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00A - 봉투 거치대 - Google Patents

봉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00A
KR20180021600A KR1020160106372A KR20160106372A KR20180021600A KR 20180021600 A KR20180021600 A KR 20180021600A KR 1020160106372 A KR1020160106372 A KR 1020160106372A KR 20160106372 A KR20160106372 A KR 20160106372A KR 20180021600 A KR20180021600 A KR 2018002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frame
hinge
prese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359B1 (ko
Inventor
이경목
손성화
Original Assignee
이경목
손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목, 손성화 filed Critical 이경목
Priority to KR102016010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3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6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using vacuum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물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며, 봉투의 입구 부분이 거치되며, 힌지구조로 마련되되 외력을 전달받아 회동됨으로써 상기 봉투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봉투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봉투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봉투 거치대{HOLDER FOR ENVELOPE}
본 발명은 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힌지구조로 마련되는 본체부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봉투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봉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식당, 가정 등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싱크대가 설치된다. 식기 등에 잔존하는 음식물 등의 이물질은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다수 발생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일반적인 쓰레기 비닐 봉투가 아닌,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비닐 봉투에 수용하여 처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물질은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물에 젖은 상태이며, 따라서,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 중 또는 식기의 세척을 완료한 후 이물질을 비닐 봉투에 수용하는 행위는 매우 번거롭다.
상술한 문제점에 따라, 이물질을 비닐 봉투에 유입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비닐 봉투의 입구를 거치한 상태에서 싱크대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봉투 거치대가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4822호는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4822호의 거치부재(300)는 봉투의 입구가 거치되는 구성인데, 상측면이 뚜껑(400)으로 마감되며, 흡착판을 통해서 싱크대에 부착된다. 상술한 거치부재(300)에 따르면, 거치부재(300)가 싱크대에 부착되는 경우, 싱크대 내부의 공간에서 거치부재(300)가 점유하는 공간이 크게 발생 되기 때문에 싱크대 내부의 공간, 즉,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4822호의 거치대의 문제점에 따라, 근래에 싱크대의 내부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제품은 봉투의 입구가 거치되는 구성을 한쌍의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하여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싱크대의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에 따르면, 탄성력이 있는 한쌍의 구성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때 발생되는 동작에 의해 봉투 또는 구성이 뭍어 있던 물이 싱크대 주변으로 분산되는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힌지구조로 마련되는 본체부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봉투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봉투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며, 봉투의 입구 부분이 거치되며, 힌지구조로 마련되되 외력을 전달받아 회동됨으로써 상기 봉투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봉투의 입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과,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가 상호간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물체에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구조에 따라, 본체부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싱크대에서의 공간의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구조에 따라, 봉투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어, 봉투 또는 구성에 묻어 있던 물이 싱크대 주변으로 분산되는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부재에 봉투의 입구에 형성된 돌출부분이 개재되는 것으로 봉투가 프레임부에 거치 되기 때문에, 봉투의 적재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를 싱크대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싱크대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측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는 부착부(110)와 본체부(120)를 포함한다.
