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115B1 -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115B1
KR102231115B1 KR1020200116700A KR20200116700A KR102231115B1 KR 102231115 B1 KR102231115 B1 KR 102231115B1 KR 1020200116700 A KR1020200116700 A KR 1020200116700A KR 20200116700 A KR20200116700 A KR 20200116700A KR 102231115 B1 KR102231115 B1 KR 10223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vertical
brack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1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하부에 면진장치를 구비하여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쇠하고, 프레임과 정보통신장비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 하부브래킷과 상, 하부완충패드와 상, 하부접촉판을 구비하여, 바닥으로부터 랙에 가해지는 진동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 내의 타 물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정보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통신장비의 하면에 맞닿는 부분에 복수개의 방열핀을 구비하여 정보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게 하여 정보통신장비를 과열에 의한 오작동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Enhanced anti-seismic stor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 분야 기술 중에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닥으로부터 랙에 가해지는 진동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 내의 타 물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정보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통신장비의 하면에 맞닿는 부분에 복수개의 방열핀을 구비하여 정보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게 하여 정보통신장비를 과열에 의한 오작동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관한 것이다.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을 지진(地震, earthquake)이라고 하며, 이러한 지진이 일어나는 원리는 탄성반발(elastic rebound)이다. 지층은 힘을 받으면 휘어지며 모습이 바뀐다. 그러다 버틸 수 없을 만큼의 힘이 축적되면 지층이 끊어져 단층이 되고,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 밖에도 화산활동으로 지진이 발생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 규모가 비교적 작다. 또한 폭발물에 의해 인공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지진은 그 형태와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구조지진(tectonic earthquake), 화산지진(volcanic earthquake), 함몰지진(implosions or collapse earthquake)으로 나눈다. 이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인 에너지가 발생된 점을 진원(earthquake focus), 진원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지표면을 진앙(epicenter)이라고 한다. 진앙은 진원에서 가장 가까운 지표이기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입는다.
지진은 수m 길이에 몇cm의 어긋남이 생기는 소규모 단층으로부터 수백km 길이에 몇m의 어긋남이 생기는 대규모 단층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지진의 피해는 주로 지진파의 전파과정에서 지면의 급격한 진동에 기인한다.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지면가속도는 1g를 넘기도 한다. 지진의 크기는 지진파에너지의 크기에 따른 규모(magnitude: M)로 표시한다.
아래의 식은 규모 M과 에너지 E(erg)의 관계이다.
log E=12.24+1.44 M
위의 식에 따르면, 지진의 규모는 한 단위가 증가할 때 그에 따른 에너지가 25∼30배 증가한다. 보통 느낄 수 있는 지진의 규모는 2.0 이상이며, 큰 피해를 주는 지진은 대개 6.0 이상이다. 지진의 진도(震度)는 지표상의 한 지점에서 지면진동의 세기와 이에 따른 피해에 대한 척도이다. 따라서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그 진도는 위치에 따라 변한다. 진도는 대체로 진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며, 그 값은 규모 외에도 여러 요소에 관계된다.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진도(intensity)와 규모(magnitude)가 사용된다.
규모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방출되는 파동에너지와 연관되는 양으로써, 지진의 진앙, 진원 깊이, 발생시각 등과 같이 특정지진에 대하여 일정한 값으로 정해지는 양이다. 보통의 경우 지진을 이야기할 때 진앙, 진원 깊이, 발생시각 및 규모를 같이 정해준다.
이에 비해 진도는 지진에 의한 효과 즉 건물이나 지형 등에 끼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지진의 크기를 구분한 척도이다. 따라서 같은 지진에 대하여도 진앙지 부근에서는 큰 값을 갖고 먼 곳에서는 작은 값을 갖게 된다.
충적토(沖積土)나 매립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얕은 토양층이나 기반암 지대에 비하여 진도가 크게 나타나며, 주위보다 피해가 큰 부실건물의 경우에도 큰 진도를 기록하게 된다.
진도 표시에는 보통 일본기상청(Japanese Meteorological Agency: JMA)의 진도계급과, 미국의 수정 메르칼리(Modified Mercalli: MM)진도계급이 쓰인다. MM진도계급은 지진을 12계급으로 나누고, JMA진도계급에서는 8계급으로 나뉘는데, 한국은 JMA진도계급을 사용하다가 2001년부터는 미국의 MM진도계급을 사용하고 있다.
이 진도계급은 작은 규모의 지진에 대해서는 사람이 감응하는 정도에 따라 그 세기를 정하고,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날 때에는 건물의 피해 정도에 따라 지진의 세기를 결정하는 척도이다.
MM진도계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진도1-없음.
진도2-섬세하게 매달린 물체가 흔들림.
진도3-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림, 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은 진동 및 지속시간 산출됨.
진도4-그릇, 창문, 문 등이 흔들리며 벽이 갈라지는 듯한 소리가 남, 대형트럭이 벽을 받는 느낌을 줌, 정지한 차가 뚜렷하게 흔들림.
진도5-그릇과 창문이 깨어지기도 하며, 고정이 안 된 물체는 넘어지기도 함.
진도6-무거운 가구가 움직이기도 하며, 건물벽에 균열이 생기기도 함.
진도7-설계와 건축이 잘 된 건축물에서는 피해를 무시할 수 있으나, 보통 건축물은 약간의 피해 발생, 부실건축물은 상당한 피해 발생, 굴뚝이 무너짐.
