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14B1 -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 Google Patents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814B1
KR102323814B1 KR1020210095442A KR20210095442A KR102323814B1 KR 102323814 B1 KR102323814 B1 KR 102323814B1 KR 1020210095442 A KR1020210095442 A KR 1020210095442A KR 20210095442 A KR20210095442 A KR 20210095442A KR 102323814 B1 KR102323814 B1 KR 10232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ounting frame
lower side
tray
washing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우 filed Critical 김재우
Priority to KR102021009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 등의 피세척물을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동시에 해당 피세척물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 피세척물의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대차부; 및 상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대차부의 상기 세척 공간으로 안착되는 채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CLEANING AND WEIGHING CART}
본 발명은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 등의 피세척물을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동시에 해당 피세척물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에 관한 것이다.
적재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는 운반대차는 적재판에 각종 물품을 올리고 운반자가 손잡이를 이송하고자 하는 방향을 끌어당기면 저면에 설치된 이송바퀴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적재판이 이동되어지는 이송 수단이다.
이러한 운반 대차의 경우, 적재된 물품의 이송에 있어서 안전한 이송을 제공하고 운반자의 이송 조작이 용이하도록 적정 중량의 물품이 적재되어야 하고, 운반자의 체격을 고려하여 이송 조작에 있어서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물품의 적재 높이가 설정되어야 했다.
기존의 운반대차들의 경우, 물품의 이송을 수행하는 운반자 또는 적재되어지는 물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이미 갖춰진 구조 내에서 물품의 적재 및 이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많은 제약 및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239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 등의 피세척물을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동시에 해당 피세척물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는, 피세척물의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대차부; 및 상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대차부의 상기 세척 공간으로 안착되는 채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는, 상기 대차부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부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척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부는,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 싱크; 상기 세척 싱크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하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 벨브; 상기 세척 싱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마다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반부는,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ㅁ"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세척 싱크로 안착되는 채반망;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는, 물이 배출된 상기 세척 싱크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채반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피세척물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부를 진동시켜 주는 채반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반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을 진동시켜 주는 제1 진동부;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을 진동시켜 주는 제2 진동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일측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일측을 진동시켜 주는 제3 진동부;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의 타측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타측을 진동시켜 주는 제4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의 일측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일측을 진동시켜 주는 정방향 회전 진동부; 및 상기 정방향 회전 진동부와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의 나머지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타측을 진동시켜 주는 역방향 회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방향 회전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채반 지지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일측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 거치대; 상기 역방향 회전 진동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채반 지지대의 전단의 중단 하측에 설치되는 롤러 거치대; 상기 채반 지지대의 하측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모터 거치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유 롤러; 및 상기 구동 모터, 상기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경유 롤러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하우징; 상기 사각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상측 내향면과 하측 내향면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 길쭉하게 둥근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중심축이 상기 사각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사각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타원형 진동 롤러; 및 상기 사각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 싱크는, 상기 안착 프레임이 안착된 뒤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 프레임이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 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 싱크는, 상기 타원형 진동 롤러의 회전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타원형 진동 롤러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는 폭의 롤러 안착홈이 상부 테두리를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 등의 피세척물을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동시에 해당 피세척물의 무게를 계량함으로써, 식자재 손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채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10)는, 대차부(100) 및 채반부(200)를 포함한다.
대차부(100)는, 채반부(200)를 안착시킨 뒤 피세척물의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S)을 형성한다.
여기서, 피세척물은,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예를 들어, 수산물, 육류 등)를 지칭하는 것이나, 세척이 필요한 물품이면 그 명치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채반부(200)는,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대차부(100)의 세척 공간(S)으로 안착된다.
도 2는 도 1의 대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차부(100)는, 세척 싱크(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 벨브(120), 지지 프레임(130), 바퀴(140) 및 두 개의 덮개(150)를 포함한다.
세척 싱크(110)는,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S)을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지지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하측에 배수 벨브(120)가 설치된다.
배수 벨브(120)는, 개폐가 가능한 벨브로 이루어지며, 세척 싱크(11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세척 싱크(1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130)은, 세척 싱크(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세척 싱크(1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하측에 바퀴(140)가 설치된다.
바퀴(140)는, 이동을 위해 지지 프레임(130)의 하측 마다 설치된다.
덮개(150)는, 세척 싱크(110)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척 싱크(11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채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반부(200)는, 거치 프레임(210), 채반망(220) 및 손잡이(230)를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210)은, 세척 싱크(110)의 상측 개구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세척 싱크(110)의 상측 개구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ㅁ"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채반망(220)이 설치되고, 내주면에 손잡이(230)가 설치된다.
채반망(220)은, 피세척물을 수용시키는 동시에 세척 공간(S)에 수용되는 물이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세척 공간(S)으로부터 물이 배출됨에 따라 물이 손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메쉬 재질의 바구니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세척 싱크(110)로 안착된다.
