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718A -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718A
KR20080103718A KR1020070050801A KR20070050801A KR20080103718A KR 20080103718 A KR20080103718 A KR 20080103718A KR 1020070050801 A KR1020070050801 A KR 1020070050801A KR 20070050801 A KR20070050801 A KR 20070050801A KR 20080103718 A KR20080103718 A KR 2008010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garbage
coupled
frame
garb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의
Original Assignee
황보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의 filed Critical 황보의
Priority to KR102007005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3718A/ko
Publication of KR2008010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walls, e.g. walls of inequal height, tabs; for maintaining the mouth of the sack or ba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쓰레기 봉투 지지낭이 개시된다.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와, 상기 낭부에는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낭, 절개부, 체결부재

Description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container}
도 1a~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
도 2a~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를 결합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쓰레기 봉투 지지낭 11: 낭부
111: 개구부 12: 체결부재
13: 걸림방지부재 14: 절개부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됨에 따라,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종량제용 쓰레기 봉투를 이용한다. 이러한 쓰레기 봉투는 그 크기가 정해져 있으며, 사용자는 용도에 맞추어 구입한다. 한편, 쓰레기 봉투에 대한 가격이 점점 상승함에 따라, 사용자는 최대한 많은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에 넣기 위해서 무리한 힘을 쓰레기 봉투 내부에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쓰레기 봉투에 최대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넣을 수 있도록 쓰레기 봉투를 지지해주는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와, 상기 낭부에는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이 제공된다.
상기 낭부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일 수 있다.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쓰레기 봉투에 대응하는 모양의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투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상기 낭부의 상부에 상기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프레임이 더 결합될 수 있다.상기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고정부재는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일 수 있다.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포함하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는 하부 프레임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지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낭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재는 상기 낭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결합된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포함하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지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낭부와 상기 용기본체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재는 상기 낭부와 상기 용기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이다. 도 1a~1c를 참조하면, 쓰레기 봉투 지지낭(10), 낭부(11), 개구부(111), 체결부재(12), 걸림방지부재(13), 절개부(14)가 도시되어 있다.
낭부(11)는 내부에 물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낭부(11)의 내부 공간의 형태는 쓰레기 봉투가 팽창했을 때의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내부 공간의 크기는 쓰레기 봉투가 팽창했을 때보다 약간 큰 것이 좋다.
낭부(11)는 그 형태가 자유자제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형태는 그물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그물 모양으로 만들 경우 철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낭부(11)의 내부 공간이 쓰레기 봉투의 팽창시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를 낭부(11)의 내부에 삽입한 뒤,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에 넣을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양이 차면, 발이나 기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낭부(11)가 쓰레기 봉투를 지지해주므로, 비닐로 이루어진 쓰레기 봉투는 터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낭부(11)에는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가 꽉차면, 쓰레기 봉투를 낭부(11)와 분리해야한다. 이때, 쓰레기들이 눌러진 상태로 있고, 밀도가 상당히 높다. 따라서, 쉽게 개구부(111)로 쓰레기 봉투가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절개부(14)는 꽉찬 쓰레기 봉투가 빠져나오는 공간이 된다. 만약, 개구부(111)의 형태를 쓰레기 봉투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한다면, 절개부(14)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절개부(14)는 꽉찬 쓰레기 봉투를 빼낼 경우를 제외하고는 닫혀 있어야 한다. 체결부재(12)는 절개부(14)를 닫아주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재(12)로는 지퍼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고리나 단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체결부재(12)가 절개부(14)를 여는 동안 팽창된 쓰레기 봉투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방지부재(13)가 낭부(11)의 내부에 체결부재(12)를 커버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직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걸림방지부재(13)는 일측 가장자리가 낭부(11)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12)가 유동하더라도 쓰레기 봉투에 의 해서 방해받지 않게 된다.
도 2a~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이다. 도 2a~2c를 참조하면, 쓰레기 봉투 지지낭(20), 낭부(21), 체결부재(22), 프레임 (25), 맞물림 홈(251), 돌출부재(26), 맞물림 돌출부(261), 쓰레기 봉투(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 봉투 지지낭(20)은 낭부(21)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낭부(21)에 프레임(25)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프레임(25)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25)의 재질은 합성수지, 금속 등이 될 수 있다.