진도8-특수 설계된 건축물에 약간의 피해 발생, 일반 건축물에도 부분적인 붕괴 등 상당한 피해, 부건축물은 극심한 피해 발생, 상품, 굴뚝, 기둥, 기념비, 벽돌이 무너짐.
진도9-특수 설계된 건축물에도 상당한 피해발생, 견고한 건축물에 부분적 붕괴발생, 지표면에 균열발생, 지하송수관 파손.
진도10-대부분의 건축물이 기초와 함께 부서짐, 지표면에 심한 균열이 생김, 철로가 휘고 산사태가 발생함.
진도11-남아 있는 건축물이 거의 없으며 지표면에 광범위한 균열이 생김, 지표면이 침하하고 철로가 심하게 휨.
진도12-전면적인 파괴 상황, 지표면에 파동이 보임, 수평면이 뒤틀리며 물건이 하늘로 던져짐.
상기 MM진도계급에 따르면, 진도 3 이하에서는 인체가 지진을 감응하기 어려우며 민감한 사람만이 지진을 감응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MM진도계급 진도 4를 넘으면 건물 등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365호(2010.07.20. 공고)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응답하는 면진 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기술 1은 유동방지부가 하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형성됨에 따라, 지진에 의해 수평이동의 변위가 발생된 후, 초기위치로 복귀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위치가 원래의 초기의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에 유동방지부가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에 약진유동방지홈이 형성됨에 따라, 면진장치 시공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따로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2735호(2019.04.25. 공고) "면진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각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틸볼과,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직각방향으로 마주보며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지진발생시 면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 또는 장비 등의 흔들림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 흔들린 구조물 또는 장비 등이 이른 시간 내에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여 지진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각종 전자장비를 보관하는 함체로서 사용되는 랙(Rack)은 서버를 포함한 네트워크장비, 전산장비 등의 장착을 위한 국제규격(IEC)의 함을 일컫는 것으로, 서버나 허브 등과 같은 전산장비와 통신장비들의 구성 및 설치수납을 위해 층별로 쌓아두는 랙 마운트 방식으로 주로 제작되며, 장착되는 전산장비에 따라 서버랙, 허브랙, 통신랙, 네트워크시스템랙, CCTV랙, 멀티랙 등으로, 전산장비의 외형사이즈에 따라 19인치 랙/ 21인치 랙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먼지유입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밀폐랙, 지진에 대비하여 진동방지 기능을 가진 내진 랙, 전자기 펄스, 핵무기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은 전자기기에 과전류를 일으켜 영구적인 파손을 가져오는 데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EMP차폐랙, 전자기 펄스, 핵무기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은 전자기기에 과전류를 일으켜 영구적인 파손을 가져오는 데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EMC차폐랙, 전자파의 차단기능을 가진 EMI차폐랙, 선박 및 차량탑재용으로 외부의 물리적인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무진동랙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랙은 프로파일과 같은 프레임과 연결구를 이용하여 사각형틀로 조립하고, 전면 혹은 후면 측에 여닫이 도어, 상판, 바닥판 및 측판을 각각 부착하는 형태로 구축하여 부스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랙의 내부에는 서버나 각종 통신장비, 전산장비 등을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진 발생시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장비들을 보호하고, 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열 방출장치, 면진장치 등 다양하게 설치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다.
이는 현대화 되면서 고성능화의 전산장비들을 랙 내부에 내장,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지진발생시에 그 진동이 그대로 가해질 경우 시스템정지, 고장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지진 발생시 최대한 상기와 같은 장비를 보호하여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일반적이지만, 지진력은 알 수 없는 주기, 속도, 변위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지진력에 대비한 랙에도 내진 설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랙에 관련한 선행기술들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36675호(2019.04.05. 공개) "서버랙의 면진장치"(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722685호(2017.03.28. 등록) "지진동에 대응 가능한 전산장비용 면진 랙"(이하 '선행기술 4'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1324066호(2013.10.28. 등록) "뒤틀림 방지수단을 구비한 랙 및 이를 이용한 랙 어셈블리"(이하 '선행기술 5'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은, 서버랙 하부에 설치하여 지진 발생시에 서버랙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서버랙에 미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저마찰 소재로 되며 슬라이딩면이 상하로 마주보고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시트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시트 간의 상대변위량을 제한하고 상대이동한 슬라이딩시트를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서스팬더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상하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부재를 지지하는 방진고무매트와; 상부 방진고무매트 상면에 결합되어 부하분산 플레이트와; 하부 방지고무매트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매트;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특허문헌 4는, 프레임의 하부에 면진수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지진 발생시 내부에 보관된 전산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지진동에 대응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대한 구성은 전산장비가 내측에 고정 또는 안착되도록 내부가 상하로 적어도 한 단 이상이 구획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상부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면진판이 각각 설치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부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하부곡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면진판이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곡면과 상기 하부곡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진 발생시 구름 운동하면서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전해지는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상부플레이트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면진볼로 이루어진 면진수단; 상기 하부고정판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설치된 캐스터; 상기 하부고정판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조절 높이에 따라 캐스터 대신에 바닥에 안착되거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레그; 및 상기 면진수단에 구비되어 조작에 따라 상부플레이트가 하부플레이트 상에서 유동하지 않게 상부플레이트를 하부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5는, 상기 내측 방향 절곡면을 갖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절곡면을 상호 연결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결합부가 외부 요인에 의하여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뒤틀림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뒤틀림 방지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절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접하는 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절곡면 단부에서 상, 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선절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선절개부에 대응하는 대응사선부들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3, 4는 랙의 하부에 내진에 대비하는 방진구조를 채택한 것이고, 특허문헌 5는 랙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랙이 거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진동을 흡수하고, 랙 자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레임의 연결구조는 지진에 의한 진동력이 서버랙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함으로써 지진으로부터 랙에 설비된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 3, 4, 5의 랙은 선행기술 1, 2의 면진장치 상에 설치함으로써 내진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면진장치를 사용하고 랙 프레임을 내진 구조로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랙과 통신장비 사이의 진동전달을 감쇠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지진 진동에 의한 통신장비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남게 된다.
