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068B1 - 방향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향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068B1
KR102322068B1 KR1020200185146A KR20200185146A KR102322068B1 KR 102322068 B1 KR102322068 B1 KR 102322068B1 KR 1020200185146 A KR1020200185146 A KR 1020200185146A KR 20200185146 A KR20200185146 A KR 20200185146A KR 102322068 B1 KR102322068 B1 KR 10232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housing
closing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에일리언오더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일리언오더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일리언오더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방향제 케이스는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 면적이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터 조절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제 케이스{Case for Air Freshener}
본 발명은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개 방식으로 구성된 날개 유닛이 케이스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개방 및 폐쇄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어 방향제의 향기와 혼합된 공기의 배출 속도가 향상되어 발향성능이 탁월하고, 발향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방향성 있는 물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보관 또는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각종 용기에 담겨 사용된다.
방향제는 액체, 고체 및 젤 형태로 형성도리 수 있는데 방향제의 형태에 따라 방향제의 용기의 형상 및 구성이 다양하게 변경된다. 일실시예로, 액체로 된 방향제는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에 충전되어 사용되고, 고체로 된 방향제는 용기에 담기거나 천 등으로 감싸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방향제의 향을 발산하는 개구부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서 내부 방향제의 소모가 심하고, 설치 장소에 향이 강하게 남아서 후각 및 신경 등을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개방 부위를 개폐할 수 있는 용기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기존의 방향제 용기는 덮개를 이용하여 개방부위를 개폐하거나, 개방부위를 일방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개방 부위가 편향되도록 개방되어 방향제의 향기가 고르게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용기들은 단순히 내부에 방향제를 보관하고, 개방부의 일측만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발산 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KR 0162140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개 방식으로 구성된 날개 유닛이 케이스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개방 및 폐쇄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어 방향제의 향기와 혼합된 공기의 배출 속도가 향상되어 발향성능이 탁월하고, 발향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향제 케이스는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 면적이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터 조절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는 상호 연동되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개폐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복수의 날개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복수의 날개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방향제를 통과 후 상기 개구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면적 또는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와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폐하는 덮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제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절부에 의해 개폐부가 하우징의 개구부의 중심에서 점차 확장되도록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방향제의 향기가 편향되지 않고 고르게 확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 유입공을 통해 하우징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방향제를 통과하며 향기와 혼합된 후 상부 중심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면적과 상대적으로 좁은 개폐부의 개방부위를 통해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여 발산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개폐부는 조리개 방식을 통해 개구부의 중심 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중심방향으로 집중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며 발산효율이 증가한다
넷째, 개폐부가 중심에서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고체형 방향제를 사용하는 경우 방향제의 상면에 로고, 그림 등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를 활용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간단한 회전 구조의 조절부를 통해 개폐부가 조작되어 개구부의 개방 정도를 누구나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근거리 통신 등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동되어 외부 단말기를 통해 개폐부의 개방 정도 및 개방 시간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기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기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조절부가 조작되어 개폐부의 개방 정도 및 개방 시간 등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 및 조절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이 조절부 및 커버 유닛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 및
도 10 및 도 11은 조절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가 점차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 조절부(300), 개폐부(200) 및 덮개부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방향제(10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개폐부(200) 및 조절부(300) 등의 구성물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방향제 케이스(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내부에 방향제(1000)를 수용하고, 각각의 구성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유닛(110), 커버 유닛(120) 및 백커버 유닛(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 유닛(110)은 백커버 유닛(130)에 안착되는 방향제(100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몸체 유닛(110)은 백커버 유닛(130)에 안착되는 방향제(10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링 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 유닛(110)의 내주면 일측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 유도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 유닛(110)의 일측에는 커버 유닛(120)과 결합하고, 조절부(3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400)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 유닛(110)의 하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내주면 하부 일측에 백커버 유닛(130)과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커버 유닛(120)은 조절부(300)가 몸체 유닛(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유닛(1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커버 