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55B1 - 통신 장비 보관용 랙 - Google Patents

통신 장비 보관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55B1
KR102165355B1 KR1020200049229A KR20200049229A KR102165355B1 KR 102165355 B1 KR102165355 B1 KR 102165355B1 KR 1020200049229 A KR1020200049229 A KR 1020200049229A KR 20200049229 A KR20200049229 A KR 20200049229A KR 102165355 B1 KR102165355 B1 KR 10216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upled
communication equipment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혜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주)범한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한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범한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04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6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lightning or EMI protection, e.g. shielding or grounding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가지며, 상기 수납 공간에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을 맞추도록 복수개가 제공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며, 외부의 충격에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통신 장비를 보호하도록 진동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진동 방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비 보관용 랙{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비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제공한다.
정보통신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전화망, 인터넷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기기가 점점 다종 다양화되고 있다.
정보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통신 기지국이나 중계시설 및 CCTV통신시설 등이 점차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통신용 장비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합관리는 물론 신속한 유지보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통신장비를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 구조물이 통신장비 보관용 랙이다.
한편, 통신장비 수납용 랙 캐비닛은 예컨대, 빌딩 전산실이나 아파트 MDF(Main Distributing Frame)실 등에 설치되어 각종 네트워크 장비와 케이블링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각종 장비나 점프 코드, 케이블 등을 깔끔하게 정리 정돈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통신장비 보관용 랙 캐비닛은 다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장방형 구조체(Open Box Structure)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단위 유닛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 장방형 구조의 메인 프레임에는 각종 통신장비를 지지하여 수납하기 위한 선반이 설치되며, 수납된 통신장비의 케이블을 단속하여 홀딩하기 위한 서포터 프레임과 케이블 단속용 홀더 브래킷이 설치된다.
다만, 이러한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의 경우 시공 시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아 통신 장비의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또는 통신 장비를 수리하거나 접촉하는 경우 사람의 정전기로 인해 정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외부에 통신 장비가 있을 경우 낙뢰나, 진동 등에 통신장비가 손상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10-1852380호(2018.04.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닥이 수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수평을 유지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안전하게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낙뢰 또는 정전기로 인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가지며, 상기 수납 공간에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을 맞추도록 복수개가 제공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며, 외부의 충격에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통신 장비를 보호하도록 진동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진동 방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외부의 낙뢰로부터 상기 본체를 보호하는 누전 방지 부재와 상기 본체 중 일측면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상기 통신 장비와 접촉 전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정전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내체부와 상기 내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바닥면과 접촉하는 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체부는 상기 외체부에 삽입되며, 나선 결합을 하여 상기 외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를 향하도록이동가능하며, 상기 외체부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에는 복수개의 외체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에는 복수개의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와 외체부의 총 결합길이는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방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방지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방지 몸체에 형성된 흡수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이동체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정전 방지 부재는 정전 패드와 상기 정전 패드의 내측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부와 상기 정전 패드를 보호하는 정전 커버부와 그리고 상기 정전 패드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자가 신체의 일부를 상기 정전 패드에 접촉 시 기설정된 시간만큼 접촉하도록 접촉 유지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일단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낙뢰가 상기 돌출부에 발생 시 상기 낙뢰의 전기를 흘려주도록 제공되는 도선부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도선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바닥 또는 벽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방지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누전 방지 부재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나의 상기 지지 부재에는 복수개의 상기 진동 방지 부재가 결합되며, 복수개의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감지 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수평 몸체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수평 몸체를 체결하는 수평결합체와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의 면에 위치하는 전극부와 상기 수평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부를 향해서 돌출형성되는 센서부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평 몸체 내부에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은 상기 수평 감지 부재의 수평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확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부재는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기 수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그리고 상기 수평 정보 중 상기 본체가 기설정된 수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의 설치 시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의 설치 시 작업자의 정전기 방지 또는 설치 이후 작업 시에도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진동 방지 부재를 설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통신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수평 감지 부재 및 확인 부재를 통해서 실시간 수평 및 설치 시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지 부재 및 진동 방지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평 감지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장비를 보관 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지지 부재(200) 및 진동 방지 부재(30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평 감지 부재(6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은 본체(100), 지지 부재(200), 진동 방지 부재(300), 정전 방지 부재(400), 누전 방지 부재(500), 수평 감지 부재(600) 그리고 확인 부재(7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에는 통신 장비가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도어(110)를 가질 수 있다. 도어(110)는 수용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10)에는 복수개의 개방 슬릿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을 통해서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열성, 내구성 및 내연성이 강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충격 흡수에 강하며, 내열성이 강한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 또는 스틸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본체(10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200)는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지지 부재(200)가 4개가 제공되는 경우 4각형 형상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지지 부재(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200)는 내체부(210)와 외체부(230)를 포함한다.
