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502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502B1
KR102322502B1 KR1020140167627A KR20140167627A KR102322502B1 KR 102322502 B1 KR102322502 B1 KR 102322502B1 KR 1020140167627 A KR1020140167627 A KR 1020140167627A KR 20140167627 A KR20140167627 A KR 20140167627A KR 102322502 B1 KR102322502 B1 KR 10232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ns
vehicle lamp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843A (ko
Inventor
박종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5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quids,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상기 렌즈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반사형 간섭 부재를 포함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l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미성이 있는 광 이미지를 출사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 또는 리어 램프 등을 통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는 차량 디자인에 대한 심미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업체 및 차량용 부품 생산 업체는 헤드 램프 및 리어 램프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다양화하고 있다.
헤드 램프 또는 리어 램프 등을 통해 복잡한 광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의 광학적 설계와 광 이미지의 복잡함에 비례하는 각종의 광학 기구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조로 입체감이 느껴지는 광 이미지를 표현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상기 렌즈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반사형 간섭 부재를 포함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형 간섭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진입한 빛을 상기 렌즈를 향해 반사하되, 반사된 빛들 상호 간에 광로 차를 형성하여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이 일어나게 하는 입체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적 형상은, 상호 단차를 이루는 돌기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및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및 홈 중 적어도 하나는 격자형 패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형 간섭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코팅되는 반사층이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은 상기 반사층이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돌기 및 홈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양각 및 음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를 통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는, 상기 보강 간섭이 적용되어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휘도 영역과 상기 상쇄 간섭이 적용되어 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휘도 영역이 교대하며 연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는 프리즘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조로 입체감이 느껴지는 광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패턴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패턴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반사형 간섭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10), 광 패턴 형성부(20) 및 렌즈(3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일정 면적에 대해 대략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빛을 출력하는 면발광 광원이나, 직진성을 갖는 빛을 출력하는 점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점발광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0)으로서 면발광 광원을 사용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렌즈(30)는 마이크로단위의 미세 프리즘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미세 프리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광 패턴 형성부(20)는 양단이 개구된 관 형상의 케이스(21)와 케이스(21)의 내벽에 형성되는 반사형 간섭 부재(2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0)는 케이스(21)의 개구된 일단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광원(10)은 케이스(21)의 개구된 타단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패턴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는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의 단면을 갖는 관형 부재이다. 케이스(21)의 형상은 일례로 도시한 것일 뿐이며, 케이스(21)는 차량용 램프(1)의 디자인에 의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관형 부재로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21)는 차량용 램프(1)의 외부 하우징이 될 수도 있고, 차량용 램프(1)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능(예를 들어, 로우빔, 하이빔, 브레이크, 후진, 사이드 마커, 시그널 등)에 따라 구획되는 내부 하우징이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상호 단차를 이루며 교대로 형성되는 돌기(22a)와 홈(22b)을 포함하여 입체적 형상을 이룬다.
돌기(22a)는 홈(22b)에 비해 케이스(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홈(22b)은 돌기(22a)에 비해 케이스(21)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a) 및 홈(22b)은 케이스(21)의 양단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22a) 및 홈(22b)은 각각 상호 평행한 선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돌기(22a) 및 홈(22b)은 케이스(21)의 개구된 양단에 대략 평행한 선형 패턴을 형성하거나, 케이스(21)의 개구된 양단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진 선형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21)의 내벽은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입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케이스(21)의 내벽 상에 크롬,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것만으로도 돌기(22a) 및 홈(22b)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크롬,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된 반사층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21)의 내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돌기(22a)에 대응하는 양각(21a)과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홈(22b)과 대응하는 음각(2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케이스(21)의 내벽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일면에 양각(21a) 및 음각(21b)이 형성되어 케이스(21)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부재 상에 반사층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 패턴 형성부(20)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광 패턴 형성부(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렌즈(30)를 향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케이스(21)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22a) 및 홈(22b)에 의해 반사되어 상호 간에 간섭 현상이 일어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돌기(22a)에서 반사된 빛과 홈(22b)에서 반사된 빛은 렌즈(30)까지 진행하는 빛의 광로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광로차는 렌즈(30)에 도달하는 빛들 간에 위상차를 형성하게 된다.
