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479B1 -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 Google Patents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479B1
KR102323479B1 KR1020150016155A KR20150016155A KR102323479B1 KR 102323479 B1 KR102323479 B1 KR 102323479B1 KR 1020150016155 A KR1020150016155 A KR 1020150016155A KR 20150016155 A KR20150016155 A KR 20150016155A KR 102323479 B1 KR102323479 B1 KR 10232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tension
flow path
strok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750A (ko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479B1/ko
Priority to US15/011,214 priority patent/US9657802B2/en
Priority to DE102016001065.7A priority patent/DE102016001065A1/de
Priority to CN201610074571.9A priority patent/CN105840716B/zh
Publication of KR2016009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스풀이 왕복하는 스풀 로드에 밸브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과 상기 스풀 로드에 감쇠 유닛이 형성된 구조로부터, 동일한 크기의 가동 스풀 및 스풀 로드에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ELECTRONICALLY CONTROLLED INTERNAL DAMPER}
본 발명은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크기의 가동 스풀 및 스풀 로드에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는 통상적으로 바이패스 유로가 인장측에만 위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는 실린더의 유로 면적이 증대되어 인장 행정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키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로를 나누어 열어주는 스풀의 외경을 크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변경 설계는 전체적인 밸브 사이즈의 증대나 디스크 사이즈 축소가 수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결국 중속 또는 고속 구간에서는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0854598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7-3324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일한 크기의 가동 스풀 및 스풀 로드에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스풀 로드; 상기 스풀 로드에 중심부가 관통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실린더 상실 및 실린더 하실로 구획하고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번갈아 배치되는 메인 피스톤과, 상기 메인 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1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 상기 스풀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 유로를 따라 왕복하는 가동 스풀; 및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가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하여 상기 가동 스풀의 내,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과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고,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감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 모드일 때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서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하드 모드일 때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서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드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하드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쇠 유닛은,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파일럿 챔버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2 파일럿 챔버와 상기 안내 유로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는 연통 어셈블리와,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 따라 상기 가동 스풀의 상, 하부로부터 상기 연통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감쇠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동일한 크기의 가동 스풀 및 스풀 로드에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에 비하여 바이패스 유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소프트 모드에서 저속 감쇠력의 저감 자유도를 증대시켜 신뢰도 높은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주요부인 감쇠 유닛 중 가동 스풀에 형성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압축 행정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주요부인 감쇠 유닛 중 가동 스풀에 형성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스풀(600)이 왕복하는 스풀 로드(500)에 밸브 유닛이 장착되고, 가동 스풀(600)의 외주면과 스풀 로드(500)에 감쇠 유닛(900)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스풀 로드(500)는 실린더(이하 미도시)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700)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밸브 유닛은 스풀 로드(500)에 중심부가 관통되며 실린더의 내부를 실린더 상실(U) 및 실린더 하실(D)로 구획하고 압축 유로(102)와 인장 유로(101)가 번갈아 배치되는 메인 피스톤(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 유닛은 메인 피스톤(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 리테이너(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 유닛은 메인 피스톤(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 리테이너(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 유닛은 압축 리테이너(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1 파일럿 챔버(311)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제1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유닛은 인장 리테이너(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파일럿 챔버(322)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2 하우징(320)을 포함한다.
한편, 가동 스풀(600)은 스풀 로드(50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 유로(510)를 따라 왕복하는 것이다.
또한, 감쇠 유닛(900)은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가 안내 유로를 통하여 가동 스풀(600)의 내,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동 스풀(600)의 외주면과 스풀 로드(500)에 형성된다.
여기서, 감쇠 유닛(900)은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같이 메인 피스톤(100)의 상, 하부에 각각 압축 리테이너(200)와 인장 리테이너(400)가 배치되어 상호 대칭을 이루는 구조에서는 가동 스풀(600)에 유로를 나누어 열어 작동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자 할 때 리버스 구조(reverse structure)가 되어 버린다.
즉, 인장측은 소프트일 때, 압축측은 하드가 되어 버리므로, 기존의 유로는 소용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저속 감쇠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가동 스풀(600)로 바이패스되는 작동 유체의 유량이 증대되면, 유량의 제곱에 비례하여 가동 스풀(600)의 유동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소프트 모드의 고속 구간에서는 이상 감쇠력 증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감쇠 유닛(900)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 모드일 때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에서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는, 하드 모드일 때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에서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 모드에서 압축 행정일 때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는, 소프트 모드에서 압축 행정일 때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소프트 모드에서 인장 행정일 때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는, 하드 모드에서 인장 행정일 때 스풀 로드(500)와 가동 스풀(600) 사이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감쇠 유닛(900)은 크게 연통 어셈블리(910)와 가이드 어셈블리(9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연통 어셈블리(910)는 상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310)의 제1 파일럿 챔버(311)와 압축 리테이너(200)와 메인 피스톤(100)과 인장 리테이너(400)와 제2 하우징(320)의 제2 파일럿 챔버(322)와 안내 유로(510)와 각각 연통되도록 스풀 로드(500)에 형성되는 것이다.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가동 스풀(6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에 따라 가동 스풀(600)의 상, 하부로부터 연통 어셈블리(910)를 통하여 작동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통 어셈블리(910)는 제1 파일럿 챔버(311)와 연통되며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는 압축 하드 유로(9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통 어셈블리(910)는 압축 하드 유로(9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심부를 통하여 제1 파일럿 챔버(311)와 연통되는 제1 입구 유로(9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통 어셈블리(910)는 제1 입구 유로(9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메인 피스톤(100)의 중심부 상측과 연통되는 압축 소프트 유로(9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통 어셈블리(910)는 압축 소프트 유로(913)의 하부에 배치되어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메인 피스톤(100)의 중심부 하측과 연통되는 인장 소프트 유로(9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통 어셈블리(910)는 인장 소프트 유로(914)의 하부에 배치되어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인장 리테이너(400)의 중심부를 통하여 제2 파일럿 챔버(322)와 연통되는 제2 입구 유로(915)를 포함한다.
