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614B1 -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614B1
KR102322614B1 KR1020200147324A KR20200147324A KR102322614B1 KR 102322614 B1 KR102322614 B1 KR 102322614B1 KR 1020200147324 A KR1020200147324 A KR 1020200147324A KR 20200147324 A KR20200147324 A KR 20200147324A KR 102322614 B1 KR102322614 B1 KR 10232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ment
concrete
rust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손석제
박성학
심준보
송광배
이의종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비티
대신피씨티 주식회사
대신실업(주)
대신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비티, 대신피씨티 주식회사, 대신실업(주), 대신콘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이치비티
Priority to KR102020014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93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3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3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1Corros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15Sulfate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폴리머계 혼화제; 아미노화합물, 유기인산염, 알루미늄염, 탄산바륨을 포함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는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Acid resistant concrete composition for structure}
본 발명은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 등에 적용되어 내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에 더하여 방청성, 작업성, 항균성 등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가 축적되어 있는 하수관거나 암거 등과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슬러지와 같은 하수 퇴적물에 존재하는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thiobacillus thiooxidans)라는 유황 산화 세균(sulfur-oxidizing bacteria)의 활동에 의해 황화수소(H2S)가 발생하게 된다.
황화수소가스는 하수관거 상부 공기 층의 산소나 결로와 만나 황산으로 변하게 되어, 하수관의 콘크리트 표면, 시멘트 모르타르 및 금속 주변에 산이 형성되고 pH가 떨어져 부식이 진행되며, 철근 주변의 강 알칼리 페시베이트층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을 촉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하구조물에 콘크리트 열화를 초래하는 다른 원인은 황산염과의 반응으로, 황산염은 외부에서 침투되는 황산염과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콘크리트 열화를 초래하는 황산염과의 반응은 대부분 외부에서 침투되는 황산염에 의한 것으로, 황산염이 용해된 지하수나 해수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하는 지하수나 해수에 함유된 황산염 이온이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수산화칼슘과 반응함으로써 석고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석고는 물이 있는 조건에서 시멘트 내 알루민산 삼칼슘(tricalcium aluminate)과 반응하여 침상의 팽창 결정체인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를 형성하게 된다. 에트링자이트는 철근 콘크리트 표면에 망상형의 균열을 발생시키며, 계속하여 균열이 팽창되며, 균열을 통하여 수분이나 염화물이 침투하고, 시멘트와 골재간의 접착력 저하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5152호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으로서, 기능성 결합재 3~45중량%, 잔골재 5~80중량%, 성능개질제 0.1~30중량% 및 물 0.1~3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개질제는 초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25~98중량%,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acrylate 1~30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l acrylate 0.1~2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0.1~25중량%, 에틸렌-메틸아크릴산 공중합체 0.01~25중량%, 히드록시부틸 폴리에스테르 0.01~10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폴리에틸렌이민 공중합체 0.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도 상기에서 언급하는 지하구조물에 있어 내산성, 방청성 등 요구되는 다양한 물성이 충분히 만족된다고 볼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5152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 등에 적용되어 콘크리트가 산이나 황산염에 노출되었을 때, 구조적인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내산성능이 우수하고, 방청성, 항균성 등의 물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함)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폴리머계 혼화제; 아미노화합물, 유기인산염, 알루미늄염, 탄산바륨을 포함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물은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폐수가 축적되어 있는 하수관거나 암거 등과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황산 등 강산성 환경에 노출되기 용이하거나 황산염에 노출되기 용이한 구조물로서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하나의 예로 수산화알루미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청제에는 베타글루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청제에는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청제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 등에 적용되어 산이나 황산염에 노출되었을 때 구조적인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내산성능이 우수하고, 이에 더하여 항균성, 균열저항성, 방청성, 작업성 등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청제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물 등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결합재에는 시멘트 외에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당업계에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등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초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및 초속경 시멘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멘트 분말형태 뿐만 아니라 클링커 형태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시멘트 클링커를 사용하는 경우 전처리로 소성 및 분쇄과정을 거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나, 불순물이 없고 깨끗하게 정제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물과 