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53B1 -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53B1
KR102324053B1 KR1020150001162A KR20150001162A KR102324053B1 KR 102324053 B1 KR102324053 B1 KR 102324053B1 KR 1020150001162 A KR1020150001162 A KR 1020150001162A KR 20150001162 A KR20150001162 A KR 20150001162A KR 102324053 B1 KR102324053 B1 KR 10232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art
connection
cylind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658A (ko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상기 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이음관부; 및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유닛은,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VERSATILE SAFETY PIPE B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막힘을 뚫기 위해 이용되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을 이용한 유체의 수송은 다른 기관보다 효율적이어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배관 내부에서의 불순물이나 침전물의 장시간에 걸친 퇴적, 밸브의 오작동, 그리고 천연가스 생산과 운송시 관 내벽에서의 수화물(Hydrate) 생성 등으로 인해 배관 내부게 막히는 일이 주변에서 흔히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배관 내부 막힘(Plugging)은, 유체의 생산과 수송이 중단되도록 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입힐 수 있고, 심지어 폭발 등의 위험한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배관의 막힘에 의한 피해는 경제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시간 및 인명피해까지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배관의 막힘을 뚫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막힘을 뚫는 작업은, 통상 막힘이 발생된 배관의 내부에 쇠막대 등을 쑤셔 넣어 배관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365호(2011년 12월 22일 등록, 발명의 명칭 : 하수 배관 막힘 방지 및 뚫음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관의 막힘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뚫을 수 있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는: 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이음관부; 및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유닛은,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제거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배관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제거봉의 진입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유닛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제거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거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공에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관부는,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약품주입부와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는, 각각 연결공과 연통되며 "T"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관부는, 상기 제3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에 따르면,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파쇄하기 위한 제거봉의 조작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막힘이 뚫렸을 때 배관 및 배관과 연결된 용기 내부의 유체가 내부 압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물질제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일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물질제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100)는, 이음관부(110)와, 이물질제거유닛(120) 및 약품주입부(130)를 포함한다.
이음관부(110)는, 작업 대상이 되는 배관(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관부(110)는 "T" 형상의 티(Tee)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음관부(110)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13) 및 제3연결부(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음관부(110)의 내부에는 연결공(110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연결부(111)는 배관(10)과 연결되고, 제1연결부(111)와 배관(10) 간의 연결에 의해 배관(10)의 내부와 연결공(110a)이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부(111)와 배관(10) 간의 연결은, 배관(10)의 단부와 제1연결부(11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이음관부(110)는 배관(10)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제2연결부(113)는 이물질제거유닛(120)과 연결되고, 제2연결부(113)와 이물질제거유닛(120) 간의 연결에 의해 연결공(110a)과 이물질제거유닛(12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실린더(121)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120a)이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113)는 제1연결부(111)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이음관부(110)의 내부에는 제2연결부(113)로부터 연결공(110a)을 거쳐 제1연결부(111)로 이어지는 일직선 형태의 경로가 형성된다.
제3연결부(115)는 약품주입부(130)와 연결되고, 제3연결부(115)와 약품주입부(130) 간의 연결에 의해 연결공(110a)과 약품주입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115)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13) 간의 연결방향과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제2연결부(113)로부터 제1연결부(111)로 이어지는 일직선 형태의 경로와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13) 및 제3연결부(115)는, 각각 연결공(110a)과 연통되며 "T"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이음관부(110)는, 개폐밸브(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밸브(117)는, 제3연결부(115)에 구비되어 제3연결부(115)를 개폐한다. 즉 개폐밸브(117)는, 제3연결부(115)의 내부와 연결공(110a)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제3연결부(115)의 내부와 연결공(110a) 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이러한 개폐밸브(117)의 동작을 통해, 약품주입부(130)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음관부(110)로의 약품 주입 여부를 단속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유닛(120)은, 이음관부(110)와 연결되어 배관(1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유닛(120)은, 실린더(121) 및 제거봉(125)을 포함한다.
