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54B1 -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54B1
KR101170254B1 KR1020100087798A KR20100087798A KR101170254B1 KR 101170254 B1 KR101170254 B1 KR 101170254B1 KR 1020100087798 A KR1020100087798 A KR 1020100087798A KR 20100087798 A KR20100087798 A KR 20100087798A KR 101170254 B1 KR101170254 B1 KR 10117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od waste
opening
rear frame
wast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726A (ko
Inventor
주득욱
Original Assignee
주득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득욱 filed Critical 주득욱
Priority to KR102010008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2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싱크대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쓰레기 봉투의 탈부착이 간편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후면 프레임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은 개폐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봉투가 계지될 수 있는 계지면을 포함하는 봉투 계지부, 상기 프레임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지지장치가 장착되는 지지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타측이 닫힌 경우에 상기 전, 후면 프레임을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이 연결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싱크대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공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주부들이 싱크대에서 보다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OPENING AND CLOSING SUPPORTING DEVICE FOR FOOD WASTE BAG}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싱크대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쓰레기 봉투의 탈부착이 간편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보통, 쓰레기는 적절하게 처리 및 처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활공간을 더럽히고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의 보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쓰레기는 생활폐기물, 각종 슬러지 및 산업폐기물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생활폐기물은 부엌 찌꺼기 및 일반 쓰레기 등이며, 도시의 규모와 계절에 따라 다르다.
부엌 찌꺼기에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에 담아 공동 주택 단지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보관함까지 운반하여 버리게 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로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진 상자 또는 쓰레기통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자 또는 쓰레기통을 이용하는 경우 싱크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 설거지나 부엌일을 할 때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분리수거를 하는 경우에 일일이 상자나 통을 들고 나가서 분리수거를 한 후 다시 상자나 통을 들고 들어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상자나 쓰레기통으로 된 수거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비닐 봉지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 음식물 쓰레기를 폐기 또는 분리수거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특별한 지지대 없이 일반적으로 비닐 봉지를 싱크대 한 구석에 놓고,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비닐 봉지를 개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있다.
이로 인해, 비닐 봉지가 지지되지 않아 음식물 쓰레기를 비닐 봉지 안으로 넣는 것이 불편하고, 비닐 봉지의 입구가 항상 열려있어 냄새가 날 뿐 아니라 벌레들이 꼬이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봉지를 지지하면서도 자유자재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게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싱크대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공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쓰레기 봉투 입구의 개폐가 자유로운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후면 프레임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은 개폐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봉투가 계지될 수 있는 계지면을 포함하는 봉투 계지부, 상기 프레임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지지장치가 장착되는 지지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타측이 닫힌 경우에 상기 전, 후면 프레임을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이 연결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싱크대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공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주부들이 싱크대에서 보다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쓰레기 봉투 입구의 개폐가 자유로워 음실물 쓰레기의 폐기 및 분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프레임부와 봉투 계지부가 다른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가 열렸을 때와 닫혔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봉투 계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를 싱크대에 장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부와 봉투 계지부가 다른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가 열렸을 때와 닫혔을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봉투 계지부(120), 고정부(130), 체결부(140), 그리고 탄성부(15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지지대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스틸(steel)를 이용하여 사각의 지지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대가 아닌 지지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110)는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프레임(111) 및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전면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112)은 “ㄷ”자 형상을 취하면서 서로 대칭되게 앞 뒤로 배치된다. 