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417B1 - 목재 파쇄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재 파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417B1
KR102320417B1 KR1020210015850A KR20210015850A KR102320417B1 KR 102320417 B1 KR102320417 B1 KR 102320417B1 KR 1020210015850 A KR1020210015850 A KR 1020210015850A KR 20210015850 A KR20210015850 A KR 20210015850A KR 102320417 B1 KR102320417 B1 KR 10232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od
sawdust
crushing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오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현에너지
Priority to KR102021001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63Multi-layer scree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2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shav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목재 파쇄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재 파쇄시스템은, 원목재가 자동 투입되는 원목재 투입유닛;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를 단위 크기의 단위목재로 커팅하는 원목재 커팅유닛;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을 통해 생산된 단위목재를 받아 파쇄해서 톱밥으로 만드는 단위목재 파쇄유닛;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에서 만들어진 톱밥을 배출하는 톱밥 배출유닛; 및 상기 톱밥 배출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톱밥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하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파쇄시스템{DEVICE FOR CRUSHING WOOD}
본 발명은, 목재 파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목재 파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대규모 공사 즉, 댐공사, 교량공사 및 도로공사 등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대규모 공사, 즉 토목공사를 진행할 때는 벌채 후 다량의 목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벌채한 나무 즉 목재는 현장에서 소각하거나 혹은 목재 파쇄장치(혹은 파쇄시스템)를 사용해서 파쇄한 후, 칩(Chip) 형상의 톱밥으로 사용한다.
종래의 목재 파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0)에 의해 목재(30)가 이송되어 이동롤러(21)에 물린 상태로 진행되면 절삭날축(2)이 회전되면서 목재를 절삭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 1의 목재 파쇄장치는 고정식인데, 현장 사용이 가능하게 도 2처럼 이동식도 널리 사용된다.
한편, 도 1의 고정식, 그리고, 도 2의 이동식 목재 파쇄장치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목재 파쇄량이 적을뿐더러 파쇄효율이 낮아 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413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0011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347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309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목재 파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원목재가 자동 투입되는 원목재 투입유닛;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를 단위 크기의 단위목재로 커팅하는 원목재 커팅유닛;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을 통해 생산된 단위목재를 받아 파쇄해서 톱밥으로 만드는 단위목재 파쇄유닛;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에서 만들어진 톱밥을 배출하는 톱밥 배출유닛; 및 상기 톱밥 배출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톱밥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하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은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는 롤러 컨베이어이며,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과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사이에 상기 단위목재를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쪽으로 전달하는 전달 컨베이어가 마련되며, 상기 톱밥 배출유닛은 수평 배출부와, 상기 수평 배출부에 연결되는 상향 경사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에서 파쇄 작업이 가능한 사이즈로 원목재를 커팅하는 회전 커터; 상기 회전 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커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커터 회전 구동부; 상기 커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터 회전 구동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커터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커터 업/다운 구동부를 지지하는 커팅유닛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은, 상기 회전 커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가 상기 회전 커터 주변에 진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은, 상기 원목재에서 커팅된 단위목재들이 수용되되 일측면에 경사벽이 형성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결되되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단위목재가 톱밥으로 파쇄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톱밥이 배출되는 톱밥 배출부 형성되는 파쇄 덕트; 상기 파쇄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쇄 덕트 내로 유입되는 단위목재를 톱밥으로 파쇄하는 파쇄기; 및 상기 파쇄 덕트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쇄기와 연결되며, 상기 파쇄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파쇄기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은, 상대적으로 제일 큰 제1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상기 제1 톱밥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1 선별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1 진동기가 마련되는 제1 톱밥 저장부; 상기 제1 톱밥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상기 제1 선별구보다 작은 제2 선별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2 진동기가 마련되는 제2 톱밥 저장부; 및 상기 제2 톱밥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3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3 진동기가 마련되는 제3 톱밥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톱밥 저장부에는 제1 톱밥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장량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목재 파쇄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신호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상기 톱밥 배출유닛 및 상기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저장량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지되게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정식 목재 파쇄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 이동식 목재 파쇄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원목재 커팅유닛의 확대 작용도이다.
