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306B1 -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306B1
KR100928306B1 KR1020090081449A KR20090081449A KR100928306B1 KR 100928306 B1 KR100928306 B1 KR 100928306B1 KR 1020090081449 A KR1020090081449 A KR 1020090081449A KR 20090081449 A KR20090081449 A KR 20090081449A KR 100928306 B1 KR100928306 B1 KR 10092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ing
fragrance
vehicle
fix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한우
Original Assignee
도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한우 filed Critical 도한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06B1/ko
Priority to PCT/KR2010/0002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1422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향제 케이스에 각종 모형으로 제작된 장신구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도록 고정하여 실내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고정된 장신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함몰부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위치고정홈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치된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 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1함몰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는,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 상기 케이스와 상기 고정캡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캡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서포트커버; 및 상기 서포트커버에 고정된 장신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인접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커버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후크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위치고정홈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치된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 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커버는,
외주면이 절곡 연장되며 내측에는 수평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상기 고정후크가 걸쳐지도록 고정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다수개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상기 관통통을 관통하는 장신구가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함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2함몰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가 제공된다.
방향제, 스프링, 고정캡, 서포트커버, 장신구, 방향제 케이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an aroma case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향제 케이스에 각종 모형으로 제작된 장신구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도록 고정하여 실내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芳香劑)는 가정, 또는 사무실과 같이 실내에 비치되어 사용되거나, 차량의 경우 내부의 계기판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백미러 등에 매달아서 사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주행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러한 공조장치는 그 기능이 미비하며 충분하지가 못하여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에는 흡연 또는 밀폐된 실내에서 자생하는 곰팡이 등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차량의 실내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흡연 등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방향제를 비치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악취의 제거뿐 아니라 각종 방향제의 성분이 새로이 개발되 면서 각종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유를 함유하여 코와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함으로써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신진대사조절과 함께 차량의 경우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향제는 방향제 차체만으로도 사용되기도 하지만 차량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에 담겨져서 사용되는데, 이때, 방향제 케이스는 케이스 자체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되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제 케이스는 상부의 개방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이고, 이로 인해 방향제의 향기 또한 지속적으로 외부로 발산되는 상태임에 따라 차량이 밀폐된 경우에는 오히려 방향제의 과도한 발산에 의해 운전자가 두통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에 밀폐된 상태로 안치되어 있음에 따라 방향제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방향제 케이스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 케이스는 막연히 방향제의 향기만을 발산하는 기능 위주로 제작됨에 따라 심미감이 떨어져 차량의 내부구조와 조화되지 못하는 동떨어진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제의 향기가 소량으로 발산되도록 하면서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흔들리는 장신구를 고정하여 실내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고정된 장신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함몰부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위치고정홈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치된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 된 다수개의 외각돌기; 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1함몰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에 끼워진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기 결착봉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캡의 상기 제1함몰부에 형성된 제1결착공;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신구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장신구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에 수용되는 상부고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기 고정걸이대에 걸쳐지는 하부고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함몰부에는 제1함몰부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방향제가 상기 공기유입구와 이격되게 안치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캡이 결합 될 때 고정캡의 외각돌기가 안착 되도록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리브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구와 인접하면서 상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접착패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 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는,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 상기 케이스와 상기 고정캡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캡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서포트커버; 및 상기 서포트커버에 고정된 장신구;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인접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커버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후크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위치고정홈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에 안치된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 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커버는,
외주면이 절곡 연장되며 내측에는 수평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상기 고정후크가 걸쳐지도록 고정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다수개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상기 관통통 을 관통하는 장신구가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함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2함몰부에 고정되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에 끼워진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기 결착봉이 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커버의 상기 제2함몰부에 형성된 제2결착공;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캡의 하부면에는, 상기 서포트커버가 결합 될 때 서포트커버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서포트커버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캡의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위치고정홈에 끼워질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위치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를 눌러주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압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압착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함몰부에는 제2함몰부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된 상태로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 되는 악취 등을 제거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면서 각종 모형으로 제작된 장신구가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자유분방하게 흔들리도록 하여 실내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진된 방향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고정캡이 개폐됨에 따라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방향제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방향제의 향기가 소량으로 발산됨에 따라 차량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은은한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심리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는, 차량의 실내에 각종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10)가 수용된 상태로 안치된 케이스(100)와, 위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200)과, 상기 고정캡(200)에 고정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장신구(4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케이스, 고정캡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장신구가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방향제(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11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20)와,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 고정캡(200)과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위 공기유입구(12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10)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케이스(10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위 케이스(100)의 상기 바닥면(110)에는, 위 공기유입구(120)와 인접하면서 위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접착패드(1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제 케이스(5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소에 위 접착 패드(160)를 통해 부착되어 차량의 유동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위 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110)에는, 위 방향제(10)가 위 공기유입구(120)와 이격되게 안치되도록 바닥면(110)으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돌기(140)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위 고정캡(200)이 결합 될 때 후술하게 될 고정캡(200)의 외각돌기(240)가 안착 되도록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리브(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위 이격돌기(14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어 이격돌기(140)에 안치되는 방향제(10)를 바닥면(110)과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위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방향제(10)의 발산향기와 혼합되어 원활하게 방향제 케이스(5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방향제(100)는 고체상으로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위 지지리브(150)는 위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위 고정캡(200)이 결합 될 때 고정캡(200)의 외각돌기(240)가 안착 되도록 하면서 결합 되는 과정에서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의 내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캡(200)은 위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케이스(100)와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위 고정캡(200)은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위 관통홀(2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함몰부(260)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위 케이스(100)의 위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230)와, 외측둘레면에는 위 케이스(100)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의 향기가 외부로 발 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243)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24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있다.
