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145B1 -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145B1
KR102538145B1 KR1020210181680A KR20210181680A KR102538145B1 KR 102538145 B1 KR102538145 B1 KR 102538145B1 KR 1020210181680 A KR1020210181680 A KR 1020210181680A KR 20210181680 A KR20210181680 A KR 20210181680A KR 102538145 B1 KR102538145 B1 KR 10253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sound device
fastening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드퍼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드퍼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드퍼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8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145B1/ko
Priority to PCT/KR2022/017189 priority patent/WO20231132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시 향기를 발산하되, 발산하는 향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부(11);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12);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내부와 연통되되 결합부(12)의 내부 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배출홀(13a)이 형성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편심배출부(13);를 갖춘 음향장치본체(10)와;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홈(21a)과, 상하로 개구되어 개구홈(21a)과 연통되고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발산홀(21b)을 구비한 덮개본체(21); 덮개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회전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22); 덮개본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편심배출부(13)에 안착되고, 덮개본체(21)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개폐하는 개폐부(23)을 갖춘 덮개(20)와;
덮개(20)의 개구홈(21a)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 가능한 방향체(30)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되는 스피커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Sound Equipment with Function Controlling Perfume Emission}
본 발명은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시 향기를 발산하되, 발산하는 향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스피커와 같은 음향장치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음향장치는 대형으로 제작되어, 공연장, 영화관 등과 같은 대규모 음향시설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된다.
또한, 음향장치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개인용 컴퓨터, 핸드폰과 통신함으로써, 소규모 장소에도 많이 사용된다.
특히,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대중음악이 탄생하고, 이에 따라 대중음악을 듣기 위한 다양한 음향장치가 개발되고 있어, 음향장치의 활용이 꾸준히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일정 공간의 쾌적한 분위기를 위해 방향제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음향장치에는 별도의 방향기능이 없어, 음향장치를 사용하는 장소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방향제를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25640호(향기 발산 음향장치)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발산되는 향기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방향제 낭비가 심각하였고, 불필요하게 방향제가 많이 방출됨으로 인해 오히려 음향장치 설치 장소의 환경이 불쾌해지는 역효과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56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방향제 배출구를 편심되게 하여 덮개의 회전량 조절만으로 향기 발산을 조절할 수 있는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수용부(11);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12);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내부와 연통되되 결합부(12)의 내부 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배출홀(13a)이 형성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편심배출부(13);를 갖춘 음향장치본체(10)와;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홈(21a)과, 상하로 개구되어 개구홈(21a)과 연통되고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발산홀(21b)을 구비한 덮개본체(21); 덮개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회전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22); 덮개본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편심배출부(13)에 안착되고, 덮개본체(21)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개폐하는 개폐부(23)을 갖춘 덮개(20)와;
덮개(20)의 개구홈(21a)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 가능한 방향체(30)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되는 스피커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개폐부(23)는, 상하로 개구되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가능한 관통홀(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방향체(30)는, 상하로 개구되어, 하부가 체결부(22) 내부와 연통되고 상부가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상하공기접촉홀(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21)는,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덮개본체(21)의 내부 상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개구홈(21a) 및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좌우공기접촉홈(21c)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는, 결합부(12)의 외부 둘레에 원형 링 형상의 걸림체(12a)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체결부(22)는, 체결부(22)의 내부에 내방으로 돌출된 체결체(2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또는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와 덮개(20)의 체결부(22)는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향장치본체(10)에 편심배출부(13)를 구비하여 음향장치본체(10)의 내부 공기가 편심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덮개(20)에 개폐부(23)를 구비하여 개폐부(23)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를 개폐함으로써, 덮개(20)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20)의 회전만으로 음향장치의 향기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걸림체(12a)가 구비되고, 덮개(20)의 체결부(22)에 체결체(22a)가 구비되어, 체결부(22)와 결합부(12) 간의 공간이 실링되면서 체결부(22)가 결합부(12)에 공회전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덮개(20)의 상하 위치 변화없이 덮개(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20)의 개폐부(23)에 다수의 관통홀(23a)을 형성하여, 덮개(20)의 회전량에 따라 편심배출부(13)에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음향장치의 향기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체(30)에 상하공기접촉홀(31)이 형성되거나, 덮개본체(21)에 좌우공기접촉홈(21c)이 형성되어, 음향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방향체(30)와 많은 접촉면적을 이룸으로써, 향기 발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서 음향장치본체와 덮개 체결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편심배출부의 배출홀이 개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편심배출부의 배출홀이 개구되어 배출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개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방향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덮개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서 음향장치본체와 덮개 체결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는 음향장치본체(10)와, 덮개(20)와, 방향체(30) 및, 스피커장치(40)를 포함하여, 스피커장치(40) 구동시 외부로 향기가 발산된다.