공간의 활용성 및 미관을 위해 전면 프레임(111) 및 후면 프레임(112)은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1)의 일측(111a)과 후면 프레임(112)의 일측(112a)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프레임(111)의 타측(111b)과 후면 프레임(112)의 타측(112b)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의 개폐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프레임부(110)의 재질을 그 자체가 높은 탄성을 갖는 스틸로 하여 전면 프레임(111)의 일측(111a)과 후면 프레임(112)의 일측(112a)이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10)의 재질을 탄성이 강한 재질로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전면 프레임(111) 및 후면 프레임(112)의 개폐동작 탄성력 및 복원력이 원활하게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전면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112)이 연결되는 일측(111a, 112a)에 탄성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50)는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유닛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스프링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탄성부(150)는 전, 후면 프레임(111, 112)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150)는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개폐 동작에 좀더 확실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150)는 별도의 유닛으로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일측(111a, 112a)에 결합 장착될 수 있으나, 전, 후면 프레임(111, 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프레임(111)의 일측과 후면 프레임(112)의 일측이 코일 형상으로 감긴 채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150)는 2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투 계지부(120)는 바(bar)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봉투 계지부(120)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10)가 계지될 수 있는 계지면(121)을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 봉투(10)의 끝단에는 계지면(121)에 접착되는 접착제 적용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 적용부(11)가 계지면(121)에 접착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가 접착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봉투 계지부(120)는 전면 프레임(111) 및 후면 프레임(112)의 타측(111b, 112b)에 각각 한 쌍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 쪽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를 접착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봉투 계지부(120)와 프레임부(110)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봉투 계지부(120)의 양 끝단에는 프레임부 안착파트(122)가 형성된다. 프레임부 안착파트(122)에 전면 프레임(111) 및 후면 프레임(112)의 타측(111b, 112b)이 안착된다. 이렇게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이 안착된 상태에서 중공의 압착부재(160)가 각각의 프레임부 안착파트(122)를 감싼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 압착부재(160)의 압착하여 전, 후면 프레임(111, 112)과 봉투 계지부(120)가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압착부재(160)의 형상은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중공을 갖는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봉투 계지부(120)는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타측(111b, 112b)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23)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123)은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가 닫혔을 경우 상기 삽입홀(123)에 의해 간섭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봉투 계지부(120)의 외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홀(123)은 봉투 계지부(12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펀칭(punch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123)을 통하여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이 각각 삽입된다. 이렇게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이 삽입된 상태로 삽입홀(123)을 압착하여 전, 후면 프레임(111, 112)과 봉투 계지부(120)가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프레임부(110)상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가 싱크대 등에 장착되는 경우에 프레임부(11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후면 프레임(112)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10)는 후면 프레임(112)의 양 단에 쌍으로 형성되는 진공판일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싱크대 상에 설치되어 후면 프레임(112)의 타측(112b)를 지지하는 행거일 수 있다.
체결부(140)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의 입구가 닫혔을 경우에 탄성부(150)의 복원력에 의해 입구가 저절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입구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결부(140)의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는 독립된 집게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연결 줄이나 연결 클립등을 이용하여 프레임부(110)에 연결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가 닫힌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부(140)는 봉투 계지부(120)의 계지면(121)상에 요철구조로 형성되어 2개의 봉투 계지부(120)가 요철결합될 수도 있다.
체결부(140)의 구비로 인해, 부피를 차지하는 별도의 뚜껑 또는 덮개가 필요 없고, 체결부(140)을 제거하면 탄성부(150)의 복원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의 입구가 저절로 열려 쉽고 편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의 작동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부(130)를 도시하지 않았다.
집게플립(140)이 사용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탄성부(150)에 의해 연결된 전면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112)이 열린 상태로 있다. 음식물 쓰레기 봉투(10)의 끝단의 접착제 적용부(11)에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를 전면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112) 사이에 개제하면서 접착제 적용부(11)를 각각의 봉투 계지부(120)의 계지면(121)에 붙인다. 이로 인해 도 3의 도시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10)가 프레임부(110)에 고정된다.
음식물 쓰레기 봉투(10)의 입구는 열려있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로 주입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다 버린 경우,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타측(111b, 112b)을 손으로 밀어 입구를 닫고, 체결부(140)을 이용하여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입구가 닫히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10)의 상하 면적이 닫힘과 동시에 줄어들게 되어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최대한 설거지 등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체결부(140)을 제거하면, 탄성부(15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입구는 열리게 되고, 도 3의 도시와 같은 형상이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봉투 계지부(12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 후면 프레임(111, 112)의 타측(111b, 112b)은 회전부재(170)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70)는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되나 물론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재(170)의 내부에는 회전공(171)이 형성된다.