결합재(W/B)는 설계기준강도 및 배합강도와 같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 등을 결정하는 수치로서, W/B가 30 내지 5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재료 분리 등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선철 제조 공정의 부산물인 수재슬래그를 미분쇄한 것으로 시멘트의 장기강도를 높여주고, 수밀성, 내해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분말도 2,000 내지 15,000㎠/g,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8,000㎠/g 을 사용하는 것이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유지시키면서 콘크리트 조성물의 강도발현이 저하되지 않아 좋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는 전체 100 중량% 중에서 2 내지 6 중량%의 무수황산(SO3)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수황산은 고로슬래그를 미분쇄할 때 첨가되는 것이며, 보조자극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플라이애시는 포졸란 반응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를 증진시키고 콘크리트 조직의 수밀성, 내구성, 내화학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사용하고 남은 석탄재로서 완전히 연소되어 비중이 2.0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2 범위에 드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도는 3,500 내지 4,500㎠/g, 강열 감량은 5%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는 없으나 굵은 골재와 잔 골재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굵은 골재는 일반적으로 자갈(gravels)로도 불리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굵은 골재는 부순 골재 또는 천연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KS F 2502 또는 KS F 2527을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잔골재는 일반적으로 모래라고 통칭되는 것으로 미세골재, 거친골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골재는 4번 체(ASTM C125, 4.75mm)를 거의 완전하게 통과하는 물질이 좋으며, 실리카 모래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거친 골재는 4번 채(ASTM C125, 4.75mm)에 주로 남아있는 물질, 예를 들어 실리카 모래, 석영, 대리석, 화강암, 석회석, 방해석, 장석, 충적사, 기타 모래 등 다른 내구성 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잔골재율(S/a)이 35 내지 55 부피%를 만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전체 골재(모래+자갈, a)체적에 대한 모래(S)의 체적비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첨가제로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폴리머계 혼화제, 수산화알루미늄, 방청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해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01 내지 2중량부, 폴리머계 혼화제 0.01 내지 2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01 내지 2중량부, 방청제 0.01 내지 2중량부로 배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팽창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페이스트의 경화시 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내부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폴리머계 혼화제는 내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내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폴리머계 혼화제를 사용하여 내산성을 향상시킴에 있어 내산성의 향상을 위해 폴리머계 혼화제를 과다로 배합하는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의 향상을 위해 수산화알루미늄이 더 첨가되도록 한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의 경우도 내산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구성으로 내산성의 향상을 위해 상기 수산화알루미늄만을 과도하게 첨가하는 경우에도 경화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폴리머계 혼화제와 수산화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바,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4:6) 내지 (6:4)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방청제에는 아미노화합물, 유기인산염이 포함되도록 하는데 3개의 1차 알코올이 포함된 아미노화합물이 포함되어 포함하고, 물에 용해 시 알칼리 자유이온을 만드는 유기인산염이 포함되도록 하여 방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염은 페이스트의 공극을 치밀하게 하는 기능으로서 알루미늄염의 첨가에 의해 밀실한 페이스트가 구현되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알루미늄염은 염소이온의 응집작용에 의해 염소이온의 침투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통해 내염해성을 확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탄산바륨은 페이스트에서 바륨수화물 형태로 존재하다가 외부에서 황산염에 의한 열화물질에 노출될 경우 침투되는 황산염을 황산바륨으로 고정화시켜 페이스트의 조직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청제에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5 내지 15중량부, 알루미늄염 5 내지 30중량부, 탄산바륨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방청제에는 베타글루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타글루칸의 첨가에 의해 고온에서도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애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속 균주와 알칼리제네스 패칼리스(Alcaligenesfaecalis) 균주가 미생물 체외로 배출하는 다당류로, 포도당 단량체가 베타-1,3으로 결합한 불수용성인 중성다당이다. 이 단일 다당(homopolymer)은 열에 노출되었을 때 비가역적으로 젤을 형성하는 특이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증점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온에서 네트워크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어, 배합과정에서 경화열, 그리고 시공후 하절기 등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 구조물에서 재료분리가 발생되는데 재료분리에 의한 부산물이 오폐수에 혼합되어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베타글루칸이 첨가되도록 하여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베타글루칸 5 내지 30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방청제에는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은 2가 및 3가의 금속이온과 안정한 수용성 킬레이트를 형성하는 안정화제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염화물 이온의 고정 메커니즘은 아미노화합물 및 인산 유도체 말단의 알콜기인 OH-와 Cl-이 만나 R-NH-Cl 또는 R-PO-CL을 형성하게 되고 외부로 OH-이온을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부식부의 장벽 역할을 하여 부동태피막을 유지한다.