위 고정캡(200)은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210)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위 관통홀(210)을 통해 위 제1함몰부(260)에 고정되는 장신구(400)가 고정캡(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해 흔들릴 때 원활한 활동영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위 제1함몰부(260)는 위 고정캡(200)의 관통홀(210)로부터 위 장신구(400)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내부가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다.
이때, 위 제1함몰부(260)의 연장되는 길이는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에 결합될 때 제1함몰부(260)의 저면이 케이스(100)에 안치된 방향제(10)를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이면 바람직하다(도 4참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함몰부(260)에는 제1함몰부(26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함몰부(260)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 손잡이부(213)에 의해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로부터 개폐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케이스(100)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의 교체 또한 손쉽게 이루어진다.
위 위치고정돌기(230)는 위 케이스(100)의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캡(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케이스(1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위치고정 홈(130)과 결합 된다.
이 경우, 위치고정돌기(230)는 위 위치고정홈(130)과 같이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위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캡(200)의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 외각돌기(240)는 위 고정캡(200)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외각돌기(240)의 형성에 의해 외각돌기(240) 사이에는 방향제유출홈(243)이 형성된다.
방향제유출홈(243)은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에 결합 된 상태에서 케이스(100)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10)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방향제(10)의 향기는 고정캡(200)과 케이스(100) 사이의 방향제유출홈(243)을 통해 발산됨에 따라 과도한 발산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 방향제유출홈(243)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장신구(400)는 새싹을 모티브로 하여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신구(400)의 하단부에는 위 장신구(400)가 차량의 진동을 통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도록 스프링(410)의 상단이 끼워져 있으며, 위 스프링(410)의 하단은 후술하게 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위 고정캡(200)에 형성된 위 제1함몰부(26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위 장신구(40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스프링(410)의 상부가 수용되는 요홈(4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위 요홈(400a)의 하부로는 위 장신 구(400)가 위 스프링(41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봉(403)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위 스프링(410)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423)이 위 장신구(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위 지지봉(423)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423)에 끼워진 스프링(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420a)가 각각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425)이 케이스(100)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420)과, 위 고정브라켓(420)의 위 결착봉(425)이 결합되도록 위 고정캡(200)의 위 제1함몰부(260)의 바닥에 형성된 제1결착공(2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장신구(400)와 고정브라켓(420) 사이에 위치된 위 스프링(410)의 상단에는 위 장신구(400)가 스프링(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신구(400)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400a)에 수용되는 상부고리(4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위 고정브라켓(420)의 지지봉(423)에 끼워진 상태로 위 스프링(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 고정브라켓(420)의 위 고정걸이대(420a)에 걸쳐지는 하부고리(4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 장신구(400)는 장신구(400)와 고정브라켓(420) 사이에 위치된 위 스프링(410)의 지지를 받는 상태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자유롭게 다양한 각도로 흔들리게 되며, 스프링(41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 장신구(400)의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장신구(4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스프링(410)으로 설명하였 지만 스프링(410)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라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를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케이스, 고정캡, 서포트커버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장신구가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는, 차량의 실내에 각종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10)가 수용된 상태로 안치된 케이스(100)와, 위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200)과,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위 케이스(100)와 위 고정캡(20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캡(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서포트커버(300)와, 상기 서포트커버(300)에 고정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장신구(40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방향제(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11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20)와,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 고정캡(200)과 결합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위 공기유입구(12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10)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케이스(10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위 케이스(100)의 상기 바닥면(110)에는, 위 공기유입구(120)와 인접하면서 위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접착패드(16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제 케이스(5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소에 위 접착패드(160)를 통해 부착되어 차량의 유동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위 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110)에는, 위 방향제(10)가 위 공기유입구(120)와 이격되게 안치되도록 바닥면(110)으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돌기(140)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위 고정캡(200)이 결합 될 때 후술하게 될 고정캡(200)의 외각돌기(240)가 안착 되도록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리브(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위 이격돌기(140)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되어 이격돌기(140)에 안치되는 방향제(10)를 바닥면(110)과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위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방향제(10)의 발산향기와 혼합되어 원활하게 방향제 케이스(5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방향제(100)는 고체상으로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위 지지리브(150)는 위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위 고정캡(200)이 결 합 될 때 고정캡(200)의 외각돌기(240)가 안착 되도록 하면서 결합 되는 과정에서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의 내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캡(200)은 위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케이스(100)와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위 고정캡(200)은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위 관통홀(210)과 인접된 상태로 절곡 연장되어 위 서포트커버(300)가 결합 될 때 서포트커버(30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후크(220)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위 케이스(100)의 위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230)와, 외측둘레면에는 위 케이스(100)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243)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24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있다.