내체부(210)는 본체(100)의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체부(210)는 일단은 본체(100)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타단은 후술하는 외체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내체부(210)는 원통형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체부(210)에는 눈금(211) 표시가 있을 수 있다. 내체부(210)의 눈금(211) 표시는 지지 부재(20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작업자가 표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내체부(210)와 외체부(230)가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외체부(230)는 내체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외체부(230)는 원통형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체부(230)는 내체부(210)보다 직경이 큰 수 있다. 외체부(230)의 내부에 내체부(210)가 삽입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체부(230)의 내측에는 나사홈 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체부(210)의 내면에는 나사골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외체부(230) 및 내체부(210)는 나사선 결합을 통해서 외체부(230)를 회전하여 내체부(210) 및 외체부(230)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외체부(230)와 내체부(210)의 결합길이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외체부(230)를 일방향으로 돌려 외체부(230)를 내체부(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켜 전체 결합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외체부(230)와 내체부(210)의 결합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외체부(230)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외체부(230)를 내체부(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켜 전체 결합길이를 늘릴수 있다.
상술한 외체부(230) 및 내체부(210)의 결합으로 지지 부재(200)가 4개가 제공되는 경우도 각각의 높이를 달리하며 바닥이 수평이 맞지 않아도 본체(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외체부(230)에는 외체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외체홈(231)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외체홈(231)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외체홈(231)은 상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체홈(231)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내체부(210)의 외측에 형성된 눈금(211)을 통해서 정확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외체부(230)에는 외측면에는 외체 결합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외체 결합부(235)는 후술하는 진동 방지 부재(300)와 결합되어 진동 방지 부재(300)의 미 사용 시 외체부(230)와 접촉하여 관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외체 결합부(235)는 후술하는 진동 방지 부재(300) 중 결합체(311)와 결합될 수 있다.
외체부(230)에는 수용 결합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결합부(233)는 후술하는 진동 방지 부재(300) 중 방지 몸체(310)와 결합되며, 방지 몸체(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진동 방지 부재(300)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을 보호할 수 있다. 진동 방지 부재(300)는 지지 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진동 방지 부재(300)는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 부재(200)에 복수개의 진동 방지 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지지 부재(200)에 진동 방지 부재(300)가 3개가 결합될 수 있다. 3개의 진동 방지 부재(300)는 바닥면과 접촉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지 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진동 방지 부재(300)는 방지 몸체(310), 이동체(330), 지지체(350), 흡수 레일(370) 그리고 결합체(311)를 포함한다.
방지 몸체(310)는 외체부(230)의 수용 결합부(233)와 결합될 수 있다. 방지 몸체(310)는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방지 몸체(310)는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방지 몸체(3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방지 몸체(310)는 흡수 레일(3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330)는 방지 몸체(3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체(330)는 방지 몸체(310)에 형성된 흡수 레일(37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330)는 한 쌍의 방지 몸체(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체(350)는 이동체(3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350)는 일단은 외체부(230)의 수용 결합부(233)와 결합되며, 타단은 이동체(330)의 중앙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35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방지 몸체(310)의 일단에는 결합체(3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311)는 외체 결합부(235)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체(311)는 진동 방지 부재(300)를 외체부(230)에 체결 시 외체 결합부(235)와 결합하여 진동 방지 부재(300)를 외체부(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진동 방지 부재(300)를 바닥면에 접촉하여 사용 시 결합을 해체할 수 있다.
