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75B1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4175B1 KR102324175B1 KR1020200094449A KR20200094449A KR102324175B1 KR 102324175 B1 KR102324175 B1 KR 102324175B1 KR 1020200094449 A KR1020200094449 A KR 1020200094449A KR 20200094449 A KR20200094449 A KR 20200094449A KR 102324175 B1 KR102324175 B1 KR 102324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locker
- locking pin
- emergency door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2—Double winged doors or window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과 같은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문을 비상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단일체로된 광고면이 구비된 광고판을 부착한 상태의 비상도어로 제작함에 있어서,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락킹장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평상시에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상시 비상도어를 개방하면 락킹장치가 해지되면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연동되면서 중간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비상도어에 광고판이 일체화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광고판락킹장치의 구성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여서,
광고판락킹장치가 광고판의 배면판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와 같이 배면판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이 부분으로 빛이 새나가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또한,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 및 락커뭉치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과 핀결합홈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락킹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고장이 없고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비상도어와 광고판의 개방이 확실하여 오랫동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락킹장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평상시에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상시 비상도어를 개방하면 락킹장치가 해지되면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연동되면서 중간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비상도어에 광고판이 일체화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광고판락킹장치의 구성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여서,
광고판락킹장치가 광고판의 배면판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와 같이 배면판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이 부분으로 빛이 새나가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또한,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 및 락커뭉치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과 핀결합홈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락킹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고장이 없고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비상도어와 광고판의 개방이 확실하여 오랫동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과 같은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문을 비상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단일체로된 광고면이 구비된 광고판을 부착한 상태의 비상도어로 제작함에 있어서,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락킹장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평상시에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상시 비상도어를 개방하면 락킹장치가 해지되면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연동되면서 중간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비상도어에 광고판이 일체화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광고판락킹장치의 구성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여서,
광고판락킹장치가 광고판의 배면판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와 같이 배면판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이 부분으로 빛이 새나가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또한,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 및 락커뭉치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과 핀결합홈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락킹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동차의 선로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어 승객들이 승강장에서 선로쪽으로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과 같은 전동차 승강장 위에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 및 구분하기 위하여 승강장에 고정되는 도어레일을 갖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프레임에는 전동차의 각 출입문과 연동되어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하도록 고정프레임의 도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각 출입문과 동시에 개폐되는 복수 개의 개방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으로 전동차가 진입하거나 출발하게 되면,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 설치된 개방도어가 개폐된다. 즉, 승강장으로 전동차가 진입 후 정차하면 출입문과 동시에 개방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전동차 내로 승객이 하차 및 탑승하게 되고, 전동차에 승객의 탑승이 완료되어 출발하기 전에 출입문과 동시에 개방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는 전동차의 사고 및 갑작스런 운행 정지 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시 전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또는, 선로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승강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비상도어즉 안전문이 각 개방도어 측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개방도어의 고장으로 개방도어의 개폐 작동이 정지되었을 경우 또는 화재 등의 비상시 비상도어가 수동식으로 개폐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설치되고 있던 기존의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는 그 열림 방향이 승강장 측을 향해 90°또는 180°각도로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이거나 미닫이 방식의 비상도어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비상도어의 전면에는 대형 광고판이 설치되어 있어 비상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전면에 설치된 광고판도 개방시켜야 한다. 그러나 광고판은 인력으로 쉽게 개방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비상시에 성급하게 광고판을 들어올리려다 오히려 2차 사고가 발생되기도 하는 등 사고의 위험이 항시적으로 잔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910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선등록 특허는 패닉바가 밀려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마이크로 스위치는 오프(OFF) 상태이므로 락킹 및 락킹 해제부는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러다가 전동차의 사고 및 운행정지 또는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탈출을 시도하는 사람의 인력에 의해 패닉바를 밀게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되면서 제어부측으로 비상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신호에 의해 비상 사태의 발생을 인식하고 곧바로 락킹 및 랑킹 해제부에 신호를 송신하여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락킹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광고판 구동부인 가스실린더의 자력에 의해 광고판이 상측으로 들리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비상도어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등록 특허는 패닉바를 밀게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 제어부, 락킹 및 랑킹 해제부가 구비되는 전자식으로 구성된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어서, 비상사태와 함께 전원이 차단되면 광고판을 개방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는 한편, 선등록 특허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한 쌍의 비상도어에 각각 광고판과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를 형성하고, 상기 단일체로 된 광고판의 후면에는 비상도어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가 이동되는 궤적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홈을 형성하여서,
탈출자가 한 쌍의 비상도어를 개방시키면 비상도어를 개방시키는 힘에 의해 한 쌍의 비상도어에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롤러가 각각 가이드홈을 타고 밀면서 광고판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한 쌍의 비상도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각각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어서 광고판 양측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면 원활하게 광고판이 개방될 수도 있으나 광고판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또는 한 쌍의 비상도어를 미는 힘이 각각 달라 광고판의 좌,우측에 작용하는 힘이 다를 경우에는 각각의 가이드롤러가 가이드홈에 비정상적으로 꽉 끼여 이동이 제한되면서 광고판이 개방되지 못하여 탈출을 시도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많았다.