손잡이(2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거치 프레임(210)의 내주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20)는, 대차부(100), 채반부(200) 및 계량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차부(100) 및 채반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계량부(300)는, 로드셀 등의 계량 장치로 이루어지면, 채반부(200)가 안착되는 대차부(100)의 세척 싱크(1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채반부(200)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척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20)는, 세척이 필요한 식자재 등의 피세척물을 수용하여 세척시키는 동시에 해당 피세척물의 무게를 계량함으로써, 식자재 손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30)는, 대차부(100), 채반부(200), 계량부(300) 및 채반 진동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차부(100), 채반부(200) 및 계량부(300)는,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채반 진동부(400)는, 물이 배출된 세척 싱크(110)에 거치되어 있는 채반부(200)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척물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거치 프레임(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채반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채반 진동부(400)는, 제1 진동부(500), 제2 진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진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진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부(500)는,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을 진동시켜 준다.
제2 진동부는, 거치 프레임(210)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후단을 진동시켜 준다.
제3 진동부는, 거치 프레임(210)의 일측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일측을 진동시켜 준다.
제4 진동부는, 거치 프레임(210)의 타측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타측을 진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진동부, 제3 진동부 및 제4 진동부는, 제1 진동부(500)의 구성요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동부(500)는,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 및 역방향 회전 진동부(520)를 포함한다.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는, 역방향 회전 진동부(520)와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의 일측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 일측을 진동시켜 준다.
역방향 회전 진동부(520)는,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와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되며,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의 나머지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 타측을 진동시켜 준다.
여기서, 역방향 회전 진동부(520)는, 후술하는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와 대칭 구조로서,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의 구성요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방향 회전 진동부(510)는, 다수 개의 채반 지지대(511), 모터 거치대(512), 롤러 거치대(513),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514), 구동 모터(515), 경유 롤러(516) 및 구동 벨트(517)를 포함할 수 있다.
채반 지지대(511)는,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측에 진동 발생 장치(514)가 설치된다.
모터 거치대(512)는, 거치 프레임(210)의 전단 일측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에 구동 모터(515)가 설치된다.
롤러 거치대(513)는, 역방향 회전 진동부(520)와 대향하면서 채반 지지대(511)의 전단의 중단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에 경유 롤러(516)가 설치된다.
진동 발생 장치(514)는, 채반 지지대(511)의 하측 마다 설치되어 채반 지지대(511)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구동 모터(515)는, 모터 거치대(512)의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517)의 일측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구동 벨트(517)를 회전시켜 준다.
경유 롤러(516)는, 롤러 거치대(513)의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517)의 타측이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구동 벨트(517)는, 구동 모터(515),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514) 및 경유 롤러(516)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 모터(515)에 의해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발생 장치(514)는, 사각 하우징(5141), 구동 기어(5142), 타원형 진동 롤러(5143) 및 안착 프레임(5144)을 포함할 수 있다.
사각 하우징(5141)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채반 지지대(511)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구동 기어(51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안착 프레임(5144)이 설치된다.
구동 기어(5142)는, 사각 하우징(514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517)의 상측(517a) 내향면과 하측(517b) 내향면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 벨트(517)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타원형 진동 롤러(5143)를 회전시켜 준다.
타원형 진동 롤러(5143)는, 길쭉하게 둥근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세척 싱크(11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롤러 안착홈(112)에 안착되며, 중심축이 사각 하우징(5141)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구동 기어(514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 기어(5142)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 싱크(11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하면서 사각 하우징(5141)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준다.
