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53Y1 - 쓰레기봉투 지지대 - Google Patents
쓰레기봉투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4753Y1 KR200314753Y1 KR20-2003-0007688U KR20030007688U KR200314753Y1 KR 200314753 Y1 KR200314753 Y1 KR 200314753Y1 KR 20030007688 U KR20030007688 U KR 20030007688U KR 200314753 Y1 KR200314753 Y1 KR 2003147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garbage bag
- mounting
- upper support
- garb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봉투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설치되어진 지지대에 쓰레기봉투의 개구부를 거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쓰레기봉투의 거치상태가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지대는, 호형상의 고정대(11)와 탄성의 가변대(12)가 한조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대(11) 양측에 장착되어져 있는 흡착판(13)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지는 상부지지대(10)와, 상기 상부지지대(10)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쓰레기봉투(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0)로 구성되어지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1)와 가변대(12)에는 양측단부에서 쓰레기봉투(1)의 양측손잡이(2,3)가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이루는 거치홈(10a)이 각각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변대(12)의 양단부에는 고정대(11)의 양단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밴딩처리되어진 절곡부(10b)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쓰레기봉투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벽면에 쓰레기봉투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보관함과 함께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입구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봉투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활쓰레기들은 각 지방 자치 단체에서 판매하는 비닐로 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구입하여 그때그때 쓰레기를 담아 배출토록 하고 있다.
또한, 실내에는 별도의 쓰레기통을 구비함으로서, 1차로 쓰레기통에 수거된 쓰레기를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2차로 담아 정해진 장소에 버리게 되는데, 특히 화장실의 경우에는 쓰레기통의 수거물을 다시 쓰레기봉투에 담는 번거로움 및 악취발생이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92382호(고안의 명칭 : 쌍꺼풀 쓰레기통)에서는 쌍을 이루는 지지대인 쌍꺼풀대를 구비하여 쓰레기봉투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가운데 벽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지대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의 경우에는 쓰레기봉투의 입구에 형성되어져 있는 양측 손잡이부의 거치 및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봉투에 채워진 쓰레기하중이 증가할경우 지지대로 부터 쓰레기봉투 손잡이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대가 타일등의 벽면에 부착되어질 수 있도록 흡착판을 구성하고 있으나, 종래 구조에서는 구조가 복잡하면서 흡착판 내부로 외부공기가 쉽게 유입되어질 수 있게되어 벽면과의 부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다 개선되어진 쓰레기봉투 지지대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쓰레기봉투의 지지상태 및 흡착판의 벽면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쓰레기봉투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로 부터 발생되는 침출수가 분리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관리 및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지지대의 전체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쓰레기봉투가 장착된 상태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 지지대의 흡착판이 벽면에 고정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구조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구조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구조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쓰레기봉투 2,3,4,5 : 쓰레기봉투 손잡이
8 : 지지대 손잡이 8a : 거치홈
9 : 거치구 10 : 상부 지지대
11 : 고정대 12 : 가변대
10a : 거치홈 13 : 흡착판
14 : 흡착러버 15 : 하우징
16 : 진공마개 17 : 체크비닐
18 : 막음캡 19 : 주입구
20 : 하부지지대 21 : 수거통 23 : 연결대