렌즈(30)에 도달하는 빛 중 상호 간에 반파장(λ/2)의 위상차를 보이는 빛들은 서로 상쇄되는 상쇄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렌즈(30)에 도달하는 빛 중 상호 간에 위상차가 없는 빛들은 서로 보강되는 보강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그 결과, 상쇄 간섭이 관찰되는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저휘도의 광 이미지가 형성되고, 보강 간섭이 관찰되는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고휘도의 광 이미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관찰자가 렌즈(30)를 통해 보는 광 이미지에는 저휘도의 광 이미지가 표현된 저휘도 영역과 고휘도의 광 이미지가 표현된 고휘도 영역의 광 이미지가 교대하며 또는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표현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광 패턴 형성부(20)에 광원(10)으로서 면발광 광원을 적용하고, 렌즈(30)로서 미세 프리즘 렌즈를 적용한 상태에서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한 도면이다.
도 3은 렌즈(30)의 정면에서 광 이미지를 촬영한 것이고, 도 4는 렌즈(30)의 전방 일측에서 광 이미지를 촬영한 것으로 도 3과 비교하여 촬영 각도를 달리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케이스(21) 내부가 빛으로 가득찬 듯한 입체감이 느껴지는 광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보강 간섭이 일어난 고휘도 영역과 상쇄 간섭이 일어난 저휘도 영영역이 교대하며 또는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표현된 광 이미지를 표현하여 심미감을 일으킨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관찰 각도에 따라 표현되는 광 이미지가 변화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관찰자로 광 이미지로부터 느끼는 입체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광원(10), 광 패턴 형성부(20) 및 렌즈(30) 중 어느 하나도 물리적 형상이 가변되는 구성을 채택하지 않고도 관찰 각도에 따라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패턴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광원(10) 및 렌즈(30)를 포함한다. 광원(10) 및 렌즈(30)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에서 상술하였는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구성의 광 패턴 형성부(2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대략 격자형 패턴의 입체적 형상을 갖는다.
도 5의 확대도 A 및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격자형의 돌기(22a')와 돌기(22a')에 비해 케이스(21')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22b')을 포함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다. 격자형의 돌기(22a')과 홈(22b')은 경사면(22c')의 의해 연결된다.
도 5에는 홈(22b') 및 경사면(22c')이 격자형의 돌기(22a')의 돌기로부터 역사각뿔대를 형성하며 함몰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변형 예로서, 홈(22b') 및 경사면(22c')이 역원뿔대 또는 역다각뿔대를 형성하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경사면(22c')은 격자형의 돌기(22a')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홈(22b')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돌기(22a')는 홈(22b')에 비해 케이스(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격자형의 돌기(22a')과 홈(22b')을 연결하는 경사면(2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면(22c') 역시 케이스(21')의 내측 방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내벽은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입체적인 형상에 대응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케이스(21')의 내벽 상에 크롬,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것만으로도 돌기(22a') 및 홈(22b')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크롬, 알루미늄 등의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된 반사층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21')의 내벽에는, 도 5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돌기(22a')에 대응하는 양각(21a')과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홈(22b')과 대응하는 음각(21b'), 그리고, 반사형 간섭 부재(22')의 경사면(22c')에 대응하는 연결면(2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케이스(21')의 내벽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반사형 간섭 부재(22')는 일면에 양각(21a'), 음각(21b') 및 양각(21a')과 음각(21b')을 연결하는 연결면(21c')이 형성되어 케이스(21')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부재 상에 반사층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역시 광 패턴 형성부(20')는 케이스(21')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22a'), 홈(22b') 및 경사면(22c')을 통해 빛의 간섭 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쇄 간섭이 관찰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저휘도의 광 이미지를 형성하고, 보강 간섭이 관찰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고휘도의 광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 결과, 관찰자가 렌즈(30)를 통해 보는 광 이미지에는 저휘도의 광 이미지가 표현된 저휘도 영역과 고휘도의 광 이미지가 표현된 고휘도 영역의 광 이미지가 교대하며 또는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표현된다.
다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광 패턴 형성부(20')의 입체적 형상이 상이하므로 저휘도 영역과 고휘도 영역의 분포가 달라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는 도 5에 도시된 광 패턴 형성부(20')에 광원(10)으로서 면발광 광원을 적용하고, 렌즈(30)로서 미세 프리즘 렌즈를 적용한 상태에서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촬영한 도면이다.
도 6은 렌즈(30)의 정면에서 광 이미지를 촬영한 것이고, 도 7는 렌즈(30)의 전방 일측에서 광 이미지를 촬영한 것으로 도 3과 비교하여 촬영 각도를 달리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역시 케이스(21') 내부가 빛으로 가득찬 듯한 입체감이 느껴지는 광 이미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보강 간섭이 일어난 고휘도 영역과 상쇄 간섭이 일어난 저휘도 영영역이 교대하며 또는 교차하며 연속적으로 표현된 광 이미지를 표현하여 심미감을 일으킨다.