유닛(120)과 몸체 유닛(110)의 이격거리는 조절부(30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 유닛(120)은 방향제(1000)의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중심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부(121)가 형성된 평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외경은 몸체 유닛(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커버 유닛(120)의 하면 일측에는 몸체 유닛(110)과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400)이 결합되는 결합홈(122)이 몸체 유닛(110)의 제1결합공(1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커버 유닛(120)은 체결수단(400)을 통해 몸체 유닛(110)과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즉, 후술하는 조절부(300)가 회전하더라도 커버 유닛(120) 및 몸체 유닛(1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커버 유닛(120)의 하면 중심 일측에는 후술하는 조절부(300)의 날개 유닛(210)의 제1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각각의 날개 유닛(2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체결홈(123)이 복수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홈(123)은 개폐부(200)를 구성하는 날개 유닛(2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유닛(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6개의 제1체결홈(123)이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개폐부(200)의 날개 유닛(21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백커버 유닛(130)은 몸체 유닛(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방향제(10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백커버 유닛(130)은 몸체 유닛(110)의 크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바닥부재 및 바닥부재의 테두리에 소정 높이로 구비되는 측벽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부재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측벽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몸체 유닛(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 유닛(110)과 나사결합 방식을 통해 원활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바닥부재의 중심 일측에는 안착되는 방향제(1000)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림 및 이로 인한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방향제 안착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바닥부재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공(13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공(132)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면적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210)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200) 및 조절부(300)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210)이 조절부(300) 및 커버 유닛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300)는 하우징(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의 몸체 유닛(110)과 커버 유닛(1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 유닛(120)과 함께 개폐부(200)를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300)의 회전에 의해 개폐부(200)는 일단이 회전하며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00)의 결합 및 개방되는 구성은 후술하는 개폐부(200)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조절부(300)는 회전을 통해 개폐부(200)를 조작하여 하우징(100)의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조절부(3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링 형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절부(300)의 외경은 하우징(100)의 면적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넓은 외경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조절부(300)의 외측면 일측에는 외부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위한 조작돌기(310)가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300)의 테두리에는 하우징(100)의 몸체 유닛(110) 및 커버 유닛(12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400)이 관통될 수 있는 제2결합공(320)이 형성된다. 이때, 제2결합공(320)은 몸체 유닛(11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절부(3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부(300)는 전술한 몸체부의 커버 유닛(120) 및 몸체 유닛(110)을 연결하는 체결수단(400)이 제2결합공(3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조절부(30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체결수단(400)이 조절부(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조절부(30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소정면적 확장되는 내부 확장 단턱(33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확장 단턱(330)은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개구부(121)에 대응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면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때, 내부 확장 단턱(330)의 상면에는 커버 유닛(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123)과 함께 개폐부(200)를 고정하기 위한 제2체결홈(3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체결홈(340)은 조절부(300)의 회전에 의해 개폐부(200)를 구성하는 날개 유닛(210)의 일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부(300)의 중심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체결홈(340)은 제1체결홈(123)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부 확장 단턱(330)의 일측에는 공기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유도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부(300)의 몸체를 잡고 회전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 조절부(300)의 조절부(3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조작 유닛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양태로 조절부(300)와 인접한 위치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회전 스위치 형상의 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조절부(300)와 조작 유닛을 와이어 또는 벨트 등과 연결하여 조작 유닛을 회전시키면 조절부(300)가 이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날개 유닛(2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조작 유닛은 사용자의 특정 동작을 인식하여 날개 유닛(210)을 회전시켜 개구부(12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개폐부(200)는 조절부(300)와 하우징(100)의 커버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어 조절부(300)의 조작에 의해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개구부(121)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개폐부(200)는 개방 시 개구부(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개방 면적을 확장되고, 폐쇄 시 테두리 방향에서 중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그 개방 면적을 조절하며 개구부(121)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날개 유닛(210)이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조절부(300)의 회전에 의해 날개 유닛(210)의 배치 각도가 변경되며 개구부(12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개의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200)는 복수의 날개 유닛(210), 각각의 날개 유닛(210)에 구비되는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230)로 구성된다. 