이하, 진동 방지 부재(300)의 기능을 설명한다. 진동 방지 부재(300)를 바닥면에 접촉시켜 놓은 경우 도 4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의 진동이 발행하면, 이동체(330)가 흡수레일을 따라서 이동하여 지지체(35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며, 이 때 지지체(350)가 상부로 이동하면 충격을 흡수하여 본체(10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방지 부재(300)가 복수개가 제공되어, 어느 방향으로 충격을 가하든 동일한 작동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본체(100)의 진동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정전 방지 부재(400)는 작업자가 작업 전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전 방지 부재(400)는 본체(10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 방지 부재(40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정전 방지 부재(400)가 한 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정전 방지 부재(400)는 정전 패드(410), 정전 커버부(430), 접촉 센서부(630)(450) 그리고 시간 측정부(470)를 포함한다.
정전 패드(410)는 본체(100)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 패드(410)는 반구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정전 패드(410)는 전도성이 강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철 등의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정전 커버부(430)는 정전 패드(410)를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정전 커서부는 정전 패드(410)를 사용 시 열고, 사용이 완료 후 닫도록 도어(11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접촉 센서부(630)(450)는 정전 패드(410)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 센서부(630)(450)는 작업자의 손이 정전 패드(410)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접촉 센서부(630)(450)의 접촉 정보 유무는 후술하는 시간 측정부(470)로 전달될 수 있다.
시간 측정부(470)는 접촉 센서부(630)(450)로부터 접촉 정보를 받으면 기설정된 시간만큰 작업자가 정전 패드(410)에 접촉하도록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측정부(470)는 적정 시간이 3초일 경우,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정보가 수신되면 작동되며, 3초, 2초, 1초, 0초를 순차적으로 알려주어 작업자가 정전 패드(410)에 접촉하는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표시부(730)를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계 음성으로 시간을 작업자에게 알려 주거나, 빨간불, 파란불 등의 램프 형태로 알려줄 수 있으며,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누전 방지 부재(500)는 본체(100)의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누전 방지 부재(500)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이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누전 방지 부재(500)를 제공할 수 있다. 누전 방지 부재(500)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누전 방지 부재(50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누전 방지 부재(500)는 돌출부(510), 도선부(530) 그리고 접지부(550)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510)는 일단은 본체(100)와 연결되며, 타단는 상부를 향해서 돌출된 막대기를 여러 개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510)는 상부를 향하여 여러 개의 막대기 형태를 가지어 낙뢰 등이 발생 시 이를 수용하기 좋게 형성될 수 있다.
도선부(530)는 일단은 도출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접지부(5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선부(530)는 도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접지부(550)는 도선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접지부(550)는 바닥면 또는 벽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지부(550)는 패드 형태로 접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바닥면 또는 벽면과 탈착이 쉬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수평 감지 부재(600)는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 감지 부재(600)는 본체(100)의 수평이 유지된 상태인지 센싱 할 수 있다.
수평 감지 부재(600)는 수평 몸체(610), 수평결합체(620), 센서부(630), 전극부(650), 연결부(670) 그리고 감지부(690)를 포함한다.