이에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본인의 선등록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가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문을 비상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좌우 한쌍으로된 비상도어(100)로 구조변경 함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비상도어(100)는 각각 내측 상,하단을 상,하측문틀프레임에 수직으로 힌지(100a)결합하여 중앙문틀프레임(30)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비상도어(100)의 전방에 위치토록 중앙문틀프레임(30) 전방면에 중앙고정광고판(210)을 고정설치한다음 이에 힌지결합편(211)을 이용하여 좌,우측광고판(200)의 내측 상,하단을 수직으로 힌지(200a)결합하여서,
비상도어(100)의 개방시 비상도어(100) 및 광고판(200)이 각각의 힌지(100a)(200a)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광고판(200)의 일측프레임 내측으로는,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락킹되어 비상도어(100)와 일체화되고, 비상도어(100)의 개방시에는 결합이 해지되면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여줄 수 있는 광고판락킹장치(250)를 더 설치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여기서 상기 광고판(200)의 일측프레임에 설치되는 광고판락킹장치(250)는,
스프링(25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후진하며 선단(252a)이 상향절곡된 고리형태의 후크(252)로 이루어져,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후크(252)가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면서 비상도어(100)에 구비된 탄성걸림편(101) 일단에 후크(252) 선단(252a)이 결합되면서 락킹되어 비상도어(100)와 일체화되고,
비상도어(100)의 개방시에는 자연스럽게 선단(252a)이 일측광고판프레임(201)과의 결합이 해지되면서 각자의 힌지(100a)(200a)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동시에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인의 선등록 발명은 상기 비상도어에 설치된 광고판락킹장치(250)에 구비되는 후크(252)가 좌,우측 광고판(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에 결합되도록 비상도어(100)에 형성한 탄성걸림편(101)의 선단이 광고판(200)의 배면판(201)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역시 돌출되어 지는 관계로 후크(252)와 탄성걸림편(101)의 동작에 걸리적거림이 없도록 광고판(200)의 배면판(201)에 길게 구멍(201a)을 형성하여야만 했다. 즉, 도 3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상도어(100)를 개방시 좌,우 광고판(200) 후방을 밀폐하는 배면판(201)에는 후크(252)가 노출되어 지도록 길게 구멍(201a)을 형성하여야만 되었기 때문에 이 구멍(201a)을 통해 광고빛이 새어나가 이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도어(100)과 광고판(200)의 프레임 크기가 각각 제조사가 다르기 때문에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너무 뻑뻑하게 이루어져 무리한 힘을 가해 억지로 조립하거나 또는 너무 헐겁게 락킹되어 광고판(200)이 덜렁거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자주 발생하였다.
