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52B1 -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52B1
KR101631152B1 KR1020150039141A KR20150039141A KR101631152B1 KR 101631152 B1 KR101631152 B1 KR 101631152B1 KR 1020150039141 A KR1020150039141 A KR 1020150039141A KR 20150039141 A KR20150039141 A KR 20150039141A KR 101631152 B1 KR101631152 B1 KR 10163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acceleration
seismic
data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신기술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신기술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전기신기술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5003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4Displaying seismic recordings or visualisation of seismic data or attribu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변전실 등에 설치된 내진 배전반에 있어 실제 지진 발생시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통해 발생된 지진의 강도를 평가하여 내진 배전반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설치된 내진 배전반이 내진성능을 갖는 한계치를 검증할 수 있는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검증된 내진 배전반에서 측정되어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장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배전반의 실제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된 배전반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견딜 수 있는지 검증할 수 있고 실제 측정 데이터가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구호 활동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지진 발생시에는 표시된 신호만으로 판단하여 현장 점검은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점검 인력 소모 등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Measuring system of seismic vibration and evaluation method seismic performance of switch 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내진 성능을 간단한 방법으로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크고 작은 지진으로 인해 수많은 인명 및 재산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이나 중국 등 주변국에서 강력한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크고 작은 지진이 연이어 발생되고 있는 시점이므로 결코 안전지대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지진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만일의 사태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국가 재난시스템 정비 및 건축물의 내진 설계 강화와 같은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건물들이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상태이고,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지진의 피해를 완벽하게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공장이나 빌딩과 같은 대용량 전력 수용가에는 한전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의 전력을 수전받아 저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배전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변전실은 전기 설비의 특성상 대부분 인적 왕래가 드문 건물의 지하 또는 옥상과 같은 외진 장소에 설치된다.
이렇게 변전실 등에 설치되는 수배전반은 지진 발생시 내부 기기들이 손상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진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변전실 등에 설치되는 내진형 배전반은 일정한 기준 강도의 내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되고는 있으나, 이는 단지 지진 발생시에도 배전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외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647호는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수배전반의 베이스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지진 감지 센서가 지면의 진동 상태를 상시 감지하여 지진 발생시 초기에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이 기술에서는 배전반 베이스에 설치된 지진 감지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상태신호’를 분석하여 진도 계급에 따라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나, 여기에 제안된 기술은 배전반 내에 지진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여기에서 직접 입력되는 진동상태신호를 진도 계급에 따른 수치와 비교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불과하며, 배전반의 자체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나 배전반의 내진 성능을 고려하여 배전반이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한계치를 검증하는 것과는 관련성이 없다.
<기타 관련 선행기술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928호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8279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25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건물의 변전실 등에 설치된 내진 배전반에 있어 실제 지진 발생시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통해 발생된 지진의 강도를 평가하여 내진 배전반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설치된 내진 배전반이 내진성능을 갖는 한계치를 검증할 수 있는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 검증 대상 배전반의 측정 지점에서 지진 진동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지진 진동 계측기;
(2)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측정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3)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그 비율(%)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내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시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에 저장하는 단계;
(c) 검증 대상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진 진동 발생시 상기 검증 대상 배전반에 설치된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할 경우 그 비율(%)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기존의 지진 감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처럼 지진 진동 상태를 상시 감지하여 지진 발생시 그 신호를 중앙 통제실이나 제어실로 전송하여 긴급 피난이나 구호활동, 재난기관 연락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2. 기존에 검증된 내진 배전반에서 측정되어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장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배전반의 실제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된 배전반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견딜 수 있는지 검증할 수 있고 실제 측정 데이터가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구호 활동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3.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지진 발생시에는 표시된 신호만으로 판단하여 현장 점검은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점검 인력 소모 등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와,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는 검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X축, Y축 및 Z축에 따른 지진파의 형태를 나타낸 것(a) 및 이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b)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기존의 배전반, 내진 배전반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647호와 같이, 지진 감지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및 내진 배전반의 경우에는 단순히 배전반 내부에 지진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이를 통해 지면의 진동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 통제실에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순한 진동 신호를 전달하는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실제 지진 발생시 지진 진동 계측기를 통해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통해 발생된 지진의 강도를 평가하여 내진 배전반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설치된 내진 배전반이 내진성능을 갖는 한계치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고,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한계치를 상회하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지진 발생시에는 표시된 신호만으로 판단하여 현장 점검은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점검 인력 소모 등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은
(1) 검증 대상 배전반의 측정 지점에서 지진 진동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지진 진동 계측기;
(2)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측정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3)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그 비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는 다른 말로 지진 감지 센서, 지진 감지기 등의 용어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의 지진 진동 계측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를 내진형 배전반에 설치한 후, 내진 실험기를 통해 일정 강도의 지진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측정 신호를 얻는다.