또한, 시멘트 내 C3A가 초기에 염화물을 흡착하였다가 탄산화가 진행되면서 해리상태가 되나 아미노화합물 유도체는 Cl-의 이온 친화력에 의해 고정화 되어 안정된 상태이다. 특히, 상기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은 2가 및 3가의 금속이온과 안정한 수용성 킬레이트를 형성하고, 킬레이트성 방청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페이스트 내 철근의 부식 또는 녹의 용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은 항균기능이 발현되도록 한다. 상기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은 항균제로서 작용하여 여러 가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하수구조물에 있어 황산화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생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현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5 내지 30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방청제에는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이 첨가되어 방청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나 배합시 알루미늄염 등이 혼합된 분산체에서는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의 첨가로 수소이온지수가 저하되어 알루미늄염 간 응집에 의해 분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분산성 저하는 물성의 불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가 더 첨가되도록 하여 분산체의 수소이온지수 저하를 제어토록 하여 분산성 저하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는 0.01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하에서는 실험 예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각 시료의 배합은 하기 표 1과 같고, 그 실험결과가 표 1에 도시되고 있다.
Figure 112020118584261-pat00001
[실시 예 1]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규사 25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5중량부, 폴리머계혼화제 0.2중량부, 방청제 0.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10중량부, 알루미늄염 10중량부, 탄산바륨 10중량부, 베타글루칸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2]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규사 25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5중량부, 폴리머계혼화제 0.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1중량부, 방청제 0.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10중량부, 알루미늄염 10중량부, 탄산바륨 10중량부, 베타글루칸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3]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규사 25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5중량부, 폴리머계혼화제 0.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1중량부, 방청제 0.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10중량부, 알루미늄염 10중량부, 탄산바륨 10중량부, 베타글루칸 10중량부,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 예 4]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규사 25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5중량부, 폴리머계혼화제 0.1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1중량부, 방청제 0.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10중량부, 알루미늄염 10중량부, 탄산바륨 10중량부, 베타글루칸 10중량부,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5중량부,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는 0.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비교 예]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규사 250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중량부, 방청제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되,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10중량부, 알루미늄염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20118584261-pat00002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 예와 실시 예들을 비교하면 실시 예들이 폴리머계 혼화제가 더 첨가됨에 따라 내산성 대한 중량변화율이 적게 나타나 내산성에 대한 저항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 예 1과 실시 예 2를 비교하면 내산성면에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나, 실시 예 1은 비교 예와 대비 작업성이 다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폴리머계 혼화제의 첨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는데, 실시 예 2의 경우는 실시 예 1과 대비 작업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폴리머계 혼화제와 수산화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함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작업성이 유지되면서 내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폴리머계 혼화제와 수산화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황산염 침지후 압축강도를 보면 비교 예에 비해 실시 예들이 압축강도면에서 훨씬 유리한 효과가 도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실시 예들에 탄산바륨이 더 첨가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 예 3의 경우가 실시 예 2와 대비 방청율에서 유리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의 작동기작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실시 예 3의 경우 실시 예 2와 대비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수소이온지수가 낮아지게 되어 알루미늄염 등의 응집에 의해 분산성이 저하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 예 4의 경우 실시 예 3과 대비 작업성면에서 더 유리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의 첨가에 의해 폴리머계 혼화제 및 알루미늄염의 첨가에 따른 장점이 유지되면서 분산성의 저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항균성에 대한 실험을 KS F 4403의 규정에 의거 수행하였는바, 시험 균주로는 콘크리트의 생화학적 부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티오바실러스 노벨루스(Thiobacillus novellus) 균주(KCTC 2845)를 선택하였으며, 비색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지시약으로는 브로모 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변색 pH = 5.2∼6.8, 시험결과 6.6이하에서 황색으로 변색)을 사용하여 적정 조건에서 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시료는 비교 예와 실시 예 3을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알카리도에 의한 영향을 배지하기 위해 중성화 처리 후 시험 균주 배양액을 시료에 각각 접종한 후 배양액의 색상이 보라색에서 황색으로 변화하면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황색으로 변하지 않을 때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ure 112020118584261-pat0000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 균주를 접종한 초기에는 비교 예 및 실시 예 3 모두 지시약에 의한 보라색이 관찰되었으나 4주 경과 후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 예에서는 황색으로 변화되는 것이 관찰된 반면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이 첨가된 실시 예 3의 경우 보라색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이 되었다. 따라서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의 첨가에 의한 항균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시멘트를 포함하는 결합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폴리머계 혼화제; 수산화알루미늄; 및 아미노화합물, 유기인산염, 알루미늄염, 탄산바륨, 베타글루칸,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되,