[선행기술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5261 " 승강장비상도어의 미닫이 방식 비상도어"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910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69061"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비상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 또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 발생하는 등의 여러 가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상시 좌우양측의 비상도어를 개방하면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연동되면서 중간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비상도어에 광고판이 일체화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광고판락킹장치의 구성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여서,
광고판락킹장치가 광고판의 배면판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함으로써 본인의 선등록 발명과 같이 배면판에 구멍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이 부분으로 빛이 새나가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으며,
또한,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 및 락커뭉치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과 핀결합홈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락킹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등 고품질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는 기본적으로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문을 좌우 한쌍으로된 비상도어로 구조변경하여 비상도어의 개방시 비상도어 및 광고판이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비상도어의 일측도어프레임 내측으로,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밀착시키면 락킹되어 비상도어와 일체화되고, 비상도어의 개방시에는 결합이 해지되면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여줄 수 있는 광고판락킹장치를 더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락킹장치를 상기 비상도어의 일측프레임에 설치되며 락킹핀이 구비되는 락킹핀뭉치와,
상기 광고판의 일측프레임에 락킹핀뭉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핀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락킹핀을 락킹하는 락커가 구비되는 락커뭉치로 구성하여서,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밀착시키면 락킹핀에 의해 락커가 회전하다가 락커에 형성된 락킹핀결합홈이 락킹핀에 결합되면서 락커에 의해 락킹핀이 락킹되어서 비상도어에 광고판이 일체화되고,
비상도어의 개방시에는 자연스럽게 락킹핀이 락커로부터 결합이 해지되면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동시에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에 의해 락킹핀뭉치에 구비된 락킹핀과 락커에 구비된 락커의 핀결합홈의 위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락킹위치를 간편하게 일치시켜 줄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대형의 한쌍의 비상도어와 좌,우측 광고판이 수직으로 설치된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작은 폭으로 그것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최소한의 힘만으로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개방되는 것은 기본이고,
락킹핀뭉치에 구비되는 락킹핀이 비상도어의 일측프레임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상기 락킹핀에 결합되어지는 락커가 구비되는 락커뭉치의 경우에도 광고판의 배면판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광고판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배면판에 구멍을 뚫지 않도록 않아도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면판을 일부 절개하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빛이 새나가 이 부분이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다.
또한, 광고판과 비상도어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 및 락커뭉치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과 핀결합홈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락킹핀결합홈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을 할 수 있어서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비상도어를 개방하여 락커에 결합된 락킹핀이 벗어나면서 해정된 후에는 락커를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작업을 락커수동복귀장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여기에 락커를 자동으로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락커자동복귀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더욱 편리하게 락커를 초기상태로 원위치시켜 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고장이 없고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비상도어와 광고판의 개방이 확실하여 오랫동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임이 분명하다.
도 1은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인의 선등록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으로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의 힌지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에 구성되는 광고판락킹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형으로 락킹시킨 상태도.
도 5b는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개방시 광고판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7은 락킹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락킹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
도 9a 및 9b는 락킹핀을 상,하,좌,우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락킹핀뭉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9a는 조립상태도.
도 9a는 분해상태도.
도 10은 비상도어의 개방시 락킹 자동해제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1은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화 되도록 밀착시켜 락킹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2는 락커수동복귀장치를 이용하여 락커를 초기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락커뭉치에 락커자동복귀장치를 더 구비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3은 락커자동복귀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화 되도록 밀착시켜 락킹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5는 락커자동복귀장치에 의해 락커를 초기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락킹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면으로서,
도 16a는 광고판 크기와 비상도어의 크기가 같거나 광고판의 크기가 클 경우에 수평이송블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b는 광고판 크기 보다 비상도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수평이송블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인의 선등록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으로서 비상도어와 광고판의 힌지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인의 선등록 발명에 구성되는 광고판락킹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형으로 락킹시킨 상태도.
도 5b는 비상도어 및 광고판의 개방시 광고판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7은 락킹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락킹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
도 9a 및 9b는 락킹핀을 상,하,좌,우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락킹핀뭉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9a는 조립상태도.
도 9a는 분해상태도.
도 10은 비상도어의 개방시 락킹 자동해제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1은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화 되도록 밀착시켜 락킹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2는 락커수동복귀장치를 이용하여 락커를 초기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락커뭉치에 락커자동복귀장치를 더 구비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3은 락커자동복귀장치의 일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비상도어에 광고판을 일체화 되도록 밀착시켜 락킹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5는 락커자동복귀장치에 의해 락커를 초기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락킹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보인 일 예시도면으로서,
도 16a는 광고판 크기와 비상도어의 크기가 같거나 광고판의 크기가 클 경우에 수평이송블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b는 광고판 크기 보다 비상도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수평이송블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는 기본적으로 본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1969061호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과 같은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문을 비상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 전방에 단일체로된 광고면이 구비된 광고판을 부착한 상태의 비상도어를 제작하되, 비상도어 및 광고판에 구비되는 락킹장치의 결합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비상시 좌우양측의 비상도어를 개방하면 비상도어와 광고판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연동되면서 중간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게 회전 개방 되어진다.
