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43B1 -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43B1
KR102324743B1 KR1020200104911A KR20200104911A KR102324743B1 KR 102324743 B1 KR102324743 B1 KR 102324743B1 KR 1020200104911 A KR1020200104911 A KR 1020200104911A KR 20200104911 A KR20200104911 A KR 20200104911A KR 102324743 B1 KR102324743 B1 KR 10232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ilter
filter housing
inlet
water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원
Priority to KR102020010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4Computerised or programmab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8Power supply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
    • B01D2201/586Power supply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 using regenerative sources, e.g. wind, su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 1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배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통해 도출되는 차이값을 측정하는 유체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과 통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Water supply precision filtration system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for filter replacement}
본 발명은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유체 감지수단을 통하여 도출되는 정보를 토대로, 필터의 교체 주기와 필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에서는 대형의 상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법정 기준에 맞게 정수 처리된 수돗물이 가정에 공급되고 또한 전문적으로 정수처리 및 그 시설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수돗물에 대한 불신은 비교적 적다.
그러나 도시에서 벗어난 외딴 지역이나 섬 등의 마을 단위 상수도 급수 시설은 대부분 계곡물이나 지하수를 사용하여 1차 정수 처리한 다음 마을로 공급하는 형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간이상수도 설비가 필요한 지역은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농촌 마을들과 어촌 마을 그리고 산촌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은 각 지역마다 그 지역의 특산물이 존재하고 있듯이 각 지역마다 지하수의 수질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각 지역마다 지하수의 성분이 서로 다르다고 할지라도, 그 지하수의 성분 중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음용할 수 있는 정도로 그 지하수를 여과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어느 지역의 지하수가 그 성분 중에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을 허용오차의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중금속 성분을 완전히 또는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여과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간이상수도 설비는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들까지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것은 어느 특정한 지역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불특정한 모든 지역의 간이상수도로서 기능하기 위한 절대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인 여과설비는 모래 또는 자갈과 같은 여과재를 충진시켜서 여과조를 형성하고, 원수가 상기의 여과조를 경유하여 여과될 수 있도록 하고, 1차로 여과된 물을 다시 활성탄 또는 다른 여과재를 경유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560812호 '자기정화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8705호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형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모래나 자갈 또는 활성탄 같은 여과재는 계절별로 수량의 변동이 크고 탁도가 심한 경우에 그 수명이 일정하지 않고, 또한 여과시킬 수 있는 물질에 한계가 있다.
또한, 여과기 필터의 수명이 한계까지 도달할 경우, 사용자가 필터의 수명에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힘들어, 제때 여과기 필터를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하는 실정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과기 필터 교체를 위한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 하우징에 출입하는 유체 압력과, 필터 하우징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비교하여, 사용중인 여과기의 필터 교체 주기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아래 기술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 1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배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통해 도출되는 차이값을 측정하는 유체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과 통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수단 및 제 2 감지수단은,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 또는 유속계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 1 감지수단, 제 2 감지수단 및 유체상태 비교수단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그래프로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배관과 연결되는 결합부에는, 필터 하우징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키도록, 제 1 감지수단 및 제 2 감지수단에서 도출되는 정보에 따라 동작 및 정지하는 유체 흐름 가속팬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여과기 필터를 관리하는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필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결합되는 배관을 관리하는 배관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배관 관리자 단말은,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기설정된 유체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내역이 감지될 경우, 이상 내역을 알리는 알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배관과 연결되는 결합부에는,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관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필터 하우징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필터 하우징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에 따라 유체가 통과하는 유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유체 차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은, 상기 유체 차단 모듈이 유입구를 폐쇄할 경우, 배관 내에서 흐르고 있던 유체를 우회시키는 유체 우회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우회 라인은, 상기 유체 차단 모듈과 연동되어, 유입구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은, 복수의 원형 몸체가 서로 연접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는, 상기 호리병 형상의 필터 하우징의 내부 원 둘레와 상응하는 둘레를 가지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노면 매립식 태양광 패널에 의해 가동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유체 감지수단을 통하여 도출되는 정보를 토대로, 필터의 교체 주기와 필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필터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해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유체 흐름 가속팬을 구비하여, 유체 흐름에 이상이 생길 경우 유체 흐름을 강제 순환 시켜 일정한 수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부가 필터 하우징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흐름 가속팬이 구비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 는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배관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는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필터 하우징의 예시도이다.