상기 목적은, 쓰레기봉투의 상부 개구측이 거치되어 지며 양측에 장착되어져 있는 흡착판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지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쓰레기봉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로 구성되어지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고정대와 가변대가 개폐가능하도록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밴딩처리되어진 절곡부가 구비됨으로서 쓰레기봉투의 좌우측손잡이가 거치되어질 거치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대 후면 및 가변대 전면에는 각각 쓰레기봉투의 개구측에서 연장 형성되어진 전후손잡이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구 및 거치홈이 형성된 손잡이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지지대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수거통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지지대에 쓰레기봉투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지지대의 벽면에 고정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변형된 제2,3,4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쓰레기봉투(1)의 상부 개구측이 거치되어 지지는 상부지지대(10)와,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하부지지대(20)가 상호 연결대(23)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양측 흡착판(13)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중 상부지지대(10)는 호형상을 이루는 고정대(11)와 가변대(12)가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상호간에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한조를 이루고 있는데, 양측 단부에는 쓰레기봉투(1)의 양측손잡이(2,3)가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이루는 거치홈(10a)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특히, 상기 상부지지대(10)의 가변대(12)는 호형상을 이루는 구조적 특성에 따른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대(11)와의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서, 그 양단부에는 쓰레기봉투(1)의 양측손잡이(2,3)가 상기 거치홈(10a)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밴딩처리되어진 절곡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지지대(10)에는 쓰레기봉투(1)의 개구측에서 연장 형성되어진 전후손잡이(4,5)가 각각 거치되어질 수 있도록 고정대(11) 후면에는 거치구(9)가 돌출 형성되어짐과 함께 가변대(12) 전면의 손잡이(8)에는 거치홈(8a)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쓰레기봉투(1)의 개구측을 적어도 4곳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하부지지대(20)에는 쓰레기봉투(1) 하부에 구멍을 형성시킨 후 낙하되어지는 쓰레기 침출수가 별도로 분리 수거되어질 수 있도록 수거통(21)이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지지대(10) 및 하부지지대(20)를 각각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흡착판(13)은 도 1의 확대 절개도나 도 3 및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5)의 단부에 체결되어 벽면에 부착되어지는 흡착러버(14)와, 흡착판(13)의 내부 진공을 위한 주사기(25)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주입구(19)를 형성하고 있는 진공마개(16), 상기 진공마개(16)의 주입구(19) 내측에서 외부와의공기 유동을 제한하는 체크비닐(17), 그리고 상기 진공마개(16)의 주입구(19)를 폐쇄시키기 위한 막음캡(18)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흡착판의 흡착고정이 용이하도록 평면을 이루고 있는 타일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실시예의 지지대 설치 및 쓰레기봉투를 거치시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쓰레기봉투(1)를 배치시킬만한 적절한 장소를 택하여 벽면상에 본 고안의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20)를 각각 설치함에 있어, 화장실의 내벽 등의 타일(26)면에 설치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판(13)을 이용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흡착판(13) 설치과정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주사기(25)를 진공마개(16)의 주입구(19)에 삽입시킨 후, 주사기(25)를 이용하여 하우징(15)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서 최대한의 내부진공상태를 이루게 되면 흡착러버(14)가 타일(26)면에 흡착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입구(19) 내측에 구비된 체크비닐(17)에 의해 주사기(25)에 의한 공기 배출은 가능하나, 외부로 부터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짐으로서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막음캡(18)을 결합시켜 진공마개(16)의 외부노출을 방지함과 함께 주입구(19)를 폐쇄시킴으로서 각각의 상부지지대(10)와 하부지지대(20)의 설치 및 고정이 완료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지지대(10)에 쓰레기봉투(1)의 상부 개구측에 형성되어져 있는 좌우측 손잡이(2,3) 및 전후 손잡이(4,5)를 거치시켜 설치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먼저 좌우측 손잡이(2,3)를 상부지지대(10)의 양단부에 밴딩 처리되어져 있는 절곡부(10b) 안쪽으로 감아서 당겨주게 되면, 상호간의 이격공간을 따라 안내되어지던 좌우측 손잡이(2,3)가 최종적으로 거치홈(10a) 위치에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이때 절곡부(10b)는 쓰레기봉투(1)의 좌우측 손잡이(2,3)가 통과되어진 후 다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손잡이(2,3)의 역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쓰레기봉투(1)의 좌우측 손잡이(2,3)의 거치가 먼저 이루어지면, 이후에는 쓰레기봉투(1)의 전후 손잡이(4,5)를 각각 손잡이(8)의 거치홈(8a) 및 거치구(9)에 끼운 후 감아돌림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거치상태를 이룸으로서 쓰레기봉투(1)의 개구측 4부분을 동시에 거치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의 지지대에 쓰레기봉투(1)가 지지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쓰레기를 투입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지지대(10)의 손잡이(8)를 잡아당겨서 가변대(12)를 고정대(11)로 부터 이격시키고, 쓰레기 수거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다시 손잡이(8)를 후방으로 밀면 자체 탄성에 의해 가변대(12)가 고정대(11)에 밀착되게 된다.
