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119B1 -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119B1
KR101812119B1 KR1020170078512A KR20170078512A KR101812119B1 KR 101812119 B1 KR101812119 B1 KR 101812119B1 KR 1020170078512 A KR1020170078512 A KR 1020170078512A KR 20170078512 A KR20170078512 A KR 20170078512A KR 101812119 B1 KR101812119 B1 KR 10181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tial discharge
arc
vib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허명석
장덕진
신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to KR102017007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함 본체에 가해지는 진동과 내진 설비의 열화에 의한 외함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진동과 기울기가 일정 기준 값 이상이 되었을 때 메인 차단기에 트립 신호를 발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진단 시스템은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차단기에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내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The hybrid synthesis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high voltage distributing board, low tension voltage distributing board, distributing board, sunlight connector band, motor control board, ESS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종합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분방전 또는 아크뿐만 아니라 지진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지진에 의한 변형,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접속반, ESS을 구성하는 전기 설비 또는 부스 / 케이블 등에서 아크 또는 부분방전 발생 시 조속히 유지보수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아크로 인한 섬락 사고, 감전사고, 전기 화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접속반, ESS를 구성하는 전기 설비 또는 부스바, 케이블 등에서 아크 또는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전류 펄스, 열, 빛, 전자파, 소리 등 다양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내 부분방전은 인덕턴스 센서, 로고우스키 코일, 고주파 CT 등을 수배전반 접지선에 취부하여 부분방전 발생 시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 펄스를 측정하거나, 광센서를 사용하여 아크 발생 시 수반되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측정하는 방식 등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분방전 측정장치는 부분방전 검출센서, 포터블 장비, 케이블, P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센서에서 부분방전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포터블 장비에서 부분방전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케이블을 통해 PC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수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검출하기 위해 별도로 광 센서를 설치하여 분석을 통해 아크를 검출하였다.
즉, 종래에는 수배전반에 부분방전 검출센서와 광 센서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부분방전과 아크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를 구비할 경우 경제성 및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배전반은 설치면으로부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응하여 방진설비가 되어 있거나, 방진설비가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고형(固形)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부분방전 및 아크는 점진적 절연파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최근 전기설비 제조능력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기 때문에 실제 발생 확률이 높지 않지만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지반침하와 같은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게될 경우에 애자 또는 접속부의 미세한 이탈 또는 변형에 따라 부분방전이나 아크를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 부분방전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절연이상 상태에 대한 징후이기 때문에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489300호(발명의 명칭;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206468호(발명의 명칭; 아크/부분방전 검출장치)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0755955호(수배전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
(특허문헌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648호(수배전반용 방진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뿐만 아니라 지진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지진에 의한 변형,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함 본체에 가해지는 진동과 내진 설비의 열화에 의한 외함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진동과 기울기가 일정 기준 값 이상이 되었을 때 메인 차단기에 트립 신호를 발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은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차단기에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내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UHF 안테나 센서를 각 구역 및 외부에 설치하고, 각 UHF 안테나 센서를 한 개씩 순환하면서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여부를 광대역 및 협대역 방식으로 진단함으로써 측정 시간을 줄임과 함께 검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지진, 주변 발파, 건축물 파괴, 메인 차단기의 ON/OFF 등으로 인해 외함 본체에 가해지는 진동과 함께 내진 설비의 열화에 의한 외함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진동 및 기울기가 일정 기준 값의 이상이 되었을 때 메인 차단기에 트립신호를 발생하여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의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내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내진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내진장치에 진동이 가해진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신호 검출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신호 검출부(15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140, 15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차단기에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와, 상기 본체(110)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170)와,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내진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인버터, 변압기를 포함한 각종 