도 6 은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된 필터 하우징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7 은 유체 우회 라인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복수의 원형 몸체가 연접되어 형성된 필터 하우징이 구비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부가 필터 하우징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은, 필터 하우징(100), 유체상태 비교수단(200) 및 모니터링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제 1 감지수단(110), 제 2 감지수단(120), 필터(130), 유입구(140) 및 배출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침수경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수경보 센서는, 필터 하우징(100)의 외곽 둘레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 하우징(100)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유체가 스며나오거나, 필터 하우징(100)이 설치되는 바닥면에서 침습하는 유체를 감지하여, 유체가 감지될 경우, 상기 내역을 이후 서술될 모니터링부(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감지수단(110)은, 상기 유입구(140)를 통해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오는 유체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의 정보는,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P140)과 연결된 유입구(140)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압력, 속도, 온도 등과 같은 유체로 인해 도출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수단(110)은,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40)의 내벽 혹은 유입구(140)와 연결되는 배관(P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수단(120)은, 상기 배출구(150)를 통해 필터 하우징(100)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감지수단(110)과 제 2 감지수단(120)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계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130)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감지수단(110)과 제 2 감지수단(120)으로서, 압력계만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유체의 상태 측정을 위해, 압력계와 더불어 유속계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수단(120)은, 배출구(150)의 둘레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유체가 토출되는 배출구(150)와 연결된 배관(P15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130)는, 유체 내부의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메쉬를 가지며, 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직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은 입자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거를 수 있는 마이크로 여과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30)는,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해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볼팅 혹은 끼워 맞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30)는, 필터 하우징(10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은, 상기 제 1 감지수단(110) 및 제 2 감지수단(120)에 연동되어, 필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제 1 감지수단(110)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배출구(150)에 구비되어 배출구(150)로 토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감지수단(120)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은, 이후 서술될 모니터링부(300)에 상기 도출된 유체의 차이값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그래프(G)로 도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프(G)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은선 그래프(G1)와 같은 표기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숫자가 표기된 상태창(G2) 혹은 막대 그래프와 같은 표현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에서 도출되는 정보만을 전달받아 그래프(G)로 도시함과 동시에, 제 1 감지수단(110) 및 제 2 감지수단(120)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별도로 전달받아, 차이값뿐 만이 아닌 실시간으로 도출되는 유체의 유입 및 토출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 1 감지수단(110) 및 제 2 감지수단(120) 역시 모니터링부(300)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서술된 제 1 감지수단(110), 제 2 감지수단(120), 유체상태 비교수단(200) 및 모니터링부(300)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상기 구성들(제 1 감지수단(110), 제 2 감지수단(120), 유체상태 비교수단(200) 및 모니터링부(300))의 무선 통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은, 태양광으로 전력을 발생시키는 노면 매립식 태양광 패널(E)에 의해 가동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태양광 및 태영열을 이용한 태양 발전 방식(E)뿐 만이 아닌, 풍력 혹은 수력을 이용한 전력 발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상술된 친환경 방식의 전력 생산 시스템은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방식으로는 유선 케이블로 하여 전력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흐름 가속팬이 구비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구(140)와 배출구(150)에는, 필터 하우징(100)에 투입되는 유체 및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증폭시키기 위한 유체 흐름 가속팬(16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흐름 가속팬(16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크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방향 통행을 위해 유입구(140)에서 필터 하우징(100) 방향으로, 필터 하우징(100)에서 배출구(150)의 방향으로 유체를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흐름 가속팬(1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방식의 회전 팬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유체의 진행을 가속화 시키는 제트 스크류 혹은 워터 펌프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체 흐름 가속팬(160)은, 앞서 상술한 제 1 감지수단(110) 및 제 2 감지수단(120)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수단(110)을 통해 유입구(140)에서 전달되는 유체의 흐름이 일정하지 않거나, 낮은 통과율을 보일 경우, 유입구(140)에 구비되는 유체 흐름 가속팬(160)을 동작시켜, 유체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거나, 가속화 시킴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해줄 수 있다.
