간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면진베이스는 상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부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패널, 하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부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면에 코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패널, 하부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패널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코일형탄성부재, 상부패널의 상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상부스토퍼홀이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하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하부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조절장치는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볼트, 수평조절볼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고정너트, 고정노트와 용접을 포함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베이스와 결합될 수 잇는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진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지진,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배전반을 보호할 수 있으며, 수평상태 정상범위를 설정하여 실시간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수평상태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수평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배전반을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가 되도록 손쉽게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면진장치의 확대도,
도 5는 높이조절장치의 확대도,
도 6은 컨트롤러, 수평감지센서, 미믹, 관리자단말기, 모니터링단말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의 상부에 배전반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면진장치의 확대도, 도 5는 높이조절장치의 확대도, 도 6은 컨트롤러, 수평감지센서, 미믹, 관리자단말기, 모니터링단말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의 상부에 배전반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베이스(100), 하부베이스(200), 수평조절장치(300), 면진장치(400), 수평감지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베이스(100)는 상면에 배전반이 안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는 면진장치의 상부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베이스(200)는 지면 또는 건물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내측에 사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베이스(100)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베이스(20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베이스(100)의 폭은 하부베이스(200)의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베이스(200)의 상측 일부가 상부베이스(100)의 하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면진장치(300)는 상부의 일부가 상부베이스 내측에 수용되고, 하면이 하부베이스에 고정되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서 진동에 대해 흡수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패널, 하부패널, 코일형탄성부재, 스프링소켓, 실린더, 고정핀, 롤링볼,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패널은 상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상부스토퍼 홈과 상부패널의 상하 움직임을 일정한 높이로 제한할 수 있는 상부스토퍼(42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패널의 상측에는 베이스접촉부(410)가 구비되어 있어, 베이스접촉부(410)와 상부베이스(100)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부베이스(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배전반에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부스토퍼(421)는 상부스토퍼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패널의 상하 움직임을 소정 높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의 하면에서 롤링볼과 접촉되는 수순에는 일정한 곡률로 오목하게 패어있는 미끄럼 곡면이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 곡면에는 접촉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하여 마찰재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패널은 하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하부스토퍼 홈과 하부패널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하부스토퍼(45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면에는 코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패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고정부에는 코일형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코일형탄성부재는 코일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베이스에 가해지는 압축하중에 저항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진동이 직접적으로 상부베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프링소켓은 내부에 코일형탄성부재가 내삽될 수 있고, 상부에 롤링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는 스프링소켓이 내삽될 수 있으며, 상부에 스프링소켓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은 스프링소켓과 실린더를 관통하며, 스프링소켓이 실린더 내부에서 일정한 범위 내로 승강운동 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롤링볼(430)은 스프링소켓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롤링볼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케이스(440)는 상부패널의 상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상부스토퍼홀이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하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하부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스토퍼홀은 상부스토퍼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패널이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하부스토퍼홀은 하부스토퍼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패널이 상하운동을 할 수 없게 고정시켜준다.
수평감지센서(500)는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감지센서(500)에서 감지된 수평상태는 컨트롤러(6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600)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어 실시간 X축, Y축 수평상태를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고, 수평상태 정상범위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600)는 미믹(700), 관리자단말기(800), 모니터링단말기(9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미믹(700)은 컨트롤러(6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6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수평상태를 포함한 면진베이스의 위치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하여 구현된 것으로 상부베이스의 외부 전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수평감지센서(500)에서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난것이 감지되는 경우, 컨트롤러(600)가 발광신호를 미믹에 전달하고,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점등하여 관리자가 미믹(700)을 보고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났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점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정상범위인 경우에는 미믹(70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는 소등되어 있으며,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점등되어 이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수평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정상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조절장치(300)는 배전반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의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평조절볼트(310), 고정너트(320),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조절볼트(310)는 상부베이스(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평조절볼트(310)를 조였을때에는 상부베이스(100)가 하강하고, 수평조절볼트(310)를 풀었을때에는 상부베이스(100)가 상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베이스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베이스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베이스의 폭은 하부베이스의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베이스의 상측 일부가 상부베이스의 하측으로 인입될 수 있고,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사이에는 면진장치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면진장치 내부의 코일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베이스가 하부베이스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위치할 수 있다.
고정너트(320)는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과 용접을 포함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은 하부베이스(200)와 결합되어 있다.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은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폭이 하부베이스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베이스(20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너트(320)는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을 포함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의 고정너트(320)가 결합되는 지점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조절볼트(310)가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33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
수평조절볼트(310)를 조이게 되면, 수평조절볼트(310)와 고정너트(320)간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상부베이스(100)의 상면에 수평조절볼트(310)의 힘이 가해져 상부베이스(100)가 수평조절볼트(310)와 고정너트(320)간의 거리가 줄어든만큼 하부베이스(200)가 상부베이스로 인입되어 전체적인 베이스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며, 베이스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면진장치의 상부패널도 하강하게 된다.