위 관통홀(210)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위 관통홀(210)을 통해 위 서포트커버(300)에 고정된 장신구(4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진동에 의해 흔들릴 때 원활한 활동영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위 고정후크(220)는 위 관통홀(210)의 외접선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4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고정후크(220)가 위 고정캡(200)의 하부면에 결합 되는 위 서포트커버(300)에 끼워져 서포트커버(300)를 지지하면서 고정캡(2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위 위치고정돌기(230)는 위 케이스(100)의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캡(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케이스(1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위치고정 홈(130)과 결합 된다.
이 경우, 위치고정돌기(230)는 위 위치고정홈(130)과 같이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위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캡(200)의 횡방향 움직임이 제한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 외각돌기(240)는 위 고정캡(200)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외각돌기(240)의 형성에 의해 외각돌기(240) 사이에는 방향제유출홈(243)이 형성된다.
방향제유출홈(243)은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에 결합 된 상태에서 케이스(100) 내부로부터 발산되는 방향제(10)의 향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방향제(10)의 향기는 고정캡(200)과 케이스(100) 사이의 방향제유출홈(243)을 통해 발산됨에 따라 과도한 발산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 방향제유출홈(243)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위 고정캡(200)의 하부면에는, 위 서포트커버(300)가 고정캡(200)의 하부면에 결합 될 때 서포트커버(300)의 결합위치를 잡아주는 서포트커버(3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테두리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서포트커버(300)는 외주면이 절곡 연장되며 내측에는 수평부(310)가 형성되되, 위 수평부(310)에는 위 고정캡(200)의 위 고정후크(220)가 걸쳐지도록 고정후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20)과, 다수개의 걸림턱(320) 사이에 형성되며 위 고정캡(200)의 위 관통홀(210)을 관통하는 장신 구(400)가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함몰부(33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서포트커버(3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주면이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수평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평부(310)에는 위 고정캡(200)의 고정후크(220)가 걸쳐지도록 고정후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320)이 형성되어 있다.
위 걸림턱(320)은 서포트커버(300)가 고정캡(200)에 결합 될 때 고정후크(220)가 걸쳐지도록 하여 고정캡(200)에 서포트커버(30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각 걸림턱(320)의 인접부에는 고정후크(220)가 관통되며 걸림턱(320)에 걸쳐지도록 연통구(323)가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고, 위 걸림턱(320)의 개수는 위 고정후크(2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위 제2함몰부(330)는 위 걸림턱(3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200)의 관통홀(210)을 관통하는 장신구(400)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수평부(310)로부터 위 케이스(100)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 제2함몰부(330)에는 제2함몰부(33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위 고정캡(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방향제 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함몰부(330)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 손잡이부(333)에 의해 고정캡(200)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정확하게는, 위 서포트커버(300)가 위 고정캡(200)의 고정후크(2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고, 위 손잡이부(333)가 고정캡(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방향제 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임에 따라, 위 손잡이부(333)를 외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서포트커버(300)와 고정캡(200)이 함께 당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한편, 서포트커버(300)의 외주면에는 위 고정캡(200)의 위치고정돌기(230)가 위 케이스(100)의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질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위치고정돌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요입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수평부(310)의 하부면에는 위 고정캡(200)이 위 케이스(100)에 결합 될 때 케이스(100)의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를 눌러주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압착리브(313)가 형성되어 있다.