이에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를 본인의 선등록 발명으로 제시된 도 1 내지 도 5b는 물론 특히,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6b에 의거 비교적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문을 비상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좌우 한쌍으로된 비상도어(100)로 구조변경하는 것으로 비상도어(100)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비상도어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패닉바(101)와 연계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한쌍의 비상도어(100)가 열리지 않도록 문틀프레임(10)에 결합되어 록킹되고 패닉바(101)가 눌러지면 록킹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반적인 구성이고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비상도어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한쌍의 비상도어(100)는 각각 내측 상,하단을 상,하측문틀프레임(10)(20)에 힌지(100a)결합하여 중앙문틀프레임(30)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비상도어(100)의 전방에 위치토록 중앙문틀프레임(30) 전방면에는 중앙고정광고판(210)이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이 중앙고정광고판(210)의 상하 양측단에는 힌지결합편(210)을 이용하여 좌,우측 광고판(200)의 내측 상,하단이 힌지(200a)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도어(100)의 개방시 비상도어(100)가 좌,우측 광고판(200)을 푸쉬하면서 개방되는데 이때, 비상도어(100) 및 광고판(200)은 각각의 힌지(100a)(200a)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비상도어(100) 및 광고판(200)에는 특수한 형태의 광고판락킹장치(1000)가 더 설치되어 진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의 광고판락킹장치(1000)는 상기 비상도어(100)의 일측프레임(101)에 설치되며 락킹핀(1121)이 구비되는 락킹핀뭉치(1100)와,
상기 광고판(200)의 일측프레임에 락킹핀뭉치(1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핀삽입구(1200a)를 통해 삽입되는 락킹핀(1121)을 락킹하는 락커(1210)가 구비되는 락커뭉치(1200)로 이루어져,
도 11을 참조하면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락커(1210)가 락킹핀(1121)에 밀려 회전하면서 락커(1210)에 형성된 락킹핀결합홈(1210a)이 상승하면서 락킹핀(1121)에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락커(1210)에 의해 락킹핀(1121)이 락킹되면서 광고판(200)이 비상도어(100)와 일체화 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초기 상태 즉,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락커(1210)의 상단부가 핀삽입구(1200a)를 막고 있는 상태로 있다가,
점차로 광고판(200)이 닫히면 핀삽입구(1200a)로 락킹핀(1121)이 삽입되면서 락킹핀(1121)에 의해 락커(1210)의 상단이 푸쉬되어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상승하여 락킹핀(1121)에 결합되어 락킹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락커(1210)는 락킹스토퍼(1220)의 하단을 푸쉬하면서 회전하다가 락커(1210)에 구비된 걸림턱(1210b)이 락킹스토퍼(1220)에 형성된 걸림턱(1220b)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락커(1210)가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락킹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상도어(100)를 개방하게 되면, 비상도어(100)의 미는 힘에 의해 광고판(200)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은 각각의 힌지(100a)(200a)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동시에 개방되는데,
이때, 비상도어(100)의 힌지(100a) 위치보다 광고판(200)의 힌지(200a) 위치가 더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상도어(100)에 설치된 락킹핀뭉치(1100)에 구비된 락킹핀(1121)보다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락커(1210)가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진다.
따라서, 비상도어(100)의 개방이 점차로 진행됨에 따라 락커(1210)의 락킹핀결합홈(1210a)으로부터 락킹핀(1121)이 비껴 빠져나오면서 락킹이 해지된다.
따라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동시에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하면서 개방되어 진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비상도어(100)를 개방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면 비상도어(100)를 다시 닫은 후에 광고판(200)을 닫아서 비상도어(100)와 다시 일체화 시켜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작업으로서 락커(1210)가 락킹상태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첨부도면 도 12와 같이 락커(121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락커수동복귀장치(1300)가 구비되어 있다.
락커(1210)와 락킹스토퍼(1220)는 각각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락커(1210)와 락킹스토퍼(1220)는 인장스프링(1212)으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스토퍼(1220)에는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이 구비된 락커수동복귀장치(1300)가 연계설치되어 있는데,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을 회전시키면 락킹스토퍼(1220)가 회동되어지도록 연계설치되어 있다.
락커(1210)와 락킹스토퍼(1220)는 각각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락커(1210)와 락킹스토퍼(1220)는 인장스프링(1212)으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스토퍼(1220)에는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이 구비된 락커수동복귀장치(1300)가 연계설치되어 있는데,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을 회전시키면 락킹스토퍼(1220)가 회동되어지도록 연계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3 내지 도 15에서 일예로 보는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락커수동복귀장치 및 락커자동복귀장치는 일 예로 제시된 것일 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먼저 락커수동복귀장치(13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락킹스토퍼(1300)와 연계설치되어져 있는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에 키(미도시)를 꽂아 회전시켜 락킹스토퍼(1220)의 걸림턱(1220b)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 있는 락커(1210)에 구비된 걸림턱(1210b)의 걸림을 해지시켜 준다.