이어서 상기 측정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데이터 연산부에 저장한다.
이후, 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현장에서 실제 모니터링되는 측정 신호를 얻는다. 이 후 상기 실제 모니터링되는 측정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 연산부에서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한다.
이와 같이 시험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와 실제 현장에서 모니터링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하여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표시부에서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실제 모니터링된 지진 진동 계측기의 측정 신호가 상기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할 경우 표시부에서 그 비율(%)을 표시하여 한계치까지의 마진(margin, %)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와,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비교하는 검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 곡선이, 사전 시험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 곡선을 하회하므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지는 않고 표시부에서 그 상대적인 비율(%)과 마진 비율(%)을 표시한다.
만약,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 곡선이, 사전 시험에 의해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 곡선을 상회할 경우에는 표시부에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렇게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건물의 파손과 관계없이 배전반을 점검해야 하며, 점검에 따라 필요한 경우 교체를 진행해야 한다.
도 2에서는 일축으로만 이루어진 검증 곡선을 나타내었으나, 실제 지진파의 경우 X, Y, Z 3축 방향으로 진행되며, 각 축에 대하여 P, S, L파로 진행되므로(도 3 참조) X축, Y축 및 Z축의 각 축에 따른 검증 곡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전반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은
(a) 내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시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에 저장하는 단계;
(c) 검증 대상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진 진동 발생시 상기 검증 대상 배전반에 설치된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할 경우 그 비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내진형 배전반을 내진 시험실에서 상기 재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지진 진동 시험을 실시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고, 이를 데이터 연산부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설치된다.
또한, 현장에 설치되는 검증 대상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실제 지진 진동 발생시 상기 검증 대상 배전반에 설치된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에 입력한다. 이 후, 이를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한다.
이후, 상기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표시부에서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할 경우 표시부에서 그 비율(%)을 표시하고, 필요시 그 마진(margin)을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것은 위의 본 발명의 지진 진동 계측 시스템 부분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검증된 내진 배전반에서 측정되어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장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는 배전반의 실제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된 배전반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견딜 수 있는지 검증할 수 있고 실제 측정 데이터가 기 저장된 지진 진동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구호 활동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전반을 보호하고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지진 발생시에는 표시된 신호만으로 판단하여 현장 점검은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점검 인력 소모 등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삭제
  2. (a) 내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시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는 단계;
    (b) 상기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에 저장하는 단계;
    (c) 검증 대상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진 진동 발생시 상기 검증 대상 배전반에 설치된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할 경우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표시하고,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할 경우 그 상대적인 비율(%) 및 상기 (b)에서 저장된 검증 데이터의 한계치까지의 마진 비율(%)을 표시하는 단계; 및
    (e)상기 (d)에서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하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을 점검하고,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하회하여 배전반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인 경우에는 현장에 설치된 배전반의 점검을 생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 내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시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는 것은, 지진 진동 계측기를 내진형 배전반에 설치한 후, 내진 실험기를 통해 일정 강도의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측정 신호를 얻고, 상기 측정된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단계에서 검증 대상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진 진동 발생시 상기 검증 대상 배전반에 설치된 지진 진동 계측기에서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은, 현장에 실제 설치되는 배전반에 지진 진동 계측기를 설치하고 현장에서 실제 모니터링되는 측정 신호를 얻은 후, 상기 실제 모니터링되는 측정 신호를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 기 저장된 검증 대상 내진형 배전반의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단계에서, 상기 (d)에서 상기 (c)에서 얻어진 실제 모니터링된 주파수 대비 가속도 데이터가 상기 (a)에서 얻어진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상회하여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는 건물의 파손 여부와 관계없이 배전반을 점검하고, 점검 결과에 따라 배전반을 교체하며,
    상기 (a)에서 내진형 배전반에 지진 진동 시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비 가속도 검증 데이터를 얻음에 있어 지진파의 X축, Y축 및 Z축의 각 축에 따른 검증 곡선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배전반의 성능 검증 및 보호 방법.