낭부(21)는 쓰레기 봉투(100)가 팽창된 형태와 대응되는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100)가 팽창했을 때의 크기와 거의 유사한 크기이거나, 조금 더 큰 크기이다. 낭부(21)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물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낭부(21)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개부는 꽉찬 쓰레기 봉투(100)를 빼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절개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2)가 절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하였다.
한편, 쓰레기 봉투(100)가 낭부(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 쓰레기 봉투(100)의 상부 테두리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고정부재가 사용된다. 고정부재는 탄성력 있는 집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고정부재로 돌출부 재(26)를 사용하였다. 돌출부재(26)에는 맞물림 돌출부(2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맞물림 돌출부(261)은 프레임(25)에 형성된 맞물림 홈(251)과 결합된다. 도 2c와 같이 쓰레기 봉투(100)의 가장자리는 맞물림 홈(251)과 맞물림 돌출부(261)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며, 도 3a, 3b를 참조하면, 쓰레기통(300), 쓰레기 봉투 지지낭(30), 낭부(31), 체결부재(32), 절개부(34), 상부 프레임(35), 돌출부재(36), 지지 프레임(37), 하부 프레임(38), 쓰레기 봉투(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300)은 쓰레기 봉투 지지낭(30)과 이를 지탱하는 지지프레임(37), 지지 프레임(37)을 지탱하는 하부 프레임(38)로 크게 구성된다.
쓰레기 봉투 지지낭(30)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낭부(31), 낭부(31)에 형성된 절개부(34), 절개부(34)에 결합된 체결부재(32)로 크게 구성된다. 낭부(31)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100)를 수용할 수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내부 공간은 쓰레기 봉투(100)가 팽창할 경우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룬다. 낭부(31)는 직물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태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낭부(31)는 그물모양일 수도 있다.
낭부(31)에 형성된 절개부(34)는 꽉찬 쓰레기 봉투(100)를 빼낼 수 있는 공간이 된다. 평상시에는 체결부재(32)로 체워져 있다. 체결부재(32)로는 지퍼나 고리, 단추 등이 될 수 있다.
낭부(31)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35)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5)은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시켜 준다. 상부 프레임(35)에는 지지 프레임(37)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35)과 지지 프레임(37)은 착탈가능할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37)은 바(bar)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37)의 타단에는 하부 프레임(38)이 결합한다. 하부 프레임(38)은 전반적으로 쓰레기통(300)의 균형을 잡아준다.
이러한 프레임들(35, 37, 38)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35)에는 돌출부재(36)가 결합하여 쓰레기 봉투(10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도2b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5)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돌출부재(36)에 형성된 맞물림 돌출부에 의해서 쓰레기 봉투(100)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형태이다. 고정부재는 쓰레기 봉투(100)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쓰레기통(300)의 어떤 구성에 결합하여도 좋으며,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3b와 같이 쓰레기 봉투(100)가 결합하면, 쓰레기 봉투(100) 내부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고, 발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더라도, 낭부(31)는 쓰레기 봉투(10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 면, 쓰레기 봉투 지지낭(40), 낭부(41), 체결부재(42), 상부 프레임(45), 지지 프레임(47), 고정부재(46), 하부 프레임(48), 연결부재(49), 훅(491), 고리(492), 쓰레기통(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400)은 상부 프레임(45), 지지 프레임(47), 하부 프레임(48)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에 쓰레기 봉투 지지낭(40)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상부 프레임(45)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이나 금속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45)에는 지지 프레임(47)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47)의 타단에는 하부 프레임(48)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들(45, 47, 48)은 쓰레기통(400)의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쓰레기 봉투 지지낭(40)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낭부(41), 낭부(41)에 형성된 절개부, 절개부에 결합된 체결부재(42)로 크게 구성된다. 낭부(41)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쓰레기 봉투를 수용할 수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내부 공간은 쓰레기 봉투가 팽창할 경우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룬다. 낭부(41)는 직물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태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낭부(41)는 그물모양일 수도 있다.
