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528Y1 -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528Y1
KR200422528Y1 KR2020060007001U KR20060007001U KR200422528Y1 KR 200422528 Y1 KR200422528 Y1 KR 200422528Y1 KR 2020060007001 U KR2020060007001 U KR 2020060007001U KR 20060007001 U KR20060007001 U KR 20060007001U KR 200422528 Y1 KR200422528 Y1 KR 200422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nel
coupled
buffer spring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태
홍유식
이상주
안찬주
Original Assignee
황기태
(주)에코닝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태, (주)에코닝,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기태
Priority to KR2020060007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진 등과 같은 진동발생시 보호대상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부패널, 상부패널,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제1완충스프링, 제2완충스프링

Description

진동저감장치{Vibration Reduc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3는 제1엘엠가이드 및 제2엘엠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은 제1완충스프링 및 제2완충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마찰봉, 마찰판, 및 슬라이딩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6는 지지편 및 완충패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제1엘엠가이드 및 제2엘엠가이드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부패널
110:하부지지편
200:상부패널
210:상부지지편
220:수평레벨기
310:제1엘엠가이드
311:제1가이드레일(guide rail) 312:제1엘엠가이드블럭
320:제2엘엠가이드
321:제2가이드레일 322:제2엘엠가이드블럭
330:블럭완충재
410:제1완충스프링
420:제2완충스프링
430:탄성조절편
500:마찰봉
510:마찰판
520:슬라이딩판
600:지지편
610:완충패드
본 고안은 지진 등과 같은 진동발생시 보호대상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엘엠가이 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의 진동(흔들림)에 대하여 건물 자체는 건전하여도 실내의 물건들이 넘어지거나, 내부집기 또는 기기 등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최근 의료관계 시설, 반도체관련 시설, 금융기관의 전산센터, 방재지휘센터, 및 통신회사의 전산교환국 등은 건물 자체의 내진설계만으론 부족하고 그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집기 또는 기기 등이 지진 등의 자연재해 시에도 본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반도체 공장과 같이 고부가가치시설에서는 압력의 관리, 청정도 유지, 온도 조절, 및 습도 조절 등의 생산관리와 중요한 지적재산인 설계도 등이 중앙전산실에서 제어 및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건물 자체는 내진설계가 이루어져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내진설계가 되어있는 건물 자체의 피해는 경미하더라도 그 내부에 수용된 중앙전산실의 대형컴퓨터나 기타 고가의 검사장비 등은 지진응답이 커져서 전도되거나 충격 등으로 파손되어 귀중한 저장 자료가 손상되거나 장비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건물 자체의 내진설계와는 별도로 그 내부에 수용되는 고가의 장비나 물건 등을 지진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은 지진 등에 의하여 건물의 진동(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그 내부에 수용된 고가의 장비를 전도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진 등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엘엠가이드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엘엠가이드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엘엠가이드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엘엠가이드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엘엠가이드블럭과 상기 제2엘엠가이드블럭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완충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 기 상부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패널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하부패널(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고, 상부패널(200)은 하부패널(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지진 등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해야할 대상물인 고가의 장비나 물건이 적재된다.
하부패널(100)이나 상부패널(200)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판상형태가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되는 장소 및 적재되는 장비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원형이나 다양한 다각형 형상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하부패널(100) 또는 상부패널(200)에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구조적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프레임이 하부패널(100) 또는 상부패널(200)에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패널(100)과 상부패널(20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1엘엠가이드(310) 및 제2엘엠가이드(32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엘엠가이드(310)는 제1가이드레일(311), 및 제1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엘엠가이드블럭(312)으로 구성 되고, 제2엘엠가이드(320)는 제2가이드레일(321), 및 제2가이드레일(3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엘엠가이드블럭(322)으로 구성된다.