실린더(121)는, 이물질제거유닛(120)의 몸체를 이루며, 이음관부(11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12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실린더(121)의 일측에는, 결합부(122)가 구비된다. 결합부(122)는 이음관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연결부(113)와 결합되고, 결합부(122)와 제2연결부(113) 간의 결합은 결합부(122)와 제2연결부(11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121)와 이음관부(1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물질제거유닛(120)이 이음관부(110)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실린더(121)의 내부에는 삽입공(120a)이 실린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며, 삽입공(120a)에는 후술할 제거봉(125)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삽입공(120a)은, 실린더(121)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공(110a) 및 배관(10) 내부로 진입되는 제거봉(125)의 일직선 형태의 진입 경로를 형성한다.
제거봉(125)은 실린더(121)를 관통하도록, 즉 실린더(121) 내부의 삽입공(120a)을 삽입,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거봉(125)은 삽입공(120a) 및 연결공(110a)을 통해 배관(10)의 내부에 진입하여 배관(1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거봉(125)은 가늘고 끝이 뾰족한 꼬챙이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거봉(125)은, 삽입공(120a)에 의해 형성되는 일직선 형태의 진입 경로를 따라 배관(10) 측으로 전진하여 이음관부(110) 내부의 연결공(110a)을 통과한 후 배관(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21) 내부의 삽입공(120a)은, 삽입공(120a)이 형성된 실린더(121)의 내주면이 제거봉(125)과 밀착될 수 있도록 제거봉(12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물질제거유닛(120)은, 손잡이(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27)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제거봉(125)을 조작, 즉 전진, 후진, 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거봉(125)의 단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127)는 "×"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형상의 손잡이(127)는, 제거봉(125)의 전진, 후진 조작뿐 아니라,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약품주입부(130)는, 이음관부(110)와 연결되어 연결공(110a)에 약품을 주입한다. 약품주입부(130)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이음관부(110)의 내부로 주입하는 노즐 형태로 구비된다.
약품주입부(130)를 통해 주입되는 약품은, 배관(10) 내부에 침전 또는 응고되어 배관(10)의 막힘을 유발하는 이물질을 용해 또는 분해하기 위한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화학약품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일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다른 사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100)를 이용하여 배관(10)의 막힘을 뚫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관(10)과 제1연결부(111)를 결합시켜 이음관부(110)를 배관(10)에 연결하고, 이와 함께 제3연결부(115)와 결합부(122)를 결합시켜 이음관부(110)에 실린더(121)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배관(10)의 외측에는 이음관부(110)와 실린더(121)의 결합체가 연결되고, 이 이음관부(110)와 실린더(121)의 결합체의 내부에는 삽입공(120a)으로부터 연결공(110a)을 거쳐 배관(10)의 내부로 연결되는 일직선 형태의 진입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10)의 외측에 이음관부(110)와 실린더(121)의 결합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115)가 폐쇄되도록 개폐밸브(117)를 조작함으로써, 배관(10)의 막힘이 뚫렸을 때 배관(10) 내부의 유체가 제3연결부(115)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거봉(125)을 삽입공(120a)을 통해 실린더(121)의 내부에 삽입한 후, 배관(10)을 향해 전진시킨 후, 배관(10)의 막힘 상태에 따라 제거봉(125)의 전진, 후진, 회전을 반복하면서 배관(10)의 내부에 침전 또는 응고되어 배관(10)의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파쇄하여 준다.
이때 제거봉(125)의 전진, 후진과 같은 동작이 삽입공(120a)에 의해 형성된 일직선 형태의 진입 경로에 의해 안내되므로, 제거봉(125)의 조작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거봉(125)과 실린더(121)가 밀착되어 실린더(121)의 내부가 제거봉(125)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진행되므로, 배관(10)의 막힘이 뚫렸을 때 배관(10) 및 용기(1) 내부의 유체가 내부 압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주입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약품을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연결부(115)를 통해 약품주입부(130)를 이음관부(110)에 연결한 후, 제3연결부(115)가 개방되도록 개폐밸브(117)를 조작하여 약품주입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이 연결공(110a)을 통해 배관(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제거봉(125)의 전진, 후진, 회전을 반복하면서 배관(10)의 내부에 침전 또는 응고되어 배관(10)의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파쇄하여 준다.