낭부(41)에 형성된 절개부는 꽉찬 쓰레기 봉투를 빼낼 수 있는 공간이 된다. 평상시에는 체결부재(42)로 체워져 있다. 체결부재(42)로는 지퍼나 고리, 단추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쓰레기 봉투 지지낭(40)과 상부 프레임(45)은 연결부재(49)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49)는 상부 프레임(45)에 형성된 훅(hook, 491)과 낭부(41)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492)로 구성된다. 이러한 훅(491)과 고리(492)로 이루어진 구성 이외에도 쓰레기 봉투 지지낭(40)과 상부 프레임(45)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연결부재(49)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를 결합한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사시도이다. 도 5a~5c를 참조하면, 쓰레기 봉투 지지낭(50), 낭부(51), 체결부재(52), 용기본체(53), 고정부재(56), 연결부재(59), 훅(592), 고리(591), 쓰레기통(5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5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53)에 쓰레기 봉투 지지낭(5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53)에 의해서 쓰레기 봉투 지지낭(5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도 5c와 같이 쓰레기 봉투 지지낭(50)은 상부에 훅(592)이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본체(53)에 형성된 고리(591)와 결합한다. 훅(592)과 고리(591)은 연결부재(59)이다.
나머지 구성의 특징은 앞선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꽉 채워도 쓰레기 봉투가 터지지 않도록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 지지낭의 낭부의 형태는 쓰레기 봉투의 형태와 유사하여 최대하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Claims (36)

  1.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와;
    상기 낭부에는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프레임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8. 팽창한 쓰레기 봉투에 대응하는 모양의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상부에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투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프레임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
  16.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하는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는 하부 프레임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쓰레기통.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낭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7.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결합된 쓰레기 봉투 지지낭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지지낭은,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체를 출입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낭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에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결속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퍼를 커버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낭부에 결합된 걸림방지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방지부재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낭부와 상기 용기본체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쓰레기통.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낭부와 상기 용기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리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고정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맞물림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070050801A 2007-05-25 2007-05-25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KR2008010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801A KR20080103718A (ko) 2007-05-25 2007-05-25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801A KR20080103718A (ko) 2007-05-25 2007-05-25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718A true KR20080103718A (ko) 2008-11-28

Family

ID=4028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801A KR20080103718A (ko) 2007-05-25 2007-05-25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37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056A (zh) * 2014-04-29 2014-07-16 江苏互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车载垃圾收集装置
CN112389894A (zh) * 2019-08-19 2021-02-23 广州人本造物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易于破口的垃圾袋
US11629006B1 (en) * 2021-08-10 2023-04-18 Kian Johnson Leaves and yard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ba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056A (zh) * 2014-04-29 2014-07-16 江苏互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车载垃圾收集装置
CN112389894A (zh) * 2019-08-19 2021-02-23 广州人本造物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易于破口的垃圾袋
US11629006B1 (en) * 2021-08-10 2023-04-18 Kian Johnson Leaves and yard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838B2 (en) Trash can liner with bag securing mechanism
MY135951A (en) Flexible bags having enhanced capacity and enhanced stability in use
US20030226846A1 (en) Apparatus for covering refuse receptacles
KR20080103718A (ko) 쓰레기 봉투 지지낭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통
CN102905993B (zh) 压缩式垃圾桶
US6869219B1 (en) Shoe-storing saddlebag assembly
US6634473B1 (en) Cosmetic tote bag
US10618727B2 (en) Flexible pail
US6772903B1 (en) Trash-receiving shopping bag device
US4667911A (en) Device for supporting a trash receptacle
WO2007075700A3 (en) Trash container for use with plastic bags
KR101170254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개폐 지지장치
KR20080103665A (ko) 쓰레기 봉투 지지낭
JP3122927U (ja) 袋体保形器具
JP2011057257A (ja) 容器内に内袋を係止することのできる支持枠。
KR20150002644U (ko) 쓰레기 봉투용 파우치
KR20140071122A (ko) 티백 스틱
KR102035391B1 (ko) 화장품 리필용기용 배출커버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JP7213153B2 (ja) くず入れ
JP3230686U (ja) バッグ
KR100783053B1 (ko) 찌게미 주머니
JP3088983U (ja) ごみ収納補助具
JP2006021893A (ja) 折りたたみ式ごみ箱
KR200463635Y1 (ko) 보조 수납 공간이 마련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