수평조절볼트(310)를 풀게 되면, 수평조절볼트(310)와 고정너트(320)간의 거리가 늘어나고, 면진장치(400) 내부의 코일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베이스(100)의 하면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게되고, 수평조절볼트(310)와 고정너트(320)간의 거리가 늘어난 만큼 하부베이스(200)가 상부베이스(100)에서 인출되어 전체적인 베이스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수평조절볼트(310)를 조이는 경우에는 상부베이스(100)가 수평조절볼트(310)에 의하여 하방으로 힘을 받아 하부베이스(200)가 상부베이스(100)에 인입되면서 전체적인 베이스의 높이가 낮아지게되고, 수평조절볼트를 푸는 경우에는 상부베이스가 면진장치(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힘을 받아 하부베이스가 상부베이스에서 인출되면서 전체적인 베이스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에 구비되는 수평조절장치 및 면진장치의 개수는 배전반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800)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가 포함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수평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확인 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800)를 이용하여 수평정보에 대하여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수평정상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모니터링단말기(900)는 컨트롤러(600)에서 전송하는 수평감지센서(500)의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단말기(900)는 관리서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600)로부터 수신한 수평감지센서의 센서신호와 컨트롤러에서 출력한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과거에 발생한 수평이상상태에 대한 이력과 비정상상태에 대한 대응 조치 이력, 유지보수 이력을 호출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상부베이스 200 - 하부베이스
300 - 높이조절장치 400 - 면진장치
500 - 수평감지센서 600 - 컨트롤러
700 - 미믹 800 - 관리자단말기
900 - 모니터링단말기

Claims (3)

  1. 상면에 배전반이 안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상부베이스;
    지면에 하면이 결합되는 하부베이스;
    배전반이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울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
    상부가 상부베이스 내측에 수용되고, 하면이 하부베이스에 고정되어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서 진동에 대해 흡수기능 및 감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면진장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감지센서; 및
    수평상태 정상범위 설정 및 실시간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면진장치는
    상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부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패널,
    상부패널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부베이스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는 베이스접촉부,
    하부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부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면에는 코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패널,
    하부패널 상측에 위치하며, 하부패널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코일형탄성부재,
    내부에 코일형탄성부재가 내삽될 수 있고, 상부에 롤링볼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소켓,
    스프링소켓이 내삽될 수 있으며, 상부에 스프링소켓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스프링소켓과 실린더를 관통하며, 스프링소켓이 실린더 내부에서 일정한 범위 내로 승강운동 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고정핀,
    스프링소켓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롤링볼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롤링볼
    상부패널의 상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상부스토퍼홀이 형성되고, 하부패널의 하부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는 하부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결합될 수 있는 케이스
    을 포함하는 것;
    상부베이스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베이스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베이스의 폭은 하부베이스의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베이스의 상측 일부가 상부베이스의 하측으로 인입될 수 있고,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사이에는 면진장치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면진장치 내부의 코일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베이스가 하부베이스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위치할 수 있는 것;
    수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평상태는 컨트롤러로 전송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어 실시간 x축, y축 수평상태를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고, 수평상태 정상범위 설정을 할 수 있는 것;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수평상태를 포함한 면진베이스의 위치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도식화하여 구현할 수 있는 미믹을 포함하는 것;
    수평감지센서에서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난것이 감지되는 경우, 컨트롤러가 발광신호를 미믹에 전달하고, 미믹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점등하여 관리자가 미믹을 보고 수평정상범위를 벗어났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 및
    컨트롤러는 미믹, 관리자단말기, 모니터링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는 컨트롤러로부터 수평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수평정보에 대하여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수평정상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모니터링단말기는 컨트롤러에서 전송하는 수평감지센서의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로도 사용될 수 있고,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수평감지센서의 센서신호와 컨트롤러에서 출력한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과거에 발생한 수평이상상태에 대한 이력과 비정상상태에 대한 대응조치 이력, 유지보수 이력을 호출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조절장치는
    상부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볼트,
    수평조절볼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고정너트,
    고정너트와 용접을 포함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베이스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
    을 포함하고,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은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폭이 하부베이스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베이스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 및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의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지점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조절볼트가 고정너트취부용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와 결합될 수 있는 것
    을 더 포함하는,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KR1020220117822A 2022-09-19 2022-09-19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KR10254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822A KR102548383B1 (ko) 2022-09-19 2022-09-19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822A KR102548383B1 (ko) 2022-09-19 2022-09-19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383B1 true KR102548383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822A KR102548383B1 (ko) 2022-09-19 2022-09-19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3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267Y1 (ko) * 2006-07-18 2006-11-23 박만춘 배전반의 수평조절장치
KR101810334B1 (ko) * 2016-11-07 2017-12-20 손국영 배전반 면진 장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324836B1 (ko) * 2021-01-11 2021-11-11 한기덕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267Y1 (ko) * 2006-07-18 2006-11-23 박만춘 배전반의 수평조절장치
KR101810334B1 (ko) * 2016-11-07 2017-12-20 손국영 배전반 면진 장치
KR101959200B1 (ko) * 2018-06-07 2019-03-19 (주)세풍전기 배전반용 내진모듈
KR102324836B1 (ko) * 2021-01-11 2021-11-11 한기덕 전방향 충격 흡수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313B1 (ko) 내진 수배전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325640B1 (ko)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51579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37711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042577B1 (ko) 내진기능형 배전반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699303B1 (ko) 3축 지진 감지형 내진 수배전반
KR101860922B1 (ko) 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19639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67239B1 (ko) 내진 구조물
KR20140030878A (ko) 내진보강장치
KR102230259B1 (ko) 수평 내진력과 수직 내진력을 제공하는 수배전반용 내진 시스템과 내진장치
KR102165355B1 (ko) 통신 장비 보관용 랙
KR101872958B1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 시스템
KR101648164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2548383B1 (ko)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KR101476735B1 (ko)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2152112B1 (ko) 내진기능이 구비된 전기 보호장치
KR101834473B1 (ko)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292234B1 (ko) 외함 와이어 고정형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