그러면 인장스프링(121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하강된 상태로 원위치된다.
이번에는 락커자동복귀장치(1400)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로 제시된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스토퍼(1220) 상단에 연결핀(12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핀(1222)은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 상측면에 전,후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락킹자동해정구(1223)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되, 이 락킹자동해정구(1223)는 후단이 코일스프링(1224)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초기 상태 즉,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락커(1210)의 상단부가 핀삽입구(1200a)를 막고 있는 상태에 있다가,
점차로 광고판(200)이 닫히면서 핀삽입구(1200a)로 락킹핀(1121)이 삽입되면서 락킹핀(1121)에 의해 락커(1210)의 상단이 푸쉬되면서 전진함에 따라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설치된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상승하여 락킹핀(1121)을 감싸 락킹이 되고,
이때 상기 락킹자동해정구(1223)는 락킹핀바디에 닿으면서 후방으로 후퇴하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1224)의 가압력이 해지되므로 락킹자동해정구(1223)와 연결핀(1222)으로 연결되는 락킹스토퍼(1220)의 움직임이 비교적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상기 락커(1210)는 락킹스토퍼(1220)의 하단을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푸쉬하면서 회전하다가 락커(1210)에 구비된 걸림턱(1210b)이 락킹스토퍼(1220)에 형성된 걸림턱(1220b)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락커(1210)가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락킹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도 10과 같이 비상도어(100)를 개방시키면 락커(1210)의 락킹핀결합홈(1210a)으로부터 락킹핀(1121)이 빠져나오면서 락킹이 해지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코일스프링(1224)의 탄발력에 의해 락킹자동해정구(1223)가 전진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이의 후단에 연결핀(1222)으로 연결설치된 락킹스토퍼(1220)의 상단이 당겨지고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220b)이 후퇴하면서 락킹스토퍼(1220)의 걸림턱(1220b)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 있는 락커(1210) 걸림턱(1210b)의 걸림이 해지되고 인장스프링(121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하강된 상태로 자동으로 원위치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락커(121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주는 작업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광고판락킹장치(10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고판(200)과 비상도어(100)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1100) 및 락커뭉치(1200)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1121)과 락킹핀결합홈(1210a)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락킹핀결합홈(1210a)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는데, 일예로 상기 락킹핀(1121)은 비상도어(100) 프레임에 볼트(121)로 고정설치되는 비상도어고정구(120) 전면에,
상기 수평안내장공(1111a)이 형성된 수평몸체부(1111)와 수평몸체부(1111)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수직몸체부(1112)를 가지는 수평이송블럭(1110)을 볼트(1113)를 이용하여 조립설치하되, 상기 수평이송블럭(1110)을 수평안내장공(1111a)을 통해 비상도어고정구(120)에 볼트(1113)로 체결하여서 볼트(1113)를 풀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이송블럭(1110)의 수직몸체부(1112) 측면에는 락킹핀(1121)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직안내장공(1122)이 형성된 락킹핀바디(1120)의 결합홈(1120a)을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1123)를 이용하여 조립설치하되, 상기 락킹핀바디(1120)를 수직안내장공(1122)을 통해 수직몸체부(1112) 측면에 볼트(1123)로 체결하여서 볼트(1123)를 풀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광고판(200)과 비상도어(100)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1100) 및 락커뭉치(1200)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1121)과 핀삽입구(1200a)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이들을 분해하여 재설치할 필요없이 락커뭉치(1200)에 구비되어 락킹핀(1121)의 결합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핀삽입구(1200a)의 위치 더욱 자세히는 락커(1210)에 구비되는 락킹핀결합홈(1210a)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맞추어 수평이송블럭(1110)을 좌우로 이송시켜주거나 또는 락킹핀바디(1120)를 상하로 이송시켜주는 아주 간편한 방법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주면 상술한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정할 때 첨부도면 도 16a에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고판(200) 크기와 비상도어(100)의 크기가 같거나 광고판(200)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수평이송블럭(1110)을 원래 조립상태 그대로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이송블럭(1110)을 좌우로 이송시켜주거나 또는 락킹핀바디(1120)를 상하로 이송시켜주는 아주 간편한 방법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면 되지만,
