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256A -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256A
KR20200006256A KR1020180079756A KR20180079756A KR20200006256A KR 20200006256 A KR20200006256 A KR 20200006256A KR 1020180079756 A KR1020180079756 A KR 1020180079756A KR 20180079756 A KR20180079756 A KR 20180079756A KR 20200006256 A KR20200006256 A KR 2020000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data
power equipment
sensor module
unit
risk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366B1 (ko
Inventor
정정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7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설비에 부착되며,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ANAGING POWER FACI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 설비와 같은 전력 설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은 전력 설비에 내진재 등의 내진 장치를 적용하는 등 구조적 관점에서만 접근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내진재 등의 하드웨어만에 의존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방안은 전력 설비에 대한 통합적인 상태 확인 및 판단 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열화에 의해 내진재가 파손되거나 내진장치가 부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진장치에 대한 상태 확인이 어려워 파손 및 부식에 대한 조기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전력 설비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종래 하드웨어적인 접근에 따른 안전 관리 방식은,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또는 연약지반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반 침하 등 여러가지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는 전력 설비에 대한 안전 관리 방안으로서 한계를 갖는다.
즉, 지진으로 인한 설비 전복, 지반 침하 및 액상화 현상으로 인해 안전 사고 발생 시 막대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초래될 수 있는 점에서, 전력 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589호(2006.07.2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지진과 같은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속 사고를 예방하고 변전소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은 전력 설비에 부착되며,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변위 데이터는,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현장에서의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판단 결과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센서부는, 제1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설비와 구분되는 제2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변위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전력 설비에 부착되어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분석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방법은 전력 설비에 부착된 센서부가,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변위 데이터는,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가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서의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하기 위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전력 설비에 부착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이, 상기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이,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력 설비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IoT 센서)를 통해 전력 설비의 변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쉽게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요인 발생에 따른 후속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변전소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에서 센서부의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관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에서 센서부의 구현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은 센서부(10), 모니터링부(20) 및 경보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10)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 및 메인 센서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20)는 분석부(21) 및 인터페이스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는 발전소 등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 등 모든 전력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0)는 전력 설비에 부착되며,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0)는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여 무선 전송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 설비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전소에 설치되는 주변압기,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 보호계전기, 분로 리액터, 부싱(Bushing) 및 애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위험 요인에는 자연재해(예: 지진), 지반 침하 및 전력 설비 자체의 열화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전력 설비의 변위를 초래하는 모든 요인이 외부 요인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10)가 획득하는 변위 데이터는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는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전력 설비의 최상부가 이격된 변위를 계측하여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설비에 발생한 진동으로 인해 전력 설비에 형성되는 가속도를 계측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데이터는 후술할 모니터링부(20)에 의해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전력 설비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20)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21), 및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분석부(21)로부터 전달받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23)를 포함하도록, 그 기능적으로 구분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분석부(21)는 각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부(10)로부터 변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각 현장의 위험 요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통합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23)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분석부(21)의 판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자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경보부(30)는 전력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 설치되어 현장에서의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경보부(30)는 현장에서의 위험 요인의 발생을 청각적으로 경보하기 위한 사이렌 장치, 또는 시간적ㅇ로 경보하기 위한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위험 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황에서 예측되는 전력 설비의 변위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기준 기울기 데이터 또는 기준 가속도 데이터)로서 모니터링부(2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즉, 센서부(10)에 의해 획득되는 기울기 데이터 또는 가속도 데이터가 각각 기준 기울기 데이터 또는 기준 가속도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20)는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판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경보부(3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현장에서의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나아가, 모니터링부(20)는 변위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되는 전력 설비의 변위 정도에 따라 경보부(30)를 통해 차별적인 경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예: 주의, 점검, 위험(트립))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 및 제1 전력 설비와 구분되는 제2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여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에 의해 획득된 변위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메인 센서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다 넓은 현장 또는 큰 전력 설비 등에 다수의 센서를 확장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을 통해 변위 데이터 수집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이 제1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메인 센서 모듈(13)이 제2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한 후, 획득된 변위 데이터가 메인 센서 모듈(13)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메인 센서 모듈(13)을 통해 각 전력 설비의 변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센서 모듈(13)은 변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LCD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센서 모듈(13) 및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예: RS-485 통신)
슬레이브 센서 모듈(11) 및 메인 센서 모듈(13)을 포함하는 센서부(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은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고, 메인 센서 모듈(13)은 전력 설비에 부착되어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부(20)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메인 센서 모듈(13)에 의해 획득된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설비에 형성되는 기울기 또는 가속도는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뿐만 아니라 전력 설비에 대한 점검 및 보수와 같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전력 설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에 대한 정확한 감시를 위해서는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와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부(20)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메인 센서 모듈(13)에 의해 획득된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초과하였으나,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아닌, 점검 및 보수와 같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전력 설비의 변위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가 모두 기준 데이터를 초과한 경우에는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부(20)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지진의 크기를 등급화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예: 미국 지질조사국 기준에 따라 약진, 중진 및 강진의 3등급 표현)
전술한 과정을 통해, 모니터링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변위 데이터 및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 판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PC(도 4의 (a)) 및 스마트폰(도 4의 (b))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전력 설비에 부착된 센서부(10)는,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S10). 변위 데이터는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모니터링부(20)는 센서부(10)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S20).
이어서, S20 단계에서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모니터링부(20)는 경보부(3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킨다(S3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0)는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 및 전력 설비에 부착되는 메인 센서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10 단계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11)이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S11 단계, 및 메인 센서 모듈(13)이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S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20 단계에서 모니터링부(20)는 S11 단계에서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S13 단계에서 획득된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력 설비에 부착된 소정의 센서(IoT 센서)를 통해 전력 설비의 변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쉽게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요인 발생에 따른 후속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변전소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부
11: 슬레이브 센서 모듈
13: 메인 센서 모듈
20: 모니터링부
21: 분석부
23: 인터페이스부
30: 경보부