수평 몸체(6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몸체(610)는 절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수평결합체(620)는 수평 몸체(610)와 본체(100)를 체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결합체(620)는 볼트 등으로 제공되어, 수평 몸체(610)와 본체(1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평결합체(620)는 본체(100)와 수평 몸체(610)를 결합할 수 있는 공지의 체결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수평 결합체(311)는 도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630)는 수평 몸체(6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부(63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630)는 후술하는 감지부(69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서부(630)는 신호 변환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650)는 센서부(630) 및 수평 몸체(610)의 내측면을 감싸며, 제공될 수 있다. 전극부(650)는 도체인 전극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630)는 신호 변환 부재와 음극으로 연결 될 수 있고, 후술하는 연결부(670) 및 감지부(690)는 신호 변환 부재와 양극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70)는 일단은 신호 변환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감지부(69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70)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670)는 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690)는 구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690)는 수평 몸체(610)가 기울어지는 경우 센서부(630)와 접촉할 수 있다. 감지부(690)는 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630)의 돌출된 길이 조절을 통해서 감지부(690)의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630)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감지부(690)의 움직임의 범위가 좁아진다. 이와는 달리, 센서부(630)의 돌출된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감지부(690)의 움직임의 범위가 길어진다.
연결부(670)에 결합된 감지부(690)의 이동 범위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5~35° 정도의 유효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25°일 수 있다.
확인 부재(700)는 수평 감지 부재(600)에서 감지한 본체(100)의 수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부재(700)는 수신부(710), 표시부(730) 그리고 알림부(750)를 포함한다.
수신부(710)는 수평 감지 부재(6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 감지 부재(600)에서 감지된 본체(100)의 수평 정보는 신호 변환 부재를 통해서 수신부(710)로 전달될 수 있다.
표시부(730)는 수신부(710)에서 수신된 수평 정보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730)는 수평이 아닌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를 표시하여 본체(100)의 수평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부(750)는 본체(100)의 수평 정보 중 수평이 아닌 상태 정보가 수신부(710)로 수신되는 경우 소리 등으로 알람을 울리어 작업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하,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최초 작업자는 설치 장소에 통신 장비 및 통신 장비 보관용 랙(100)을 설치한다. 작업는 통신 장비를 본체(100)에 수납후 도어(110)를 닫을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전 정전 방지 부재(400)의 접촉을 통해서 몸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 후 수평 감지 부재(600)의 정보를 통해서 수평 정보를 확인하며, 수평이 아닌 경우 지지 부재(200)의 내체부(210)와 외체부(230)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춘다.
작업자는 수평을 맞춘 후 지형에 따라서 진동 방지 부재(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후 작업자는 통신 장비를 최종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 누전 방지 부재(5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의 설치 시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의 설치 시 작업자의 정전기 방지 또는 설치 이후 작업 시에도 정전기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진동 방지 부재를 설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통신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수평 감지 부재 및 확인 부재를 통해서 실시간 수평 및 설치 시 수평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 장비 보관용 랙 100: 본체
200: 지지 부재 210: 내체부
230: 외체부 300: 진동 방지 부재
310: 방지 몸체 330: 이동체
350: 지지체 370: 흡수 레일
400: 정전 방지 부재 410: 정전 패드
430: 정전 커버부 450: 접촉 센서부
470: 시간 측정부 500: 누전 방지 부재
510: 돌출부 530: 도선부
550: 접지부 600: 수평 감지 부재
610: 수평 몸체 630: 센서부
650: 전극부 670: 연결부
690: 감지부 700: 확인 감지 부재
710: 수신부 730: 표시부
750: 알림부

Claims (3)

  1.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가지며, 상기 수납 공간에 통신 장비를 보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을 맞추도록 복수개가 제공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며, 외부의 충격에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통신 장비를 보호하도록 진동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진동 방지 부재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외부의 낙뢰로부터 상기 본체를 보호하는 누전 방지 부재와
    상기 본체 중 일측면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상기 통신 장비와 접촉 전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정전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내체부와
    상기 내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바닥면과 접촉하는 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체부는 상기 외체부에 삽입되며, 나선 결합을 하여 상기 외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를 향하도록이동가능하며, 상기 외체부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에는 복수개의 외체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에는 복수개의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와 외체부의 총 결합길이는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방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방지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방지 몸체에 형성된 흡수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이동체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정전 방지 부재는
    정전 패드와
    상기 정전 패드의 내측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부와
    상기 정전 패드를 보호하는 정전 커버부와 그리고
    상기 정전 패드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작업자가 신체의 일부를 상기 정전 패드에 접촉 시 기설정된 시간만큼 접촉하도록 접촉 유지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부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일단은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낙뢰가 상기 돌출부에 발생 시 상기 낙뢰의 전기를 흘려주도록 제공되는 도선부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도선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바닥 또는 벽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방지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누전 방지 부재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나의 상기 지지 부재에는 복수개의 상기 진동 방지 부재가 결합되며, 복수개의 상기 진동 방지 부재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감지 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수평 몸체와
    상기 수평 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수평 몸체를 체결하는 수평결합체와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평 몸체의 내부의 면에 위치하는 전극부와
    상기 수평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부를 향해서 돌출형성되는 센서부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평 몸체 내부에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장비 보관용 랙은
    상기 수평 감지 부재의 수평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확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 부재는,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기 수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그리고
    상기 수평 정보 중 상기 본체가 기설정된 수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비 보관용 랙.