안착 프레임(5144)은, 사각 하우징(5141)의 하측에 설치되어 프레임 안착홈(111)에 삽입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 싱크(110)는, 안착 프레임(5144)이 안착된 뒤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안착 프레임(5144)이 안착되기 위한 프레임 안착홈(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 싱크(110)는, 타원형 진동 롤러(5143)의 회전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타원형 진동 롤러(5143)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는 폭의 롤러 안착홈(112)이 상부 테두리를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30)는, 물기가 충분하게 제거되지 아니한 피세척물을 채반부(200)와 함께 진동시켜 물기가 충분하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식자재의 손질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100: 대차부
200: 채반부
300: 계량부
400: 채반 진동부

Claims (3)

  1. 피세척물의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대차부;
    상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대차부의 상기 세척 공간으로 안착되는 채반부; 및
    상기 대차부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부에 수용되어 있는 피세척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부는,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 싱크;
    상기 세척 싱크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하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 벨브;
    상기 세척 싱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마다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채반부는,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 싱크의 상측 개구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ㅁ"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피세척물을 수용한 상태로 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세척 싱크로 안착되는 채반망;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일측 및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물이 배출된 상기 세척 싱크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채반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피세척물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부를 진동시켜 주는 채반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반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을 진동시켜 주는 제1 진동부;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을 진동시켜 주는 제2 진동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일측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일측을 진동시켜 주는 제3 진동부;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의 타측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타측을 진동시켜 주는 제4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의 일측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일측을 진동시켜 주는 정방향 회전 진동부; 및
    상기 정방향 회전 진동부와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의 나머지 절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타측을 진동시켜 주는 역방향 회전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방향 회전 진동부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채반 지지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 일측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 거치대;
    상기 역방향 회전 진동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채반 지지대의 전단의 중단 하측에 설치되는 롤러 거치대;
    상기 채반 지지대의 하측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모터 거치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유 롤러; 및
    상기 구동 모터, 상기 다수 개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경유 롤러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사각 하우징;
    상기 사각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상측 내향면과 하측 내향면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 벨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
    길쭉하게 둥근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며, 중심축이 상기 사각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 싱크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사각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주는 타원형 진동 롤러; 및
    상기 사각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5442A 2021-07-21 2021-07-21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KR10232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42A KR102323814B1 (ko) 2021-07-21 2021-07-21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442A KR102323814B1 (ko) 2021-07-21 2021-07-21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814B1 true KR102323814B1 (ko) 2021-11-08

Family

ID=7849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442A KR102323814B1 (ko) 2021-07-21 2021-07-21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04U (ko) 2022-10-28 2024-05-1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이동식 세척 작업용 대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1536A2 (en) * 1987-03-04 1988-09-07 S. Berendsen Ab Carriage for handling laundry
US5501241A (en) * 1994-10-27 1996-03-26 Jacobson; Glenn R. Vegetable aerating device
KR100722904B1 (ko) * 2006-03-27 2007-05-30 주식회사 대성주방 소쿠리 운반차
KR200440221Y1 (ko) * 2007-05-25 2008-05-30 이병운 산업용 세척기의 세척물 운반 테이블
KR100952396B1 (ko) 2008-07-18 2010-04-14 (주)삼호정기 자재 이송용 운반대차
US20180257686A1 (en) * 2015-08-25 2018-09-13 Msp Innovations Pty Ltd A wheelbarrow
US20190308863A1 (en) * 2018-04-05 2019-10-10 Walmart Apollo, Llc Configurable item display dol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1536A2 (en) * 1987-03-04 1988-09-07 S. Berendsen Ab Carriage for handling laundry
US5501241A (en) * 1994-10-27 1996-03-26 Jacobson; Glenn R. Vegetable aerating device
KR100722904B1 (ko) * 2006-03-27 2007-05-30 주식회사 대성주방 소쿠리 운반차
KR200440221Y1 (ko) * 2007-05-25 2008-05-30 이병운 산업용 세척기의 세척물 운반 테이블
KR100952396B1 (ko) 2008-07-18 2010-04-14 (주)삼호정기 자재 이송용 운반대차
US20180257686A1 (en) * 2015-08-25 2018-09-13 Msp Innovations Pty Ltd A wheelbarrow
US20190308863A1 (en) * 2018-04-05 2019-10-10 Walmart Apollo, Llc Configurable item display dol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04U (ko) 2022-10-28 2024-05-1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이동식 세척 작업용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814B1 (ko) 세척 및 계량이 가능한 대차
JP6299999B2 (ja) 車両用自転車キャリア{Bicycle Carrier for a Vehicle}
EP1529868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80092582A1 (en) Rotating freezer unit
CA1254815A (en) Washing apparatus
US2579639A (en) Battery cart
GB2126535A (en) Wheeled household transporter
KR101880359B1 (ko) 봉투 거치대
US6805366B1 (en) Portable shopping cart apparatus
GB2171674A (en) Wheeled container
EP0191506B1 (fr) Dispositif pour le ponçage et/ou l'égrenage de pièces en bois
JP3152839U (ja) 塵芥収集車
US1046354A (en) Portable clothes-receptacle.
CN220004825U (zh) 一种试验筛
JPH0740227A (ja) 表面仕上げ処理方法
CN220947688U (zh) 折叠式座椅扶手、座椅总成及车辆
KR102411415B1 (ko) 견고한 지지대를 구비한 업소용 세탁기
JPH03114579A (ja) 物品の洗浄方法及び装置
KR200364967Y1 (ko) 물품 선별장치
JP7295365B2 (ja) バスケット
US8584293B1 (en) Footwear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magnetic and non-magnetic contaminants
JP2500504Y2 (ja) 収納装置
KR101730300B1 (ko) 소비운반 전용 수레
FR3065233A1 (fr) Receptacle pour transferer du linge
JPH11299680A (ja) 手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