위 압착리브(313)는 위 케이스(100), 고정캡(200), 서포트커버(300)가 완전한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방향제(10)를 눌러줌에 따라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방향제(10)의 안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압착리브(313)의 사이에는 위 케이스(100)의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통기공(315)이 형성되어 있다.
위 통기공(315)은 위 고정캡(200)의 방향제유출홈(243)으로 배출되는 방향제(10) 발산향기의 일부가 위 통기공(315)을 거쳐 위 고정캡(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장신구(400)는 새싹을 모티브로 하여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장신구(400)의 하단부에는 위 장신구(400)가 차량의 진동을 통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도록 스프링(410)의 상단이 끼워져 있으며, 위 스프링(410)의 하단은 후술하게 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위 서포트커버(300)의 제2함몰부(33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위 장신구(40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스프링(410)의 상부가 수용되는 요홈(4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위 요홈(400a)의 하부로는 위 장신구(400)가 스프링(41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봉(403)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위 스프링(410)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423)이 위 장신구(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위 지지봉(423)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423)에 끼워진 스프링(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420a)가 각각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425)이 케이스(100)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브라켓(420)과, 위 고정브라켓(420)의 위 결착봉(425)이 결합되도록 위 서포트커버(300)의 위 제2함몰부의 바닥에 형성된 제2결착공(3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장신구(400)와 고정브라켓(420) 사이에 위치된 위 스프링(410)의 상단에는 위 장신구(400)가 스프링(4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신구(400)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400a)에 수용되는 상부고리(4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위 고정브라켓(420)의 지지봉(423)에 끼워 져 고정된 위 스프링(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 고정브라켓(420)의 위 고정걸이대(420a)에 걸쳐지는 하부고리(4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 장신구(400)는 장신구(400)와 고정브라켓(420) 사이에 위치된 위 스프링(410)의 지지를 받는 상태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자유롭게 다양한 각도로 흔들리게 되며 스프링(41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 장신구(400)의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장신구(4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스프링(410)으로 설명하였지만 스프링(410)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라면 한정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는, 방향제(10)의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면서 차량의 진동에 따라 자유분방하게 흔들리는 장신구(400)를 구비하여 차량의 실내장식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중 위치고정홈(130) 및 위치고정돌기(230)의 개수, 케이스(100)에 형성된 이격돌기(140)의 형상 및 개수, 압착리브(313)의 형상 및 개수, 방향제유출홈(243)의 크기 및 형상, 탄성부재(410)의 종류, 장신구(400) 의 형상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케이스, 고정캡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장신구가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를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케이스, 고정캡, 서포트커버의 저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의 구성중 장신구가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방향제 100...케이스
110...바닥면 120...공기유입구
130...위치고정홈 140...이격돌기
150...지지리브 160...접착패드
200...고정캡 210...관통홀
213, 333...손잡이부 220...고정후크
230...위치고정돌기 240...외각돌기
243...방향제유출홈 250...테두리부
260...제1함몰부 263...제1결착공
300...서포트커버 310...수평부
313...압착리브 315...통기공
320...걸림턱 330...제2함몰부
335...제2결착공 340...요입부
400...장신구 400a...요홈
403...끼움봉 410...탄성부재, 스프링
410a...상부고리 410b...하부고리
420...고정브라켓 420a...고정걸이대
423...지지봉 425...결착봉
500...방향제 케이스

Claims (11)

  1.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10)가 안치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200); 및 상기 고정캡(200)에 고정된 장신구(40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바닥면(110)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20)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200)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13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200)은,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함몰부(260)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230)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100)에 안치된 방향제(10)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243)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240); 가 형성되며,
    상기 장신구(400) 하단부는 탄성부재(4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410)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1함몰부(260)에 고정되어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상기 탄성부재(410)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4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423)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423)에 끼워진 탄성부재(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420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425)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20); 및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상기 결착봉(425)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캡(200)의 상기 제1함몰부(260)에 형성된 제1결착공(2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400)와 고정브라켓(4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410)의 상단에는 상기 장신구(400)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400a)에 수용되는 상부고리(410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상기 고정걸이대(420a)에 걸쳐지는 하부고리(41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함몰부(260)에는 제1함몰부(26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2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110)에는, 상기 방향제(10)가 상기 공기유입구(120)와 이격되게 안치되도록 바닥면(110)으로부터 돌출된 다수개의 이격돌기(140)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캡(200)이 결합 될 때 고정캡(200)의 외각돌기(240)가 안착 되도록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리브(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바닥면(11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0)와 인접하면서 상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접착패드(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7. 차량의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방향제(10)가 안치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고정캡(200);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고정캡(20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캡(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서포트커버(300); 및 상기 서포트커버(300)에 고정된 장신 구(40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바닥면(110)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와 연통 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유입구(120)와;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캡(200)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홈(13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캡(200)은,