첨부도면 도 16b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판(200) 크기 보다 비상도어(100)의 크기가 작아서 비상도어(100)의 락킹핀뭉치(1100)에 구비된 락킹핀(1121) 위치와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핀삽입구(1200a)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락킹핀(112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수평이송블럭(1110)을 뒤집어서 비상도어고정구(120)에 설치하되 수평이송블럭(1110)의 수평몸체부(1111) 선단이 비상도어(100) 프레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기위해서 수평이송블럭(1110)에 구비된 수직몸체부(1112)에 락킹핀바디어뎁터(1130)를 고정설치한 후 이 락킹핑어뎁터(1130)에 락킹핀바디(1120)를 상하 위치조절되도록 결합하여 락킹핀(1121)의 위치를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핀삽입구(1200a) 위치에 맞춰 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대형의 한쌍의 비상도어(100)와 좌,우측 광고판(200)이 수직으로 설치된 각각의 힌지(100a)(200a)를 중심으로 작은 폭으로 그것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최소한의 힘만으로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개방되는 것은 기본이고,
락킹핀뭉치(1100)에 구비되는 락킹핀(1121)이 비상도어(100)의 프레임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상기 락킹핀(1121)에 결합되어지는 락커(1210)가 구비되는 락커뭉치(1200)의 경우에도 광고판(200)의 배면판(201)과 간섭이 전혀 없도록 광고판(200)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배면판(201)에 구멍을 뚫지 않도록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배면판(201)을 일부 절개하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빛이 새나가 이 부분이 어둡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없는 것은 물론,
광고판(200)과 비상도어(100)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락킹핀뭉치(1100) 및 락커뭉치(1200)의 고정설치 후 락킹핀뭉치(1100)의 락킹핀(1121)과 락커뭉치(1200)의 핀삽입구(1200a)의 위치가 달라져 락킹이 되지 않게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핀삽입구(1200a)의 위치 더욱 상세하게는
락킹핀(1121)이 락킹핀결합홈(1210a)에 결합될수 있는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이 할 수 있기때문에 락킹이 되지 않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도어(100)를 개방하면 락커(1210)에 결합된 락킹핀(1121)이 벗어나면서 해정된 후,
락커(1210)를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작업을 락커수동복귀장치(130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를 이용하여 락커(1210)를 자동으로 매우 편리하게 원위치시켜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상측문틀프레임 20:하측문틀프레임
30:중앙문틀프레임 100:비상도어
100a,200a,1211:힌지 101:일측도어프레임
110:패닉바 120:비상도어고정구
200:광고판 121:볼트
210:중앙고정광고판 1000:광고판락킹장치
1100:락킹핀뭉치 1110:수평이송블럭
1111:수평몸체부 1111a:수평안내장공
1112:수직몸체부 1113,1123:볼트
1120:락킹핀바디 1121:락킹핀
1122:수직안내장공 1130:락킹핀바디어뎁터
1200:락커뭉치 1200a:핀삽입구
1210:락커 1210a:락킹핀결합홈
1210b, 1220b:걸림턱 1220:락킹스토퍼
1221:락킹스토퍼회전축 1222:연결핀
1223:락킹핀자동해정구 1224:코일스프링
1300:락커수동복귀장치 1400:락커자동복귀장치
30:중앙문틀프레임 100:비상도어
100a,200a,1211:힌지 101:일측도어프레임
110:패닉바 120:비상도어고정구
200:광고판 121:볼트
210:중앙고정광고판 1000:광고판락킹장치
1100:락킹핀뭉치 1110:수평이송블럭
1111:수평몸체부 1111a:수평안내장공
1112:수직몸체부 1113,1123:볼트
1120:락킹핀바디 1121:락킹핀
1122:수직안내장공 1130:락킹핀바디어뎁터
1200:락커뭉치 1200a:핀삽입구
1210:락커 1210a:락킹핀결합홈
1210b, 1220b:걸림턱 1220:락킹스토퍼
1221:락킹스토퍼회전축 1222:연결핀
1223:락킹핀자동해정구 1224:코일스프링
1300:락커수동복귀장치 1400:락커자동복귀장치
Claims (7)
- 전동차 승강장에 설치되는 개방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문을 좌우 한쌍으로된 비상도어(100)로 구조변경하여 비상도어(100)의 개방시 비상도어(100) 및 광고판(200)이 각각의 힌지(100a)(200a)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비상도어(100)의 일측도어프레임(101) 내측으로,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락킹되어 비상도어(100)와 일체화되고, 비상도어(100)의 개방시에는 결합이 해지되면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하여줄 수 있는 광고판락킹장치(1000)를 더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락킹장치(1000)를 상기 비상도어(100)의 일측프레임에 설치되며 락킹핀(1121)이 구비되는 락킹핀뭉치(1100)와,