즉, 랙의 하부에 면진장치를 설치하여 바닥에서 랙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고 하더라도 지진발생시 바닥에서 랙에 전달되는 진동 외에 같은 공간에서 타 물체로부터 랙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에 대해서는 방어하지 못하게 되므로 통신장비를 지진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랙에는 통신장비를 서랍식으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랙 프레임의 좌우측에 복수층의 레일이 설치되는데 이 레일은 통상적으로 서로 마주보고 개방된 ㄷ자형으로 구성되어 통신장비의 좌우측에 구비된 브래킷이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랙에 가해진 진동이 랙 프레임과 레일과 브래킷을 통해 통신장비에 전달되어 통신장비의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365호(2010.07.20. 공고)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응답하는 면진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2735호(2019.04.25. 공고) "면진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36675호(2019.04.05. 공개) "서버랙의 면진장치" 등록특허 제10-1722685호(2017.03.28. 등록) "지진동에 대응 가능한 전산장비용 면진 랙" 등록특허 제10-1324066호(2013.10.28. 등록) "뒤틀림 방지수단을 구비한 랙 및 이를 이용한 랙 어셈블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으로부터 랙에 가해지는 진동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 내의 타 물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정보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통신장비의 하면에 맞닿는 부분에 복수개의 방열핀을 구비하여 정보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게 하여 정보통신장비를 과열에 의한 오작동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통신장비가 내측에 다단으로 고정 또는 안착되도록 측면가이드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상부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면진판이 각각 설치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부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하부곡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면진판이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곡면과 상기 하부곡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진 발생시 구름 운동하면서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전해지는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상부플레이트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면진볼로 이루어진 면진수단;을 포함하는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의 안쪽면에 맞닿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부하측수평판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상측수평판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과 상부상측수평판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편과, 상기 상부상측수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에 고정되는 상단고정편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하부상측수평판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하측수평판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과 하부하측수평판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편과, 상기 하부하측수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편를 포함하는 레일과;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브래킷과,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브래킷을 포함하는 상부브래킷과;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브래킷과,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브래킷을 포함하는 하부브래킷과;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부수평패드부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패드부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하단면이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의 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하향완충돌기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상향완충돌기와, 상기 상부수직패드부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수직브래킷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내향완충돌기 및, 상기 상부수직패드부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외향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상부완충패드와;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에서 하부로 이격된 하부수평패드부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패드부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단면이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의 하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상향완충돌기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하향완충돌기와, 상기 하부수직패드부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수직브래킷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내향완충돌기 및, 상기 하부수직패드부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외향완충돌기를 포함하는 하부완충패드와;
하면이 상기 상부완충패드의 상부상향완충돌기의 상단면에 맞닿으며 상면이 상기 상부하측수평판의 하면에 맞닿는 상부수평접촉판과, 상기 상부수평접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상부외향완충돌기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의 안쪽면에 맞닿는 상부수직접촉판을 포함하는 상부접촉판과; 상면이 상기 하부완충패드의 하부하향완충돌기의 하단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하면에 맞닿으며 하면이 상기 하부하측수평판의 상면에 맞닿는 하부수평접촉판과, 상기 하부수평접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하부외향완충돌기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의 안쪽면에 맞닿는 하부수직접촉판과, 상기 하부수평접촉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하부접촉판과;
상기 상부수평접촉판과 상부수평패드부 및 상부수평브래킷을 상하로 관통하며 하단에 상부이탈방지너트가 체결되는 상부안내볼트와; 상기 하부수평접촉판과 하부수평패드부 및 하부수평브래킷을 상하로 관통하며 상단에 하부이탈방지너트가 체결되는 하부안내볼트; 및
상기 상부수평브래킷과 하부수평브래킷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부에 면진장치를 구비하여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쇠함과 아울러 프레임과 정보통신장비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 하부브래킷과 상, 하부완충패드와 상, 하부접촉판을 구비하여, 바닥으로부터 랙에 가해지는 진동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 내의 타 물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정보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으며, 정보통신장비의 하면에 맞닿는 부분에 복수개의 방열핀을 구비하여 정보통신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게 하여 정보통신장비를 과열에 의한 오작동과 고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보관함이 바닥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횡단면도,
도 3은 보관함이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복수개의 보관함이 좌우 연속 설치되어 연결판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정보통신장비가 보관함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 하부접촉판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정보통신장비가 보관함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1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선행기술 4인 등록특허 제10-1722685호에 따른 것으로, 그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면진수단(20)과 캐스터(30)와 레그(40) 및 고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다.
즉, 프레임(10)은 전면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혹은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개방된 전면부에는 투명창 혹은 불투명창이 구비된 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산장비를 상하로 1단 이상으로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선반(미도시)이 측면가이드(12)와 마운트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수평으로 평행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면진수단(20)은 프레임(10)의 내부에 보관되는 전산장비를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지진 발생시 바닥을 통해 프레임(10)으로 전달된 지진 및 진동에너지를 상쇄시켜 면진하는 것이다.