이로써,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임시 저장된 유체가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 머물러 이물질이 필터(130)에 쉽게 쌓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도록 하여, 필터(130)를 보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4 는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배관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은,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 및 배관 관리자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은, 필터 하우징(100)에 인입 및 토출되는 유체의 표준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은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은, 기 저장되어 있던 유체의 표준 상태와 상기 전달받은 유체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필터(130)에는, 필터(130)의 수명을 측정하는 수명 측정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명 측정 모듈은,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에 연동하여, 필터(130)의 여과량 정보 및 가동률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는 필터 관리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필터(130)의 수명과 사용률을 예측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여과기 필터(130)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배관 관리자 단말(500)은, 필터 하우징(100)에서 인입 및 토출되는 유체의 표준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관리자 단말(500) 역시,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은 배관 관리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배관(P)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배관(P)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앞서 상술된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400)과 배관 관리자 단말(500)은, 알림 모듈(410, 5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림 모듈(410, 510)은,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200)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와, 각각의 단말(400, 500)에 기설정된 유체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내역이 감지될 경우, 상기 이상 내역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부(300)에 도시하거나, 알림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의 유체 흐름에 따른 이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을 관리하는 각각의 관리자에게 이상 내역을 바로 알릴 수 있어, 이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2 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5 는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필터 하우징의 예시도이며, 도 6 은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된 필터 하우징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유입구(140) 및 배출구(150)와, 유체를 공급 및 전달받아 이송하는 배관(P140, P150)의 결합부에는, 여과기 자정 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기 자정 모듈(600)은, 양 단부의 결합구에 구비되는 배관(P140, P150)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필터 하우징(100)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필터 하우징(100)의 하층에 적층된 이물질을 강제 순환시킴으로서 필터(130)로 거르거나, 배관(P150)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여과기 자정 모듈(600)은, 회전 모터(610), 3 축 변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모터(610)는, 유입구(140) 및 배출구(150)와, 유체를 공급 및 전달받아 이송하는 배관(P140, P150)의 결합부의 외부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P140, P150)에는 필터 하우징(100)이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입구(140)와 배출구(15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모터(610)는, 필터 하우징(1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모터(610)와 유입구(140) 혹은 배출구(150)의 둘레와 연동되는 체인(6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체인(630)이 구비되는 방향의 유입구(140) 혹은 배출구(150)에는 체인(630)과 맞물릴 수 있는 체인 결합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기 자정 모듈(600)은, 앞서 상술된 체인과(630)과 체인 결합부(640)의 조합으로 필터 하우징(1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필터 하우징(100)을 배관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기계적 회전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7 은 유체 차단 모듈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1)의 유체 차단 모듈(700)은, 필터 하우징(100)으로 출입하는 유체를 차단 및 허용하는 제어 밸브(V1)와, 차단된 유체가 우회할 수 있는 유체 우회 라인(7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밸브(V1)는, 앞서 상술된 제 1 감지수단(110)과 제 2 감지수단(120) 및 유체상태 비교수단(200)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작동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감지수단(110)으로 하여 지나친 압력값이 산출될 경우, 유입구(140)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1)를 폐쇄하여, 필터 하우징(100)으로 출입하는 유체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100)으로 출입하던 유체가 갑작스럽게 차단될 경우,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P140)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우회 라인(710)이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체 우회 라인(710)에도, 앞서 상술된 제어 밸브(V2)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감지수단(110)과 제 2 감지수단(120) 및 유체상태 비교수단(200)과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작동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유입구(140)에 구비되던 제어밸브(V1)가 폐쇄될 경우, 유체 우회 라인(710)에 구비되던 제어 밸브(V2)가 개방되어, 배관(P140)을 흐르는 유체를 우회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140)와 유체 우회 라인(710)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1, V2)는, 서로 연동되어 일부 폐쇄 또는 일부 개방되는 방식으로 동작하여, 필터 하우징(100)에 출입하는 유체의 양과 흐름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 우회 라인(710)을 통해 이송된 유체는, 하수도를 통해 배출되거나, 별도의 저장 탱크로 우회하여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 하우징(100)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 필터(130)가 손상을 입거나, 필터 하우징(100)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 은 복수의 원형 몸체가 연접되어 형성된 필터 하우징이 구비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100-a)은, 복수의 원형 몸체가 서로 연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100-a)의 전체적인 형상이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리병 모양의 필터 하우징(100-a)에 구비되는 필터(130-a)는, 호리병 형상을 가지는 필터 하우징(100-a)의 내부 원 둘레와 상응하는 직경의 둘레를 가지는 원판의 형상의 필터(130-a)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하우징(100-a)의 형상이 호리병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경우,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필터 하우징(100-a)에 발생되는 문제인 유체의 침전물 발생을 억제하고, 유선형의 몸통을 가짐으로써, 보다 원활한 이송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100 : 필터 하우징