Claims (12)

  1. 전력 설비에 부착되며,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데이터는,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현장에서의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판단 결과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설비와 구분되는 제2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변위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전력 설비에 부착되어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분석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8. 전력 설비에 부착된 센서부가,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전력 설비의 변위를 센싱하여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변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변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데이터는,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기울기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위험 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가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현장에서의 상기 위험 요인의 발생을 경보하기 위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 설비가 설치된 지면에 부착되는 슬레이브 센서 모듈, 및 상기 전력 설비에 부착되는 메인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이, 상기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이,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슬레이브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면에 대한 변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전력 설비에 대한 변위 데이터를 복합 분석하여 상기 위험 요인으로서의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관리 방법.
KR1020180079756A 2018-07-10 2018-07-10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56A KR102137366B1 (ko) 2018-07-10 2018-07-10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756A KR102137366B1 (ko) 2018-07-10 2018-07-10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256A true KR20200006256A (ko) 2020-01-20
KR102137366B1 KR102137366B1 (ko) 2020-07-24

Family

ID=6936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756A KR102137366B1 (ko) 2018-07-10 2018-07-10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3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119B1 (ko) * 2017-06-21 2017-12-26 주식회사 에너솔라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119B1 (ko) * 2017-06-21 2017-12-26 주식회사 에너솔라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 ess 설비의 하이브리드 종합 방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366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9883B (zh) 結構體安全性之分析方法
US9823289B2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KR10200420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68888B1 (ko) IoT 기반 건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21134B1 (ko) 낙뢰 경보, 예방 시스템
KR20060010852A (ko) 구조물 붕괴 예측 및 방지장치
CN117407679B (zh) 智能末屏传感器的数据采集方法及系统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CN115452054A (zh) 一种电力柜的安全防护监控系统
Aly et al. Towards a fully automated monitoring system for Manhole Cover: Smart cities and IOT applications
JP2009281924A (ja) 地盤崩壊予測警報システム及び地盤崩壊予測警報方法
US20180156857A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KR20170101680A (ko)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과부하겸용 아크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697832A (zh) 一种换流站地震预警监测方法
CN110223472A (zh) 基于声阵列的输电线路防外力破坏监测装置
KR102486079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피뢰침 시스템
KR102137366B1 (ko)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941271A (zh) 满堂支架安全预警施工工艺
CN103499458B (zh) 工程结构损伤表征的变标距测试方法
CN203855261U (zh) 一种电梯运行实时监控系统
KR101631152B1 (ko)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KR20200080033A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102058382B1 (ko) 구조물 손상여부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2982503A (zh) 基于地铁基坑施工监测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66087A (ko) 주상변압기 통합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