즉, 면진수단(20)은 지진 발생시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프레임(10)을 통해 전산장비로 전달되지 않도록 프레임(10)과 바닥 사이에서 지진 및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면진 작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면진수단(2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판(21)과 상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4)와 하부고정판(26) 및 면진볼(2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판(21)은 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상부플레이트(22)를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2)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부고정판(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중심이 가장 깊은 오목한 하부곡면(23a)이 하면에 함몰 형성된 상부면진판(23)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4)는 상부플레이트(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부플레이트(22)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중심이 가장 깊은 오목한 상부곡면(25a)이 상면에 함몰 형성된 하부면진판(25)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판(26)은 하부플레이트(2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24)를 후술할 레그(4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고정판(21)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면진볼(27)은 상부면진판(23)의 상부곡면(23a)과 하부면진판(25)의 하부곡면(25a)의 사이 중심에 위치되어 상부곡면(23a)과 하부곡면(25a)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는 것이다.
즉, 지진이 발생하여 후술할 레그(40)를 통해 하부플레이트(24)로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전달되면 하부플레이트(24)가 지진 및 진동에너지에 대응되게 유동하고 이에 대응되게 면진볼(27)도 부면진판(23)의 상부곡면(23a)과 하부면진판(25)의 하부곡면(25a)에 밀착된 상태로 구름 운동하여 지진 및 진동에너지를 상쇄시킴으로써 프레임(10)이 고정된 상부플레이트(22)로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이 배치되는 전산실 등의 바닥에 면진플로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면진수단(20)을 통해 자체적으로 면진 작용하여 내부에 보관된 전산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판(21)과 하부고정판(26)의 가장자리에는 상부가림판(21a)과 하부가림판(26a)이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림판(21a)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림판(26a)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고정판(21)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플레이트(22)와 면진볼(27)의 상측부와 하부고정판(26)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플레이트(24)와 면진볼(27)의 하측부를 각각 가려 면진수단(2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최대한 막고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의 전체적인 외관도 미려하게 한다.
단, 면진수단(20)이 면진 운동할 때 상부가림판(21a)과 하부가림판(26a)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고정판(21)과 하부고정판(26)에는 전산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상부케이블통과공(21b)과 하부케이블통과공(26b)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부케이블통과공(21b)과 하부케이블통과공(26b)은 동일선상에 관통 형성되며 후술할 면진수단(20)의 면진운동시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후술할 면진수단(20)의 가동범위보다 더 크게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캐스터(30)는 면진수단(20)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캐스터(3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하부고정판(26)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브래킷(31)과, 상기 회전브래킷(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바퀴(32)로 구성된다.
한편, 회전브래킷(31)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바퀴(32)의 외면 일측을 압착하여 이동바퀴(32)가 회전되지 않게 하여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별도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그(40)는 면진수단(20)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설치되어 프레임(10)이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바닥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레그(40)는 캐스터(30)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어 하부고정판(26)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나사식으로 수직 설치된 승강볼트(41)와, 승강볼트(4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판(42)으로 구성된다.
단, 레그(40)를 통해 프레임(10)이 바닥에 안착되게 하면서 프레임(10)의 수평이 조절 가능하도록 하부고정판(26)에서 돌출된 레그(40)의 높이가 캐스터(30)의 높이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착판(42)을 파지하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볼트(41)가 하부고정판(26)에서 하부로 길게 돌출되면서 도 1과 같이 안착판(42)이 바닥에 밀착되어 프레임(10)을 바닥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반대로 안착판(42)을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볼트(41)가 하부고정판(26) 측으로 삽입되면서 도 3과 같이 캐스터(30)가 바닥에 밀착되어 프레임(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착판(42)의 하부에는 지진 발생시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지진 및 진동에너지를 1차로 면진할 수 있도록 면진고무로 이루어진 면진패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수단(50)은 면진수단(20)에 구비되어 프레임(10)을 이동시킬 때 면진수단(20)이 면진 운동하지 않도록 면진수단(20)을 고정하는 것이다.
즉, 고정수단(50)은 프레임(10)을 이동시킬 때 캐스터(3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유지보수할 때 작업자의 수부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흔들림에 의해 전산장비가 흔들리고 충격받는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수단(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구(51)와 제2연결구(52)와 관통공(53) 및 연장볼트(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구(51)는 상부고정판(21)의 하부 모서리 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제1나사공(51a)이 관통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연결구(52)는 하부고정판(26)의 상부 모서리 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중앙에 제1나사
공(51a)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제2나사공(52a)이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관통공(53)은 하부고정판(26)의 모서리 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제2나사공(52a)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것이다. 즉, 제1연결구(51)의 제1나사공(51a)과 제2연결구(52)의 제2나사공(52a) 및 관통공(53)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장볼트(54)는 레그(40)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면에 제1나사공(51a)과 제2나사공(52a)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즉, 레그(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에 닿도록 연장볼트(54)가 제1높이로 하강되면 연장볼트(54)가 제1연결구(51)의 제1나사공(51a)에서 이탈되고 제2연결구(52)의 제2나사공(52a)에 나사 체결된 상태가 되면서 상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4)를 상호 분리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레그(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캐스터(30)가 바닥에 닿도록 연장볼트(54)가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로 상승되면 연장볼트(54)가 제1연결구(51)의 제1나사공(51a)과 제2연결구(52)의 제2나사공(52a)에 모두 나사 체결된 상태가 되면서 상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4)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레그(40)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는 면진수단(20)의 면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지진 발생시 전산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레그(40)가 바닥에 닿지 않고 캐스터(30)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는 면진수단(20)이 면진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하여 이동이나 유지보수시 전산장비가 흔들리고 충격받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장볼트(54)가 레그(4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상기 구조에서는 상부고정판(21)과 하부고정판(26)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면진수단(20)이 면진운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보조고정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그(40)가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조고정수단으로 상부고정판(21)과 하부고정판(26)을 상하로 관통시켜 연결하면 면진수단(20)이 면진 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유지보수시 프레임(10)이 흔들리지 않아 전산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면진수단(20)은 레그(4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볼트(54) 대신에 레그(40)와는 별개의 구성인 고정볼트(미도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연결구(51)와 제2연결구(52)와 관통공(53) 및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는 고정볼트가 레그(40)와는 별개의 구성이므로 면진수단(20)의 면진 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레그(40)의 조작에 관계없이 고정볼트를 하부고정판(26)의 하부에서 관통공(53)과 제1연결구(51) 및 제2연결구(52)를 차례대로 관통시켜 나사 체결하면 된다.