복수의 날개 유닛(21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날개 유닛(210)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날개 유닛(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얇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호의 각도는 날개 유닛(210)의 개수, 날개 유닛(210)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220)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날개 유닛(210)의 일측 종단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123)에 삽입되어 개구부(121)의 개폐를 위하여 날개 유닛(210)의 회전 시 고정축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220)의 직경 및 높이는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123)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230)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날개 유닛(210)의 타측 종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절부(300)의 제2체결홈(340)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2결합돌기(230)는 조절부(300)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제2체결홈(3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날개 유닛(21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2결합돌기(230)는 제2체결홈(340)을 가이드 레일로 활용하여 조절부(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2결합돌기(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처럼 조작되는 제2결합돌기(230) 및 날개 유닛(210)이 구동되는 것은 후술하는 사용양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유닛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의한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날개 유닛(210)의 배치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날개 유닛(210)의 제1결합돌기(220)가 커버 유닛(120)의 제1체결홈(12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배치하고, 제2결합돌기(230)는 조절부(300)의 제2체결홈(3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체결된 날개 유닛(210)의 제2결합돌기(230)가 형성된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날개 유닛(210)의 제1결합돌기(220)가 형성된 일측 종단을 배치하여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 유닛(120)의 제1체결홈(123)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호 인접한 날개 유닛(210)의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230)가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도 7과 같이 교차 배치하면 도 8 및 도 5와 같은 평면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5는 개폐부(2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몇 개의 날개 유닛(210)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는 제1체결홈(123) 및 제2체결홈(34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의 날개 유닛(210)이 구비된다.
덮개부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개구부(121)를 완전 밀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덮개부는 사용 전 또는 일정 기간 이상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 방향제(1000)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121)를 완전 밀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덮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덮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1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부(500)는 하우징(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백커버 유닛(130)의 외부 바닥면 일측에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송풍부와 같은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그립부(500)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 뿐 제한적이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방향제 케이스(10)를 고정 또는 배치하기 위한 다양한 그립부(500)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술한 구성 외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부(300)를 조작하여 개폐부(200)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0), 전원부(700), 제어부(800) 및 통신부(90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어부(8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부(300)를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동부(600)는 동력 전달 축의 조절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절부(3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600)는 조절부(3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조절부(3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절부(300)를 양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하며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원부(700)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에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원부(700)는 구동부(600) 및 제어부(8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600)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부(8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600)를 통해 조절부(300)를 조작하여 개폐부(200)의 개방면적 및 개방 시간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800)는 구동부(60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600)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통신부(9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제어부(800)와 사용자 휴대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910)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송수신부(910)는 외부 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무선 통신 등과 같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부(910)는 제어부(800)와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가 방향제(1000)의 잔량, 개방부의 개방면적 및 개방 시간 조절 정보 등을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제 케이스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방향제 케이스(10)의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향제 케이스(10)를 조립하는 공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향제 케이스(10)의 조립은 크게 상부체 조립 및 하부체 조립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부체는 하우징(100)의 커버 유닛(120) 및 몸체 유닛(110)과 조절부(300) 및 개폐부(200)로 조립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하부체는 하우징(100)의 백커버 유닛(130) 및 그립부(500)의 결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부체 및 하부체의 구분은 사용양태에 의해 방향제(1000)를 삽입 및 교체하기 위하 분리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명명한 것으로서, 구성을 제한하는 명칭은 아니다.