100-a : 호리병 모양 필터 하우징
110 : 제 1 감지수단
120 : 제 2 감지수단
130 : 필터
130-a : 필터
140 : 유입구
P 140 : 유입구 배관
150 : 배출구
P 150 : 배출구 배관
160 : 유체 흐름 가속팬
200 : 유체상태 비교수단
300 : 모니터링부
400 :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500 : 배관 관리자 단말
410, 510 : 알림 모듈
600 : 여과기 자정 모듈
610 : 회전 모터
620 : 베어링
630 : 체인
640 : 체인 결합부
700 : 유체 차단 모듈
710 : 유체 우회 라인

Claims (11)

  1.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 1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배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통해 도출되는 차이값을 측정하는 유체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과 통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배관과 연결되는 결합부에는,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관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필터 하우징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여과기 자정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수단 및 제 2 감지수단은,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 또는 유속계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 1 감지수단, 제 2 감지수단 및 유체상태 비교수단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그래프로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필터를 관리하는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필터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결합되는 배관을 관리하는 배관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기 필터 관리자 단말 및 배관 관리자 단말은,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기설정된 유체의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내역이 감지될 경우, 이상 내역을 알리는 알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 하우징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에 따라 유체가 통과하는 유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유체 차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은,
    상기 유체 차단 모듈이 유입구를 폐쇄할 경우, 배관 내에서 흐르고 있던 유체를 우회시키는 유체 우회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우회 라인은,
    상기 유체 차단 모듈과 연동되어, 유입구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10.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
    필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 1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유체의 정보와, 배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감지수단을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통해 도출되는 차이값을 측정하는 유체상태 비교수단 및
    상기 유체상태 비교수단과 통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은,
    복수의 원형 몸체가 서로 연접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는,
    상기 호리병 형상의 필터 하우징의 내부 원 둘레와 상응하는 둘레를 가지는 원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은,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노면 매립식 태양광 패널에 의해 가동 전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KR1020200104911A 2020-08-20 2020-08-20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KR10232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11A KR102324743B1 (ko) 2020-08-20 2020-08-20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11A KR102324743B1 (ko) 2020-08-20 2020-08-20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743B1 true KR102324743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911A KR102324743B1 (ko) 2020-08-20 2020-08-20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404B1 (ko) * 2021-12-23 2022-08-24 (주)그룬 압력 기반 정밀 여과장치 필터 관리 시스템
KR20230086268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이스타이엔지 Rfid를 이용한 워터필터 교체 알림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549A (ja) * 1993-04-21 1994-11-01 Funai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JPH08206641A (ja) * 1995-02-01 1996-08-13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
JP2005508052A (ja) * 2001-10-26 2005-03-24 パーロ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公共用水処理システム監視方法
KR100506804B1 (ko) * 2005-04-08 2005-08-09 주식회사 현진기업 센서 및 세척수용 집수트러프를 구비한 원통형 상하수도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549A (ja) * 1993-04-21 1994-11-01 Funai Electric Co Ltd 水処理装置
JPH08206641A (ja) * 1995-02-01 1996-08-13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
JP2005508052A (ja) * 2001-10-26 2005-03-24 パーロ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公共用水処理システム監視方法
KR100506804B1 (ko) * 2005-04-08 2005-08-09 주식회사 현진기업 센서 및 세척수용 집수트러프를 구비한 원통형 상하수도정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268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이스타이엔지 Rfid를 이용한 워터필터 교체 알림 제공 시스템
KR102435404B1 (ko) * 2021-12-23 2022-08-24 (주)그룬 압력 기반 정밀 여과장치 필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743B1 (ko)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필터 교체시기 자동알림 시스템
KR101682226B1 (ko)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KR200417786Y1 (ko)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KR102274711B1 (ko)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KR102481515B1 (ko)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108252A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
EP34084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acuum sewage system for a building or for a marine vessel
CN107551646A (zh) 防漏型智能反冲洗过滤器及控制方法
KR20100128237A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및 방법
CN102698497A (zh) 一种分质供水成套设备自诊断技术
CN101387533B (zh) Ic卡腰轮(罗茨)气体流量计计量箱及计量方法
CN112213460A (zh) 一种供水管道水质检测方法
CN101786698A (zh) 饮用水单向管道膜净化装置
CN208137922U (zh) 一体式环保密闭泄压配注装置
KR102449018B1 (ko) 정밀여과장치 부단수 바이패스 모니터링 시스템
JP4537962B2 (ja) 可搬型捨水検査装置
KR102517957B1 (ko)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CN212224120U (zh) 一种截流系统
CN210166203U (zh) 一种海洋环境在线自动监测设备的过滤装置
CN215829593U (zh) 水质在线监测装置及截流系统
CN216336646U (zh) 一种安全性高具有漏水保护功能的净水器
KR100937907B1 (ko) 단수 방지를 위한 무인관리형 정수장치
CN207356693U (zh) 一种新型多功能前置过滤器
CN111704271A (zh) 水质管理机组
KR102562218B1 (ko) 탁도 감지형 tm/tc 수돗물 정밀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