이에따라, 쓰레기봉투(1)의 입구부가 폐쇄되어짐으로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되어 실내의 쾌적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특히, 이러한 개폐작용으로 인해 화장실에서의 설치 사용시 샤워 또는 물청소 등을 할때 물이 쓰레기봉투(1) 내부로 유입되는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봉투(1)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찬 경우에는 상기한 설치과정과 역순으로 하여 4곳의 쓰레기봉투 손잡이(2,3,4,5) 부분을 탈거시킨 후 외부에 지정된 수거장소로 배출시키고 새로운 쓰레기봉투(1)를 역시 같은 방법으로 하여 교체 설치하게 된다.
한편, 쓰레기봉투(1) 내에 여러종류의 쓰레기를 투입시키는 경우 음료용기나 음식물 등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가 봉투 하부에 고이게 되는데, 이러한 침출수가 내부에서 썩게되면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악취는 설사 상부지지대(10)의 고정대(11)와 가변대(12)가 닫혀져 있다하더라도 틈새를 통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쓰레기봉투(1)의 하부에 여러개의 관통공(미도시)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경우 침출수가 수거통(21)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되고, 따라서 수거통(21)에 모여진 침출수를 수시로 처리함으로서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30) 구조는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고정대(31)와 가변대(32)가 호형상이 아닌 일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38)를 잡아당기고 있는 경우에만 고정대(31)와 가변대(32)의 탄성력에 의해 입구부가 열리고, 손잡이(38)를 놓으면 입구부가 폐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쓰레기봉투(1)의 좌우측 손잡이(2,3)가 거치되어질 거치홈(30a)을 형성하는 절곡부(30b)는 외측으로 밴딩처리되어져 있으며, 거치구(39)는 고정대(31)의 후면에 구성되어진 상태에서 흡착판(33)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40)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판대(41)와 하판대(42)가 일체형의 수직구조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하판대(42)의 전면에는 거치홈이 형성된 손잡이(48)이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판대(41)의 후면의 상부 및 양측단부에는 각각 거치구(49)와 거치홈(40a)이 형성됨으로서 쓰레기봉투(1)의 손잡이 4개소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50)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제3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나 상판대(51)와 하판대(52)가 일체형 평판의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거치구(49)는 후면 상부에 형성되어져 있는 반면 거치홈이 형성된 손잡이(58) 및 양측단부의 거치홈(50a)은 각각 전면측에 형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형태의 지지대 구조 역시 쓰레기봉투(1)의 입구부를 효과적으로 거치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구조에 따른 작용효과와 유사한 쓰레기봉투 지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쓰레기봉투 지지대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되어질 수 있는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지지대가 각각 내부 진공을 이용한 흡착판을 이용하여 벽면상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구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지지대가 설치될 벽면이 타일과 같이 고른면이 아닐 경우에는 흡착에 따른 벽면설치가 이루어질 수 없게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못 또는 피스(30) 등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실내벽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쓰레기봉투 지지대는, 쓰레기봉투의 개구부를 거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과 함께 거치상태가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중 하중 증가에 따른 쓰레기봉투가 지지대로 부터 이탈되어지는 문제가 해소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내부 진공을 이용한 흡착판의 벽면 부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쓰레기로 부터 발생되어지는 침출수를 별도로 분리배출할 수 있게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3)