기기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미도시)이 마련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배전반을 근거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기 않고 저압 배전반, 고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접속반, 인버터, ESS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공간부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PCB,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방열 및 방습에 따른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20)는 상기 본체(110) 외부의 지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본체(110)로 인가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20)는 상기 본체(11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고 상기 본체(110)의 도어 개폐, 메인 차단기의 ON/OFF, 주위 환경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함과 더불어 상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는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의 기울기 및 진동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는 본체(110)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에 직접 전달되는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는 지면에서 발생하여 내진장치(180)를 거쳐서 상기 본체(110)로 전달되는 진동도 함께 측정한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에서 자체적으로 측정된 본체(110)의 진동 및 기울기 정보와 함께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분석부(160)는 저장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내진 성능의 분석을 통해 일상적인 진동인지,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기울기에 따라 메인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근거로 분석된 결과를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에서 각각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를 차동 분석하여 내진장치(180)의 진동 흡수 상태 및 지진의 경중을 확인할 수가 있고 시간 경과에 따른 진동의 트렌드를 분석할 경우에 내진장치(180)의 수명 파악 및 유지 보수의 시점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본체(110)에 전달되는 진동이 일상적으로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인지 외부의 환경이나 지진에 의해 발생한 진동인지를 판단하는데, 메인 차단기의 ON/OFF, 도어의 개폐 등 설비 자체에서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에 직접 진동이 측정되고, 반대로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20)는 설치위치 상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0'에 가까운 값들이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에서 측정된 진동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동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내진장치(180) 자체에서 발생한 오류 진동에 대한 필터링도 가능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를 통해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내진장치(180)에 지속적인 진동이 인가될 경우에 볼트 풀림, 내진재 열화, 파손 등의 이유로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기울기 측정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내진장치(180)의 이상 예측 및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에서 측정된 진동 값과 기울기 값을 분석하여 일정 값에 도달했을 때 트립신호를 발생하여 메인 차단기를 트립시킴으로써 전기 안전사고 예방 및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는 상기 제 1, 제 2 신호 검출부(140, 150)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과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및 협대역 방식으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발생 유무를 진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와, 상기 본체(110)의 각 구역(A~H) 내부마다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제 1 UHF 안테나 센서들로 이루어진 제 1 신호 검출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제 2 UHF 안테나 센서로 이루어진 제 2 신호 검출부(150)와,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며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진동이 상기 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진장치(180)와, 외부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다수의 제 1 신호 검출부(140)를 순환하면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제 2 신호 검출부(150)를 선택하는 절체부(190)와, 상기 절체부(190)를 통해 선택된 다수의 제 1 신호 검출부(140) 및 제 2 신호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00)와, 상기 증폭부(200)에서 증폭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분석부(161A) 및 협대역 분석부(161B)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를 분석하는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로부터 상기 본체(110)의 기울기와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방재 분석부(162)를 포함하여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와, 상기 본체(110)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160)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수배전반으로서, 상기 수배전반은 고전압 설비가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관리의 편의를 위해 폐쇄형 박스 형태의 외함으로 외부와 격리하고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배전반 이외에 저압 배전반, 고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접속반, ESS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는 수배전반 내부의 각면에서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시 UHF 안테나 센서가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 2 UHF 안테나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외부에서 노이즈에 의해 발생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는 상기 절체부(190)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및 협대역 분석부(161A, 161B)를 통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유무를 진단하게 된다.
상기 광대역 분석부(161A)는 300MHz~1.5GHz 범위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고, 상기 협대역 분석부(161B)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10MHz 대역으로 분할한 후 노이즈 대역만 제거하고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며,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와 PRPS(Phase Resolved Pulse Sequence) 분석기법으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패턴 인식율을 높인다.