그러면 상부플레이트(22)와 하부플레이트(24)가 상호 연결된 상태가 되면서 면진수단(20)이 면진 운동하지 못하므로 전산장비를 보호하면서 프레임(10)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을 좌우 연속으로 설치할 경우 이웃하는 두개의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의 프레임(10) 또는 상부고정판(21)을 연결하는 연결판(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60)은 지진 발생시 면진수단(20)이 면진운동할 때 좌우 연속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이 일체로 면진운동하여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판(60)은 복수 개의 체결볼트(61)에 의해 일측이 좌측에 위치한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우측에 위치한 정보통신장비 보관함(100)에 고정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이 발생하여 바닥으로부터 충격과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면진수단(20)에 의해 충격과 진동을 감쇠시켜 정보통신장비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나, 지진발생시 바닥에서 보관함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 외에 같은 공간에서 타 물체로부터 보관함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은 감쇠되지 않고 정보통신장비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정보통신장비를 지진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더하여 지진발생시 바닥에서 보관함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은 물론 같은 공간에서 타 물체로부터 보관함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도 감쇠시켜 정보통신장비를 지진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100)는 상기 프레임(10)의 측면가이드(12)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레일(110)과; 정보통신장비(7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1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 하부브래킷(130, 140)과; 상기 상부브래킷(130)의 상부와 하부브래킷(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와; 상기 상부완충패드(150)의 상부와 하부완충패드(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110)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 하부접촉판(170, 180)과; 상기 상부브래킷(130)과 상부완충패드(150) 및 상부접촉판(170)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부안내볼트(190)와; 상기 하부브래킷(140)과 하부완충패드(160) 및 하부접촉판(180)을 상하로 관통하는 하부안내볼트(200); 및 상기 상부브래킷(130)과 하부브래킷(140)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압축코일스프링(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110)은 상기 측면가이드(12)의 안쪽면에 맞닿는 수직판(111)과, 상기 수직판(111)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부하측수평판(112)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112)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상측수평판(113)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112)과 상부상측수평판(113)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편(114)과, 상기 상부상측수평판(113)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12)에 고정되는 상단고정편(115)과, 상기 수직판(111)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하부상측수평판(116)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116)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하측수평판(117)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116)과 하부하측수평판(117)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편(118)과, 상기 하부하측수평판(117)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12)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편(119)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고정편(115)과 하단고정편(119)은 상단고정편(115)과 하단고정편(119)에 형성된 볼트관통공에 고정볼트[도시생략]를 관통시켜 측면가이드(12)의 안쪽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측면가이드(12)에 고정할 수 있다.
상단고정편(115)과 하단고정편(119)이 측면가이드(12)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수직판(111)은 측면가이드(12)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상기 레일(110)은 측면가이드(12)에 고정되는 수직판(111)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부하측수평판(112)과 상부하측수평판(112)에서 상부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상측수평판(113) 및 상부연결편(114)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수직판(111)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하부상측수평판(116)과 하부상측수평판(116)에서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하측수평판(117) 및 하부연결편(118)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완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브래킷(130)은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브래킷(131)과, 상기 상부수평브래킷(131)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브래킷(13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브래킷(140)은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브래킷(141)과, 상기 하부수평브래킷(141)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브래킷(14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수직브래킷(132)과 하부수직브래킷(142)은 각각 상부수평브래킷(131)과 하부수평브래킷(14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브래킷(131)의 안쪽 단부에는 고정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수평브래킷(141)의 안쪽 단부에는 고정부(143)를 형성하여 이 고정부(133, 143)를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의 좌우측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완충패드(150)는 상기 상부수평브래킷(131)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부수평패드부(151)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151)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패드부(152)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151)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하단면이 상기 상부수평브래킷(131)의 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하향완충돌기(153)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151)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상향완충돌기(154)와,
상기 상부수직패드부(152)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수직브래킷(132)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내향완충돌기(155) 및,
상기 상부수직패드부(152)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외향완충돌기(156) 및, 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완충패드(160)는 상기 하부수평브래킷(141)에서 하부로 이격된 하부수평패드부(161)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161)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패드부(162)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16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단면이 상기 하부수평브래킷(141)의 하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상향완충돌기(163)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161)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하향완충돌기(164)와,
상기 하부수직패드부(162)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수직브래킷(142)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내향완충돌기(165) 및,
상기 하부수직패드부(162)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외향완충돌기(16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촉판(170)은 하면이 상기 상부완충패드(150)의 상부상향완충돌기(154)의 상단면에 맞닿으며 상면이 상기 상부하측수평판(112)의 하면에 맞닿는 상부수평접촉판(171)과, 상기 상부수평접촉판(171)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상부외향완충돌기(156)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111)의 안쪽면에 맞닿는 상부수직접촉판(17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접촉판(180)은 상면이 상기 하부완충패드(160)의 하부하향완충돌기(164)의 하단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의 하면에 맞닿으며 하면이 상기 하부하측수평판(117)의 상면에 맞닿는 하부수평접촉판(181)과, 상기 하부수평접촉판(181)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하부외향완충돌기(166)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111)의 안쪽면에 맞닿는 하부수직접촉판(18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접촉판(170)은 상기 상부수평접촉판(171)의 후단에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경사안내편(173)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접촉판(180)은 상기 하부수평접촉판(181)의 후단에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하부경사안내편(183)이 구비된다[도 7 참조].