또한, 연통 어셈블리(910)는 제2 입구 유로(9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안내 유로(510)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제2 파일럿 챔버(322)와 연통되는 인장 하드 유로(916)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압축 하드 유로(911)와 압축 소프트 유로(913)와 인장 소프트 유로(914) 및 인장 하드 유로(916)를 통하여 작동 유체의 흐름을 각각 허용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가동 스풀(600)을 구성하는 것으로, 안내 유로(5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지닌 가동 본체(610)의 상측에 형성되어 가동 본체(610)와 일체를 이루며, 안내 유로(510)의 내주면을 따라 접촉 왕복하는 제1 대경부(62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상측을 향하여 함몰된 압축 하드 가이드 홈(921)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가동 본체(6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가동 본체(610)와 일체를 이루면서 제1 대경부(6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안내 유로(510)의 내주면을 따라 접촉 왕복하는 제2 대경부(622)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하측을 향하여 함몰된 압축 소프트 가이드 홈(922)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가동 본체(6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가동 본체(610)와 일체를 이루면서 제2 대경부(6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안내 유로(510)의 내주면을 따라 접촉 왕복하는 제3 대경부(623)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하측을 향하여 함몰된 인장 소프트 가이드 홈(923)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어셈블리(920)는 제3 대경부(62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상측을 향하여 함몰된 인장 하드 가이드 홈(9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연통 어셈블리(910)는 압축 하드 가이드 홈(921)과 압축 소프트 가이드 홈(922)과 인장 소프트 가이드 홈(923) 및 인장 하드 가이드 홈(924)을 통하여 작동 유체의 흐름을 각각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 소프트 가이드 홈(922)과 인장 소프트 가이드 홈(923)이 형성하는 체적은, 압축 하드 가이드 홈(921) 및 인장 하드 가이드 홈(924)이 형성하는 체적보다 크다.
이것은, 기존의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에 비하여 바이패스 유량을 증대시키면서도 소프트 모드에서 저속 감쇠력의 저감 자유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압축 하드 가이드 홈(921)과 압축 소프트 가이드 홈(922) 사이의 제1 거리(L1)는, 인장 소프트 가이드 홈(923)과 인장 하드 가이드 홈(924) 사이의 제2 거리(L2)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를 이용하여 인장 행정시 또는 압축 행정시 작동 유체의 흐름은 도 3 및 도 4와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의 압축 행정시 작동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인장 행정 및 압축 행정에 따라 작동 유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인 유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소프트 모드에서 압축측 유로가 형성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소프트 모드에서 인장측 유로가 형성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하드 모드에서 유로가 형성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렇듯, 본 발명은 소프트 모드 또는 하드 모드시 바이패스되는 유량을 각각 2곳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분리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에 의한 가동 스풀(600)의 유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가동 스풀(600)의 유동력은 인장 또는 압축 행정시 흐르는 작동 유체의 유량의 제곱에 비례하며, 바이패스되는 유량의 총량은 동일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분리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전술한 총량의 1/2씩의 작동 유체가 통과하게 되므로 전술한 가동 스풀(600)의 유동력이 반으로 줄어드는 이치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크기의 가동 스풀 및 스풀 로드에서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피스톤
101...인장 유로
102...압축 유로
200...압축 리테이너
310...제1 하우징
311...제1 파일럿 챔버
320...제2 하우징
322...제2 파일럿 챔버
400...인장 리테이너
500...스풀 로드
510...안내 유로
600...가동 스풀
610...가동 본체
621...제1 대경부
622...제2 대경부
623...제3 대경부
700...피스톤 로드
900...감쇠 유닛
910...연통 어셈블리
911...압축 하드 유로
912...제1 입구 유로
913...압축 소프트 유로
914...인장 소프트 유로
915...제2 입구 유로
916...인장 하드 유로
920...가이드 어셈블리
921...압축 하드 가이드 홈
922...압축 소프트 가이드 홈
923...인장 소프트 가이드 홈
924...인장 하드 가이드 홈
D...실린더 하실
L1...제1 거리
L2...제2 거리
U...실린더 상실

Claims (5)

  1. 삭제
  2.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스풀 로드;
    상기 스풀 로드에 중심부가 관통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실린더 상실 및 실린더 하실로 구획하고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번갈아 배치되는 메인 피스톤과, 상기 메인 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1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
    상기 스풀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 유로를 따라 왕복하는 가동 스풀; 및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가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하여 상기 가동 스풀의 내,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과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고,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감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모드일 때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서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하드 모드일 때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서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3.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스풀 로드;
    상기 스풀 로드에 중심부가 관통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실린더 상실 및 실린더 하실로 구획하고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번갈아 배치되는 메인 피스톤과, 상기 메인 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1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