상기 광대역 분석부(161A)와 협대역 분석부(161B)에 따른 진단 결과가 모두 부분방전 또는 아크로 판정된 경우에 한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확정한다. 이와 같이 광대역 및 협대역 분석부(161A, 161B)의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확정하므로, 광대역 진단의 장점인 빠른 검출 속도와 협대역 진단의 장점인 적은 노이즈 영향을 취하는 동시에, 광대역 진단의 단점인 큰 노이즈 영향과 협대역 진단의 단점인 느린 진단 속도를 치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협대역 분석부(161B)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은 기존에 비해 다소 낮게 설정될 수 있다. 그 임계값이 다소 낮게 설정되더라도, 상기 광대역 및 협대역 분석부(161A, 161B)의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확정하므로, 협대역 진단만을 적용할 때에 비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 진단 결과가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와 상기 제 2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비교하여 노이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보다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가 낮은 경우에 노이즈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절체부(190)는 스위치 예를 들면, RF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체부(190)는 외부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면서 상기 다수의 제 1 UHF 안테나 센서를 순환하면서 스위칭하여 상기 각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로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의 순환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UHF 안테나 센서를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로 전달한다.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는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의 결과에 따라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의 정도와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상위 HMI,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고, 위험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메인 스위치(예를 들면, ACB, VCB) 또는 각 수배전반 면에 위치하는 스위치(예를 들면, MCCB)를 차단하는 트립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부분방전은 고압의 범위에서 주로 발생 가능하며, 아크는 고압뿐만 아니라 저압의 범위에서도 발생한다. 즉, 본 발명은 UHF 안테나 센서를 이용하여 고압반이나 저압반에서 부분방전뿐만 아니라 아크도 함께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크의 경우 광대역 및 협대역 구간에서 각각의 학습 패턴을 진행하게 되는데, 차단기 ON/OFF시 발생되는 특정 패턴들을 학습하여 순수한 아크만을 정확히 검출 및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아크 검출 신호는 광대역과 협대역 구간까지 포커싱하여 분석해 줌으로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반내에 부분방전 및 아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지점별로 각각 UHF 안테나 센서를 설치 즉, 변압기 및 애자 주변 3M이내에 UHF 안테나 센서를 설치하고, ACB, VCB, MCCB, 마그네트 등 스위치류가 밀집되어 있는 곳 주변 3M이내에 UHF 안테나 센서를 설치한다. 패턴 분석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부분방전이 발생될 경우 진단을 수행하고, 아크가 발생될 경우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차단신호는 메인 차단기인 VCB 및 ACB와 연동이 가능하며 아크 검출 이후 5초 이내에 트립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120)는 상기 내진장치(180)의 측면 또는 본체(11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고 상기 본체(110)의 도어 개폐, 메인 차단기의 ON/OFF, 주위 환경에 의한 충격에 의해 내진장치(180)를 통해 흡수된 진동을 감지함과 더불어 상기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에 직접 전달되는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130)는 지면에서 발생하여 상기 내진장치(180)를 거쳐서 상기 본체(110)로 전달되는 진동도 함께 측정한다.
또한, 상기 방재 분석부(162)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로부터 검출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내진 성능의 분석을 통해 일상적인 진동인지,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기울기에 따라 메인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방재 분석부(162)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유무와 함께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근거로 분석된 결과를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방재 분석부(162)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120, 130)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내진장치(180)에 지속적인 진동이 인가될 경우에 볼트 풀림, 내진재 열화, 파손 등의 이유로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기울기 측정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내진장치(180)의 이상 예측 및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방재 분석부(162)는 상기 본체(110)의 진동 값과 기울기 값을 분석하여 일정 값에 도달했을 때 트립신호를 발생하여 메인 차단기를 트립시킴으로써 전기 안전 사고 예방 및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170)를 통해 진단된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운영상황 제 1 감지 센서부 제 2 감지 센서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 진단
일상상태 0.0g/0.0° 일상진동 신호없음 신호없음 정상
지진발생 0.1~1.0g(PGA) 지진진동 신호없음 신호없음 위험 → 트립
설비열화 0.0g/0.0° 0.1°~5.0° 신호없음 신호없음 내진설비열화
PD 검출 0.0g/0.0° 0.1°~5.0° PD신호 신호없음 보이드/파티클/코로나감지
ARC 검출 0.0g/0.0° 0.1°~5.0° 신호없음 ARC 신호 위험 → 트립
여기서, PGA는 최대 가속도(3축으로 측정되는 가속도 중 최대 가속도를 입력 값으로 판단)이다.
표 1에서와 같이 운영상황은 일상상태, 지진발생, 설비열화, PD검출, ARC 검출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데, 일상상태는 감지센서(진동 및 기울기 센싱와 신호 검출부(PD 및 ARC 검출)이 전혀없는 상태이다.
상기 지진발생은 감지센서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확인한 후 지진유무를 판단하는데, 지진으로 판단시 위험으로 판단하여 전기를 트립하는 진단을 하게 된다.
상기 설비열화는 지진이 발생한 후 설비의 기울기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이상 징후로서 PD 및 ARC 진단 및 저장주기를 짧게 가져간다.
상기 PD 검출은 설비의 기울어짐(열화결과)이 발생한 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서서히 절연파괴가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보이드/파티클/코로나 진단을 통해 PD 검출을 확인한다.
상기 ARC 검출은 설비의 기울어짐(열화결과)이 발생한 후 접속단자 및 케이블, 차단기 등 보이는 곳에서 아크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검출하여 전기를 트립한다.
도 4는 도 3의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1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분석부(161A) 및 협대역 진단부(161B)로 구성된다.