부착부(110)는 물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본체부(120)가 설치된다. 이러한 부착부(110)는 베이스(111)와 흡착부재(112)를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 물체란, 싱크대, 탁자, 벽, 기타 구조물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부착부(110)가 부착될 수 있는 일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111)는 후술하는 프레임부(121) 중 어느 하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프레임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흡착부재(1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111)는 흡착부재(112)의 흡착면이 베이스(111)에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물체의 흡착면에서 베이스(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흡착부재(112)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111)의 형상에 따르면, 물체와 가로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이격공간으로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흡착부재(112)는 상술한 베이스(111)의 일측면에서 설치되는 것으로써, 물체의 흡착면에 흡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흡착부재(112)는 물체의 흡착면으로부터 부착, 탈착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착부재(112)에 의해서, 후술하는 본체부(120)가 물체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봉투(b)의 입구 부분이 거치되며, 힌지구조로 마련되되 외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봉투(b)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부착부(110)의 베이스(111)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20)는 프레임부(121)와 힌지부(122)와 접착부(124)와 손잡이부(125)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21)는 봉투(b)의 입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재(121a)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복수개로 마련되어 단부에 후술하는 힌지부(122)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힌지부(122) 후술하는 힌지축(12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21)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포함한다. 가로프레임은 세로프레임보다 더 긴 길이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한쌍의 가로프레임에는 후술하는 힌지부(122)가 힌지축(123)에 의해 회동되었을 때, 서로 접착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접착부(124)가 상호 대응되게 각각 설치된다. 한쌍의 가로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술한 베이스(111)가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125)가 설치된다. 세로프레임은 상술한 가로프레임보다 더 짧은 길이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세로프레임은 상술한 가로프레임과 힌지부(122) 및 힌지축(123)에 의해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거치부재(121a)는 상술한 프레임부(12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봉투(b)의 입구부분이 개재될 수 있는 거치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거치부재(121a)는 봉투(b) 입구부분에 형성된 4개의 돌출부분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되도록 프레임부(121)의 중심에 설치된다. 프레임부(121)는 총 4개로 마련되므로, 각각의 프레임부(121)의 중심에 형성된 4개의 거치부재(121a)에 봉투(b) 입구부분에 형성된 4개의 돌출부분이 각각 개재되는 것에 의해 봉투(b)가 프레임부(121)에 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제품, 즉, 봉투(b)의 입구가 거치되는 구성을 한쌍의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마련하여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형태로 동작하는 제품은, 봉투(b)의 거치할 때에, 봉투(b)를 한번 뒤집어서 구성에 씌우게 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제품에 따를 때는, 봉투(b)를 뒤집은 것만큼 봉투의 적재량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100)의 거치부재(121a)에 따르면, 거치부재(121a)에 봉투(b)의 입구에 형성된 돌출부분이 개재되는 것으로 봉투(b)가 프레임부(121)에 거치 되기 때문에, 봉투(b)의 적재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한쌍의 가로프레임 중 손잡이부(125)가 설치되지 않는 가로프레임, 즉, 물체측에 배치되는 가로프레임에 형성되는 거치부재(121a)는, 봉투(b)의 입구에 형성된 돌출부분의 개재가 용이하도록 프레임부(121)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122)는 복수개의 프레임부(121)의 단부에서 연장형성 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힌지축(123)이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12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프레임에 형성되며 세로프레임에 형성되는데, 가로프레임와 세로프레임에 형성되는 각 힌지부(122)는 가로프레임부와 세로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부(122)에 의해서, 프레임부(121)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복수개의 프레임부(121)가 형성하는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에서 마름모 모양으로 변화되면서 한쌍의 가로프레임이 상호 접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르면, 프레임부(121)에 거치 되어 있던 봉투(b)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마감된 상태로 변화된다.
상술한 힌지부(122)와 힌지축(123)에 의한 프레임부(121)의 동작에 의하면, 프레임부(121)가 물체, 즉, 싱크대 내부의 공간에서 점유하는 공간이 대폭적으로 축소되기 때문에, 물체, 즉, 싱크대 내부의 공간이 최대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봉투(b)를 거치하고 있는 프레임부(121)가 안정적인 속도 및 가속도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121)의 동작시, 봉투(b) 또는 프레임부(121), 베이스(111) 등에 묻어 있던 물이 물체, 즉, 싱크대 주변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힌지축(123)은 축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복수개의 힌지부(122)에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축(123)에 의해서, 힌지부가(122)가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접착부(124)는 복수개의 프레임부(121),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가로프레임이 상호간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쌍의 가로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써, 밸크로(Velcro) 타입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부(124)는 반드시 밸크로 타입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쌍의 가로프레임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나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손잡이부(125)는 복수개의 프레임부(12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121)에 설치,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11)가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에 마주하는 가로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베이스(111)가 설치되는 가로프레임에 마주하는 가로프레임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5)에 의해서, 사용자가 프레임부(121)에 외력을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프레임부(121)와 힌지부(122)와 힌지축(123)과 접착부(124)와 손잡이부(125)를 포함하는 본체부(120)에 따르면, 본체부(120)가 힌지구조로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체, 즉, 싱크대에서의 본체부(120)의 공간의 점유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120)에 따르면, 힌지구조에 따라, 봉투(b)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어, 봉투(b) 또는 프레임부(121), 베이스(111) 등에 묻어 있던 물이 싱크대 주변으로 분산되는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부착부(110)와 본체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에 따르면,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면서도 봉투(b)의 입구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를 싱크대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싱크대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부(121)가 형성하는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25)를 파지한 다음, 일측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복수개의 프레임부(121) 사이의 힌지부(122)가 회동된다.