    상기 스풀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 유로를 따라 왕복하는 가동 스풀; 및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가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하여 상기 가동 스풀의 내,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과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고,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감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4.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스풀 로드;
    상기 스풀 로드에 중심부가 관통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실린더 상실 및 실린더 하실로 구획하고 압축 유로와 인장 유로가 번갈아 배치되는 메인 피스톤과, 상기 메인 피스톤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1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며 상면이 개방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
    상기 스풀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 유로를 따라 왕복하는 가동 스풀; 및
    압축 행정 또는 인장 행정시 작동 유체가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하여 상기 가동 스풀의 내,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과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고,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일 때 상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하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감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하드 모드에서 상기 인장 행정일 때 상기 스풀 로드와 상기 가동 스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유닛은,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파일럿 챔버와 상기 압축 리테이너와 상기 메인 피스톤과 상기 인장 리테이너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2 파일럿 챔버와 상기 안내 유로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스풀 로드에 형성되는 연통 어셈블리와,
    상기 가동 스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드 모드 또는 소프트 모드에서 상기 압축 행정 또는 상기 인장 행정에 따라 상기 가동 스풀의 상, 하부로부터 상기 연통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KR1020150016155A 2015-02-02 2015-02-02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KR10232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55A KR102323479B1 (ko) 2015-02-02 2015-02-02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US15/011,214 US9657802B2 (en) 2015-02-02 2016-01-29 Electronically controlled internal damper
DE102016001065.7A DE102016001065A1 (de) 2015-02-02 2016-02-01 Elektronisch geregelter interner Dämpfer
CN201610074571.9A CN105840716B (zh) 2015-02-02 2016-02-02 电子控制的内置阻尼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55A KR102323479B1 (ko) 2015-02-02 2015-02-02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50A KR20160094750A (ko) 2016-08-10
KR102323479B1 true KR102323479B1 (ko) 2021-11-09

Family

ID=5641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55A KR102323479B1 (ko) 2015-02-02 2015-02-02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57802B2 (ko)
KR (1) KR102323479B1 (ko)
CN (1) CN105840716B (ko)
DE (1) DE102016001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08B1 (ko) * 2015-05-11 2022-03-07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EP3208489B1 (en) * 2016-02-22 2020-04-29 Öhlins Racing Ab Soft opening 2-way valve arrangement for a shock absorber
JP6700436B2 (ja) * 2017-01-18 2020-05-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98B1 (ko) 2007-05-21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637A (ja) * 1988-08-12 1990-02-21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5296280A (ja) * 1991-12-27 1993-11-09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JP3297829B2 (ja) 1994-05-31 2002-07-02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8105485A (ja) * 1994-10-05 1996-04-23 Unisia Jecs Corp 周波数感応型液圧緩衝器
JP3733496B2 (ja) * 1996-11-12 2006-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KR100333435B1 (ko) * 1999-04-28 2002-04-25 다가야 레이지 감쇠력 제어형식의 유압식 완충기
JP3978708B2 (ja) * 2001-11-29 2007-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5809489B2 (ja) * 2011-09-05 2015-11-1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KR101457660B1 (ko) * 2013-03-22 2014-11-07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598B1 (ko) 2007-05-21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40716B (zh) 2018-05-25
CN105840716A (zh) 2016-08-10
US20160221411A1 (en) 2016-08-04
KR20160094750A (ko) 2016-08-10
DE102016001065A1 (de) 2016-08-04
US9657802B2 (en)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77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CN105041950B (zh) 用于减震器的活塞组件
US9103402B2 (en) Shock absorber
KR102370708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349894B1 (ko)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WO2014010343A1 (ja) 緩衝器の減衰バルブ
KR102323479B1 (ko)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US11199241B2 (en) Damper
JP2004125023A (ja) 油圧緩衝器
KR20150066849A (ko) 쇽업소버
ITFI20120048A1 (it) "automatic valve with a spring holder ring"
CN102927082A (zh) 垫圈和液压缸
KR20170047071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160123230A (ko) 체인 텐셔너
JP2012255467A5 (ko)
KR20180020684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WO2013145981A1 (ja) 減衰バルブ
US9038790B2 (en) Frequency sensitive shock absorber
JP5681372B2 (ja) 減衰部構造
KR20140014777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KR101450307B1 (ko) 쇽업소버
KR101450308B1 (ko) 쇽업소버
KR101798562B1 (ko) 릴리프 밸브를 포함한 바디 밸브를 가지는 철도 차량용 댐퍼
US20180274621A1 (en) Damping valve for shock absorber
KR101716831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