상기 음향장치본체(1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와, 결합부(12) 및, 편심배출부(13)를 갖춘다.
상기 수용부(11)는 내부에 수용공간(11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2)는 둘레면이 원형상을 이룬다.
상기 편심배출부(13)는,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내부와 연통되되 결합부(12)의 내부 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배출홀(13a)이 형성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덮개(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21)와, 체결부(22) 및, 개폐부(23)를 갖춘다.
상기 덮개본체(21)는,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홈(21a)과, 상하로 개구되어 개구홈(21a)과 연통되고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발산홀(21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발산홀(21b)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2)는, 덮개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회전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20)의 체결부(22)는, 체결부(22)의 내부에 내방으로 돌출된 체결체(22a)가 구비된다. 그리고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는, 결합부(12)의 외부 둘레에 원형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부(22)가 결합부(12)에 체결될 시, 체결체(22a)가 걸리는 걸림체(12a)를 갖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20)의 체결부(22)를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삽입하면, 덮개(20)의 체결체(22a)가 음향장치본체(10)의 걸림체(12a)를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덮개(20)의 체결부(22)와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가 체결된다. 이때 덮개(20)는 회전가능하면서 상방 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체(22a)는 원형 링 형상을 이루어 체결부(22)의 내방으로 돌출되거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부(22)의 내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걸림체(12a)는 탄성 재질 또는 신축가능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부(12)와 체결부(22)가 체결될 시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체결부(22)와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가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23)는, 덮개본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편심배출부(13)에 안착되고, 덮개본체(21)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23)는 판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23)의 내측과 덮개본체(21)의 내측 사이에 통과공간(h)이 형성되어, 통과공간(h)을 통해 방향체(30)를 덮개(20)의 개구홈(21a)에 삽입(압입)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향체(3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개구홈(21a)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 가능하며, 향기를 방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방향체(3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면 다공성이면서 플렉스블한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방향체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스피커장치(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장치(40)는, 음향장치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41)와, 앰프를 구비하여 음향장치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피커(41)를 제어하는 제어부(42)와, 음향장치본체(10)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접속단자(43a)를 구비하여 음향장치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부(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3)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되어 제어부(42)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온오프스위치(44)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되어 제어부(42)가 음향재생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와 통신가능하도록 하는 페어링스위치(45)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은 충전용 배터리(43)로 이루어지지만, 별도의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42)가 음향재생기와 무선통신하도록 설계되지만, 제어부(42)가 음향재생기와 유선통신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장치(40)는 상기 구성외에 일반적인 스피커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편심배출부의 배출홀이 개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편심배출부의 배출홀이 개구되어 배출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본체(21)의 개폐부(23)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폐쇄 한 상태에서, 음향장치를 일정 공간에 배치하면, 방향체(30)가 공기와 접촉하여 소량의 향기(방향제)가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일정 공간 주변에 은은한 향기가 퍼진다. 이때 방향체(30)는 공기와의 접촉이 미미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향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피커(41)를 구동하면, 스피커(41) 구동에 의해 음향이 출력되지만, 음향장치본체(10) 수용부(11)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스피커(41) 구동에 의한 향기 발산은 차단된다.
한편, 사용자가 음향 청취와 함께 주변 방향 효과를 높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덮개본체(21)를 회전시켜, 도 5 및 도 6과 같이 개폐부(23)가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을 개방하도록 한다.
그러면, 스피커(41)의 구동과 함께, 음향장치본체(10) 수용부(11) 내부의 공기가 스피커(41)에 따른 진동압에 의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로 배출된다.
이때,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통과한 공기는, 방향체(30)와 접촉하면서 방향체(30)를 통과하여,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로 배출된다.