즉, 제1엘엠가이드블럭(312) 및 제2엘엠가이드블럭(322) 각각의 내부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베어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레일(311) 또는 제2가이드레일(3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레일(311) 또는 제2가이드레일(321)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제1가이드레일(311)은 하부패널(10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2가이드레일(321)은 제1가이드레일(311)과 직교하도록 상부패널(200)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1엘엠가이드블럭(312)과 제2엘엠가이드블럭(322)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패널(100)이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부패널(200)은 평면상에서 전후좌우(360 °)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엘엠가이드블럭(312) 및 제2엘엠가이드블럭(322) 사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블럭완충재(330)가 더 구비되어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감쇠시켜는 역할을 한다.
블럭완충재(330)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킬 수 있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결합된 제1엘엠가이드(310) 및 제2엘엠가이드(320) 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4쌍이 하부패널(100) 및 상부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나, 반드시 4쌍이 하부패널(100) 및 상부패널(200) 사이에 설 치될 필요는 없으며, 하부패널(100) 및 상부패널(200)의 크기와 모양, 상부패널(200) 상부에 적재되는 장비나 물건의 중량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1쌍 또는 다수 쌍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배열되는 2개의 엘엠가이드가 제1엘엠가이드(310)를 구성하고 이와 직교하는 2개의 엘엠가이드가 제2엘엠가이드(320)를 형성할 수도 있고, 나란히 배열되는 2개의 엘엠가이드가 제1엘엠가이드(310)를 구성하고 이와 직교하는 1개의 엘엠가이드(엘엠가이드블럭은 2개가 장착)가 제2엘엠가이드(3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4에는 제1완충스프링(410) 및 제2완충스프링(4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인데, 하부지지편(110)이 하부패널(100)에서 수직상향 돌출되고, 상부지지편(210)은 상부패널(200)에서 수직하향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탄성조절편(430)은 상부지지편(21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암나사에 체결되어 회전 시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완충스프링(410) 또는 제2완충스프링(420) 각각의 일단은 하부지지편(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탄성조절편(430)에 결합되는 바, 탄성조절편(430)을 회전시켜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조절편(430)은 도4와는 달리 하부지지편(110)에 체결될 수도 있으며, 탄성조절편(430)이 하부지지편(11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제1완충스프링(410) 또는 제2완충스프링(420) 각각의 일단은 탄성지지편(6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지지편(210)에 결합되어야 한다.
제1완충스프링(41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엘엠가이드(310)의 제1엘엠가이드블럭(312)이 움직이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고, 제2완충스프링(420)은 제2엘엠가이드(320)의 제2엘엠가이드블럭(322)이 움직이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제1완충스프링(410)은 제1엘엠가이드블럭(312)의 이동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완충스프링(420)은 제2엘엠가이드블럭(322)의 이동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완충스프링(410) 및 제2완충스프링(420)은 지진 등이 종료되면 상부패널(2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도 한다.
첨부도면에는 제1완충스프링(410)이 2개 사용되고, 제2완충스프링(420)이 2개 사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되는 스프링의 수량도 엘엠가이드와 마찬가지로 상부패널(200) 및 하부패널(100)의 크기와 모양, 상부패널(200) 상부에 적재되는 장비나 물건의 중량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 및 수량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마찰봉(500)은 하부패널(100)에 일체로 결합된다.
마찰판(510)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마찰봉(50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마찰판(510)의 재질로 폴리아미드나 PTFE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판(510)의 상부면에 상부패널(200)의 하부면이 접촉되어 하부패 널(100)과 상부패널(200)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마찰판(510)과 상부패널(2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도5에는 마찰판(510)과 접촉되는 상부패널(200)의 하부면에 금속재질의 슬라이딩판(520)이 일체로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딩판(520)을 구성하는 금속재질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슬라이딩판(520)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마찰판(510)과 슬라이딩판(52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도6은 하부패널(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편(600)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편(600)은 높이조절용나사가 구비되어 하부패널(100) 및 상부패널(200)의 수평을 조절하게 된다.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200)의 상부면 일측에는 수평레벨기(220)가 별도로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지지편(600)의 하부면에는 완충패드(610)가 구비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하부패널(100)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패드(610)의 재질도 블럭완충재(33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패널 위에 안치된 고가의 장비나 물건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고가의 장비나 물건의 전도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완충스프링(410)은 제1엘엠가이드블럭(312)의 이동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완충스프링(420)은 제2엘엠가이드블럭(322)의 이동방향으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마찰판(510)과 슬라이딩판(52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하며, 제1엘엠가이드블럭(312) 및 제2엘엠가이드블럭(322) 사이의 블럭완충재(330) 지진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며, 완충패드(610)가 구비되어 건물의 바닥면과 하부패널(100)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Claims (6)