상기 상부접촉판(180)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접촉판(180)은 하부수평접촉판(181)이 하나로 연결 형성되어 상면에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의 하면이 맞닿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접촉판(18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방열핀(18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안내볼트(190)는 상기 상부수평접촉판(171)과 상부수평패드부(151) 및 상부수평브래킷(131)을 관통하며, 하단에는 상부이탈방지너트(191)가 체결된다.
상기 하부안내볼트(200)는 상기 하부수평접촉판(181)과 하부수평패드부(161) 및 하부수평브래킷(141)을 관통하며, 상단에는 하부이탈방지너트(201)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안내볼트(190)는 접시머리볼트를 사용하고, 상부수평접촉판(171)의 상면에는 카운터싱킹보어를 형성하여 접시머리부가 상부수평접촉판(171)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안내볼트(200)는 접시머리볼트를 사용하고, 하부수평접촉판(181)의 하면에는 카운터싱킹보어를 형성하여 접시머리부가 하부수평접촉판(181)의 하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수평브래킷(131), 상부수평패드부(151), 상부수평접촉판(171)과, 하부수평브래킷(141), 하부수평패드부(161), 하부수평접촉판(181)에는 각각 상기 상, 하부연결볼트(190, 200)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0)의 상단은 상기 상부안내볼트(190)의 하단과 상부이탈방지너트(191)를 감싸는 상태로 상부수평브래킷(131)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0)의 하단은 상기 하부안내볼트(200)의 상단과 하부이탈방지너트(201)를 감싸는 상태로 하부수평브래킷(141)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브래킷(130)의 상부수평브래킷(131)과 상부접촉판(170)의 상부수평접촉판(171) 사이에는 상부완충패드(150)의 상부수평패드부(151)가 삽입되며, 상부수평접촉판(171), 상부수평패드부(151) 및 상부수평브래킷(131)에 상부안내볼트(190)가 관통되고, 상부안내볼트(190)의 하단에 상부이탈방지너트(191)가 체결되어 있어, 상부수평브래킷(131)을 기준으로 할 때 상부수평패드부(151)와 상부수평접촉판(171)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부하향완충돌기(153)의 하단면이 상부수평브래킷(131)의 상면에 맞닿고, 상부상향완충돌기(154)의 상단면이 상부수평접촉판(171)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하부브래킷(140)의 하부수평브래킷(141)과 하부접촉판(180)의 하부수평접촉판(181) 사이에는 하부완충패드(160)의 하부수평패드부(161)가 삽입되며, 하부수평접촉판(181), 하부수평패드부(161) 및 하부수평브래킷(141)에 하부안내볼트(200)가 관통되고, 하부안내볼트(200)의 상단에 하부이탈방지너트(201)가 체결되어 있어, 하부수평브래킷(141)을 기준으로 할 때 하부수평패드부(161)와 하부수평접촉판(181)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하부상향완충돌기(163)의 상단면이 하부수평브래킷(141)의 하면에 맞닿고, 하부하향완충돌기(164)의 하단면이 하부수평접촉판(181)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또한 상부수직브래킷(132)과 상부수직접촉판(172) 사이에는 상부완충패드(150)의 상부수직패드부(152)가 삽입되며, 상부수직브래킷(132)의 바깥쪽 수직면에는 상부내측완충돌기(155)의 안쪽 단면이 맞닿고, 상부수직접촉판(172)의 안쪽 수직면에는 상부외측완충돌기(156)의 바깥쪽 단면이 맞닿은 상태로 된다.
하부수직브래킷(142)과 하부수직접촉판(182) 사이에는 하부완충패드(160)의 하부수직패드부(162)가 삽입되며, 하부수직브래킷(132)의 바깥쪽 수직면에는 하부내측완충돌기(165)의 안쪽 단면이 맞닿고, 하부수직접촉판(182)의 안쪽 수직면에는 하부외측완충돌기(166)의 바깥쪽 단면이 맞닿은 상태로 된다.
또한 상부수평브래킷(131)의 하면에는 압축코일스프링(210)의 상단이 탄성적으로 맞닿고, 하부수평브래킷(141)에는 압축코일스프링(210)의 하단이 탄성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보관함(100)에 가해진 충격과 진동이 측면가이드(12)와 레일(110) 및 상, 하부브래킷(130, 140)을 통해 정보통신장비(7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레일(110)에 의해 1차 감쇠되고,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에 의해 2차 감쇠되며, 상, 하부브래킷(130, 140) 및 압축코일스프링(210)에 의하여 3차 감쇠되어 정보통신장비(7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이 최소화되어 정보통신장비(70)를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보관함(100)에 가해진 충격과 진동은 1차적으로 측면가이드(12)에 고정된 레일(110)의 상, 하단고정편(115, 119)과 측면가이드(12)에 맞닿은 수직판(111)에 전달된다.