힌지부(122)의 회동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부(121)가 형성하는 모양은 직사각형 모양에서 마름모 모양으로 변화되는데, 이때, 한쌍의 가로프레임이 상호 접촉할 때까지 사용자가 손잡이부(125)를 이용하여 외력을 지속적으로 인가하면, 한쌍의 가로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접착부(124)가 상호 접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프레임부(121)에 형성된 거치부재(121a)에 의해 프레임부(121)에 거치된 봉투(b)의 입구가 마감된다.
상술한 봉투(b) 입구의 마감과정은 힌지 구조에 의해서 진행되는데, 이러한 힌지 구조는 프레임부(121)의 적절하고 안정적인 이동 속도 및 이동 가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구조에 따른 동작에 의하면, 프레임부(121)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부(121)의 이동과정에서 봉투(b) 또는 프레임부(121), 베이스(111) 등에 묻어 있던 물이 싱크대 주변으로 분산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투 거치대
110 : 부착부
111 : 베이스
112 : 흡착부재
120 : 본체부
121 : 프레임부
121a : 거치부재
122 : 힌지부
123 : 힌지축
124 : 접착부
125 : 손잡이부
b : 봉투

Claims (5)

  1. 물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며, 봉투의 입구 부분이 거치되며, 힌지구조로 마련되되 외력을 전달받아 회동됨으로써 상기 봉투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마감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봉투의 입구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재를 형성하는 프레임부과,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가 상호간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물체에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봉투 거치대.
KR1020160106372A 2016-08-22 2016-08-22 봉투 거치대 KR10188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2A KR101880359B1 (ko) 2016-08-22 2016-08-22 봉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2A KR101880359B1 (ko) 2016-08-22 2016-08-22 봉투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00A true KR20180021600A (ko) 2018-03-05
KR101880359B1 KR101880359B1 (ko) 2018-07-19

Family

ID=6172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72A KR101880359B1 (ko) 2016-08-22 2016-08-22 봉투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87A1 (ko) * 2018-12-06 2020-06-11 이경목 봉투 거치대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941A (en) * 1992-08-20 1995-01-03 Michael Har Support frame for sink waste bags
KR960026674U (ko) * 1995-01-23 1996-08-17 곽수옥 싱크대용 비닐봉지 홀더
KR19980025160U (ko) * 1998-04-28 1998-07-25 한상우 쓰레기 봉투 개폐기
JP2001214490A (ja) * 2000-02-03 2001-08-07 Tadayuki Oda 台所流し台用水切りゴミ袋支持枠
KR200409816Y1 (ko) * 2005-11-30 2006-03-03 유강종 쓰레기 봉투 지지대
JP2007204233A (ja) * 2006-02-02 2007-08-16 Modeling Art:Kk コーナー水切り袋支持具
KR20090115628A (ko) * 2008-05-02 2009-11-05 김창영 음식물 쓰레기봉투 거치대
JP2010013283A (ja) * 2008-07-05 2010-01-21 Akira Nakamura 使い捨て開閉自在台所三角コーナー用ゴミ袋
KR20120025726A (ko) * 2010-09-08 2012-03-16 주득욱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20130084822A (ko) * 2012-01-18 2013-07-26 강택현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