도 7은 단위목재 파쇄유닛과 톱밥 배출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원목재 커팅유닛의 확대 작용도, 도 7은 단위목재 파쇄유닛과 톱밥 배출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이 적용되면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은 원목재 투입유닛(110), 원목재 커팅유닛(120),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톱밥 배출유닛(140),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원목재 투입유닛(110)은 원목재가 자동 투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원목재 투입유닛(110)은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적용된다. 따라서, 원목재 커팅유닛(120)의 회전 커터(121)가 한 쌍의 롤러 컨베이어 사이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부피가 큰 원목재를 파쇄가 가능한 단위목재로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다.
원목재 커팅유닛(120)은 원목재 투입유닛(110)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원목재를 단위 크기의 단위목재로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원목재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원목재를 그대로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에 넣기 어렵다. 즉 파쇄가 가능한 크기의 단위목재로 잘라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에 넣어야 하는데, 이의 역할을 원목재 커팅유닛(120)이 담당한다.
원목재 커팅유닛(120)은 롤러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에서 파쇄 작업이 가능한 사이즈로 원목재를 커팅하는 회전 커터(121)와, 회전 커터(121)에 연결되며, 회전 커터(121)를 회전 구동시키는 커터 회전 구동부(122)와, 커터 회전 구동부(122)와 연결되고, 커터 회전 구동부(122)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커터 업/다운 구동부(123)와, 커터 업/다운 구동부(123)를 지지하는 커팅유닛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원목재 커팅유닛(120)은 회전 커터(121)의 주변에 배치되며, 원목재가 회전 커터(121) 주변에 진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12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4처럼 원목재가 진입될 때, 진입 감지부(125)가 이를 감지하면, 이의 신호가 시스템 컨트롤러(180)로 전송되고,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원목재 커팅유닛(120)을 컨트롤함으로써, 회전 커터(121)의 하향 이동 및 회전 작용에 기초하여 부피가 큰 원목재가 단위목재로 커팅될 수 있다.
커팅된 단위목재가 단위목재 파쇄유닛(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원목재 커팅유닛(120)과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사이에 단위목재를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쪽으로 전달하는 전달 컨베이어(115)가 마련된다. 전달 컨베이어(115)는 롤러 컨베이어일 수도 있고, 혹은 벨트 컨베이어일 수도 있다.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은 원목재 커팅유닛(120)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원목재 커팅유닛(120)을 통해 생산된 단위목재를 받아 파쇄해서 톱밥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톱밥은 사이즈가 다른 필렛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은 원목재에서 커팅된 단위목재들이 수용되되 일측면에 경사벽(131a)이 형성되는 호퍼(131)와, 호퍼(131)에 연결되되 호퍼(131)에서 공급되는 단위목재가 톱밥으로 파쇄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톱밥이 배출되는 톱밥 배출부(132a) 형성되는 파쇄 덕트(132)와, 파쇄 덕트(1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파쇄 덕트(132) 내로 유입되는 단위목재를 톱밥으로 파쇄하는 파쇄기(133)와, 파쇄 덕트(132)의 일측에 마련되고 파쇄기(133)와 연결되며, 파쇄기(133)를 회전 구동시키는 파쇄기 회전 구동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톱밥 배출유닛(140)은 단위목재 파쇄유닛(130)에서 만들어진 톱밥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톱밥 배출유닛(140)은 수평 배출부(141)와, 수평 배출부(141)에 연결되는 상향 경사 배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톱밥 배출유닛(140)은 롤러 컨베이어일 수도 있고, 혹은 벨트 컨베이어일 수도 있다.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은 톱밥 배출유닛(140)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톱밥 배출유닛(140)에서 배출되는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은 제1 톱밥 저장부(151), 제2 톱밥 저장부(152) 및 제3 톱밥 저장부(153)를 포함한다.
제1 톱밥 저장부(151)는 상대적으로 제일 큰 제1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제1 톱밥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1 선별구(151a)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1 진동기(151b)가 마련된다. 제1 진동기(151b)에 의해 제1 톱밥 저장부(151)가 흔들리면서 제1 선별구(151a)로 작은 톱밥이 낙하할 수 있다.
제2 톱밥 저장부(152)는 제1 톱밥 저장부(15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제1 선별구(151a)보다 작은 제2 선별구(152a)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2 진동기(152b)가 마련된다. 제2 진동기(152b)에 의해 제2 톱밥 저장부(152)가 흔들리면서 제2 선별구(152a)로 더 작은 톱밥이 낙하할 수 있다.