여기서 수직판(111)의 상단과 상단고정편(115)의 하단은 상부하측수평판(112)과 상부상측수평판(113) 및 상부연결편(114)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수직판(111)의 하단과 하단고정편(119)의 상단은 하부상측수평판(116)과 하부하측수평판(117) 및 하부연결편(118)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 하단고정편(115, 119)에 전달된 충격과 진동은 상부하측수평판(112)과 상부상측수평판(113) 및 상부연결편(114)과, 하부상측수평판(116)과 하부하측수평판(117) 및 하부연결편(118)의 절곡구조와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1차적으로 감쇠된다.
레일(110)에서 1차적으로 감쇠된 충격과 진동은 상, 하부접촉판(170, 180)을 통해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부완충패드(150)는 상부상향완충돌기(154)의 상단면이 상부수평접촉판(171)의 하면에 맞닿아 있고, 상부외향완충돌기(156)의 바깥쪽 단면이 상부수직접촉판(172)의 안쪽 수직면에 맞닿아 있으며, 상부하향완충돌기(153)의 하단면이 상부수평브래킷(131)의 상면에 맞닿아 있고, 내향완충돌기(155)가 상부수직브래킷(132)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아 있으며, 하부완충패드(160)는 하부하향완충돌기(164)가 하부수평접촉판(181)의 상면에 맞닿아 있고, 하부외향완충돌기(166)가 하부수직접촉판(182)의 안쪽 수직면에 맞닿아 있으며, 하부상향완충돌기(163)가 상단면이 하부수평브래킷(141)의 하면에 맞닿아 있고, 내향완충돌기(165)가 하부수직브래킷(142)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상, 하부접촉판(170, 18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이 상, 하부브래킷(130, 140)과 상, 하부접촉판(170, 180) 사이에서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에 의해 2차적으로 감쇠된다.
이때, 상부상향완충돌기(154)와 하부하향완충돌기(164)와 상부외향완충돌기(156) 및 하우외향완충돌기(166)가 중공형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충격과 진동감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에 의해 2차적으로 감쇠된 충격과 진동은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를 통해 상, 하부브래킷(130, 14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부브래킷(130)의 상부수평브래킷(131)과 하부브래킷(140)의 하부수평브래킷(141)은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171)의 양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수평브래킷(131)과 하부수평브래킷(141)의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210)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 하부브래킷(130, 140)에 전달된 충격과 진동은 상부수평브래킷(131)과 하부수평브래킷(141)의 자체 탄성과 압축코일스프링(210)의 탄성에 의해 3차적으로 감쇠된다.
상술한 감쇠작용에서 상부완충패드(150)와 상부접촉판(170)은 상부브래킷(130)에 대하여 상부안내볼트(190)를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완충패드(150)와 하부접촉판(180)은 하부브래킷(140)에 대하여 하부안내볼트(200)를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충격과 진동의 감쇠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보관함(100)의 측면가이드(12)에 가해진 충격과 진동은 상술한 1차, 2차 및 3차 감쇠 과정을 거쳐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에 전달되므로 지진에 의한 정보통신장비(7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접촉판(180)의 하부수평접촉판(181)이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 하면에 맞닿아 있고, 하부수평접촉판(18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방열핀(184)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보통신장비(7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부수평접촉판(181)과 방열핀(184)을 통해 방출되어 정보통신장비(70)의 과열에 의한 오동작과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수평접촉판(171)에는 상부경사안내편(173)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수평접촉판(181)에는 하부경사안내편(183)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보통신장비(70)의 케이싱(71)에 고정된 상, 하부브래킷(130, 140)에 상, 하부완충패드(150, 160)와 상, 하부접촉판(170, 180)과 상, 하부안내볼트(190, 200) 및 압축코일스프링(210)이 결합된 상태로 레일(110)에 삽입할 때 상, 하부경사안내편(173, 183)의 안내를 받아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바와 같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여 이러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면진수단
30 : 캐스터 40 : 레그
50 : 고정수단 100 : 보관함
110 : 레일 130 : 상부브래킷
140 : 하부브래킷 150 : 상부완충패드
160 : 하부완충패드 170 : 상부접촉판
180 : 하부접촉판 190 : 상부안내볼트
200 : 하부연결볼트 210 :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1)

  1. 정보통신장비가 내측에 다단으로 고정 또는 안착되도록 측면가이드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상부곡면이 하면에 형성된 상부면진판이 각각 설치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부에 중심이 가장 깊고 오목한 하부곡면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면진판이 설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곡면과 상기 하부곡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진 발생시 구름 운동하면서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전해지는 지진 및 진동에너지가 상부플레이트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면진볼로 이루어진 면진수단;을 포함하는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의 안쪽면에 맞닿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상부하측수평판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상측수평판과, 상기 상부하측수평판과 상부상측수평판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편과, 상기 상부상측수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에 고정되는 상단고정편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절곡되는 하부상측수평판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하측수평판과, 상기 하부상측수평판과 하부하측수평판의 안쪽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편과, 상기 하부하측수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측면가이드에 고정되는 하단고정편를 포함하는 레일과;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상부수평브래킷과,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브래킷을 포함하는 상부브래킷과;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좌우측면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하부수평브래킷과,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브래킷을 포함하는 하부브래킷과;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부수평패드부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상부수직패드부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하단면이 상기 상부수평브래킷의 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하향완충돌기와, 상기 상부수평패드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상향완충돌기와, 상기 상부수직패드부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수직브래킷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상부내향완충돌기 및, 상기 상부수직패드부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상부외향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상부완충패드와;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에서 하부로 이격된 하부수평패드부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부수직패드부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단면이 상기 하부수평브래킷의 하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상향완충돌기와, 상기 하부수평패드부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하향완충돌기와, 상기 하부수직패드부의 안쪽 수직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수직브래킷의 바깥쪽 수직면에 맞닿는 복수개의 하부내향완충돌기 및, 상기 하부수직패드부의 바깥쪽 수직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하부외향완충돌기를 포함하는 하부완충패드와;