다만,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램프(1)와 달리, 반사형 간섭 부재(22')에 대략 격자형 패턴의 입체적 형상이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격자형의 입체적 이미지를 표현하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역시 관찰 각도에 따라 표현되는 광 이미지가 변화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관찰자로 광 이미지로부터 느끼는 입체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광원(10), 광 패턴 형성부(20) 및 렌즈(30) 중 어느 하나도 물리적 형상이 가변되는 구성을 채택하지 않고도 관찰 각도에 따라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형 간섭 부재(22, 22')에 의한 광 이미지 구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반사형 간섭 부재(22, 22')가 없는 상태의 차량용 램프 및 그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반사형 간섭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차량용 램프에 의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2)는 내벽에 입체적 형상의 반사형 간섭 부재가형성되지 않은 케이스(21)를 포함한다.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케이스(21)의 내벽에 반사되어 렌즈(3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케이스(21)의 내벽에 별도의 반사형 간섭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다른 패턴이 없이 렌즈(30)의 전면에 걸쳐 대략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광 이미지가 표현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차량용 램프 10: 광원
20: 광 패턴 형성부 21, 21': 케이스
21a, 21a': 양각 21b, 21b': 음각
21c': 연결면 22, 22': 반사형 간섭 부재
22a, 22a': 돌기 22b, 22b': 홈
22c': 경사면 30: 렌즈

Claims (9)

  1. 렌즈;
    상기 렌즈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렌즈와 상기 광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 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반사형 간섭 부재를 포함하는 광 패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형 간섭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진입한 빛을 상기 렌즈의 방향으로 반사하고, 반사된 빛들 상호 간의 광로 차에 의한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렌즈를 통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는 상기 보강 간섭이 적용되어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휘도 영역과 상기 상쇄 간섭이 적용되어 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휘도 영역이 교대하여 연속하는 입체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적 형상은,
    상호 단차를 이루는 돌기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함몰 형성된, 차량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홈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홈 중 적어도 하나는 격자형 패턴을 이루며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3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간섭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코팅되는 반사층이며,
    상기 케이스의 내벽은 상기 반사층이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돌기 및 홈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양각 및 음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는, 차량용 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프리즘 렌즈인, 차량용 램프.
KR1020140167627A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램프 KR10232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27A KR102322502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27A KR102322502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43A KR20160063843A (ko) 2016-06-07
KR102322502B1 true KR102322502B1 (ko) 2021-11-08

Family

ID=5619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27A KR102322502B1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2782A (zh) * 2019-09-12 2021-03-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金属壳体及其表面的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710A (ja) * 2000-02-18 2001-08-24 Stanley Electric Co Ltd 重連型車両用灯具
JP2004241137A (ja) 2003-02-03 2004-08-26 Alps Electric Co Ltd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015374B2 (ja) 2001-04-11 2007-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05U (ja) * 1992-08-21 1994-03-11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9710A (ja) * 2000-02-18 2001-08-24 Stanley Electric Co Ltd 重連型車両用灯具
JP4015374B2 (ja) 2001-04-11 2007-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4241137A (ja) 2003-02-03 2004-08-26 Alps Electric Co Ltd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43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905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JP6824171B2 (ja) 制御された回折カップリング効率を有する回折格子ベースの背面照明
US11193646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JP5911295B2 (ja) 照明装置
JP2012028155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789628B2 (ja) 灯具
JP5168551B2 (ja) 灯具用投影レンズ、車両用光学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JP6285193B2 (ja) 車両用灯具
KR102322502B1 (ko) 차량용 램프
JP6659348B2 (ja) ウインドウリアランプ
JP6205793B2 (ja) 車両用灯具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JP6419444B2 (ja) ライトトンネルを表象する灯具
KR102064342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US8801246B2 (en) Vehicle lamp
JP6830850B2 (ja) 車両用灯具
JP2019525388A (ja) 車両用ランプ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TWM558200U (zh) 光學元件及汽車車燈
JP2007095615A (ja) 車両用灯具
JP6518459B2 (ja) 車両用灯具
KR102004431B1 (ko) 차량용 램프
TWI637128B (zh) 圖案投射燈及其導光體
JP6527798B2 (ja) 車両用灯具
JP2015065035A (ja) 車両用灯具
KR101340956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