이 과정에서 배관(10)의 내부로 주입된 약품이 배관(10)의 내부에 침전 또는 응고된 이물질을 용해 또는 분해시시키게 되므로, 제거봉(125)을 이용한 이물질의 파쇄가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완료되면, 약품 주입을 중단하고, 이물질제거유닛(120)과 약품주입부(130)를 배관(1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이물질제거유닛(120)과 약품주입부(130)의 분리작업은 제3연결부(115)가 폐쇄되도록 개폐밸브(117)를 조작한 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배관(10)의 막힘이 뚫렸을 때 배관(10) 및 배관과 연결된 용기(1) 내부의 유체가 제3연결부(115)를 통해 외부로 급작스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100)는, 배관(10) 내부의 이물질을 파쇄하기 위한 제거봉(125)의 조작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100)는, 배관(10)의 막힘이 뚫렸을 때 배관(10) 및 배관과 연결된 용기(1) 내부의 유체가 내부 압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10) 내부에 대한 뚫음 작업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110 : 이음관부
111 : 제1연결부 113 : 제2연결부
115 : 제3연결부 117 : 개폐밸브
120 : 이물질제거유닛 121 : 실린더
122 : 결합부 125 : 제거봉
127 : 손잡이 130 : 약품주입부

Claims (6)

  1. 내부에 유체가 포함된 용기에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이음관부; 및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유닛은,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이음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공에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주입부; 및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봉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부는, 상기 배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약품주입부와 연결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3연결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3연결부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약품이 제3연결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로 주입되게 상기 제3연결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제거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배관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제거봉의 진입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유닛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제거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거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및 상기 제3연결부는, 각각 연결공과 연통되며 "T"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6. 삭제
KR1020150001162A 2015-01-06 2015-01-06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KR102324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62A KR102324053B1 (ko) 2015-01-06 2015-01-06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62A KR102324053B1 (ko) 2015-01-06 2015-01-06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58A KR20160084658A (ko) 2016-07-14
KR102324053B1 true KR102324053B1 (ko) 2021-11-08

Family

ID=5649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162A KR102324053B1 (ko) 2015-01-06 2015-01-06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920Y1 (ko) * 1994-11-17 1998-10-15 김만제 분사노즐이 부착된 배관 청소기구
KR20070056826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석유화학(주) 노즐 충진물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58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3005A1 (en) Device for transplanting body fat
SE512489C2 (sv) Aseptisk anslutningsanordning
CN101513341A (zh) 清洗管以及内窥镜清洗消毒装置
JP2006523475A (ja) アンプル
JP5953040B2 (ja) 高圧噴射攪拌工法
JP2010064027A (ja) ドライアイス洗浄用ノズル
AR106751A1 (es) Sistema de inyección de sustancias químicas en estado sólido para aplicaciones en yacimientos petrolíferos
KR102324053B1 (ko) 다용도 안전 배관 뚫음장치
KR20160012098A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CN113396124B (zh) 用于饮料分配的具有颗粒隔网的中空针
ES2913116T3 (es) Muestreador
CN204276971U (zh) 一种集油管线开孔泄压工具
JP2006035110A (ja) 管洗浄装置
JP7274203B2 (ja) 既設分水栓の撤去方法、および既設分水栓の交換方法
KR200488206Y1 (ko) 관로 막힘 해소장치
KR101144320B1 (ko) 막힘방지기능을 가지는 주사기
EP2268947B1 (de) Probe-entnahmeventil
CN101832446A (zh) 用于污水管道清洁系统的联接装置
JP5933303B2 (ja) 圧抜き装置
KR200406315Y1 (ko) 위조방지 기능이 구비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EP3189267B1 (en) Device for supplying a gaseous fuel and additive products to a gas system for vehicle
EP1165181A4 (en) METHOD AND DEVICE FOR MAINTAINING PERFORATION OPENINGS
JP4594090B2 (ja) 溶融金属内に処理用ガスを注入する装置
CN107021289A (zh) 药液分离器
KR101958866B1 (ko) 저장탱크 청소용 분사구가 구비된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