KR1020200049229A 2020-04-23 2020-04-23 통신 장비 보관용 랙 KR10216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29A KR102165355B1 (ko) 2020-04-23 2020-04-23 통신 장비 보관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29A KR102165355B1 (ko) 2020-04-23 2020-04-23 통신 장비 보관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355B1 true KR102165355B1 (ko) 2020-10-13

Family

ID=7288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29A KR102165355B1 (ko) 2020-04-23 2020-04-23 통신 장비 보관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3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98B1 (ko) * 2021-05-31 2021-11-02 (주)영은시스템 자동 레벨보정장치를 갖는 통신기기용 랙
KR102326093B1 (ko) * 2021-05-31 2021-11-15 (주)영은시스템 압력 분산형 방진유닛을 갖는 통신기기용 랙
KR102439026B1 (ko) * 2021-07-26 2022-08-31 주식회사 인투정보 Vpn 방화벽용 네트워크 장비 설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021A (ko) * 2009-08-28 2011-03-08 (주)우진엔지니어링 랙의 내진장치
KR20160126490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뉴피에스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KR101852380B1 (ko) 2016-06-30 2018-04-26 주식회사 에스엔솔 수직 기둥 프레임에 체결홈이 형성된 통신장비 보관용 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021A (ko) * 2009-08-28 2011-03-08 (주)우진엔지니어링 랙의 내진장치
KR20160126490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뉴피에스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KR101852380B1 (ko) 2016-06-30 2018-04-26 주식회사 에스엔솔 수직 기둥 프레임에 체결홈이 형성된 통신장비 보관용 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98B1 (ko) * 2021-05-31 2021-11-02 (주)영은시스템 자동 레벨보정장치를 갖는 통신기기용 랙
KR102326093B1 (ko) * 2021-05-31 2021-11-15 (주)영은시스템 압력 분산형 방진유닛을 갖는 통신기기용 랙
KR102439026B1 (ko) * 2021-07-26 2022-08-31 주식회사 인투정보 Vpn 방화벽용 네트워크 장비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355B1 (ko) 통신 장비 보관용 랙
KR102067244B1 (ko) 내진 구조물
KR101139226B1 (ko)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KR101598434B1 (ko) 내진용 배전반
KR10151578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37711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19639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20180053826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198671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0457648Y1 (ko)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0882296B1 (ko) 진동흡수형 수배전반
KR102269570B1 (ko) 면진 기능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812119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KR20180117938A (ko) 지진저감용 스프링 면진 모듈
US10066412B2 (en) Equipment protection system and protection device thereof
KR102155107B1 (ko)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180085957A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2440554B1 (ko) 진동 억제 및 파손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
JP2019168434A (ja) 電柱の傾斜検知装置および傾斜検知システム、並びに配電自動化設備
KR102357043B1 (ko)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1578677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2332546B1 (ko) 함체의 진동감쇠장치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211915B1 (ko)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KR102548383B1 (ko) Led를 통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한 면진용 배전반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