상기 광대역 분석부(161A)는 제 1 신호 처리부(231), 제 1 판단부(232) 및 제 1 저장부(2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협대역 분석부(161B)는 제 2 신호 처리부(234), 제 2 판단부(235) 및 제 2 저장부(23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대역 분석부(161A)는 주파수 대역 전체(300~1,500MHz)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한 개의 신호로 분석하고, 상기 협대역 분석부(161B)는 5~100MHz 단위로 분할된 각각의 창(윈도우)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창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신호로 분석한다.
상기 광대역 분석부(161A) 및 협대역 분석부(161B)를 통해 걸러진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는 PRPD, PRPS 분석과 수배전반내 전기설비, 각종 부품에서 발생 가능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유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패턴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설비 내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유형 및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처리부(231)는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에서 특정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단부(232)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DC 전압을 전달받아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크기, 횟수, 발생장소 등을 판단한다.
상기 제 1 판단부(232)는 특정 주파수에 동기화된 신호 예를 들어, 60Hz를 기준으로 제 1 디지털 신호의 위상 분포, 제 1 디지털 신호의 레벨, 미리 설정된 구간에서의 제 1 디지털 신호의 발생횟수를 사용하여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를 포함하여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종류를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가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구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방전의 종류는 코로나(Corona), 보이드(Void) 또는 플로팅 파티클(FLOATING PARTICLE) 등일 수 있다. 기 공지된 바와 같이, 방전의 종류에 따라, 위상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아크는 플라즈마 형태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케이블 열화, 접속단자의 체결상태 미흡 등에 의한 방전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위상 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를 사용하여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 및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판단부(232)는 제 1 디지털 신호의 위상 분포가 180도에 집중되고, 기준 신호 레벨(Vref)을 초과하는 신호가 기준시간(Δt) 동안 3회를 초과하는 경우 플로팅 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상 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를 사용한 부분방전 진단은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예를 들어, 설계자는 디지털 신호의 위상 분포가 특정 위상에 집중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디지털 신호가 존재하는 여부에 따라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여부 및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종류가 진단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만이 진단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판단부(232)는 위상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를 사용하여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는 모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단부(232)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진단에 사용된 제 1 디지털 신호를 제 1 저장부(233)에 저장한다. 상기 제 1 저장부(233)는 제 1 판단부(232)가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변수 및 제 1 디지털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신호 처리부(234)는 상기 제 1 신호 처리부(231)와 함께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에서 특정 대역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상기 제 1 판단부(232)로부터 수신한 제 1 트리거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어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특정 주파수에 동기화된 신호 예를 들어, 60Hz를 기준으로 제 2 디지털 신호의 위상 분포, 제 2 디지털 신호의 레벨, 미리 설정된 구간에서의 제 2 디지털 신호의 횟수를 사용하여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여부 및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방전의 종류는 코로나(Corona), 보이드(Void) 또는 플로팅 파티클(FLOATING PARTICLE) 등일 수 있다. 기 공지된 바와 같이, 방전의 종류에 따라, 위상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따라서, 위상 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 여부 및 부분 방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제 2 디지털 신호의 위상 분포가 180 도에 집중되고, 기준 신호 레벨(Vref)을 초과하는 신호가 기준 시간 동안 3회를 초과하는 경우 플로팅 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위상 분포, 신호 레벨 및 신호 횟수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을 진단하는 모든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부분 방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부분 방전이 발생한 구역을 확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확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동작 예를 들어, 상기 부분발전 및 아크 전달부(240)를 통해 외부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은 외부에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한 것을 알리는 동작인 한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부(235)는 제 2 디지털 신호를 사용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 부분방전 또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스위치 제어 신호 및 제 2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부(236)는 상기 제 2 판단부(235)가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변수 및 제 2 디지털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단부(232) 및 제 2 판단부(235)는 동일한 콘트롤러 또는 별개의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부(233) 및 제 2 저장부(236)는 동일한 메모리 또는 별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내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내진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내진장치에 진동이 가해진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내진장치(180)는 전기한 수배전반(110)에 설치됨은 물론이고, 분전반 또는 모터 제어반의 하부에도 설치 및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진장치(180)는 진동이 발생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가진부(310)와, 상기 가진부(310) 상에 배치되어 구조물의 저면에 고정되는 피가진부(320)와,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면진유닛(330)과,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면진유닛(330)이 구조물의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 유지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는 진동이 전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한 명칭이며, 반대로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의 진동 전달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시 하중 보호기능이란 상기 가진부(310) 또는 피가진부(320)로부터 설정 범위 이하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면진유닛(330)을 보호하는 기능을 일컬으며,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난 큰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중 보호기능이 해제되어 상기 면진유닛(330)을 통해 진동이 흡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가진부(310)는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 