    하면이 상기 상부완충패드의 상부상향완충돌기의 상단면에 맞닿으며 상면이 상기 상부하측수평판의 하면에 맞닿는 상부수평접촉판과, 상기 상부수평접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상부외향완충돌기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의 안쪽면에 맞닿는 상부수직접촉판을 포함하는 상부접촉판과; 상면이 상기 하부완충패드의 하부하향완충돌기의 하단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정보통신장비의 케이싱의 하면에 맞닿으며 하면이 상기 하부하측수평판의 상면에 맞닿는 하부수평접촉판과, 상기 하부수평접촉판의 바깥쪽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안쪽 수직면이 상기 하부외향완충돌기의 바깥쪽 단면에 맞닿으며 바깥쪽 수직면이 상기 수직판의 안쪽면에 맞닿는 하부수직접촉판과, 상기 하부수평접촉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하부접촉판과;
    상기 상부수평접촉판과 상부수평패드부 및 상부수평브래킷을 상하로 관통하며 하단에 상부이탈방지너트가 체결되는 상부안내볼트와; 상기 하부수평접촉판과 하부수평패드부 및 하부수평브래킷을 상하로 관통하며 상단에 하부이탈방지너트가 체결되는 하부안내볼트; 및
    상기 상부수평브래킷과 하부수평브래킷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KR1020200116700A 2020-09-11 2020-09-11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KR10223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00A KR102231115B1 (ko) 2020-09-11 2020-09-11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700A KR102231115B1 (ko) 2020-09-11 2020-09-11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115B1 true KR102231115B1 (ko) 2021-03-24

Family

ID=7525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700A KR102231115B1 (ko) 2020-09-11 2020-09-11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695B1 (ko) * 2022-10-11 2023-01-27 주식회사 사미텍 데이터 가공 장치
KR2023005966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97Y1 (ko) * 2002-07-25 2002-10-19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레일 가이드 슈
KR100971365B1 (ko) 2010-06-04 2010-07-20 제희문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응답하는 면진 장치
KR101324066B1 (ko) 2013-07-11 2013-10-31 주식회사 인투알 뒤틀림 방지수단을 구비한 랙 및 이를 이용한 랙 어셈블리
KR101675788B1 (ko) * 2016-05-18 2016-11-16 (주)원프랜트 발전소 제어용 제어카드의 진동 흡수 장치
KR101722685B1 (ko) 2016-05-04 2017-04-03 (주)엔타이어세이프 지진동에 대응 가능한 전산장비용 면진 랙
KR20180098845A (ko) *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에스앤지파워 모듈형 유피에스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내진강화형 랙 캐비닛
KR20190036675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씨엔씨알 서버랙의 면진장치
KR101972735B1 (ko) 2019-02-01 2019-04-25 제희문 면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97Y1 (ko) * 2002-07-25 2002-10-19 정일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레일 가이드 슈
KR100971365B1 (ko) 2010-06-04 2010-07-20 제희문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에 응답하는 면진 장치
KR101324066B1 (ko) 2013-07-11 2013-10-31 주식회사 인투알 뒤틀림 방지수단을 구비한 랙 및 이를 이용한 랙 어셈블리
KR101722685B1 (ko) 2016-05-04 2017-04-03 (주)엔타이어세이프 지진동에 대응 가능한 전산장비용 면진 랙
KR101675788B1 (ko) * 2016-05-18 2016-11-16 (주)원프랜트 발전소 제어용 제어카드의 진동 흡수 장치
KR20180098845A (ko) *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에스앤지파워 모듈형 유피에스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내진강화형 랙 캐비닛
KR20190036675A (ko)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씨엔씨알 서버랙의 면진장치
KR101972735B1 (ko) 2019-02-01 2019-04-25 제희문 면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65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KR102621853B1 (ko) 2021-10-26 2024-01-08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KR102491695B1 (ko) * 2022-10-11 2023-01-27 주식회사 사미텍 데이터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115B1 (ko) 내진기능이 강화된 정보통신 장비 보관 함체
KR100787494B1 (ko) 진동저감장치
KR101836164B1 (ko) 수직 진동 저감 성능을 갖춘 3차원 면진장치
KR102050497B1 (ko) 내진용 랙 캐비넷
US4073107A (en) Curtain wall structure
KR101384027B1 (ko)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KR101781131B1 (ko) 롤링방식의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65535B1 (ko)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737822B1 (ko)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KR20180113790A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CA2656554A1 (en) Seismically stable flooring
KR101894976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886698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20200100990A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20140091980A (ko) 3차원 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102105205B1 (ko) 배전반
KR102191280B1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KR102166000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KR200422528Y1 (ko) 진동저감장치
KR101854412B1 (ko) 방진고무가 구비되는 3차원 면진 장치
KR101863327B1 (ko)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05585B1 (ko)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75770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213521B1 (ko)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