상기 광고판(200)의 일측프레임에 락킹핀뭉치(1100)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핀삽입구(1200a)를 통해 삽입되는 락킹핀(1121)을 락킹하는 락커(1210)가 구비되는 락커뭉치(1200)로 구성하여서,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락킹핀(1121)에 의해 락커(1210)가 회전하다가 락커(1210)에 형성된 락킹핀결합홈(1210a)이 락킹핀(1121)에 결합되면서 락커(1210)에 의해 락킹핀(1121)이 락킹되어서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이 일체화되고,
비상도어(100)의 개방시에는 자연스럽게 락킹핀(1121)이 락커(1210)의 락킹핀결합홈(1210a)으로 부터 결합이 해지되면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이 서로의 동작에 간섭없이 동시에 수평으로 안전하게 회전개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락킹핀(1121)은,
비상도어(100) 프레임에 볼트(121)로 고정설치되는 비상도어고정구(120) 전방면에,
수평안내장공(1111a)이 형성된 수평몸체부(1111)와 수평몸체부(1111)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수직몸체부(1112)를 가지는 수평이송블럭(1110)을 볼트(1113)를 이용하여 조립설치하되, 상기 수평이송블럭(1110)을 수평안내장공(1111a)을 통해 비상도어고정구(120)에 볼트(1113)로 체결하여서 볼트(1113)를 풀면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이송블럭(1110)의 수직몸체부(1112) 측면에는 락킹핀(1121)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수직안내장공(1122)이 형성된 락킹핀바디(1120)의 결합홈(1120a)을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1123)를 이용하여 조립설치하되, 상기 락킹핀바디(1120)를 수직안내장공(1122)을 통해 수직몸체부(1112) 측면에 볼트(1123)로 체결하여서 볼트(1123)를 풀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비상도어(100)와 광고판(200) 각각의 프레임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작업자에 숙련도 차이에 의해 락킹핀뭉치(1100)에 구비된 락킹핀(1121)과 락커(1210)에 구비된 핀삽입구(1200a)의 위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핀삽입구(1200a)의 위치에 맞추어 락킹핀(1121)의 상하 및 좌우 위치조절을 통해 락킹위치를 일치시켜 줄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핀(1121)은,
광고판(200) 크기 보다 비상도어(100)가 작아서 비상도어(100)의 락킹핀뭉치(1100)에 구비된 락킹핀(1121) 위치와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핀삽입구(1200a)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락킹핀(112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평이송블럭(1110)을 뒤집어서 비상도어고정구(120)에 설치하되 수평이송블럭(1110)의 수평몸체부(1111) 선단이 비상도어(100) 프레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기위해서 수평이송블럭(1110)에 구비된 수직몸체부(1112)에 락킹핀바디어뎁터(1130)를 고정설치한 후 이 락킹핑어뎁터(1130)에 락킹핀바디(1120)를 상하 위치조절되도록 결합하여 락킹핀(1121)의 위치를 광고판(200)에 설치된 락커뭉치(1200)에 구비된 핀삽입구(1200a)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뭉치(1200)에 구비되는 락커(1210)는,
비상도어(100)를 개방하면 락커(1210)에 결합된 락킹핀(1121)이 벗어나면서 해정된 후,
락커(1210)를 수동으로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락커수동복귀장치(1300) 및 락커(1210)를 자동으로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함께 연계설치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1210)를 수동으로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락커수동복귀장치(1300)는,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설치된 락킹스토퍼(1220)에 연계설치되어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에 키를 꽂아 회전시켜주면, 락킹스토퍼(1220)의 하단이 락킹스토퍼회전축(12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락킹스토퍼(1220)의 걸림턱(1220b)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 있는 락커(1210)에 구비된 걸림턱(1210b)의 걸림이 해지되면서,
인장스프링(121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설치된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락킹핀결합홈(1210a)이 하강하여 락커(1210)가 초기상태로 원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1210)를 자동으로 초기상태로 원위치시키는 락커자동복귀장치(1400)는 락킹스토퍼(1220) 상단에 연결핀(1222)을 형성하고 이 연결핀(1222)을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 상측면에 전후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락킹자동해정구(1223)의 후단에 결합하되, 이 락킹자동해정구(1223)는 후단이 코일스프링(1224)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초기 닫혀 있는 상태의 비상도어(100)에 광고판(200)을 밀착시키면 핀삽입구(1200a)로 락킹핀(1121)이 삽입되면서 락킹핀(1121)에 의해 락커(1210)의 상단이 푸쉬되면서 전진함에 따라 락커뭉치(1200)를 구성하는 설치편(1201)에 설치된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상승하여 락킹핀(1121)을 감싸 락킹이 되고,