US20130232923A1 (en) * 2012-03-09 2013-09-12 Gabriel D. Beversluis Bag recycler and holder
KR20130126016A (ko) * 2012-05-10 2013-11-20 곽규영 봉투 지지대
KR200479861Y1 (ko) * 2015-10-28 2016-03-14 권대석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941A (en) * 1992-08-20 1995-01-03 Michael Har Support frame for sink waste bags
KR960026674U (ko) * 1995-01-23 1996-08-17 곽수옥 싱크대용 비닐봉지 홀더
KR19980025160U (ko) * 1998-04-28 1998-07-25 한상우 쓰레기 봉투 개폐기
JP2001214490A (ja) * 2000-02-03 2001-08-07 Tadayuki Oda 台所流し台用水切りゴミ袋支持枠
KR200409816Y1 (ko) * 2005-11-30 2006-03-03 유강종 쓰레기 봉투 지지대
JP2007204233A (ja) * 2006-02-02 2007-08-16 Modeling Art:Kk コーナー水切り袋支持具
KR20090115628A (ko) * 2008-05-02 2009-11-05 김창영 음식물 쓰레기봉투 거치대
JP2010013283A (ja) * 2008-07-05 2010-01-21 Akira Nakamura 使い捨て開閉自在台所三角コーナー用ゴミ袋
KR20120025726A (ko) * 2010-09-08 2012-03-16 주득욱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101170254B1 (ko) * 2010-09-08 2012-07-31 주득욱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20130084822A (ko) * 2012-01-18 2013-07-26 강택현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그 거치대
US20130232923A1 (en) * 2012-03-09 2013-09-12 Gabriel D. Beversluis Bag recycler and holder
KR20130126016A (ko) * 2012-05-10 2013-11-20 곽규영 봉투 지지대
KR200479861Y1 (ko) * 2015-10-28 2016-03-14 권대석 탄력 개폐구조를 갖는 쓰레기봉투 걸이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687A1 (ko) * 2018-12-06 2020-06-11 이경목 봉투 거치대
US11434034B2 (en) 2018-12-06 2022-09-06 Kyong Mok LEE Bag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359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396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883857B (zh) 自动关闭分配器
JP2018524504A (ja) 自動トイレクリーナー
US11330899B2 (en) High capacity brush cleaner
KR101558136B1 (ko)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용 필터바스켓 세정장치
EP1236521A1 (en) Device for cleaning the inner surfaces of containers in general
KR101880359B1 (ko) 봉투 거치대
US20110219561A1 (en) Foot Scrubber
KR20180085105A (ko) 스마트폰 자동 세척 시스템
JP5380092B2 (ja) 床面等用清掃機のブラシ装置
SE8600394L (sv) Utmatningsanordning for disk- och skoljmedel vid diskmaskiner
KR200439981Y1 (ko) 콘텍트렌즈 세척액 유동장치
KR101833523B1 (ko) 브러시 세척장치
US7008132B1 (en) Surgical scrub appliance
CN110636788B (zh) 清洁装置
KR200348289Y1 (ko) 라운드형 컵 디스펜서
KR101792835B1 (ko) 피부 세정 진공흡입장치
KR102199947B1 (ko) 컵 세척도구
US5727275A (en) Manual cup cleaning system
CN212580669U (zh) 袋子放置架
CN108991958A (zh) 一种避免水渍滞留的卫浴架
US20230133098A1 (en) Jewelry Cleaning Device
CN113854799B (zh) 一种具有清洗模式的吸管及杯体
KR102176922B1 (ko) 타이어 광택제용 용기
JP3097486U (ja) 携帯用入浴道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