  1. 지진 등과 같은 진동발생시 보호대상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엘엠가이드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엘엠가이드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엘엠가이드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엘엠가이드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직교하도록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엘엠가이드블럭과 상기 제2엘엠가이드블럭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완충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패널에 일체로 결합되는 마찰봉; 및,
    상기 마찰봉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마찰판;
    이 더 포함되되,
    상기 마찰판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면이 접촉되어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찰판과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마찰판과 접촉되는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면에 금속재질의 슬라이딩판;
    이 일체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부패널에서 수직상향 돌출된 하부지지편;
    상기 상부패널에서 수직하향 돌출된 상부지지편; 및,
    상기 하부지지편 또는 상기 상부지지편 가운데 어느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탄성조절편;
    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완충스프링 각각의 일단 또는 타단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탄성조절편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탄성조절편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하부지지편 또는 상기 상부지지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엘엠가이드블럭 및 상기 제2엘엠가이드블럭 사이에 합성수지 재질의 블럭완충재;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하부패널의 하부면에 높이조절용나사가 구비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장치.
KR2020060007001U 2006-03-15 2006-03-15 진동저감장치 KR200422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01U KR200422528Y1 (ko) 2006-03-15 2006-03-15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01U KR200422528Y1 (ko) 2006-03-15 2006-03-15 진동저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010A Division KR100787494B1 (ko) 2006-03-15 2006-03-15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528Y1 true KR200422528Y1 (ko) 2006-07-31

Family

ID=4177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01U KR200422528Y1 (ko) 2006-03-15 2006-03-15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52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90B1 (ko) * 2006-09-22 2007-07-0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밸브 이송용 완충장치
KR100787494B1 (ko) 2006-03-15 2007-12-27 황기태 진동저감장치
KR100919926B1 (ko) 2008-04-22 2009-10-07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KR101001649B1 (ko) 2010-06-08 2010-12-17 (주)에코닝 편심롤러베어링을 이용한 진동저감장치
KR101660444B1 (ko) * 2015-12-10 2016-09-27 주식회사 에이디에스테크 피용접물에 대한 수평 위치 조절 구조 개선형 홀딩유닛을 갖는 레이저 웰더
KR102221203B1 (ko) * 2020-09-02 2021-03-02 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진동 트리거 및 수평유지구조의 케이블 인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춘 ai 기반 진동저감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494B1 (ko) 2006-03-15 2007-12-27 황기태 진동저감장치
KR100737690B1 (ko) * 2006-09-22 2007-07-0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밸브 이송용 완충장치
KR100919926B1 (ko) 2008-04-22 2009-10-07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KR101001649B1 (ko) 2010-06-08 2010-12-17 (주)에코닝 편심롤러베어링을 이용한 진동저감장치
KR101660444B1 (ko) * 2015-12-10 2016-09-27 주식회사 에이디에스테크 피용접물에 대한 수평 위치 조절 구조 개선형 홀딩유닛을 갖는 레이저 웰더
KR102221203B1 (ko) * 2020-09-02 2021-03-02 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진동 트리거 및 수평유지구조의 케이블 인입이 용이한 구조를 갖춘 ai 기반 진동저감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94B1 (ko) 진동저감장치
KR200422528Y1 (ko) 진동저감장치
CA2603980C (en) Storage rack vibration isolators and related storage rack systems
KR101960160B1 (ko) 지진저감용 스프링 면진 모듈
KR101644920B1 (ko) 방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KR101397804B1 (ko)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KR101326401B1 (ko) 볼베어링 타입 면진 장치
CN109819618B (zh) 服务器防震机架及其防震方法
KR101386253B1 (ko) 내진보강장치
KR101925210B1 (ko) 지진저감용 점탄성 면진 모듈
KR101162687B1 (ko) 면진장치
US10718399B2 (en) Anti-vibration support system
KR101625155B1 (ko) 방진장치를 갖춘 면진시스템
KR20200100990A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향상된 복원력을 가지는 면진 장치
KR101069079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면진장치
KR101528555B1 (ko) 면진장치
KR102191280B1 (ko) 볼과 스프링을 이용하는 면진 장치
CN101338592A (zh) 减震装置
US6364274B1 (en) Seismic isolator for exhibits
JP2006153210A (ja) 免震装置
KR20190036675A (ko) 서버랙의 면진장치
KR101375336B1 (ko) 내진용 방진 스프링 마운트
KR20120058283A (ko) 면진 가대
JP6991422B2 (ja) 構造物用制振装置
KR20110140058A (ko) 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