여기서,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을 통과한 공기는 다량의 향기를 머금고 주변으로 확산되어, 음향효과와함께 방향 효과가 높아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개폐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덮개(20)의 개폐부(23)가 변형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덮개(20)의 개폐부(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되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가능한 관통홀(23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23)의 후측에 관통홀(23a)이 다수 개가 구비되되, 뒷열(도 7 상에서 상방향의 열) 관통홀(23a)의 크기가 앞열(도 7 상에서 하방향의 열) 관통홀(23a) 크기보다 크게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23a)은 2열로 구비되지만 다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23)의 반시계 방향 회전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관통홀(23a)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되어, 개폐부(23)의 회전량에 따라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도 8 참조)
일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23)를 회전하지 않으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이 폐쇄되고, 도 8과 같이 개폐부(23)를 회전하면 관통홀(23a) 중 작은 관통홀(23a)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되고, 도 8보다 조금 더 개폐부(23)를 회전시키면 관통홀(23a) 중 큰 관통홀(23a)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음향장치본체(10)의 내부에서 방향체(30)로 향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방향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방향체(30)가 변형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방향체(30)는, 상하로 개구되어, 하부가 체결부(22) 내부와 연통되고 상부가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상하공기접촉홀(3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방향체(30)에 상하공기접촉홀(31)이 구비되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통과한 공기가 방향체(30)와 접촉할 시 상하공기접촉홀(31) 내면과 추가 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공기와 방향체(30)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이때 방향체(30)의 상하공기접촉홀(31)은 공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향기를 머금은 공기가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장치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덮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상기 공기가 보다 향기를 효율적으로 머금고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 덮개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덮개본체(21)가 변형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덮개본체(21)는,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덮개본체(21)의 내부 상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개구홈(21a) 및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좌우공기접촉홈(21c)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좌우공기접촉홈(21c)은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공기접촉홈(21c)이 구비되면, 방향체(30)를 통과한 공기가 발산홀(21b)로 배출되기 전에 좌우공기접촉홈(21c)의 내면과 추가 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공기와 방향체(30)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장치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덮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상기 공기가 보다 향기를 효율적으로 머금고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향장치본체(10)에 편심배출부(13)를 구비하여 음향장치본체(10)의 내부 공기가 편심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덮개(20)에 개폐부(23)를 구비하여 개폐부(23)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를 개폐함으로써, 덮개(20)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20)의 회전만으로 음향장치의 향기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걸림체(12a)가 구비되고, 덮개(20)의 체결부(22)에 체결체(22a)가 구비되어, 체결부(22)와 결합부(12) 간의 공간이 실링되면서 체결부(22)가 결합부(12)에 공회전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덮개(20)의 상하 위치 변화없이 덮개(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20)의 개폐부(23)에 다수의 관통홀(23a)을 형성하여, 덮개(20)의 회전량에 따라 편심배출부(13)에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음향장치의 향기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체(30)에 상하공기접촉홀(31)이 형성되거나, 덮개본체(21)에 좌우공기접촉홈(21c)이 형성되어, 음향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방향체(30)와 많은 접촉면적을 이룸으로써, 향기 발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음향장치본체 11: 수용부
12: 결합부 12a: 걸림체
13: 편심배출부 13a: 배출홀
20: 덮개 21: 덮개본체
21a: 개구홈 21b: 발산홀
21c: 좌우공기접촉홈 22: 체결부
22a: 체결체 23: 개폐부
23a: 관통홀 30: 방향체
31: 상하공기접촉홀 40: 스피커장치

Claims (6)

  1. 수용부(11);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12);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부(11)의 내부와 연통되되 결합부(12)의 내부 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배출홀(13a)이 형성되어, 수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편심배출부(13);를 갖춘 음향장치본체(10)와;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홈(21a)과, 상하로 개구되어 개구홈(21a)과 연통되고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발산홀(21b)을 구비한 덮개본체(21); 덮개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에 회전가능하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22); 덮개본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편심배출부(13)에 안착되고, 덮개본체(21)의 회전에 따라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를 개폐하는 개폐부(23)을 갖춘 덮개(20)와;