KR1020150039141A 2015-03-20 2015-03-20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KR10163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41A KR101631152B1 (ko) 2015-03-20 2015-03-20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41A KR101631152B1 (ko) 2015-03-20 2015-03-20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52B1 true KR101631152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41A KR101631152B1 (ko) 2015-03-20 2015-03-20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689B1 (ko) * 2020-08-31 2021-11-09 주식회사 정우계전 광 방식의 거리 측정에 의한 전기설비의 내진장치 모니터링 및 지진 감지방법
WO2022114345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지진으로부터 보호 대상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내진 장치를 포함하는 계장제어반 및 빌딩자동제어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967A (ko) * 2004-03-17 2005-09-23 이근호 구조물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8401U (ko) * 2008-02-15 2009-08-20 롯데건설 주식회사 대형 구조물의 제진장치
KR20140055013A (ko) * 2012-10-30 2014-05-09 (주)세강엔지니어링 내진 보안 시스템이 적용된 배전반
KR20150018215A (ko)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967A (ko) * 2004-03-17 2005-09-23 이근호 구조물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8401U (ko) * 2008-02-15 2009-08-20 롯데건설 주식회사 대형 구조물의 제진장치
KR20140055013A (ko) * 2012-10-30 2014-05-09 (주)세강엔지니어링 내진 보안 시스템이 적용된 배전반
KR20150018215A (ko)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689B1 (ko) * 2020-08-31 2021-11-09 주식회사 정우계전 광 방식의 거리 측정에 의한 전기설비의 내진장치 모니터링 및 지진 감지방법
WO2022114345A1 (ko) * 2020-11-30 2022-06-0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지진으로부터 보호 대상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내진 장치를 포함하는 계장제어반 및 빌딩자동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2851B2 (ja) 建物の耐震性能評価方法及び装置
CN105547617B (zh) 一种特高压变电站主设备瓷套管抗震性检测方法及组件
US20140278150A1 (en) Utility pole condition sensors
TWI449883B (zh) 結構體安全性之分析方法
US10871003B2 (en) Power pole system
US10317452B2 (en) Testing device, testing method, and program for power system protection control system
KR101262907B1 (ko)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N110456244A (zh) 一种盆式绝缘子结构状态带电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631152B1 (ko) 지진 진동의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전반의 내진 성능 평가 방법
KR102631867B1 (ko)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US10520539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in high-voltag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Sakthimohan et al. Optimized Transmission Line Flaw Disclosure and Inkling System Based on IOT
KR102491071B1 (ko) 전력기기 열화상태 진단 및 활선부 감전사고 예방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CN109211390A (zh) 输电塔振动及强度安全测试和评估方法
KR101544200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시스템 및 지진 경보 방법
Gilani et al. Seismic evaluation of suspended ceiling systems using static and dynamic procedures
KR102151709B1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JP2010054440A (ja) 等電位接続と基礎杭アース板への現場サージ電流放電実験検査方法及び放電試験装置並びに放電監視方法
CN111024120B (zh) 一种智能电力井盖倾角监测装置的检验方法
KR101685101B1 (ko) 내진 기능을 구비한 전력 제어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9326843U (zh) 一种智能锚栓和带有该智能锚栓的钢板支撑结构
Donavin et al. Technical basis for proposed ASME section XI code case on beyond design bases earthquake
CN103323282A (zh) 一种塔式起重机安全评估方法及其评估设备
JPWO2020018753A5 (ko)
WO2015049248A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eismic monitoring system and seismic monitoring system thus obt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