영역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311)와,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중심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축(31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저면은 수배전반(1)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면 상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지지축(312)이 돌출되어 상기 면진유닛이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피가진부(320)는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321)와,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하방으로 한 쌍이 돌출되는 제2지지축(32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축(322)은 상기 면진유닛(330)의 상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면진유닛(330)을 중심으로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가진부(320)는 상기 가진부(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가진부(320)는 상기 제2지지축이 삽입되어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체결공(324)이 중심부분에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324)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체결공(3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324)의 상부에는 상기 제2지지축(322)이 견고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323)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공(325)에는 상기 간격 유지부(3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면진유닛(330)은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 사이에 배치되고, 외형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부(331)와,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방진부(33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331)는 상기 제1지지축(312)이 삽입되는 제1결합공(3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축(322)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3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331)는 상기 탄성부(334)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면진유닛(330)은 상기 탄성부(331)와 방진부(334)가 교번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31)의 높이는 상기 방진부(334)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구조물의 하중 또는 규모를 고려하여 이 높이는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331)는 높이가 변형되면서 너비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진부(334)의 너비가 상기 탄성부(331)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지지축(312)의 상단과, 상기 제2지지축(322)의 하단은 일부 상기 탄성부(331) 또는 방진부(334) 상에서 동시 삽입되어 교차된다. 따라서 나머지 일부 상기 탄성부(331) 또는 방진부(334)에는 상기 제1지지축(312) 또는 제2지지축(322) 중 어느 하나만이 삽입된다. 이는 상기 피가진부(320) 상부의 구조물이나 상기 면진유닛(330)이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축(312)의 상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지지축(322)의 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수직방향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축(312)의 상단과, 상기 제2지지축(322)의 하단은 같은 상기 탄성부(331) 또는 방진부(334)에서 교차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축(312)은 상기 면진유닛(330)의 하측에 일부분만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축(322)은 상기 면진유닛의 상측에 일부분만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축(312) 또는 제2지지축(322)이 삽입되지 않은 상기 면진유닛(330)의 중간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간섭이 없기 때문에 면진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축(322)의 상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상부에 배치된 너트(323) 상에서 나가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축(322)이 상기 면진유닛(330)에 많이 삽입되면 전도방지 기능이 우세하고, 반대로 상기 면진유닛(330)에 적게 삽입되면 면진기능이 우세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340)는 상기 제2체결공(325) 상에서 나사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 하측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가진부(310)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 지지프레임(342)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탄력부재(343)와, 상기 탄력부재(343) 내측에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이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3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342) 중심 부분에는 상기 탄력부재(343)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스냅링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탄력부재(343)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342)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은 상기 제2체결공(325)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피가진부(320)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상기 가진부(310)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피가진부(320) 상에서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공(325)의 상부 또는 하부에 너트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탄력부재(343)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으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의 가상의 연장선상에서 어느 하나가 이탈하는 경우 절곡되어 그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부(340)가 설치될 때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반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유지부(340)가 복원될 때,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력부재(343)는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342)이 가상의 연장선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도 제공한다.
상기 봉인 스티커(344)는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 중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서로 가상의 연장선상에서 이격되면 상기 봉인 스티커(344)가 파손되면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지진과 같은 진동이나 충격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하부 지지프레임(342)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써 각각 결합위치에서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접촉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일체로 형성되어 진동에 의해 상기 피가진부(320)와 가진부(310)가 서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 부러지면서 가상의 연장선상에서 이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간격 유지부(340)는 결합방향이 반대로 상기 가진부(310)으로부터 결합되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피가진부(320)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면진유닛(330)은 상기 제1지지축(312) 또는 제2지지축(322)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공(333) 또는 제2결합공(332) 사이에 결합되는 충격 흡수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진부(3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부(331)는 외형이 변형되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의 방향으로 외형이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332)는 상기 탄성부(331)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성부(331)의 외형이 변형된다.