    중심부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0)과 인접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커버(30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후크(220)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위치고정홈(130)과 대응되어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230)와;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케이스(100)에 안치된 방향제(10)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방향제유출홈(243)을 형성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외각돌기(240); 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커버(300)는,
    외주면이 절곡 연장되며 내측에는 수평부(310)가 형성되되, 상기 수평부(310)에는 상기 고정캡(200)의 상기 고정후크(220)가 걸쳐지도록 고정후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20)과; 상기 다수개의 걸림턱(3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200)의 상기 관통홀(210)을 관통하는 장신구(400)가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함몰부(330); 를 포함하고,
    상기 장신구(400) 하단부는 탄성부재(4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410)는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제2함몰부(330)에 고정되어 탄성부재(410)의 탄성 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는 상기 탄성부재(410)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4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423)의 일측 적소에는 지지봉(423)에 끼워진 탄성부재(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걸이대(420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425)이 형성된 고정브라켓(420); 및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상기 결착봉(425)이 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커버(300)의 상기 제2함몰부(330)에 형성된 제2결착공(3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서포트커버(300)가 결합 될 때 서포트커버(300)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서포트커버(3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테두리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커버(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캡(200)의 상기 위치고정돌 기(230)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위치고정홈(130)에 끼워질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위치고정돌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요입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캡(200)이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안치된 방향제(10)를 눌러주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압착리브(313)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압착리브(313)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기 공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통기공(3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몰부(330)에는 제2함몰부(33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3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500)의 구조.
KR1020090081449A 2009-03-30 2009-08-31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KR10092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233 WO2010114220A2 (ko) 2009-03-30 2010-01-14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611 2009-03-30
KR2020090003611 2009-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06B1 true KR100928306B1 (ko) 2009-11-25

Family

ID=4160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449A KR100928306B1 (ko) 2009-03-30 2009-08-31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8306B1 (ko)
WO (1) WO20101142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68B1 (ko) * 2020-12-28 2021-11-04 에일리언오더즈 주식회사 방향제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220Y1 (ko) 1999-08-17 2000-02-15 오국진 방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5450B2 (ja) * 1996-10-08 1999-05-24 ユーザー株式会社 消臭芳香用具の残量表示装置
KR200214648Y1 (ko) * 2000-07-27 2001-02-15 주식회사엘지화학 다기능 방향제
KR200420999Y1 (ko) * 2006-04-28 2006-07-07 김문수 방향제가 구비된 종교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220Y1 (ko) 1999-08-17 2000-02-15 오국진 방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68B1 (ko) * 2020-12-28 2021-11-04 에일리언오더즈 주식회사 방향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4220A2 (ko) 2010-10-07
WO2010114220A3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8277B2 (ja) 芳香剤揮散容器
US7540432B2 (en) Passive dispensing device
JP6509505B2 (ja) 保持具及び保持具付き薬液供給具
AU2006338546A1 (en) Disposable device for the diffusion of volatile substances
JP2010512179A (ja) 拡散装置
KR20200000401U (ko) 방향제 케이스
KR101394248B1 (ko) 방향제팩의 교체가 가능한 케이스 구조
US20200305559A1 (en) Spray &amp; Sniff Aroma Wristband
KR100928306B1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의 구조
KR101546650B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미용제품 거치대
US2796290A (en) Perfumer and deodorizer
US20050051689A1 (en) Automobile plant holder
KR20130119135A (ko) 방향제팩 케이스구조
KR102368431B1 (ko) 방향제 거치대
KR200420999Y1 (ko) 방향제가 구비된 종교장신구
KR200170220Y1 (ko) 방향장치
JPH0281Y2 (ko)
US20180071424A1 (en) Scent dispersing apparatus with decorative plant feature
JP3226393U (ja) かつらスタンド
KR200306163Y1 (ko) 침구용 항균방취제 케이스
JP4092075B2 (ja) 芳香剤等を収容した壁掛け可能な容器
JP2007151720A (ja) 飾付け用具及び送風式の薬剤放散装置
KR20200002063U (ko) 방향제 및 탈취제 수납 케이스
CN209204174U (zh) 香薰器
JPS601742Y2 (ja) 芳香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