상부체의 조립을 위하여 먼저 하우징(100)의 커버 유닛(120)과 조절부(300) 사이에 개폐부(200)를 배치한다. 이러한 개폐부(200)의 배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날개 유닛(210)의 제1결합돌기(220)는 커버 유닛(120)의 제1체결홈(123)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2결합돌기(230)는 조절부(300)의 제2체결홈(340)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 유닛(210)의 제1결합돌기(220)는 커버 유닛(120)의 제1체결홈(123)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제2결합돌기(230)는 제1결합돌기(220)가 삽입된 제1체결홈(123)의 시계방향으로 6번째의 제1체결홈(123)과 대응되는 제2체결홈(340)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날개 유닛(210)이 형성하는 원호의 각도, 길이, 폭 및 날개 유닛(210)의 개수 및 개방 각도 등을 고려하여 제1체결홈(123) 및 제2체결홈(340)의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230)가 어긋나도록 순차적으로 날개 유닛(210)을 배치하여 커버 유닛(120) 및 조절부(30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을 반복하면 도 5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조절부(300)의 조작 시 체결수단(400)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지 않고, 완전 폐쇄 및 완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날개 유닛(210)의 배치는 체결수단(400)이 관통하는 조절부(300)의 제2결합공(320)의 일단과 체결수단(400)이 결합되는 커버 유닛(120)의 결합홈(122)의 위치를 조절한 후 날개 유닛(210)을 결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공정과 같이 커버 유닛(120)과 조절부(300) 사이에 개폐부(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조절부(300)의 하부에 몸체 유닛(110)을 배치한다. 이때, 몸체 유닛(110)의 배치는 몸체 유닛(11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11), 조절부(300)의 제2결합공(320) 및 커버 유닛(120)의 결합홈(12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400)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몸체 유닛(110)과 커버 유닛(120)을 체결하여 상부체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체결수단(400)은 몸체 유닛(110)의 제1결합공(111) 및 조절부(300)의 제2결합공(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커버 유닛(120)의 결합홈(122)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총 6개의 체결수단(400)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그 개수는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때, 몸체 유닛(110)의 제1결합공(111) 및 커버 유닛(120)의 결합홈(122)은 체결수단(4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400)에 의해 고정되지만, 조절부(300)의 제2결합공(320)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체결수단(400)에 의해 결합되더라도 체결수단(400)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공(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대문에 조절부(300)의 회전 조작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체결수단(400)은 상부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체결수단(400)의 측벽면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절부(300)의 제2결합공(320)의 내측 종단과 접촉하여 조절부(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결합공(320)의 길이 및 체결수단(400)의 체결위치는 조절부(300)의 회전에 의해 개폐부(200)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10)가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립부(500)를 백커버 유닛(130)에 결합하는 하부체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체의 조립은 나사결합, 자석의 자성을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부(500)의 결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체 및 하부체를 결합한다. 이러한 상부체 및 하부체의 사이에는 방향제(1000)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활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0)의 몸체 유닛(110) 및 백커버 유닛(130)에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산을 이용한 회전 결합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상부체 및 하부체를 결합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방법을 통해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10)를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체 및 하부체를 분리하여 방향제(1000)를 삽입한다. 이때, 방향제(1000)는 백커버 유닛(130)의 바닥면 중심 일측에 형성되는 방향제 안착부(131)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물론 사용양태에 따라 백커버 유닛(130)의 바닥면에는 방향제(1000)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방향제(1000)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처럼 백커버 유닛(130)은 사용하는 방향제(1000)의 종류 등에 따라 방향제(1000)가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또는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상부체 및 하부체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방향제(1000)가 삽입된 방향제 케이스(10)를 향기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가정 등의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그립부(50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책상 등에 배치할 수 있으며, 차량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송풍부 등에 결합될 수 있는 그립부(50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방향제 케이스(10)는 개폐부(200)가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조절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부가 점차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취향에 맞추어 개폐부(20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방향제 케이스(10)는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0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후, 사용자는 방향제(1000)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조절부(300)를 조작하여 개폐부(20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조절부(300)의 회전 시 조절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조작돌기(310)를 통해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조절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개폐부(200)가 완전 폐쇄된 상태에서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공(320)의 일측 종단이 체결수단(400)과 