이때, 봉투 계지부(120)의 양 끝단에는 회전돌기(124)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돌기(124)가 회전공(171)에 삽입되면서, 봉투 계지부(120)가 회전부재(170)와 연결된다. 따라서, 봉투 계지부(120)는 그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10)가 봉투 계지부(120)에 계지된 상태에서 봉투 안에 찬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봉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지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10)가 봉투 계지부(120)에서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를 싱크대에 장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100)는 싱크대의 다양한 공간에 장착할 수 있고, 입구가 닫힌 경우에는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는 바 싱크대에서의 여러 가지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110: 프레임부
120: 봉투 계지부 130: 고정부
140: 체결부 1 150: 탄성부
160: 압착부재 170: 회전부재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후면 프레임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은 개폐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봉투가 계지될 수 있는 계지면을 포함하는 봉투 계지부;
    상기 프레임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지지장치가 장착되는 지지면에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타측이 닫힌 경우에 상기 전, 후면 프레임을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이 연결되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개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및 탄성부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면상에 상기 전면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전면 삽입홀 및 상기 후면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후면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이 각각 상기 전면 삽입홀 및 후면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로 압착 고정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계지부의 양 끝단에 상기 전, 후면 프레임의 타측이 안착되는 프레임부 안착파트가 형성되고, 각각의 프레임부 안착파트상에 중공의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 후면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압착부재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압착부재의 압착에 의해 고정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계지부에 상기 봉투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타측이 회전공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봉투 계지부의 양 끝단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회전공에 삽입 연결되어 상기 봉투 계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개폐 지지장치.
KR1020100087798A 2010-09-08 2010-09-08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10117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98A KR101170254B1 (ko) 2010-09-08 2010-09-08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98A KR101170254B1 (ko) 2010-09-08 2010-09-08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26A KR20120025726A (ko) 2012-03-16
KR101170254B1 true KR101170254B1 (ko) 2012-07-31

Family

ID=4613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798A KR101170254B1 (ko) 2010-09-08 2010-09-08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0A (ko) * 2016-08-22 2018-03-05 이경목 봉투 거치대
WO2020116687A1 (ko) * 2018-12-06 2020-06-11 이경목 봉투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221B (zh) * 2018-09-10 2021-07-23 江苏龙穰轻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套袋的户外垃圾箱内框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53Y1 (ko) 2003-03-14 2003-05-27 유강종 쓰레기봉투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753Y1 (ko) 2003-03-14 2003-05-27 유강종 쓰레기봉투 지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600A (ko) * 2016-08-22 2018-03-05 이경목 봉투 거치대
KR101880359B1 (ko) * 2016-08-22 2018-07-19 이경목 봉투 거치대
WO2020116687A1 (ko) * 2018-12-06 2020-06-11 이경목 봉투 거치대
US11434034B2 (en) 2018-12-06 2022-09-06 Kyong Mok LEE Bag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26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254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20110055933A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휴지통
KR200448293Y1 (ko) 쓰레기 수거대
US20060078411A1 (en) Mountable refuse container
JP2014122116A (ja) ゴミ容器の蓋及びゴミ容器
US6772903B1 (en) Trash-receiving shopping bag device
KR20140035188A (ko)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KR20170004352U (ko)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쓰레기통
JP3169968U (ja) 簡易トイレ用便座
KR100850477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를 위한 비닐지 고정대
KR20130025975A (ko) 쓰레받기
KR20080103718A (ko)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KR200414078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상부에 수거용 납부필증을 노출되게꽂아 놓을수 있는 장치
KR200493719Y1 (ko) 이중결합홈이 형성된 비닐봉지 거치대
KR20160106282A (ko) 쓰레기 수거가 편리한 쓰레기통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CN207015932U (zh) 一种垃圾收容装置
KR200481671Y1 (ko) 개량형 쓰레기 봉투
KR101452322B1 (ko) 음식물 처리용 깔때기
JPH0754161Y2 (ja) コーナダストホルダ
KR102428335B1 (ko) 종량제 쓰레기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 형 쓰레기통
CN216222432U (zh) 一种带锁扣的装载篮
KR20120076033A (ko) 휴지통
KR200386521Y1 (ko) 쓰레기봉투 설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