이들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가진부(310)에 진동이 가해지면서 상기 가진부(31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부(340)는 상기 가진부(310)와 피가진부(320) 사이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축이 무너지면서 가상의 연장선이 이격되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진부(310)의 하측에 상기 피가진부(320)가 진동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1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프레임(342)이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341)과 가상의 연장선상에서 이탈됨으로써 상기 간격 유지부(340)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중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331)의 두께가 얇아지고, 상기 가진부(31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면진유닛(330)의 형상이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는 상기 가진부(3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면진유닛(330)이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피가진부(32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탄성부(33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다만, 상기 간격 유지부(340)는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피가진부(320)와 상부의 구조물을 들어 올려 복원하게 된다. 또한 상기 봉인 스티커(344)가 파손되었기 때문에 이 역시 새로운 것으로 부착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 유지부(340)가 상기 면진유닛(330)에 수배전반과 같은 구조물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상기 면진유닛(330)의 수명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본체 120 : 제 1 감지 센서부
130 : 제 2 감지 센서부 140 : 제 1 신호 검출부
150 : 제 2 신호 검출부 160 :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
170 :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 180 : 내진장치

Claims (17)

  1.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와 제 1, 제 2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이상발생시 차단기에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내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진장치는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영역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축을 구비하는 가진부; 상기 가진부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구조물 저면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서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지지축을 구비하는 피가진부; 상기 가진부와 피가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지지축이 하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축이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진부로부터 피가진부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면진유닛 및 상기 가진부와 피가진부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면진유닛이 구조물의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정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피가진부와 가진부가 면진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설정된 간격이 변형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면진유닛은, 상기 제1지지축이 삽입되도록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축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동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와 방진부가 교번으로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가진부 상면에서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등 간격으로 상기 제1지지축의 돌출방향과 동일하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피가진부 상에서 상기 제2지지축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공 주변에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부 지지프레임이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는 상기 본체 외부의 지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본체로 인가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는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기울기 및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는 상기 제 2 감지 센서부에서 자체적으로 측정된 본체의 진동 및 기울기 정보와 함께 상기 제 1 감지 센서부에서 측정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는 저장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내진 성능의 분석을 통해 일상적인 진동인지,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기울기에 따라 메인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를 통해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내진장치에 지속적인 진동이 인가될 경우에 볼트 풀림, 내진재 열화, 파손 등의 이유로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기 측정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내진장치의 이상 예측 및 판단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는 상기 제 1, 제 2 신호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과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및 협대역 방식으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발생 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6. 본체의 내부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제 2 감지 센서부와,
    상기 본체의 각 구역 내부마다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제 1 UHF 안테나 센서들로 이루어진 제 1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제 2 UHF 안테나 센서로 이루어진 제 2 신호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고 지진 발생시 상기 본체를 보호하는 내진장치와,
    외부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다수의 제 1 신호 검출부를 순환하면서 선택함과 함께 상기 제 2 신호 검출부를 선택하는 절체부와,
    상기 절체부를 통해 선택된 다수의 제 1 신호 검출부 및 제 2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분석부 및 협대역 분석부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여부를 분석하는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기울기와 진동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방재 분석부를 포함하여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전달받아 아크, 부분방전, 지진발생 유무, 변형유무, 지반침하로 인한 설비내의 이상현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관리하는 하이브리드 방재 진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장치는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영역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중심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축을 구비하는 가진부; 상기 가진부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구조물 저면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서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지지축을 구비하는 피가진부; 상기 가진부와 피가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지지축이 하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축이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진부로부터 피가진부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면진유닛 및 상기 가진부와 피가진부 사이에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면진유닛이 구조물의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정범위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피가진부와 가진부가 면진유닛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설정된 간격이 변형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면진유닛은, 상기 제1지지축이 삽입되도록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축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동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와 