    상기 폴리머계 혼화제와 수산화알루미늄은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방청제는,
    아미노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인산염 5 내지 15중량부, 알루미늄염 5 내지 30중량부, 탄산바륨 5 내지 30중량부, 베타글루칸 5 내지 30중량부, 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5 내지 30중량부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옥사이드 0.01 내지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7324A 2020-11-06 2020-11-06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22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24A KR102322614B1 (ko) 2020-11-06 2020-11-06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324A KR102322614B1 (ko) 2020-11-06 2020-11-06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614B1 true KR102322614B1 (ko) 2021-11-08

Family

ID=7848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324A KR102322614B1 (ko) 2020-11-06 2020-11-06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97B1 (ko) 2024-02-13 2024-04-19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흄관용 고성능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흄관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454B1 (ko) * 1989-12-12 1998-07-15 사토미 야스오 수경(水硬)성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생성물 및 수경성 물질용 분리 감소제
KR20010104355A (ko) * 1999-02-26 2001-11-24 로날드 디. 맥크레이 계면활성제 개질 킬레이팅제로 처리된 층 재료
JP2003020260A (ja) * 2001-07-03 2003-01-24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超速硬性耐酸性セメント材料
KR20090104703A (ko) * 2008-03-31 2009-10-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촉매 분산체, 광촉매 분산체의 제조 방법, 광촉매체 및 광촉매체의 제조 방법
KR101311699B1 (ko) * 2013-05-07 2013-09-26 강상수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20170084152A (ko) * 2014-12-11 2017-07-19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표면 처리액, 표면 처리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 표면 처리 금속 재료
KR101825152B1 (ko) 2017-08-02 2018-02-02 강대규 내식성이 우수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454B1 (ko) * 1989-12-12 1998-07-15 사토미 야스오 수경(水硬)성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생성물 및 수경성 물질용 분리 감소제
KR20010104355A (ko) * 1999-02-26 2001-11-24 로날드 디. 맥크레이 계면활성제 개질 킬레이팅제로 처리된 층 재료
JP2003020260A (ja) * 2001-07-03 2003-01-24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超速硬性耐酸性セメント材料
KR20090104703A (ko) * 2008-03-31 2009-10-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촉매 분산체, 광촉매 분산체의 제조 방법, 광촉매체 및 광촉매체의 제조 방법
KR101311699B1 (ko) * 2013-05-07 2013-09-26 강상수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20170084152A (ko) * 2014-12-11 2017-07-19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표면 처리액, 표면 처리 금속 재료의 제조 방법, 표면 처리 금속 재료
KR101825152B1 (ko) 2017-08-02 2018-02-02 강대규 내식성이 우수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97B1 (ko) 2024-02-13 2024-04-19 셀파이엔씨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흄관용 고성능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흄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073B2 (ja) カルシウムフェロアルミネート化合物、セメント混和材及びその製造方法、セメント組成物
KR100982469B1 (ko) 초속경·초조강·방청·항균 성능을 가지는 긴급 공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방법
Bellmann et al. Prevention of thaumasite formation in concrete exposed to sulphate attack
KR10193606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0883583B1 (ko) 천연 세라믹 광물을 이용한 항균 모르타르
CN109400078B (zh) 一种透水混凝土
JP4382614B2 (ja) セメント混和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KR102322614B1 (ko) 방청제를 이용한 암거, 원심력흄관, 지하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내산성 콘크리트 조성물
JP2007153714A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5345821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6315883A (ja) モルタル組成物
JP6312778B1 (ja) セメント混和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JP2010100471A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6232602A (ja) 表面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予防保全工法
KR20230002442A (ko) 시멘트 혼화재, 팽창재, 및 시멘트 조성물
JP5651067B2 (ja)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
JP4642202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22056867A (ja) 補修モルタル材料、補修モルタル組成物及び硬化体
JP5313624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
KR102412570B1 (ko) 내산성 주입 모르타르 조성물
KR102353380B1 (ko) 고내구성 주입 모르타르 조성물
KR102512161B1 (ko) 자기치유 및 균열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표면보호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2477390B1 (ko) 성능회복기능 및 필요수분 유지기능이 뛰어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2624383B1 (ko) 친환경 단면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JP5313623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