제3 톱밥 저장부(153)는 제2 톱밥 저장부(152)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3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제3 톱밥 저장부(153)에는 선별구 또는 진동기가 갖춰질 필요가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하여 신호 입력부(170)와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더 탑재된다.
신호 입력부(170)는 목재 파쇄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의 바디에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혹은 리모컨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신호 입력부(170)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신호 입력부(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원목재 투입유닛(110), 원목재 커팅유닛(120),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톱밥 배출유닛(140) 및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저장량 감지부(155)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지되게 컨트롤한다.
특히, 제1 톱밥 저장부(151)에 제1 톱밥이 기준치 이상 저장되었음을 저장량 감지부(155)가 감지한 경우, 시스템이 정지되게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컨트롤한다. 따라서, 제1 톱밥 저장부(151)에 더 이상의 톱밥이 저장되지 않게끔 시스템이 정지되게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신호 입력부(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원목재 투입유닛(110), 원목재 커팅유닛(120),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톱밥 배출유닛(140) 및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저장량 감지부(155)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지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과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신호 입력부(170)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원목재 투입유닛(110), 원목재 커팅유닛(120),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톱밥 배출유닛(140) 및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15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저장량 감지부(155)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지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파쇄시스템 역시, 원목재 투입유닛(110), 원목재 커팅유닛(120), 단위목재 파쇄유닛(130), 톱밥 배출유닛(140),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과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250)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동식으로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250) 역시, 제1 톱밥 저장부(251), 제2 톱밥 저장부(252) 및 제3 톱밥 저장부(253)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일체로 연결된다. 물론, 상호간 분해 조립은 가능하다.
그리고, 제3 톱밥 저장부(253)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휠(254)이 마련된다. 따라서,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저장된 톱밥을 이동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동화된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종래보다 파쇄효율이 높아 목재 파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단축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칩(Chip) 형상으로 된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할 수도 있어서 톱밥의 사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원목재 투입유닛 115 : 전달 컨베이어
120 : 원목재 커팅유닛 121 : 회전 커터
122 : 커터 회전 구동부 123 : 커터 업/다운 구동부
124 : 커팅유닛 지지부 125 : 진입 감지부
130 : 단위목재 파쇄유닛 131 : 호퍼
131a : 경사벽 132 : 파쇄 덕트
132a : 톱밥 배출부 133 : 파쇄기
134 : 파쇄기 회전 구동부 140 : 톱밥 배출유닛
141 : 수평 배출부 142 : 상향 경사 배출부
150 :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 151 : 제1 톱밥 저장부
151a : 제1 선별구 151b : 제1 진동기
152 : 제2 톱밥 저장부 152a : 제2 선별구
152b : 제2 진동기 153 : 제3 톱밥 저장부
155 : 저장량 감지부 170 : 신호 입력부
180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7)

  1. 원목재가 자동 투입되는 원목재 투입유닛;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의 말단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를 단위 크기의 단위목재로 커팅하는 원목재 커팅유닛;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을 통해 생산된 단위목재를 받아 파쇄해서 톱밥으로 만드는 단위목재 파쇄유닛;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에서 만들어진 톱밥을 배출하는 톱밥 배출유닛;
    상기 톱밥 배출유닛의 공정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톱밥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톱밥을 사이즈 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제일 큰 제1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상기 제1 톱밥보다 작은 사이즈의 제1 선별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1 진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톱밥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장량 감지부가 마련되는 제1 톱밥 저장부, 상기 제1 톱밥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2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닥에 상기 제1 선별구보다 작은 제2 선별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2 진동기가 마련되는 제2 톱밥 저장부, 및 상기 제2 톱밥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톱밥보다 사이즈가 작은 제3 톱밥이 저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측부에 진동을 위한 제3 진동기가 마련되는 제3 톱밥 저장부를 포함하는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