방진부가 교번으로 복수개 적층되며,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가진부 상면에서 상기 제1지지축을 중심으로 등 간격으로 상기 제1지지축의 돌출방향과 동일하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피가진부 상에서 상기 제2지지축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공 주변에서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체결공에 나사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부 지지프레임이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는 상기 절체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제 1 UHF 안테나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를 전달받아 광대역 및 협대역 분석부를 통해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 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분석부는 300MHz~1.5GHz 범위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고, 상기 협대역 분석부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10MHz 대역으로 분할한 후 노이즈 대역만 제거하고 부분방전 또는 아크를 진단하며, PRPD와 PRPS 분석기법으로 부분방전 또는 아크의 패턴 인식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는 상기 부분방전 및 아크 분석부의 결과에 따라 부분방전 또는 아크 신호의 정도와 부분방전 또는 아크 발생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상위 HMI,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고, 위험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메인 스위치 또는 각 수배전반 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차단하는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방재 분석부는 상기 제 1, 제 2 감지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진동 및 기울기 정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내진 성능의 분석을 통해 일상적인 진동인지,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기울기에 따라 메인 차단기의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외형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방진부는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면진유닛 상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제1지지축과 교차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16. 삭제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일체로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가상의 연장선을 탄력적으로 보호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KR1020170078512A 2017-06-21 2017-06-21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KR10181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12A KR101812119B1 (ko) 2017-06-21 2017-06-21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512A KR101812119B1 (ko) 2017-06-21 2017-06-21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119B1 true KR101812119B1 (ko) 2017-12-26

Family

ID=6093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512A KR101812119B1 (ko) 2017-06-21 2017-06-21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1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56A (ko) * 2018-07-10 2020-01-20 한국전력공사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171417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Ess의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0130B1 (ko) 2021-09-30 2022-04-25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전기화재 감시 기능을 갖는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KR102436484B1 (ko) * 2022-04-05 2022-08-26 주식회사 베스텍 배전반의 지진 검출을 이용한 지진 감지 및 진단시스템
KR102555049B1 (ko) * 2022-10-13 2023-07-17 주식회사 건우파워텍 배전함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441B1 (ko) * 2011-05-18 2011-10-26 (주)서전기전 초고주파 진동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열화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
KR101704611B1 (ko) * 2016-06-09 2017-02-08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내진 컨디션 분석장치
KR101727743B1 (ko) * 2016-12-09 2017-05-02 (주) 동보파워텍 태양광 접속반 내부의 이상 감시진단 및 원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441B1 (ko) * 2011-05-18 2011-10-26 (주)서전기전 초고주파 진동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열화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
KR101704611B1 (ko) * 2016-06-09 2017-02-08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내진 컨디션 분석장치
KR101727743B1 (ko) * 2016-12-09 2017-05-02 (주) 동보파워텍 태양광 접속반 내부의 이상 감시진단 및 원격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발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56A (ko) * 2018-07-10 2020-01-20 한국전력공사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366B1 (ko) * 2018-07-10 2020-07-24 한국전력공사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171417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Ess의 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0130B1 (ko) 2021-09-30 2022-04-25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전기화재 감시 기능을 갖는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KR102436484B1 (ko) * 2022-04-05 2022-08-26 주식회사 베스텍 배전반의 지진 검출을 이용한 지진 감지 및 진단시스템
KR102555049B1 (ko) * 2022-10-13 2023-07-17 주식회사 건우파워텍 배전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19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KR101704611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내진 컨디션 분석장치
KR1013411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US11284545B2 (en) Substation electromagnetic mitigation module housing input/output device
US5859590A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KR101590440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센싱 장치
KR100583791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102112561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배전반(고·저압배전반, mcc, 분전반, ess)
US8748771B2 (en) Electric switchgear panel with improved arc protection assembly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394535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640439B1 (ko)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620363B1 (ko) 내진 장치가 적용된 고압반, 저압반, 모터콘트롤반, 분전반을 포함하는 내진 대응 배전반 및 내진 대응 배전반 시스템
KR101443676B1 (ko) 차폐성능 자동 감시기능을 가진 지능형 emp 방호용 차폐시스템
JP2009210541A (ja) エポキシ絶縁形電気機器の部分放電検出方法および部分放電検出装置
CN103444029A (zh) 具有排气组件的电气开关柜
US5124687A (en) Power apparatus, power transmission/distribution unit, and tripping method therefor
KR102360273B1 (ko) 함체의 진동감쇠장치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KR101607241B1 (ko)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2332546B1 (ko) 함체의 진동감쇠장치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006205A (ko) 수배전반
KR102583361B1 (ko) 핫가스 자동배출 및 자동복원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US11837862B2 (en) Arc-flash sensor using optical fiber
KR101876340B1 (ko) 열화 및 지진에 대한 안전사고 방지 태양광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