    덮개(20)의 개구홈(21a)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 가능한 방향체(30)와;
    음향장치본체(10)에 설치되는 스피커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개폐부(23)는, 상하로 개구되어 편심배출부(13)의 배출홀(13a)과 연통가능한 관통홀(2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체(30)는, 상하로 개구되어, 하부가 체결부(22) 내부와 연통되고 상부가 덮개본체(21)의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상하공기접촉홀(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21)는, 개구홈(21a)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덮개본체(21)의 내부 상측에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개구홈(21a) 및 발산홀(21b)과 연통되는 좌우공기접촉홈(21c)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는, 결합부(12)의 외부 둘레에 원형 링 형상의 걸림체(12a)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체결부(22)는, 체결부(22)의 내부에 내방으로 돌출된 체결체(2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본체(10)의 결합부(12)와 덮개(20)의 체결부(22)는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KR1020210181680A 2021-12-17 2021-12-17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10253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680A KR102538145B1 (ko) 2021-12-17 2021-12-17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PCT/KR2022/017189 WO2023113231A1 (ko) 2021-12-17 2022-11-04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680A KR102538145B1 (ko) 2021-12-17 2021-12-17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145B1 true KR102538145B1 (ko) 2023-05-31

Family

ID=8654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680A KR102538145B1 (ko) 2021-12-17 2021-12-17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8145B1 (ko)
WO (1) WO20231132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369U (ko) * 2010-04-28 2011-11-03 에스엔제이 주식회사 다기능 스피커
KR102025640B1 (ko) 2018-09-03 2019-09-26 이규봉 향기 발산 음향장치
KR102025643B1 (ko) * 2018-09-03 2019-09-26 이규봉 향기발산 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102067818B1 (ko) * 2018-09-03 2020-01-17 이규봉 효율적인 향기발산이 가능한 음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417A (ko) * 2014-10-24 2016-05-04 홍형준 향기가 나는 스피커
KR101837760B1 (ko) * 2017-01-31 2018-04-19 주식회사 씨유엠앤비 공기 정화기능을 가지는 소음 저감형 스피커 장치
EP3653932B1 (en) * 2017-07-11 2022-02-23 Furukawa Electric Co. Ltd.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speaker function, and method for extracting light and sound from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speaker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369U (ko) * 2010-04-28 2011-11-03 에스엔제이 주식회사 다기능 스피커
KR102025640B1 (ko) 2018-09-03 2019-09-26 이규봉 향기 발산 음향장치
KR102025643B1 (ko) * 2018-09-03 2019-09-26 이규봉 향기발산 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102067818B1 (ko) * 2018-09-03 2020-01-17 이규봉 효율적인 향기발산이 가능한 음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231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705B1 (en) Noise reducing headphones with sound conditioning
US6819770B2 (en) Hearing aid with portion thereof inserted in auditory canal, with auditory canal ventilation
US20170251292A1 (en) Audio Device With Acoustic Valve
CN109672967A (zh) 个人听力装置
US20160182995A1 (en) Headphone type acoustic apparatus
JP4518145B2 (ja) 芳香剤収納用外装パネル、および芳香剤収納用外装パネ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WO2015198683A1 (ja) 骨伝導スピーカ
KR102272144B1 (ko) 향기 디스플레이의 부스터 장치
CN101361404A (zh) 助听器
US10258922B2 (en) Device for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KR102538145B1 (ko) 향기 발산 조절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US20200154193A1 (en) Signal modifier for self-cooling headsets
US5093212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ir regulating battery compartment responsive to electrical load control
KR101756212B1 (ko) 방향제 용기
WO2020249200A1 (en) Earphone with ventilation arrangement
KR102067818B1 (ko) 효율적인 향기발산이 가능한 음향장치
EP3653231B1 (en) Aroma cartridge and aroma display
KR102025643B1 (ko) 향기발산 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102025640B1 (ko) 향기 발산 음향장치
TWI700936B (zh) 揚聲器
KR101582903B1 (ko) 현악기의 사운드 홀 커버
WO2021115603A1 (en) Flat magnetic valve for insert headsets
CN203086708U (zh) 可调式音箱
WO2020195762A1 (ja) インナーホン
US20070253589A1 (en)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