    목재 파쇄를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신호 입력부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상기 톱밥 배출유닛 및 상기 톱밥 사이즈 선별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저장량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지되게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재 투입유닛은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는 롤러 컨베이어이며,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과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사이에 상기 단위목재를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 쪽으로 전달하는 전달 컨베이어가 마련되며,
    상기 톱밥 배출유닛은 수평 배출부와, 상기 수평 배출부에 연결되는 상향 경사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에서 파쇄 작업이 가능한 사이즈로 원목재를 커팅하는 회전 커터;
    상기 회전 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커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커터 회전 구동부;
    상기 커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터 회전 구동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커터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커터 업/다운 구동부를 지지하는 커팅유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재 커팅유닛은,
    상기 회전 커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원목재가 상기 회전 커터 주변에 진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목재 파쇄유닛은,
    상기 원목재에서 커팅된 단위목재들이 수용되되 일측면에 경사벽이 형성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결되되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단위목재가 톱밥으로 파쇄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톱밥이 배출되는 톱밥 배출부 형성되는 파쇄 덕트;
    상기 파쇄 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쇄 덕트 내로 유입되는 단위목재를 톱밥으로 파쇄하는 파쇄기; 및
    상기 파쇄 덕트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파쇄기와 연결되며, 상기 파쇄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파쇄기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15850A 2021-02-04 2021-02-04 목재 파쇄시스템 KR10232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50A KR102320417B1 (ko) 2021-02-04 2021-02-04 목재 파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50A KR102320417B1 (ko) 2021-02-04 2021-02-04 목재 파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417B1 true KR102320417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850A KR102320417B1 (ko) 2021-02-04 2021-02-04 목재 파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4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12U (ko) 1999-06-03 2001-01-05 정몽규 커버를 갖는 전기 자동차용 전지모듈
KR100437269B1 (ko) * 2001-11-07 2004-06-30 주식회사 그린환경 폐목 분쇄장치 및 그 방법
KR100935709B1 (ko) * 2008-07-17 2010-01-07 이성용 이동식 칩 제조장치
KR20110074135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 회로 기판을 구비한 시스템 인 패키지
KR101795518B1 (ko) * 2017-07-20 2017-11-08 유재권 골재 선별장치
KR102173931B1 (ko) * 2020-08-14 2020-11-04 홍용민 목재 자동 재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12U (ko) 1999-06-03 2001-01-05 정몽규 커버를 갖는 전기 자동차용 전지모듈
KR100437269B1 (ko) * 2001-11-07 2004-06-30 주식회사 그린환경 폐목 분쇄장치 및 그 방법
KR100935709B1 (ko) * 2008-07-17 2010-01-07 이성용 이동식 칩 제조장치
KR20110074135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 회로 기판을 구비한 시스템 인 패키지
KR101795518B1 (ko) * 2017-07-20 2017-11-08 유재권 골재 선별장치
KR102173931B1 (ko) * 2020-08-14 2020-11-04 홍용민 목재 자동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003A (en) Waste processing machine
US594146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aterial
KR102320417B1 (ko) 목재 파쇄시스템
JP2012076961A (ja) 砕砂、砕石生産システム
JP4675571B2 (ja) 脆性物の破砕処理方法と破砕処理装置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US8882008B1 (en) Dual shredding system for a mobile document shredding vehicle and method of use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Wegener et al. Wood chipping with conical helical blades–Practical experiments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feed angle on the power requirement of a helical chipper
CN107149969B (zh) 一种分层式有机肥搅拌粉碎机
CN206810393U (zh) 破碎电子垃圾薄壁壳体类物体的立式锤辊复合破切碎料机
JP3174731B2 (ja) 一軸破砕機
CN104109059A (zh) 粉状硝铵炸药废药卷自动剥离回收装置
JP2000189823A (ja) 粉砕装置
JP3132587U (ja) 破砕装置
JP4436382B2 (ja) 破砕システム
JP2019103977A (ja) 破砕機、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34743A (ja) 破砕機
CN207478679U (zh) 破碎电子垃圾薄壁壳体类物体的卧式锤辊复合破切碎料机
Fokin et al. On technical means of obtaining wood chips, as a way to increase soil fertility
CN110801905A (zh) 一种能生产多种不同粒径的物料粉碎装置
JP2005161297A (ja) 破砕機及び破砕作業車
JP2004016917A (ja) 破砕機用ケーシング、それを備えた破砕機、破砕機作業車及び破砕方法
CN214323549U (zh) 一种用于牛肉粒加工的制粒装置
CN110064484B (zh) 一种破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