- 쓰레기봉투(1)의 상부 개구측이 거치되어 지며 양측에 장착되어져 있는 흡착판(13)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어지는 상부지지대(10)와, 상기 상부지지대(10)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쓰레기봉투(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0)로 구성되어지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구조에 있어서:상기 상부지지대(10)는 고정대(11)와 가변대(12)가 개폐가능하도록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밴딩처리되어진 절곡부(10b)가 구비됨으로서 쓰레기봉투(1)의 좌우측손잡이(2,3)가 거치되어질 거치홈(10a)을 형성하고 있으며;상기 고정대(11) 후면 및 가변대(12) 전면에는 각각 쓰레기봉투(1)의 개구측에서 연장 형성되어진 전후손잡이(4,5)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구(9) 및 거치홈(8a)이 형성된 손잡이(8)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흡착판(13)은 하우징(15)의 단부에 체결되어 벽면에 부착되어지는 흡착러버(14);흡착판(13)의 내부 진공을 위한 주사기(25)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주입구(19)를 형성하고 있는 진공마개(16);상기 진공마개(16)의 주입구(19) 내측에서 외부와의 공기 유동을 제한하는 체크비닐(17)상기 진공마개(16)의 주사기 주입구(19)를 폐쇄시키기 위한 막음캡(18)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하부지지대(20)에는 쓰레기봉투(1)로 부터 낙하되어지는 침출수가 수거되어질 수 있는 수거통(21)이 안착되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7688U KR200314753Y1 (ko) | 2003-03-14 | 2003-03-14 | 쓰레기봉투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7688U KR200314753Y1 (ko) | 2003-03-14 | 2003-03-14 | 쓰레기봉투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4753Y1 true KR200314753Y1 (ko) | 2003-05-27 |
Family
ID=4933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7688U KR200314753Y1 (ko) | 2003-03-14 | 2003-03-14 | 쓰레기봉투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475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254B1 (ko) | 2010-09-08 | 2012-07-31 | 주득욱 |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
CN110451132A (zh) * | 2019-08-27 | 2019-11-15 | 深圳市旋风生物有限公司 | 一种节省空间挂墙式垃圾桶 |
-
2003
- 2003-03-14 KR KR20-2003-0007688U patent/KR2003147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0254B1 (ko) | 2010-09-08 | 2012-07-31 | 주득욱 |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
CN110451132A (zh) * | 2019-08-27 | 2019-11-15 | 深圳市旋风生物有限公司 | 一种节省空间挂墙式垃圾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7481B1 (ko) |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 |
KR101817472B1 (ko) | 기능성 쓰레기통 | |
KR200314753Y1 (ko) | 쓰레기봉투 지지대 | |
JP2014523985A (ja) | 排水弁 | |
KR102234987B1 (ko) |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 |
CN105292854A (zh) | 能够存放垃圾袋的垃圾桶 | |
KR102179113B1 (ko) | 비닐봉투 걸이형 분리수거함 | |
KR200486846Y1 (ko) | 쓰레기통 | |
CA2516597A1 (en) | Sanitary napkin disposal assembly | |
KR102173768B1 (ko) | 벽걸이형 쓰레기통 | |
KR200387612Y1 (ko) | 쓰레기 봉투 지지대 | |
US200901728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urine deflector shield | |
CA2226712A1 (en) | Container | |
CN219491235U (zh) | 一种地漏 | |
CN212739290U (zh) | 一种组合垃圾桶 | |
CN208659104U (zh) | 一种可伸缩香皂盒 | |
CN213169666U (zh) | 一种与无盖垃圾桶配合使用可防漏的提手袋悬挂支架 | |
CN211418407U (zh) | 一种能够清理异味的垃圾桶 | |
KR950006524Y1 (ko) |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 |
JP5728179B2 (ja) | シンクの排水口用蓋 | |
KR0115326Y1 (ko) | 쓰레받기가 부설된 쓰레기 수납용 비닐팩 걸이구 | |
CN218713774U (zh) | 一种地漏盖及具有该地漏盖的地漏 | |
CN209733065U (zh) | 一种水槽柜垃圾收纳篮 | |
KR200425963Y1 (ko) | 쓰레기 봉투 지지대 | |
CN213174018U (zh) | 除味飘香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1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