비상도어(100)를 개방시켜 락커(1210)의 락킹핀결합홈(1210a)으로부터 락킹핀(1121)이 빠져나오면서 락킹이 해지되면 순간적으로 코일스프링(1224)의 탄발력에 의해 락킹자동해정구(1223)가 전진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이의 후단에 연결핀(1222)으로 연결설치된 락킹스토퍼(1220)의 상단이 당겨지고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220b)이 후퇴하면서 락킹스토퍼(1220)의 걸림턱(1220b)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 있는 락커(1210) 걸림턱(1210b)의 걸림이 해지되고 인장스프링(121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락커(1210)가 힌지(12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핀결합홈(1210a)이 하강된 상태로 자동으로 원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4449A KR102324175B1 (ko) | 2020-07-29 | 2020-07-29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4449A KR102324175B1 (ko) | 2020-07-29 | 2020-07-29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4175B1 true KR102324175B1 (ko) | 2021-11-10 |
Family
ID=7850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4449A KR102324175B1 (ko) | 2020-07-29 | 2020-07-29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41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38747A (zh) * | 2018-11-09 | 2019-01-04 | 北京铁五院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 Π型刚性接触网授电d型列车地铁的区间防护密闭隔断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011B1 (ko) * | 2006-09-26 | 2008-02-18 |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
KR100984073B1 (ko) * | 2009-11-30 | 2010-09-28 |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
KR101871674B1 (ko) * | 2017-10-31 | 2018-06-2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
KR101969061B1 (ko) * | 2018-12-19 | 2019-04-18 | 주식회사 큐비엘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비상도어 개폐장치 및 광고판 부착형 비상도어 조립체 |
-
2020
- 2020-07-29 KR KR1020200094449A patent/KR102324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011B1 (ko) * | 2006-09-26 | 2008-02-18 |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
KR100984073B1 (ko) * | 2009-11-30 | 2010-09-28 |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
KR101871674B1 (ko) * | 2017-10-31 | 2018-06-2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
KR101969061B1 (ko) * | 2018-12-19 | 2019-04-18 | 주식회사 큐비엘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비상도어 개폐장치 및 광고판 부착형 비상도어 조립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38747A (zh) * | 2018-11-09 | 2019-01-04 | 北京铁五院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 Π型刚性接触网授电d型列车地铁的区间防护密闭隔断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25670A (en) | Self-locking lock | |
CN107973200B (zh) | 一种电梯防扒轿门锁门刀装置及电梯 | |
DE69914269T2 (de) | Vorrichtung zur Öffnung/Schliessung einer Aufzugsschalttafel | |
CN110526092B (zh) | 电梯轿门锁异步门刀组件 | |
US20190078353A1 (en) | Security gate with gate lock | |
KR102324175B1 (ko)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락킹장치 | |
KR20100024786A (ko) |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 |
EP0850189B1 (en) |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 |
KR20110030258A (ko) | 안전문 | |
US5992100A (en) | Door jamb assembly | |
KR101870861B1 (ko)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 |
KR20110000114U (ko) |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 |
US7243760B2 (en) | Elevator door unit having mechanism to release lock unit manually in emergency | |
US20120279131A1 (en) | Safety device for a movable barrier | |
KR102102669B1 (ko) | 지하철 광고판 부착형 안전문 개방시스템 | |
KR20230015154A (ko) |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
US4993760A (en) | Door chain-locking device | |
GB2267728A (en) | Restrictor device | |
US4618177A (en) |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doors | |
US4872326A (en) | Three stage combination replacement lock | |
EP0649958B1 (en) | Lock for the secondary leaf of fire doors | |
JPS6220626Y2 (ko) | ||
KR20180012420A (ko) | 중문 고정 장치 | |
KR102531391B1 (ko) | 자동 도어 시스템 | |
CN218950767U (zh) | 电梯门刀解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