접촉하여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개방을 위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체결수단(400)은 완전 개폐 또는 완전 개방 상태에서 조절부(300)가 해당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개폐부(200)는 손상 없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개폐부(200)의 개방을 위하여 조절부(300)를 일방향, 일실시예로 도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을 중심으로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300)의 회전 각도와 대응되도록 각각의 날개 유닛(210)이 이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구부(121)가 점차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조절부(300)의 회전은 제2결합공(32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400)을 중심으로 하여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공(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조절부(300)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에서 은선으로 표시된 날개 유닛(210)은 최초 배치 위치, 즉, 완전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으로 이루어진 날개 유닛(210)은 점차 개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커버 유닛(120)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123)은 제1결합돌기(220)와 대응되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고, 제2체결홈(340)은 제2결합돌기(230)가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제1체결홈(123)과 결합되는 날개 유닛(210)의 일단은 고정축으로 회전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고, 조절부(300)의 회전 시에는 제2결합돌기(230)가 형성된 날개 유닛(210)의 타단이 제2결합돌기(230)의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체결홈(123)이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홈(340)은 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사용자는 조절부(300)를 통해 개폐부(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개구부(12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200)가 개구부(121)를 개방하면 하우징(100)의 내부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132)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방향제(1000)를 통과하여 개폐부(200)에 의해 개방된 일측으로 배출되며 방향제(1000)의 향기를 발산한다. 이때, 개폐부(200)는 조리개 방식을 통해 개구부(121)의 중심 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공(13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중심방향으로 집중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며 발산효율이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200)를 조작하여 개구부(121)를 개방 시켜 방향제(1000)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고, 발산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부(3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부(200)의 날개 유닛(210) 역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점차적으로 개구부(121)가 폐쇄된다.
다른 사용양태로 방향제 케이스(10)에 통신부(900), 제어부(800), 구동부(600) 등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조절부(300)를 조작하지 않고도 사용자 모바일 등의 외부 단말을 이용하여 조작하거나, 외부 단말의 접근을 인식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부(200)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외부 단말기의 인식여부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개폐부(200)의 개방면적 및 개방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사용자 단말기가 인식되면 기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조절부(300)가 구동되며 개폐부(200)를 조작하여 개구부(121)를 소정 면적 개방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인식이 해제되면 즉시 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 후 자동으로 개폐부(200)를 폐쇄하도록 조절부(300)가 자동 조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방향제 케이스
100: 하우징
110: 몸체 유닛
111: 제1결합공
112: 공기 유도홈
120: 커버 유닛
121: 개구부
122: 결합홈
123: 제1체결홈
130: 백커버 유닛
131: 방향제 안착부
132: 공기 유입공
200: 개폐부
210: 날개 유닛
220: 제1결합돌기
230: 제2결합돌기
300: 조절부
310: 조작돌기
320: 제2결합공
330: 내부 확장 단턱
340: 제2체결홈
400: 체결수단
500: 그립부
600: 구동부
700: 전원부
800: 제어부
900: 통신부
910: 송수신부
1000: 방향제

Claims (8)

  1.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 면적이 상기 개구부의 중심부터 조절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는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제의 측면을 지지하고, 일측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 유닛;
    상기 몸체 유닛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 공간에 상기 조절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 유닛과 결합되며, 중심 일측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버 유닛; 및
    상기 몸체 유닛의 크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유닛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재의 일측에 상기 몸체 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백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유닛의 제1결합공, 상기 조절부의 제2결합공 및 상기 커버유닛의 결합홈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 유닛 및 상기 커버 유닛을 고정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방향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호 연동되며 확장 또는 축소되며 상기 개폐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복수의 날개 유닛으로 구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복수의 날개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개로 구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방향제를 통과 후 상기 개구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이 더 형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홈이 더 형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면적 또는 개방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방향제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외부와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제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를 밀폐하는 덮개부가 더 구비되는 방향제 케이스.
KR1020200185146A 2020-12-28 2020-12-28 방향제 케이스 KR10232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46A KR102322068B1 (ko) 2020-12-28 2020-12-28 방향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146A KR102322068B1 (ko) 2020-12-28 2020-12-28 방향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068B1 true KR102322068B1 (ko) 2021-11-04

Family

ID=7852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146A KR102322068B1 (ko) 2020-12-28 2020-12-28 방향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06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0Y1 (ko)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90868Y1 (ko) * 2000-01-26 2000-08-01 정재은 방향제 용기
KR200214648Y1 (ko) * 2000-07-27 2001-02-15 주식회사엘지화학 다기능 방향제
KR100928306B1 (ko) * 2009-03-30 2009-11-25 도한우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KR101769274B1 (ko) * 2016-03-24 2017-08-21 주식회사 룩소 발향 선택 및 조절 기능을 가지는 발향 장치
KR20170114765A (ko) * 2016-04-06 2017-10-16 김진용 방향제용 발산장치
CN209884834U (zh) * 2019-01-09 2020-01-03 深圳市泰丰顺科技有限公司 香薰盒
CN209933576U (zh) * 2019-03-11 2020-01-14 李长豇 一种香薰装置
KR20200000401U (ko) * 2018-08-09 2020-02-19 이상호 방향제 케이스
CN210205431U (zh) * 2019-03-11 2020-03-31 李长豇 一种香薰装置
JP2020081130A (ja) * 2018-11-20 2020-06-04 凸版印刷株式会社 芳香剤容器
KR20200137616A (ko) * 2019-05-31 2020-12-09 손광섭 방향제 케이스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0Y1 (ko)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200190868Y1 (ko) * 2000-01-26 2000-08-01 정재은 방향제 용기
KR200214648Y1 (ko) * 2000-07-27 2001-02-15 주식회사엘지화학 다기능 방향제
KR100928306B1 (ko) * 2009-03-30 2009-11-25 도한우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KR101769274B1 (ko) * 2016-03-24 2017-08-21 주식회사 룩소 발향 선택 및 조절 기능을 가지는 발향 장치
KR20170114765A (ko) * 2016-04-06 2017-10-16 김진용 방향제용 발산장치
KR20200000401U (ko) * 2018-08-09 2020-02-19 이상호 방향제 케이스
JP2020081130A (ja) * 2018-11-20 2020-06-04 凸版印刷株式会社 芳香剤容器
CN209884834U (zh) * 2019-01-09 2020-01-03 深圳市泰丰顺科技有限公司 香薰盒
CN209933576U (zh) * 2019-03-11 2020-01-14 李长豇 一种香薰装置
CN210205431U (zh) * 2019-03-11 2020-03-31 李长豇 一种香薰装置
KR20200137616A (ko) * 2019-05-31 2020-12-09 손광섭 방향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584B2 (en) Electric lighting device with scent cartridge
JP4774467B1 (ja) 水栓装置
KR102322068B1 (ko) 방향제 케이스
CN104879993B (zh) 分路送风装置
JP5642310B1 (ja) 芳香器
CN104896837A (zh) 分路送风装置
KR20100037438A (ko) 자동 회전이 가능한 다종류 일체형 방향제 장치
CN209933576U (zh) 一种香薰装置
CN210205431U (zh) 一种香薰装置
CN215705581U (zh) 一种车载香氛模块
CN106108732A (zh) 定量分配装置及具有其的冰箱
JP2001343083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CN216346902U (zh) 香氛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09603560U (zh) 一种可实现多方位音效和灯光的中心舞台
CN212109155U (zh) 风门装置以及冰箱
CN212252901U (zh) 香薰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90076186A (ko) 향기 방출용 디퓨저
KR200214648Y1 (ko) 다기능 방향제
CN211863409U (zh) 香薰装置
KR102538145B1 (ko)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200365611Y1 (ko) 용기의 호환성을 가지는 방향제 자동발산장치
CN217482850U (zh) 导风机构及空调柜机
CN212081432U (zh) 一种芳香盒驱动装置及空调器
CN118149419A (zh) 一种芳香盒及空调器
CN216314751U (zh) 激光调节组件及宠物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